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몽골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몽골]][[분류:동아시아 국가]][[분류:북아시아 국가]][[분류:아시아의 공화국]][[분류:과거의 독재국가]][[분류:민주주의 국가]][[분류:세속국가]][[분류:이원집정부제 국가]][[분류:단일국가]][[분류:몽골계 국가]][[분류:특정 민족 중심의 다민족국가]][[분류:과거의 군사독재 국가]][[분류:과거의 공산주의 국가]][[분류:내륙국]] [include(틀:다른 뜻, 넘어옴1=몽고, 설명1=주로 '몽고(夢姑)'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소설 《천룡팔부》의 등장인물, 문서명1=이청로(천룡팔부))] [include(틀:몽골 관련 문서)] ||<-3><tablewidth=450><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66b3><tablebgcolor=#fff,#1c1d1f><bgcolor=#da20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a2032 70% 80%, #0066b3 80% 90%, #da2032 90%)" '''{{{#ffd900 {{{+1 몽골국}}}[br][[몽골어|{{{#ffd900 Монгол улс | ᠮᠤᠩᠭᠤᠯ ᠤᠯᠤᠰ}}}]][* ''mɔŋɢəɮ ʊɮs'' , 원래는 세로로 써야 한다.][br]Mongolia}}}'''}}} || ||<-2><width=50%><rowbgcolor=#f5f5f5,#1c1d1f><height=150> [[파일:몽골 국기.svg|width=70%]] ||<width=50%> [[파일:몽골 국장.svg|width=50%]] || ||<-2><rowbgcolor=#da2032> '''{{{#ffd900 국기}}}''' || '''{{{#ffd900 국장}}}''' || ||<-3> '''Мөнх тэнгэрийн хүчин дор, Их суу залийн игээн дор'''[br]'''ᠮᠥᠩᠬᠡ ᠲᠩᠷᠢ ᠶᠢᠨ ᠬᠦᠴᠦᠳᠣᠷ᠂ ᠶᠡᠬᠡ ᠰᠤᠤ ᠵᠠᠯᠢ ᠶᠢᠨ ᠢᠭᠡᠭᠡᠳᠣᠷ'''[br]'''영원한 하늘의 힘 아래, 위대한 힘의 가호 아래'''[* 공식적으로 정해진 국시가 없으나, 해당 문장이 여러 공식 문서에 쓰이며 사실상의 국시처럼 쓰이고 있다. 구 [[몽골 제국]] 시기부터 내려오는 유서깊은 국시이다.] || ||<-3><bgcolor=#0066b3> {{{#fff '''상징'''}}} || ||<width=30%><bgcolor=#da2032> [[국가(노래)|{{{#ffd900 '''국가'''}}}]] ||<-2>'''[[몽골 국가|{{{#0066b3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br]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 ᠤᠨ ᠲᠥᠷᠦ ᠶᠢᠨ ᠳᠠᠭᠤᠯᠠᠯ}}}]]'''[* 뜻은 몽골의 국가.] || ||<width=30%><bgcolor=#da2032> {{{#ffd900 '''국화'''}}} ||<-2>'''[[솔체꽃|{{{#0066b3 솔체꽃}}}]]''' || ||<width=30%><bgcolor=#da2032> {{{#ffd900 '''국조'''}}} ||<-2>'''[[헨다손매|{{{#0066b3 세이커매}}}]]''' || ||<width=30%><bgcolor=#da2032> {{{#ffd900 '''국수'''}}} ||<-2>'''[[몽골야생말|{{{#0066b3 몽골야생말}}}]]''' || ||<-3><bgcolor=#0066b3> {{{#fff '''역사'''}}} || ||<-3> '''[[복드 칸국|독립 선언]] [[1911년]] [[12월 29일]] [br][[몽골 인민공화국]] 수립 [[1924년]] [[11월 26일]] [br]헌법 개정, 몽골국으로 국명 개정 [[1992년]] [[2월 13일]]''' || ||<-3><bgcolor=#0066b3> {{{#ffffff '''지리'''}}}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35%> {{{#ffd900 '''수도 | 최대도시'''}}} ||<colbgcolor=#ffffff,#1c1d1f>[[울란바토르]] || ||<-2> {{{#ffd900 '''면적'''}}} ||1,565,116km²[* [[한반도]]의 7배, [[대한민국]]의 15.6배.] | 세계 19위 || ||<-2> {{{#ffd900 '''접경국'''}}}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3><bgcolor=#0066b3> {{{#ffffff '''인문 환경'''}}}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40> {{{#ffd900 '''인구'''}}} ||<width=85> {{{#ffd900 '''총인구'''}}} ||<colbgcolor=#ffffff,#1c1d1f>3,517,100명 ^^(2023년)^^ | 세계 133위 || || {{{#ffd900 '''민족 구성'''}}} ||[[몽골인]] 92%[* 몽골국의 몽골족 절대다수가 할하 몽골인이다.], [[오이라트]]인 4%, [[카자흐인]] 4% || || {{{#ffd900 '''인구밀도'''}}} ||2.2명/㎢ || || {{{#ffd900 '''출산율'''}}} ||CIA 자료 1.91명(2022년)[*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field/total-fertility-rate/country-comparison|출처]]] 세계은행 자료 2.8명(2020년)[*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P.DYN.TFRT.IN?locations=MN|출처]]] || ||<-2> {{{#ffd900 '''공용 언어'''}}} ||[[몽골어]] || ||<-2> {{{#ffd900 '''공용 문자'''}}} ||[[몽골 문자]], [[키릴 문자]] || ||<-2> {{{#ffd900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br][[불교]]([[티베트 불교]]) 51.7%, [[무종교]] 40.6%[* 과거 공산정권 시절의 영향 때문에 무종교 인구도 많다.], [[이슬람]] 3.2%, [[샤머니즘]] 2.5%, [[기독교]] 1.3%[* 기독교 대부분은 [[개신교]]다.(전체 약 40,000명의 기독교 신자 중 35,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개신교 안에서는 [[루터교회]], [[장로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재림교회]] 등이 강세다.], 기타 0.7%[* [[바하이 신앙]], [[힌두교]] 등] || ||<-2> {{{#ffd900 '''군대'''}}} ||[[몽골군|몽골국 국군]] ||}}}}}}}}} || ||<-3><bgcolor=#0066b3> {{{#ffffff '''하위 행정 구역'''}}}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35%> {{{#ffd900 '''도, 특별시'''}}} ||<colbgcolor=#ffffff,#1c1d1f>21개의 도, 1개의 특별시 ||}}}}}}}}} || ||<-3><bgcolor=#0066b3> {{{#ffffff '''정치'''}}}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35%> {{{#ffd900 '''정치체제'''}}} ||<colbgcolor=#ffffff,#1c1d1f>[[민주주의]],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문민통제]], [[단원제]], [[다당제]] || ||<-2> [[민주주의 지수|{{{#ffd900 '''민주주의 지수'''}}}]] ||6.53점, '''{{{#9acd32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4년)^^[br](167개국 중 '''53위''') || ||<-2> [[몽골 대통령|{{{#ffd900 '''대통령'''}}}]][br][[국가원수|{{{#ffd900 '''(국가원수)'''}}}]] ||[[오흐나깅 후렐수흐]][br](Ухнаагийн Хүрэлсүх) || ||<-2> [[총리|{{{#ffd900 '''총리'''}}}]][br][[정부수반|{{{#ffd900 '''(정부수반)'''}}}]] ||[[곰보자빙 잔당샤타르]][br](Гомбожавын Занданшатар) || ||<-2> {{{#ffd900 '''국회의장'''[* 정확한 명칭은 국가대후랄 의장. 몽골의 국회는 국가대후랄 (State Great Hural)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다쉬제그빈 아마르바야스갈란[br](Дашзэгвийн Амарбаясгалан) || ||<-2> {{{#ffd900 '''대법원장'''}}} ||담디니 간조리그[br](Дамдины Ганзориг) || ||<-2> {{{#ffd900 '''여당'''}}} ||[[몽골 인민당]] ||}}}}}}}}} || ||<-3><bgcolor=#0066b3> {{{#ffffff '''경제'''}}}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90> {{{#ffd900 '''경제 체제'''}}} ||<colbgcolor=#ffffff,#1c1d1f>[[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2><width=60> [[GDP|{{{#ffd900 '''명목[br]GDP'''}}}]] ||<width=100><bgcolor=#da2032> {{{#ffd900 '''전체 GDP'''}}} ||<bgcolor=#fff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October/weo-report?c=948,&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198억 7천만]]^^(2024년 10월)^^ || ||<bgcolor=#da2032> {{{#ffd900 '''1인당 GDP'''}}} ||<bgcolor=#fff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October/weo-report?c=948,&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5,765]]^^(2024년 10월)^^ || ||<|2> [[GDP(PPP)|{{{#ffd900 '''GDP[br](PPP)'''}}}]] ||<bgcolor=#da2032> {{{#ffd900 '''전체 GDP'''}}} ||<bgcolor=#fff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October/weo-report?c=948,&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564억 9,000만]] ^^(2024년 10월)^^ || ||<bgcolor=#da2032> {{{#ffd900 '''1인당 GDP'''}}} ||<bgcolor=#fff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October/weo-report?c=948,&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16,390]]^^(2024년 10월)^^ || ||<-2><bgcolor=#da2032> {{{#ffd900 '''신용 등급'''}}} ||'''[[무디스]]''' Caa1[br]'''[[S&P]]''' B[br]'''[[Fitch]]''' B || ||<-2><bgcolor=#da2032> {{{#ffd900 '''통화'''}}} ||[[투그릭]](₮) ||}}}}}}}}} || ||<-3><bgcolor=#0066b3> {{{#fff '''단위'''}}}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90> {{{#ffd900 '''법정연호'''}}} ||<colbgcolor=#ffffff,#1c1d1f>[[서력기원]] || ||<bgcolor=#da2032> {{{#ffd900 '''시간대'''}}} ||UTC+7 ~ +8 || ||<bgcolor=#da2032> {{{#ffd900 '''도량형'''}}} ||[[국제단위계|SI 단위]] ||}}}}}}}}} || ||<-3><bgcolor=#0066b3> {{{#ffffff '''외교'''}}} || ||<-3><^|1><bgcolor=#ffffff,#1c1d1f><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da2032><width=120> {{{#ffd900 '''대한수교현황'''}}} ||<colbgcolor=#ffffff,#1c1d1f>[[대한민국]] : 1990년 3월 26일 수교[br][[북한]] : 1948년 10월 15일 수교 || ||<bgcolor=#da2032> {{{#ffd900 '''[[국제연합|{{{#ffd900 국제연합}}}]] 가입'''}}} ||1961년 10월 24일 || ||<bgcolor=#da2032> {{{#ffd900 '''무비자 입국'''}}} ||한국인 : 90일[br]몽골인 : 비자 필요 || ||<bgcolor=#da2032> {{{#ffd900 '''주한몽골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95 || ||<bgcolor=#da2032> {{{#ffd900 '''주부산몽골총영사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99 벽산e센텀클래스원빌딩 14층 1410호 ||}}}}}}}}} || ||<-3><bgcolor=#0066b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3><bgcolor=#ffffff,#1c1d1f> '''.mn''' || ||<-3><bgcolor=#0066b3> {{{#ffffff '''국가 코드'''}}} || ||<-3><bgcolor=#ffffff,#1c1d1f> '''496, MNG, MN''' || ||<-3><bgcolor=#0066b3>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3><bgcolor=#ffffff,#1c1d1f> '''+976''' || ||<-3><bgcolor=#0066b3> {{{#ffffff '''여행 경보'''}}} || ||<bgcolor=#026ABF><width=30%> '''{{{#white 여행유의}}}''' ||<-2>'''전 지역''' || ||<tablewidth=390><tablebordercolor=#0066b3><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66b3> '''{{{#FFF 위치}}}''' || || [[파일:몽골 위치.svg|width=100%]] || ||<nopad> [include(틀:지도, 장소=몽골, 너비=100%, 높이=100%)] || ||<bgcolor=#da2032>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 [[몽골고원]]의 북쪽에 있는 [[공화국]]. [[수도(행정구역)|수도]]는 [[울란바토르]][* 울란바토르 울란바타르 둘 다 맞다.](Улаанбаатар, Ulaanbaatar). == 국가 상징 == === 국호 === ||<tablewidth=400><tablealign=left><bgcolor=#919191,#000000> '''【언어별 명칭】'''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width=30%><colbgcolor=#dcdcdc,#1c1d1f> [[한국어]] || 몽골국(몽골) || || [[중국어]] || [[蒙]][[古]][[國|国]]([[蒙]][[古]]) || || [[일본어]] || モンゴル[ruby(国, ruby=こく)](モンゴル) || || [[영어]] || Mongolian State(Mongolia) || || [[러시아어]] || Монголия || || [[프랑스어]] || Mongolie || || [[스페인어]] || Mongolia || || [[독일어]] || Mongolischer Staat(Mongolei) || || [[포르투갈어]] || Mongólia || || [[이탈리아어]] || Mongolia || || [[루마니아어]] || Mongolia || || [[아랍어]] || مُنْغُولِيَا(monḡōliyā) || || [[힌디어]] || मंगोलिया(maṅgoliyā) || || [[만주어]] || ᠮᠣᠩᡤᠣ(monggo) || || [[튀르키예어]] || Moğolistan ||}}}}}}}}} || 정식 [[국명]]은 몽골어 [[키릴 문자]] 표기로는 Монгол Улс(Mongol Uls), [[몽골 문자]] 표기로는 ᠮᠤᠩᠭᠤᠯ ᠤᠯᠤᠰ(mongɣul ulus)이며 이는 '몽골국(國)'이라는 의미이다. 몽골이라는 국명은 물론 [[몽골인]]의 민족명에서 유래하며 그 어원은 분명하지 않다. 몽골은 상고한어로 말을 탄다는 뜻이고 한서에 있다. 몽골인이 나타나기 이전부터 몽골 지역을 휩쓴 튀르크인의 튀르크의 의미가 "용감한"이라서 몽골 또한 "용감한"으로 추측할 뿐이지 문헌적으로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당시 몽골과 튀르크는 교류가 없었고 튀르크의 어원은 확인되지 않는다. 중국의 역사학자 겸 교육자 신역건(信力建, 1951~)에 의하면 몽골의 기원은 "말갈" 이며 "말갈"의 중고한자 발음 자체가 몽골과 비슷하다. 살았던 지역 또한 몽골 동부, 만주 지역으로 같다. 몽골인은 중국 북서쪽에서 페르시아까지 거주한다. 몽골은 사서 [[원조비사]]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실위의 부족 중 하나인 몽올(蒙兀)이라는 명칭으로 나타난다. 이때는 [[아무르 강]] 상류(아르군 강 하반)의 지대에 있었던 약소국 부족 중 하나였을 뿐이었다. [[북송]] 시절부터 강성해지며 이 때부터 중국에서는 몽고(蒙古)란 명칭으로 불렀다. 몽골이 가장 잘나갔던 [[원나라]] 시절 공식 문서에도 몽골을 한문으로 표기할 일이 있으면 [[중국인]]만 아니라 [[몽골인]]도 '몽고'라는 표기를 썼으며 오늘날 중국에서도 몽골을 이렇게 표기한다. 그러나 '몽(蒙)' 자가 어리석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다만 '고(古) 자'와 달리 현재도 몽골을 한자로 약칭할 때 사용되고 있다.] '고(古)' 자도 낡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몽골인들은 이 표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비록 단순한 음차에 불과하지만 중국에서 이민족이니까 일부러 안 좋은 뜻의 글자를 썼다고 받아들이기도 한다.[* 다만 같은 한자인 [[주몽]] 문서를 보더라도 공연한 트집이기도 하다.] 애당초 한족들이 이런 식으로 이민족의 호칭을 정한 게 한두 번도 아니고. 한국에서도 전통적으로 '몽고'라고 해 왔지만, [[1991년]]에 외래어 심의를 통해 '몽골'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91100209202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9-11&officeId=00020&pageNo=2&printNo=21589&publishType=00020|표준으로 올렸으며]] 이후 현대의 몽골(나라이든 민족이든)은 대부분 '몽골'로 표기한다. 하지만 예전부터 워낙 몽고라고 많이 써 왔기 때문에 [[몽고 제국]], [[몽고반점]][* 이 단어만 현재에도 몽골이 아닌 몽고라고 쓴다.] 등 역사적 의미로서의 '몽골'은 지금도 몽고라고 많이 표기하는데, '몽고'에 비하적 의미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차츰 역사적 의미로도 몽골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일례로 2007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이전까지 몽고 제국이라 표현했던 것을 [[몽골 제국]]으로 수정했다. === 국기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6b3><nopad> [[파일:몽골 국기.svg|width=100%]] || ||<-2> 몽골의 [[국기]]. [[빨강]]-[[파랑]]-[[빨강]]의 [[깃발]] [[왼쪽]]의 몽골의 [[상징]]인 [[소욤보]] 문양이 들어가 있다. || ||<width=50%>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width=100%]] || || 1911년부터 1924년까지 사용된 [[복드 칸국]]의 국기. 소욤보 문양은 이때도 쓰였다. || 1924년 몽골인민공화국 수립 직후부터 1940년까지 사용한 국기. || ||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비공식 국기(1930–1940).svg|width=100%]]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1930년대에 널리 사용된 '''비공식''' 국기.[* 당시의 정식 국기는 위의 프릴이 달려 있는 인민공화국 수립 초기의 국기다.] 이때부터 빨강-파랑-빨강의 체계가 갖추어 졌지만 이때는 가로로 되어 있었다.[* 비공식적인 깃발이었기 때문에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사용한 국기(아래)에는 이 요소가 채택되지 않았다.[br][[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40–1945).svg|width=100]]] || 1945년 7월부터 1992년까지 쓰인 [[몽골 인민공화국]]의 국기. 지금의 국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다른 점은 소욤보 문장 위에 별이 있다는 것과 가운데 파란색의 색상이 밝다는 것. || 국기 역사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width=200]] 1911년 12월 29일 ~ 1924년 11월 26일 (복드 칸국)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width=200]] 1924년 11월 26일 ~ 1940년 7월 30일 (몽골 인민 공화국)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40–1945).svg|width=200]] 1940년 7월 30일 ~ 1945년 7월 10일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00]] 1945년 7월 10일 ~ 1992년 1월 12일 [[파일:몽골 국기(1992-2011).png|width=200]] 1992년 1월 12일 ~ 2011년 7월 8일 (몽골국)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0]] 2011년 7월 8일 ~ (몽골국) === [[몽골/국장|국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국장)] === [[몽골 국가|국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 국화 === ||<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66b3><bgcolor=#0066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ffd900 국화}}}'''}}} || ||<nopad> [[파일:Scabiosa_Mongolia.jpg|width=100%]] || ||<bgcolor=#fff> [[솔체꽃]] || Scabiosa comosa. 산토끼꽃과 솔체꽃속에 속하며 원산지가 한국인 국내 토종꽃이다. === 국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헨다손매)] ||<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66b3><bgcolor=#0066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ffd900 국조}}}'''}}} || ||<nopad> [[파일:Palcon_Mongolia.jpg|width=100%]] || ||<bgcolor=#fff> [[헨다손매]] || Saker Falcon. 몽골인들은 '''Шонхор([[숑호르]])'''라고 부른다.[* 여기서 [[송골매]]가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몽골 [[유목민]]과 매 사냥은 아주 깊은 관계에 있어 왔으며, 국가 상징물인 만큼 몽골인이 매를 다루는 것은 매우 흔한 광경이다. === 국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야생말)] ||<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66b3><bgcolor=#0066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ffd900 국수}}}'''}}} || ||<nopad> [[파일:Przewalski's Horse_bolero0.png|width=100%]] || ||<bgcolor=#fff> [[몽골야생말]] || Przewalski's horse. 몽골인들은 이 말을 '''Тахь([[태흐]])'''라고 부르는데, 1969년 야생에서 멸종했다가 인간의 노력으로 개체수가 겨우 복원되어 현재 2000여 마리가 살고 있는 [[멸종 위기 동물]]이다. 역사적으로 몽골과 말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며, 국장에도 말이 그려져 있을 정도로 몽골의 전통적인 상징물로 여겨진다. == 자연 == === 지리 === ||<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66b3><bgcolor=#0066b3><nopad> [[파일:external/premium.britannica.co.kr/omongol001m4.jpg|width=100%]] || 동아시아 북부 내륙에 있으며, 동서로 긴 타원형 국토를 갖고 있다. 국토가 상당히 큰데, 면적 약 156만 4천m²로 세계 18위이며 한반도 면적의 7배 되는 크기이다.[* 대한민국 면적만으로 치면 15.6배 가량 크다.] 다만 이웃 국가들이 국토 크기로 어디 가서 꿀리지 않는 [[러시아]]와 [[중국]]이라 이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는 작다. [[내륙국]][*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다.]이다. 바다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서 건조하고 일교차와 연교차가 큰 극단적인 대륙성 기후를 띤다. 또한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서 한랭하다. 최고봉 후이텡 봉은 4,374m에 달하며 최저점도 518m로, 국토 평균 고도는 1,580m. 수도 [[울란바토르]]도 해발 1,350m에 위치해 있다. 지형은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다. 서쪽 끝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과의 접경지역[* 정확히는 두 국가 사이의 아주 작은 틈]에 매우 높은 [[알타이]] 산맥이 존재하며, 중부에는 비교적 낮은 항가이 산맥이 존재한다. 그보다 더 동쪽엔 항가이 산맥보다 낮은 헹티 산맥이 있다.[[http://www.mapsofworld.com/physical-map/mongolia.html|참고]] 남동부는 낮고 평평하지만 거의 전 지역이 [[사막]]으로 덮여 있는데 그 유명한 [[고비 사막]]이다. 사막 외곽엔 초원이 있으며 북부 지역엔 시베리아 비슷한 타이가 숲지대도 있다. 큰 [[호수]]도 몇 군데 있다. 서북부 옵스 호(Увс нуур)는 염호로 [[제주도]] 2배 크기 정도이며 몽골에서 가장 크다. 옵스 호보다 약간 작은 [[훕스굴 호]](Хөвсгөл нуур)는 몽골에서 담수량이 가장 많다. 1990년대 이래로 [[사막화]]가 진행해 고심한다. 이에 몽골은 유엔총회에서 2030년까지 10억그루의 나무 심기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과 경계쪽에 있는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9D%B4%EB%A5%B4%ED%98%B8|부이르호]]도 있다. 또한 [[https://v.daum.net/v/20060607114112671|2000년대]] 부터 [[https://naver.me/FafviCah|대한민국]]과 손을 잡고 [[https://naver.me/xAFYENml|툴 강유역]]에 댐 건설을 통한 대대적인 수자원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위도는 대략 북위 41° 35'에서 52° 10' 사이로 같은 위도대에 정확히 '''[[프랑스]]'''가 있다. 기후의 차이를 생각하면 놀라운 수준. === 토지이용 === 몽골의 토지이용은 주로 기후에 의해서 좌우된다. 건조한 남서부는 사막으로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 지역의 대부분은 스텝지역으로 북쪽으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한다. 몽골의 토지법에서 정한 바의 분류에 따르면, 국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농·목축지(72.9%)이고, 16.7%가 특수 필요에 의한 토지, 9.1%가 수목 자원이 있는 토지, 0.6%가 도시, 마을 및 여타 정착촌, 0.4%가 수자원이 있는 토지, 0.3%가 도로 및 기반시설이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에 몽골은 [[소련]]식 모델을 답습해 전국에 '[[집단농장]]'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고정된 지역에서 오축(五畜, [[양]], [[소]], [[말]], [[염소]], [[낙타]])을 사육하는 한편 사람들은 맹목적으로 오축의 수를 늘려갔다. 1970년에 이르러 몽골에서 사육한 오축의 수는 2257.4만 마리로 늘어났고, 집단농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를 초과하여 이로 인해 토지 황폐화가 시작되었다.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당수의 몽골인은 전통적인 유목민으로 돌아가기 시작하였는데, 1990년 14.75만 명이었던 유목민의 수는 이듬해 24.5만 명, 1992년에는 33.01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유목민의 증가는 오축 사육의 증가로 이어졌고, 1990년 약 2585만 마리였던 오축의 수가 2020년에는 약 6707만 마리로 30년 만에 2.6배 정도 증가하였다. 오축을 제외하고도 몽골에서는 돼지 2.45만 마리와 가금류 27.85만 마리도 사육한다. [[목초지]]의 면적은 1964년에 비해 10.1만 ㎢이 감소하였다. 몽골의 중부와 중북부를 중심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전 국토의 0.25%에서는 농작물을 0.34%에서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농작물]]의 재배를 통해 2020년도에는 [[곡물]] 43.03만 톤, [[감자]] 24.43만 톤, [[사료]] 18.21만 톤, [[채소]] 12.12만 톤이 수확되었다. 몽골의 생태 지역은 위도에 따라 구분되며 남쪽부터 사막, (반)사막-스텝, 스텝, 산림 스텝으로 구분된다. 스텝은 여러 초본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사막화가 확산하면서 반사막이 사막이 되고, 스텝이 반사막이 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북부에는 주로 침엽수림이 발달하는데 시베리아의 침엽수림 지대인 타이가(Taiga)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스텝과 타이가 사이에는 이 둘의 특성이 모두 나타나는 식생 지대도 존재한다. 고산 지대의 수목한계선 위로 올라가면 다시 초원이 나타나고, 그보다 높은 고도에서는 주빙하 또는 빙하기후가 나타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다소 거친 환경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구밀도와 다양한 기후대 지역과 점이지대의 영향으로 몽골에는 다양한 동식물 종이 나타나는 생물종다양성의 보고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몽골에는 중생대 지층이 많이 분포하여 공룡 화석 등의 고화석이 많이 발견되어 중생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기후 === {{{#!wiki style="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파일:CIT Mongolia.png|width=75%]]}}} ||<rowbgcolor=#272931><width=25%><nopad> [[파일:Dwc ErdenetKOR.png|width=100%]] ||<width=25%><nopad> [[파일:BSk KhovdKOR.png|width=100%]] ||<width=25%><nopad> [[파일:Dwc UlaanbaatarKOR.png|width=100%]] ||<width=25%><nopad> [[파일:BWk DalanzadgadKOR.png|width=100%]] || ||<rowbgcolor=#272931><rowcolor=#ffffff> 몽골 [[에르데네트]]의 기후 그래프 || 몽골 허브드의 기후 그래프 || 몽골 [[울란바토르]]의 기후 그래프 || 몽골 달란자드갓의 기후 그래프 || 기후는 몽골 전 지역이 차이가 있지만 내륙국에 고지대가 많다 보니 대체로 건조하고 [[연교차]]가 굉장히 크며 [[겨울]]이 매우 추운데, 서북쪽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커지고 남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진다. 몽골 서북부 올랑검은 1월(-32.1℃)과 7월(18.9℃) 평균 기온의 차이가 51℃에 이르며, 동부 처이발상도 1월(-20.5℃)과 7월(19.8℃) 기온 차이가 40℃에 달한다. 강수량은 다르항(357mm)이나 모릉(207mm) 등 북부 지방이 사잉샹드(111mm)나 달랑자드가드(126mm) 등 남부 지방보단 많은 편이다. [[열대야]]는 없지만 [[일교차]]를 고려하면 [[여름]]철 낮 최고기온은 한국과 별 차이 없거나 더 더울 수도 있다. 겨울에는 [[조드(자연재해)|조드]](ᠵᠤᠳ, зуд/Zud)라고 하는 [[혹한]]이 주기적으로 찾아와 큰 피해를 준다. 조드가 일어날 때마다 가축들이 죽는데, [[1944년]]엔 700만 마리의 가축이 죽는 극심한 혹한이 있었다. [[2010년]]에도 서북부 옵스 지역에서 50일 동안이나 기온이 -55℃ 밑으로 떨어지는 등의 혹한으로 전국 가축의 17%인 200만 마리의 가축이 죽었고, 한때 멸종되었다가 가까스로 복원되어 이 지역에 방사되어 살고 있었던 [[몽골야생말]]도 떼죽음을 당해 [[몽골야생말 조드 피해 사건|137마리 중 89마리가 죽고 45마리만 살아남는 등 매우 큰 피해를 입었다.]] 조드 중 역대 최저 기온은 앞에 말한 우부스 지역에서 기록된 -58℃라고. 이런 혹한과 눈보라 때문에 인명피해도 발생한다고 한다. 고대로부터 몽골인들을 괴롭히던 자연재해로 '''"전사는 화살 한 발에 죽고 부자는 조드(зуд) 한 번에 망한다."'''라는 몽골 속담도 있을 정도다. 의미는 역시 자만하다 재수 없으면 한 방에 훅 가니 조심하라는 것이다. 수도인 [[울란바토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추운 수도로, [[모스크바]]보다도 춥다. 1월 평균 최저 온도가 영하 27도이며 평균이 -21.6도다. 이쯤 되면 [[이르쿠츠크]]나 [[노보시비르스크]] 같은 남시베리아보다도 추운 수준이다. 실제로 나라 자체가 [[시베리아]] 남쪽에 바로 붙어 있고 수도도 [[시베리아]]에서 가깝다. 그래도, 울란바토르가 몽골의 수도로 지정된 것은 그나마 상대적으로 춥지 않은 지역이기 때문이다. [[https://en.m.wikipedia.org/wiki/Tosontsengel,_Zavkhan|훕스굴 주 터성쳉겔(Тосонцэнгэл)]]이란 곳에서 2001년 12월 19일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압이 기록되기도 했다. 1,085.6hPa.[* 이는 환산하면 1.071기압, 15.7psi, 814.2mmHg, 11074mmH2O에 해당한다.] === 생물 === [[고생물]]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땅만 파면 [[공룡]] [[화석]]이 나오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프로토케라톱스]]나 [[오비랍토르]], [[벨로키랍토르]], [[피나코사우루스]], [[사우로르니토이데스]], [[사이카니아]], [[타르키아]], [[테리지노사우루스]], [[타르보사우루스]], [[사우롤로푸스]], [[갈리미무스]], [[모노니쿠스]] 같은 공룡들이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 및 보고되었다. 게다가 몽골의 몇몇 지층은 [[백악기]] 때부터 [[사막]]이어서 [[사암|간단한 손도구만으로도 지층이 쉽게 제거]]된다. 대신 그 유명한 [[타르보사우루스]]가 산출된 [[백악기]] 지층인 네메그토 지층은 예외적으로 사막 지층이 아니라 범람원 지층이었다. [[공룡]] 이외에도 [[히아에노돈]]이나 [[엔텔로돈]], [[곰포테리움]], [[파라케라테리움]] 같은 흐산다골 지층의 [[신생대]] [[포유류]]의 화석도 꽤 유명한 편이다. 또한 몽골의 동물 화석들은 갓 죽은 동물 뼈처럼 하얀색을 띠고 있어서 이들의 유해가 [[그리폰]]과 같은 중앙아시아 신화 속 환상종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몽골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대륙에 중심으로 사는 종이며 [[마못]]이나 [[땅다람쥐]] 등 [[설치목]]과 [[토끼목]] 동물이 많다. 초원에는 [[갑상선가젤]], [[사이가|사이가영양]] 등 우제류도 여럿 서식하며, [[몽골야생말]][* 밀렵, 포획, 전쟁,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1969년에 야생에서 멸종되었으나, 그나마 유럽 동물원에 남아있던 개체들로 번식 프로젝트를 시행해 개체수를 늘린 후 몽골에 다시 방생하였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2000여 마리가 살고 있으나 여전히 멸종위기종이다. 현재까지도 동물원을 통해 번식 후 몽골 현지에 재도입시키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다.]과 [[몽골야생당나귀]]도 서식한다. 털이 길고 혹이 2개인 [[쌍봉낙타]]도 많이 사는데, 중동의 [[단봉낙타]]가 야생은 거의 없고 대부분 사람이 키우는 개체만 남은 것과 달리 쌍봉낙타는 야생에도 존재한다.[* 그러나 그마저도 개체수가 1천 마리가 채 안된다.] 맹수로는 주로 [[늑대]]가 많은데 약 1만 마리 수준이다. 그 밖에 [[눈표범]]이나 [[고비불곰]], [[붉은여우]]도 존재한다. 조류로는 [[검독수리]], [[독수리]], [[재두루미]], [[쇠재두루미]] 등이 서식하며, 한국이나 인도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들이 번식을 위해 찾아오기도 한다. 내륙국인 탓에 몽골에 자생하는 어류는 생소할 수도 있겠지만 [[타이멘]]이라고 상당한 사이즈를 자랑하는 초대형연어가 살고 있다. === 몽골 재해 및 환경문제 === 몽골의 가장 큰 환경문제는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 문제이다. 2020년을 기준으로 몽골 국토 면적의 약 3.5%에 달하는 토지가 황폐화되었고, 황폐화된 토지의 94.5%는 목초지 및 기타 초원 지역에 해당한다. 토지 황폐화 문제는 [[지구온난화]]를 비롯해 목축민이 같은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하는 등의 인적 요인, [[해충]]과 [[설치류]]의 증가, 수용 가능한 [[가축]] 규모의 초과, 염소 사육의 급격한 증가, 복원 사업이 없는 채굴 문제, 화재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산림 비율의 감소 등과 같은 복잡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는 [[목축업]]이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몽골의 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몽골과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 발원하여 [[동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황사와 같은 먼지 폭풍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당사국과 피해국을 중심으로 몽골과 중국 북서부 일대에 대한 환경복원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조림 중심의 환경복원이 지하수 등 수자원 고갈을 가속화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토양 염류화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몽골은 유라시아판에 속해 있는데 인도와 유라시아 사이 지각판의 충돌로 인한 변형으로 잦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첫 9개월 동안 수도인 울란바토르와 그 주변에서만 754차례의 지진이 발생하였고, 2021년 1월 12일 헙스걸(Khuvsgul) 지역에서는 진도 6.8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강도 높은 지진의 횟수도 늘고 있다. 1㎢당 2.1명이라는 낮은 인구밀도와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제외하면 고층 건물이 거의 없는 몽골이기 때문에 아직 지진으로 인한 규모의 피해가 크지 않다. 그러나 지진 발생 횟수의 증가는 결국 몽골인의 삶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몽골은 과중한 인구와 밀접한 [[산업]]시설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수도 [[울란바토르]]의 대기오염 문제를 비롯한 토양의 중금속 오염, 식수 오염 등 크고 작은 환경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몽골 정부와 국제사회에서는 몽골의 크고 작은 환경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함께 대책을 수립해나가고 있다. 또한 몽골은 기후 변동성이 크므로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있어 다른 지역보다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몽골의 건조한 겨울철에 찾아오는 눈 폭풍이 불어닥치거나, 과냉각 비가 내리거나, 갑작스러운 한파가 발생하는 조드(zud)와 같은 기상 재해의 발생이 빈번해 지고 있으며, 조드는 앞으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는 몽골의 건조화를 가속하여 몽골의 사막화를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몽골은 최근 급격하게 증가한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및 수질오염 문제 역시 심각하다.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선 추운 겨울철 난방을 위해 석탄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때 유연탄이 많이 사용되다 보니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무연탄을 사용해 왔는데, 이것은 [[한반도]]가 전 세계적으로 유별나게 무연탄이 많이 산출되는 동네라 그렇다. (유연탄은 한반도에서 나지 않는다.) 무연탄이 더 비싸고, 비싼 만큼(?) 가정용으로는 더 적합하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 수가 급격하게 증가했는데 중고차의 비중이 높다 보니 역시 대기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2000년대 초까지 대부분의 차량과 난방 기구는 오염방지기준이나 에너지효율 기준을 충족하지 않았다. 몽골은 [[석유]], [[석탄]], [[구리]],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다양한 지하자원을 기반으로 광산업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수질 및 토양오염 문제도 주요한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몽골/행정구역|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행정구역)] == [[몽골/역사|역사]] == [include(틀:몽골의 역사)] [[몽골 제국]]의 역사를 제외하면 부족끼리 대립하는 역사였다. [[청나라]]로부터 독립한 뒤 [[복드 칸]]을 옹립했고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가 몽골에 들어와 남은 중국 세력을 몰아냈으며, 이를 격퇴한 [[담딘 수흐바타르]]의 지도로 독립 및 공산화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식민지급 간섭기를 거치고 소련의 위성국으로 전락하여 [[허를러깅 처이발상]] 등 비롯한 친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지배가 한동안 계속된 이후에야 민주화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역사)] == [[몽골/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정치)] == [[몽골군|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군)] == [[몽골/경제|경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경제)] == 사회 == [[휴대 전화]] 보급률이 대단히 높으며 이미 2000년대에 휴대전화가 주된 통신수단이 되었다. 인구에 비해 국토가 워낙 넓기 때문에 위성전화를 쓴다. 대신 공업기술과 생산력이 부족해서 거의 수입에 의존한다. 그 넓은 국토 전역에서 최소 전화는 다 터진다. 초원 한가운데에서도 3G/최소 2G는 터지는편. 몽골에서 [[몽골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지만[* [[https://www.thetimes.co.uk/article/mongolia-abandons-soviet-past-by-restoring-alphabet-rsvcgqmxd|허나 2020년에 2025년까지 몽골 문자로 완전히 전환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불편하다 보니 핸드폰으로 문자나 페이스북 등을 이용할 때는 그냥 로마자로 쓴다. 유목민들은 발전기나 무전기를 이따끔식 사용하곤 한다. 장거리 운전시에도 차량간 연락을 무전기로 한다. 사실 인구밀도도 낮은데, 통신마저 끊긴다면 당연히 바로 고립되니 통신에 더욱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유목민들은 어린 시절부터 말을 타기 때문에 말을 잘 모는 편이다. 어린이들도 [[등자]]나 [[안장]] 없이 말을 타고 다닐 수 있는 편이다. (어디까지나 유목민 한정) 그러나 이들도 좀 되는 거리를 이동할 땐 차량과 오토바이 타고다니며 트럭에 해체한 게르와 말들을 싣고 다니는 게 압권이다. 몽골은 비엔나 협약국으로 제네바 협약국에서 발급되는 [[국제운전면허증]]으로 운전이 불가능하다. (한국은 제네바 협약국이므로) 몽골 면허를 취득해야만 한다.[* 사실 수도 울란바토르 주변으로 나오면 도로 사정이 처참한데다 초원에 자연적으로 난 길을 달리는 경우도 많아서, 나름 운전 좀 했다는 사람들도 운전할 엄두를 못 내는게 대부분이다.] [[휴일]]이 적은 것으로 유명하다. 공휴일은 음력설과 나담축제 연휴를 포함해서 17일 쉰다. 몽골에 휴일이 없는 달은 [[4월]], [[5월]], [[8월]], [[9월]], [[10월]]로 5개나 되며 [[2월]]은 해에 따라 다르다. 대체휴일제는 없다. === [[몽골/언어|언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언어)] [[몽골어]]가 공용어이다. 몽골 서부의 [[카자흐족]]들은 [[카자흐어]]만 사용해서 상당수가 몽골어를 모른다. 또한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족은 자신들을 몽골인이라고 칭함에도 중국어를 대다수가 사용하며, 몽골어는 문법이나 발음을 틀리는 사람들이 꽤 된다고 한다. 옛날엔 [[구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어]]'''가 주요 외국어였다. 몽골어가 [[키릴 문자]]를 쓰고 구소련의 영향을 받아 공산국가가 된 점도 크다. 그러다 소련 붕괴 이후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등 주요국가의 언어도 배우는 사람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2007년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몽골을 방문한 이후, 러시아어도 학교에선 필수 외국어로 지정되었다. [[몽골]]에서는 비공식 [[문자]]로 로마자 [[알파벳]]을 [[몽골어]] [[발음]]대로 써서 쓴다. 러시아와 중국으로 일하러 가는 사람도 많기도 하지만 한국이 임금수준이 중국과 러시아에 비해 배는 더 높기 때문에[* 일본은 기술실습생 제도의 맹점 때문에 최저임금보다 못 받는 일이 한국보다 훨씬 많아 외노자 평균 임금수준이 한국보다 많이 낮은 편이다.] [[외국인 노동자]]로 일하다 온 사람이 많고, 중국어와 러시아어에 비해 한국어가 어순과 문법이 비슷하여 배우기 쉬운지라 유학생들도 많으며[* 특히 [[몽골인]] 유학생이 타 국적 유학생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인]], [[베트남인]] 유학생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한다. 외모도 한국인과 유사하여, 한국인 학생들조차 이름을 알기 전까지는 몽골인 유학생을 한국인이라고 착각하는 일도 부지기수.] 몽골 여행을 가면 한국어를 하는 현지인을 쉽게 만날 수 있다. 몽골 자체가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고, 한국드라마와 한국 예능프로그램, 한국영화도 인구대비 과도한 방송국의 숫자 및 더빙 인력 부족으로 자막으로 자주 송출해서 방송하기에 한국어를 접하기 쉬운 환경이기도 하다. 애초에 [[영어]]권과 별로 인연이 없는 지역이었기에, 영어 통역보다 한국어 통역을 구하기가 더 쉬울 때도 많을 정도다. === 인구 === 세계적으로 영토는 방대한데 [[인구]]가 너무 적은 사례로 언급된다. 남한 면적의 15배가 넘는 넓은 나라임에도 인구가 대략 351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부산광역시]]와 비슷한 인구다.[* 여담으로 "아주 넓은 땅을 가진 대국이면서도 인구가 적은 몽골도 있는데, [[이스라엘]]이 [[인구]]가 적지만 [[시나이 반도]]를 가지지 못 할 이유가 있느냐"라면서 1970년대 말에 이스라엘 극우들이나 [[하레디]], 강경파 군부 지도자들이 몽골을 예로 들며 중동전쟁에서 이집트로부터 강탈한 시나이 반도의 영유권을 유지하자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물론 이런 예를 들며 결사반대했지만, 결국 당시 이스라엘의 메나헴 베긴 총리는 시나이 반도를 [[1982년]] [[이집트]]에게 반환했다.] 이 340만 인구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1960년에는 그 광대한 면적에 인구가 고작 '''97만 7600명'''밖에 되지 않았다![* 1제곱킬로미터당 '''0.6명'''만 살았다는 뜻이다.] 몽골의 [[인구 밀도]]를 [[대한민국]]에 적용하자면, 남한 땅 전체에 인구가 21만 명 정도[* 대략 [[충주시]]만 한 인구이다.]이거나, 남한 인구에 면적이 2376만 km²[* [[러시아]]의 1.4배이다.]인 것과 동일한 밀도이다. 1km^^2^^당 2.07명[* 대한민국 기초자치단체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영양군]]이 19명/km^^2^^로 몽골의 9배가 넘는다. 영양군 내에서조차 깡촌인 수비면마저도 7.5명/km^^2^^이니 몽골의 인구 밀도는 수비면의 30%도 안 된다.는 것이다.]이란 인구 밀도로 '''독립국가로서는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이다.[* 몽골보다 더한 사례로는 [[포클랜드 제도]], [[그린란드]]를 들 수 있으나, 포클랜드는 [[영국]]의 속령이고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자치령이라 독립국이 아니다. 참고로 2위는 나미브 사막을 끼고 있는 [[나미비아]].]([[국가별 인구 밀도 순위]] 문서 참고) 참고로 몽골의 가축의 수는 도합 7500만 마리가 넘는다. 그리고 몽골 내에서 사는 몽골인보다 내몽골(중국 자치구)에서 사는 몽골인(중국 국적)이 훨씬 많다. 내몽골에 사는 몽골인은 500만 명을 넘는 정도다. 사실 최고 전성기인 몽골 제국 시절에도 몽골인 인구는 굉장히 적었는데, [[원나라]] 시절 몽골인은 지배 계급이면서도 전체 인구의 1.5%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한족의 반란을 우려해서 부엌칼도 10가구당 1자루만 허락하는 등 가혹한 억압을 시행해야 했다. 1990년대 초반이래로 출산율이 한 동안 격감해서 2003년과 2004년에는 출산율이 인구대체선 밑으로 떨어지기는 했지만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출산율이 반등하는데 성공하여 한중일 및 북한, 대만, 홍콩 및 마카오를 비롯한 타 동북아권 국가와 러시아에 비하면 유소년 인구비율이 훨씬 높고, 인구증가율 자체는 연 1% 중후반대로 안정적인 수준을 기록하게 되었다. 특히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합계출산율 3명대 초반이라는 타 동북아권 인구기관에서 부러워할 꿈의 수치까지도 나왔을 정도이고 2020년대 와서도 합계출산율이 2명대 후반으로 한국과 중국의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내지 일본의 1950년대 초중반 정도 출산율이다. 2022년 현재 345만 명인데 2032년에 400만 명이 넘으리라 예상한다. [[몽골인]] 중에는 몽골족이 주류지만 서쪽엔 [[카자흐족]]이 많이 산다. 몽골 서부 바잉을기 아이막은 주민의 90% 이상이 카자흐족이다. 그 외에도 [[투바인]], [[어웡키족]], [[러시아인]], [[중국인]]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http://icom.kr/hGZsj|#]] [[수도권]] 인구 집중이 굉장히 심하다. 수도 인구가 전 인구의 2분의 1이다. 최대도시 [[울란바토르]]는 인구가 150만 명에 가까운데, 제2도시 [[에르데네트]]의 인구는 고작 10만 명이다. 나머지 지방도시들은 1만~2만 명이면 큰 편이다. 한국이었다면 울란바토르는 [[광역시]] 정도 인구는 되는 정도로, 한국에 있었어도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정도 대도시 중 하나 정도는 되겠지만, 제2도시 에르데네트의 10만 명은 한국에서는 간신히 [[시(행정구역)|시]] 취급을 받을 수준이다. 게다가 몽골의 모든 기간시설이 울란바토르에 집중되었지만, 개발할 땅 대비 사회기반시설은 매우 부족하다 보니 백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감당하기에는 여러모로 굉장히 버겁다. 시내에는 도시로서 필요한 건 전부 갖추지만, 시내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바로 [[게르]]촌이다. 울란바토르 안에도 게르촌이 있다. 시내 게르촌은 어느 정도 공급이 되지만, 시외에는 수도나 배관, 난방시설도 없어서 물을 길어 쓰고 추우면 난로에 타이어라도 때서 쓴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매연이 엄청나다. 이들 도시 거주 인구는 사실상 한국 등 이웃 국가들의 도시 거주민과 별다를 것 없는 생활을 한다. 한국 사람이 흔히 몽골 하면 떠올리는 게르(천막)에서 자고 말 타는 사람들의 수는 상당하지만 적어도 몽골 사람의 절반은 그렇지 않다는 얘기다. 게르에 사는 사람 자체는 많지만 울란바토르 외곽의 게르촌은 주택이 없는 사람들이 전통적인 천막을 지어놓고 살고 있을 뿐이고, 작은 동물들을 길러서 먹거나 파는 것까지는 흔하다 해도 작정하고 양과 말을 수십 마리씩 길러대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한국 대도시에도 있었던 [[해방촌]]과 비슷한 상황이다. 한국도 1980년대쯤 되면 겉은 슬레이트 지붕이지만 안에는 TV와 냉장고가 있는 생활을 하는 집들도 많았다. 그리고 이들 중에 잘 사는 사람은 딱지를 얻어 신도시 아파트로 이사를 갔고 못 사는 사람은 대도시 외곽으로 더 밀려났다. 그러다 보니 몽골 국영TV에서는 한국의 "6시 내고향"처럼 몽골 초원의 전통적 생활을 조명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기를 얻고, 젊은 몽골 시청자들은 이를 우리나라 사람이 사극이나 민속촌을 들여다 보듯 나름 신기하게 여긴다고. 참고로 [[김수용(코미디언)|김수용]]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갓 잡은 말의 [[고환]]을 먹었다.(!) 여담으로 몽골인들은 대체로 시력이 좋은 편이다. 시력이 나안(裸眼)으로 1.0 이상인 사람이 대다수고, 국내에서 시력 좋다고 소문나는 수준인 2.0 이상도 흔한 편이다. 그도 그럴것이 울란바토르만 벗어나도 건물이 거의 없는 탁 트인 대평원이 나오기 때문이다.[* 현대인 기준에선 놀랄 만한 사실이지만 야생 상태, 즉 구석기 시대 당시의 인간의 시력은 독수리와 비슷한 5.0을 넘나들었다고 한다. 인간 종이 가진 시력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환경이 몽골과 같은 환경인 것이다.] || [youtube(k5gAhDds5Y8, width=640, height=380)] || || [[EBS]] 다큐, [[인류 원형 탐험]] - 봄, 샤먼의 초원 다르하드족(Darkhad) || === 교육 === [[소련]]이 존재하던 시기에 몽골에서는 소련의 막대한 지원에 따라 국토 전역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몽골 특유의 [[유목]]생활로 인해 취학률은 70%를 넘지 못했고, 1990년대 중반부터는 일부 초등학교에 [[기숙사]]를 설치해서 학생들을 취학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등교육은 거점(각 주에 2 ~ 4개교)에 설치하여 기숙학교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 중에서 시험을 통해 입학생을 받는다. 몽골의 [[대학]]들은 수도인 [[울란바토르]]에만 있으며, 전부 국립대학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울란바토르에 소재한 대학에는 1942년 소련 당국에 의해 설립된 국립종합대학(National University)이 있다. 의학부, 수리과학부, 인문학부, 어문학부, 외국어문학부, 경제학부, 외무학부, 경영학부, 법학부, 사회학부, 언론정보학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국어문학부에 [[한국어학과]]가 설치되어 있고 의학부 부설 병원이 설치되어 있다. 1925년 몽골 공산정부 수립 직후 설립된 중앙사범대학(Central Education College)도 있다. 이외에도 1990년대 초반 몽골 교육부의 대학 다양화 정책에 따라 국립종합대학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국립과학기술대학(National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1950년에 별도로 설립된 과학기술대학이 있었지만, 대학 다양화 정책에 따라 국립종합대학의 이공학부를 떼어 내어 기존의 과학기술대학과 통폐합하였다. 그 밖에도 국립농경대학(National Agriculture College), 국립보건대학(Health Science University) 등이 있다. 이 국립보건대학은 국립종합대학 내의 의학부와는 별개의 학교로 기존의 1곳이던 의료 인력 양성 기관을 다양화 하기 위해 설립한 대학이다. 국립종합대학의 의학부는 말 그대로 [[의사]]만을 양성하지만, 이곳에서는 [[간호]]인력과 의료행정 인력도 함께 양성한다. 이들 대학의 입시에서 특이한 점은 중앙[[사범대학]]의 입시 성적이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대학교]] 격인 국립종합대학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졸업과 동시에 국가 [[공무원]]으로의 취직이 보장된 사범대학의 입시 성적이 그 나라의 수위(首位)대학의 입시 성적을 압도하는 현상은 과거 6.25 전쟁 직후의 [[대한민국]]도 그랬고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이나 [[투르크메니스탄]], [[케냐]], [[미얀마]] 등과 같이 경제적 사정이 열악한 국가들에서 종종 보이는 현상으로, 경제적 규모가 크지 않고 사회적으로 직업이 다양하지 않은 국가에서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자가 그 학력에 걸맞은 직장을 구하지 못해 [[실업자]]로 전락하는 상황의 하나다. 동아시아권에 대학 시스템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 대학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지 못해 양산되는 고학력실업자(룸펜)와 마찬가지. 이러한 현상에는 [[교사]]의 사회적 지위가 높은 동아시아 특유의 문화도 일정 작용하는 것 같다. 실제로 몽골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직업으로 교사가 수십 년간 1위를 독점해 오고 있다. 그래서 몽골에서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어려울 뿐더러 사범대학 지원을 해보기는 하나 극소수고, 대학을 졸업한다고 해서 미래가 보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중등학교 졸업자들은 직장을 구하거나 유목 생활을 떠도는 것이 현실이다. === [[몽골/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교통)] == [[몽골/관광|관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관광)]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9CF02><nopad> [youtube(wbd-kceg-PE)] || ||<bgcolor=#015197> {{{#fff '''몽골 여행 비디오 가이드'''}}} || == [[몽골/문화|문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문화)] [[파일:Sunset-Mongolia-Nomad-Modernization-Bogatto-Meadow-2141234.jpg]] 흔히 몽골 하면 떠오르는 [[초원]]과 전통 가옥 [[게르]] [[파일:Ulaanbaatar-city-1024x661.jpg]] 초원과는 대조적인 [[울란바토르]] 시의 모습들. 참고로 위의 2번째의 사진(가장 큰 사진)에서 맨 오른쪽에 있는 곡선을 띤 파란 건물은 몽골에서 높은 건축물들 중 하나이다. 이름은 블루 스카이로, 한국에서는 초고층이라고 하기 힘든 105m 높이. == [[몽골/외교|외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골/외교)] == 이 외 주요 몽골계 민족 거주 지역 == ===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몽골 자치구)] 청나라 때 [[청나라 치하 몽골|몽골이 점령 당했다가]] 몽골(외몽골)만 독립했기에 내몽골의 내(內) 자는 [[중국]] 입장에서 중국 안쪽의 몽골이므로 '''[[내몽골]]''' 혹은 '중국령 몽골', '남몽골'이라고 일컫는다. 중국 입장에서 이 지역과 대비해서 1번 문서의 독립국 몽골을 말할 때는 바깥 외(外) 자를 써서 '''[[외몽골]]''' 혹은 '''외몽고''' 혹은 '북몽골'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몽골인들은 '외'몽골이라 표현하는걸 불쾌히 여겨 '중몽골' 또는 '몽골국'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오늘날에 '몽골인'이란 단어는 주로 독립국인 몽골국의 국민을 뜻하며, 내몽골인은 중국 내 소수민족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몽골족" 또는 "내몽골인"으로 구분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내몽골인은 국적상 중국인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 때문에 몽골도 [[분단국가]]로 보기도 하는데, 가능성을 떠나 [[통일]]을 주장하는 세력이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사실 [[유목민족]]은 [[부족]]이 다르면 이방인이나 마찬가지라 애초에 내외몽골인들끼리도 사이가 별로 좋지 않고 역사적으로도 따로 논 기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좀 애매하다. 외몽골은 할하 몽골 및 [[오이라트]]인이 주로 살아왔고 [[내몽골자치구]]에는 [[칭기즈 칸]]의 진짜 후손인 보르지긴 혈통이 다스린 차하르부가 자리잡아 왔으며 이 차하르부가 [[원나라]]의 옥새를 가졌었다가 [[후금]]의 칸에게 넘겨 주었다. 할하, 차하르라는 부족 간의 차이는 매우 크다. [[청나라]] 때 차하르는 빨리 복속되었고 외몽골의 민족들은 끝까지 항전하였는데, 청나라는 당연히 내몽골의 차하르를 밀어주고 외몽골을 핍박하여 차하르는 다시금 내몽골에서 가장 강한 세력을 자랑하게 된다. 그리고 차하르 몽골인들은 자연스럽게 청나라의 앞잡이가 되어 외몽골 부족들을 탄압하기도 했다. 사실 외몽골인의 다수는 할하 부족 출신이거나 그에 지배받던 몽골인인데 이들은 내몽골의 차하르 몽골인은 물론 부랴티아의 부랴트 인 그리고 카자흐족, 키르기즈족, 우즈베크족, 위구르 족, 타타르 족 등과 사이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 일단 몇몇 부족은 [[이슬람교]]를 믿고 [[튀르크어족]]의 언어를 써서 몽골인과는 이질적이고 역시 감정이 서로 안 좋아 서로 차별한다.[* 물론 할하 몽골인들이 주류라 당하는 쪽이다.] [[만주족]]과 비슷한 [[어웡키족]]들도 미개인 취급을 당하는 중이다. [[주객전도|외몽골 인구보다 내몽골 인구가 더 많고 심지어 몽골족 인구도 외몽골보다 내몽골이 더 많다. 그리고 그 내몽골에는 한족 인구가 훨씬 더 많다.]] 외몽골은 전세계에서 인구 최저밀도 국가인데 내몽골은 나름 그 세계 최대 인구 깡패로 유명한 중국의 성급 행정구역이니까 어찌 생각해보면 당연한 셈. 한국으로 치자면 한반도의 남북한보다 [[중국]] [[조선족 자치주]] [[조선족]]의 인구가 더 많은데, 그 조선족의 인구보다 한족이 훨씬 더 많은 꼴이다.[* [[연변]]의 [[조선족]] 인구는 70만명 정도로, 한반도의 100분의 1도 안 된다.][* 거기다가 내몽골은 성급 행정구역인데 연변은 그보다 1단계 낮은 지급 행정구역이기도 하니 어찌 보면 연변에 더 적은 건 당연한 셈. 조금 더 비슷하게 대입하면 연변이 아니라 그 상위 행정구역인 [[지린성]] 전역에 조선족들이 몰려 사는 것이다.] 거기다 외몽골인과 내몽골인의 사이는 좋지 않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차하르 몽골족은 스스로는 [[몽골인]]인 동시에 [[중국인]]으로 인식하며, 부족부터가 내몽골과 외몽골은 다르다. 물론 자기 자신을 중국인으로 인식하는 것과 친중과는 다르다. 또한 차하르 몽골족에서도 역사적으로 몽골족 통합을 시도하려고 했던 인물이 근대에도 있었다! 비록 일본의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았지만 [[데므치그돈로브]]는 몽골민족 통합의 꿈을 위해 일본에 협력했던 것이며, 내, 외몽골과 나아가 소련령 부랴티아까지 통합하겠다고 했었다. 부족적 차이로 내, 외몽골이 적대하고 있는 것이지 자신이 몽골족임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여간 내몽골 독립 시에 과연 외몽골과 합병 할 것인가 아니면 별개의 독립국가로 독립하고 몽골과 사이 좋은 이웃나라 관계를 유지하며 다른 나라로 지낼 것인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의외로 꽤 오래 전부터 내몽골과 외몽골은 독립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기도 하기 때문. 더구나 몽골 역시 공산당이 집권할 때 귀족들을 잡아죽인 역사가 있어, 내몽골 귀족 후예들부터가 외몽골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외몽골에도 귀족들의 성씨가 있으나 이것은 몽골인들이 성씨를 복구시킬 때 몽골인들이 보르지긴처럼 귀족들 성씨를 많이 선택해서 그렇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ing_Dynasty_1820.png|width=560]][* 지도에서 조선을 Korea라고 표시했는데, 그냥 지금 말하는 '한국'의 영문 명칭 Korea를 표시한 것이지 [[고려]]라는 의미가 아니다. 저 지도는 고려시대의 지도가 아니다.] 아울러 내몽골의 몽골족이 외몽골의 몽골족과 대립하고 있는 사실이랑은 별개로 내몽골의 몽골족들도 한족들과 사이는 영 좋지 않으며 엄연히 한족과는 다른 민족성을 가지고 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5/30/2011053000185.html|#]] 중국에서는 내몽골 외에도 [[랴오닝 성]]과 [[허베이 성]], [[위구르|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중국 북부 지역 곳곳에 몽골족 자치 지역이 존재한다. === [[러시아]]의 부랴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랴티야 공화국)] [[러시아]]의 [[부랴트]]도 러시아령 몽골 내지는 부랴트 몽골, 동북 몽골이라고 불린다. [[부랴트인]]들은 [[몽골인]]의 일파로 [[칭기즈 칸]] 당시부터 존재했으며 이들의 언어인 [[부랴트어]]는 [[몽골어]]와 [[방언연속체]]를 이루는 근연 언어이다. 외몽골의 할하 몽골어 및 오이라트 몽골어, 내몽골의 차하르 몽골어와는 방언 정도의 약간의 차이가 있다(발음 및 억양 등). 많은 사람들이 깜빡하는데 [[부랴트]]도 엄연히 "몽골"에 속한다! 즉 몽골은 독립국 외몽골, 중국령 몽골인 내몽골, 러시아령 몽골인 부랴트의 3개가 있는 셈이다. 부족 간의 구분이 그대로 굳어졌다고 보면 된다. 이러다 보니 부랴트인도 몽골인과 비슷하게 민족상징으로 [[소욤보]]를 사용하며, 두 민족은 상호 통역 없이 대화도 가능하다. 부랴티야의 중심도시 [[울란우데]]에서는 몽골과 오가는 철도와 버스가 하루에도 수 편씩 다닌다. 또한 [[이르쿠츠크]]나 [[치타(러시아)|치타]]에서도 부랴트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 === 러시아의 칼미키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칼미키야 공화국)] 뜬금없게도 [[러시아]]의 [[유럽]] 지역에도 몽골계 민족인 [[칼미크인]]들이 거주하는 칼미키야 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의 칼미크인들도 몽골 계통의 민족으로 러시아의 유럽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칼미크인]]의 계통은 [[오이라트]]로, [[몽골 제국]] 시기에 이 지역으로 이주하였을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의외로 16 ~ 17세기 사이에 현 지역으로 이주한 민족이다. 몽골인들과는 부랴트인만큼 원활한 의사소통은 되지 않으나 그래도 통역없이 어느 정도는 대화가 가능하다. [[유럽]]에서는 유일하게 [[불교]] 위주의 지역이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몽골의 지원으로 [[절(불교)|절]]이 지어지는 등, 몽골도 칼미크족들을 지원하고 있다. === 러시아의 [[투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바 공화국)] [[투바]]의 주된 민족은 [[튀르크]]이지만 수세기 동안 몽골계와 문화적, 혈통적으로 오랜 관계를 맺었고, 실제 외몽골의 일부로 여겨져 그 역사를 함께했다. 1912년 [[신해혁명]] 중에 [[러시아 제국]]이 투바를 합병하면서 몽골과 결별하고 [[러시아 내전]] 중에도 되찾지 못하여 투바는 [[미승인국]]이었던 독립국 [[투바 인민공화국]]과 러시아 합병 이후 투바 자치령, 투바 ASSR 그리고 현 [[투바 공화국]]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다. 위에 소개된 [[부랴티야 공화국|부랴트]]나 [[내몽골 자치구|내몽골]]의 몽골인들보다는 비교적으로 사이가 좋다곤 하지만 [[러시아|합쳐질 가능성은]] [[블라디미르 푸틴|현재로선 0에 가깝다]]. 무엇보다 애초에 [[투바어]] 자체가 [[몽골어족]]이 아니라 [[튀르크어족]]이며, 투바 스스로도 투바를 몽골 문화권이 아니라 튀르크 문화권으로 본다.[* 유럽으로 치면 [[폴란드]]와 [[리투아니아]]가 [[폴란드-리투아니아|오랫동안 한 나라였고]] 현재까지도 양국의 문화가 매우 비슷하지만 두 나라가 다시 합쳐질 가능성이 0%인 것과 같다. 물론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의 관계는 몽골어와 투바어의 [[몽골어족|관]][[튀르크어족|계]]보다 [[인도유럽어족|더 가깝다는 걸]] 감안해야한다.] == 창작물에서 == * [[한 살이라도 어릴 때]]에서 몽골의 여행기를 다루었다. * [[RTS]] 게임 [[워존 2100]]의 세계관에서는 핵전쟁 발발 전 [[중국]]을 침공하고 [[대한민국]]과 동맹을 체결한다. [[https://warzone.atlassian.net/wiki/display/wzpedia/Draft+timeline|#]] * [[데이트 어 라이브]]에서 스토리의 시초인 30년 전에 일어난 최초의 공간진이 중국과 몽골 국경 사이에 위치한 [[초원]]에 일어나 유리시아 대륙에 위치한 여러 국가로 번져 다수의 사상자가 나오는 최악의 대참사가 일어났다.[* 애니메이션판에서 [[이츠카 시도|주인공]]의 내레이션과 같이 최초의 공간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장면이 나오는데 애니메이션 1기 1화 인트로는 [[러시아]]([[소련]])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는 도시. 애니메이션 2기 1화 인트로는 몽골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는 도시. 애니메이션 3기 1화 인트로는 [[중국]]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는 도시가 나온다.] * [[시드 마이어의 문명]] 시리즈에서는 첫 [[문명(게임)|문명]]부터 [[문명 6]]에 이르기까지 개근했다. 지도자는 전통적으로 징기스 칸이며, 문명 4와 6에서는 손자인 쿠빌라이 칸과 함께 등장했다. [[문명 5]]의 몽골은 [[문명 5/등장 문명/몽골|항목]]을, [[문명 6]]의 몽골은 [[문명 6/등장 문명/몽골|항목]]을 참고. * 2007년에 [[몽골(영화)|몽골]]이라는 제목의 [[러시아 영화]]가 개봉했다. * [[레인저스(소설)|레인저스]]에 등장하는 세력인 테무자이의 모티브다. * [[Warhammer 40,000]]에서는 [[스페이스 마린]]의 챕터 중 하나인 [[화이트 스카]]와 [[임페리얼 가드]]의 연대인 [[아틸란 러프 라이더]]의 모티브다. * [[마기(만화)|마기]]에 등장하는 민족인 황아 일족의 모티브다. * [[울트라 시리즈]]에 등장한 괴수 [[초고대괴수 고르자]]가 몽골 평원이 출산지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칼림도어]] 종족 중 [[켄타우로스(워크래프트 시리즈)|켄타우로스]]의 모티브가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 [[파이널 판타지 14]]의 플레이어블 종족인 [[아우라(파이널 판타지 14)|아우라 젤라]]의 모티브다. * [[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의 주인공 세력이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는 프로빈스가 꽤 넓은 쪽에 속하는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주가 달랑 1개밖에 되지 않는다.[* 이후 5개로 추가됨] * 김선영의 장편소설 《열흘간의 낯선바람》에서 주인공은 몽골로 떠나게 된다. * 몽골의 공포게임인 [[Fragile(몽골 게임)|Fragile]]이 몽골 도시에서 일어나는 아동 유괴사건을 다룬다. * [[서브노티카]]에서 대형 우주선인 데가시 호의 소유권을 가진 기업인 토갈 사가 몽골의 기업으로 우주 관련 기술력이 상당히 발달한 국가로 나오는 듯 하다. * 양산형 게임들중 하나인 Game of Khans(정발판 명칭은 정복자: 칸)은 [[몽골 제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칸으로 나온다. * 공룡 화석이 많이 발굴되는 장소인지라 공룡을 주제로 한 작품에선 아시아권이라면 자주 배경으로 선정된다. 대표적인 작품이 [[공룡의 땅]]이며 [[기이한 공룡탐험]]의 스타팅 무대로 등장한다. * 장태산 작가의 네이버웹툰 [[몽홀]]의 모티브이며 칭기즈 칸의 부모세대를 다루고 있다. * [[대건물주]]에서 플레이어가 사들일 수 있는 첫 국가로 나온다. * 일본 드라마 [[비방(드라마)|비방]](VIVANT)에서는 발카 공화국으로 각색되어 나온다. * [[JTBC]] 드라마 [[힘쎈여자 강남순]]에서 주인공 강남순이 부모님을 잃어버린 후 새어머니, 새아버지와 함께 사는 곳으로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몽골의 역사)] [include(틀:동아시아의 국가)] [include(틀:중앙아시아의 국가)] [include(틀:몽골계 민족)] [include(틀:유럽안보협력기구)] [include(틀:상하이 협력기구)] [include(틀:독립국가연합)] [include(틀:북대서양 조약 기구)] [include(틀:남극조약 회원국)] [include(틀:유라시아 경제 연합)] [include(틀:여행유의 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몽골, version=1680, uuid=724feb0d-1434-4ee3-a2d4-a8a3da9415bb)]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