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몽골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토지이용 === 몽골의 토지이용은 주로 기후에 의해서 좌우된다. 건조한 남서부는 사막으로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 지역의 대부분은 스텝지역으로 북쪽으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한다. 몽골의 토지법에서 정한 바의 분류에 따르면, 국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농·목축지(72.9%)이고, 16.7%가 특수 필요에 의한 토지, 9.1%가 수목 자원이 있는 토지, 0.6%가 도시, 마을 및 여타 정착촌, 0.4%가 수자원이 있는 토지, 0.3%가 도로 및 기반시설이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에 몽골은 [[소련]]식 모델을 답습해 전국에 '[[집단농장]]'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고정된 지역에서 오축(五畜, [[양]], [[소]], [[말]], [[염소]], [[낙타]])을 사육하는 한편 사람들은 맹목적으로 오축의 수를 늘려갔다. 1970년에 이르러 몽골에서 사육한 오축의 수는 2257.4만 마리로 늘어났고, 집단농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를 초과하여 이로 인해 토지 황폐화가 시작되었다.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당수의 몽골인은 전통적인 유목민으로 돌아가기 시작하였는데, 1990년 14.75만 명이었던 유목민의 수는 이듬해 24.5만 명, 1992년에는 33.01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유목민의 증가는 오축 사육의 증가로 이어졌고, 1990년 약 2585만 마리였던 오축의 수가 2020년에는 약 6707만 마리로 30년 만에 2.6배 정도 증가하였다. 오축을 제외하고도 몽골에서는 돼지 2.45만 마리와 가금류 27.85만 마리도 사육한다. [[목초지]]의 면적은 1964년에 비해 10.1만 ㎢이 감소하였다. 몽골의 중부와 중북부를 중심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전 국토의 0.25%에서는 농작물을 0.34%에서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농작물]]의 재배를 통해 2020년도에는 [[곡물]] 43.03만 톤, [[감자]] 24.43만 톤, [[사료]] 18.21만 톤, [[채소]] 12.12만 톤이 수확되었다. 몽골의 생태 지역은 위도에 따라 구분되며 남쪽부터 사막, (반)사막-스텝, 스텝, 산림 스텝으로 구분된다. 스텝은 여러 초본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사막화가 확산하면서 반사막이 사막이 되고, 스텝이 반사막이 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북부에는 주로 침엽수림이 발달하는데 시베리아의 침엽수림 지대인 타이가(Taiga)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스텝과 타이가 사이에는 이 둘의 특성이 모두 나타나는 식생 지대도 존재한다. 고산 지대의 수목한계선 위로 올라가면 다시 초원이 나타나고, 그보다 높은 고도에서는 주빙하 또는 빙하기후가 나타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다소 거친 환경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구밀도와 다양한 기후대 지역과 점이지대의 영향으로 몽골에는 다양한 동식물 종이 나타나는 생물종다양성의 보고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몽골에는 중생대 지층이 많이 분포하여 공룡 화석 등의 고화석이 많이 발견되어 중생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