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떡갈비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사 == 고구려인이 먹었다던 [[맥적]]이 문헌학적 조상이라 할 수 있으나, 실제 레시피의 측면에선 거의 관련이 없다 여겨지며, 현재 우리가 아는 떡이 함유된 떡갈비는 전남 지방이 원조인데, 흔히 [[담양군]]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광산구)|송정동]]이 유명하다. 떡갈비로는 두 곳이 워낙에 유명하기 때문에 담양이 원조인지 송정이 원조인지 논란이 많다. 담양과 송정 이외에도 각각의 지역에도 떡갈비가 있으며 그 지역마다 특색이 있기 때문에 어느 곳이 원조라고 말하긴 어렵다. 다만, 궁중에서 전해진 음식이 유배로 내려온 문인들에 의해 각 지역에 맞게 변하였기 때문에[* 카더라성 이야기에 따르면 임금님이 갈비를 손으로 들고 뜯어먹는 것이 보기가 그래서 품위 있게 갈비를 먹을 방법을 찾다가 나온 것이 떡갈비라고 한다. 그런데 이게 신빙성이 있는 것이, [[음식디미방]]을 보면, 양반가에서는 손을 써야 하는 음식은 애초에 없고, 그걸 모조리 수저로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바꿔놓은 것을 알 수 있다.] 예전부터 귀양지로 유명했던 담양에서의 떡갈비가 먼저 자리를 잡았다는 의견이 많다. 소고기만으로 만들던 담양식에 비해, [[1997년 외환 위기]]를 기점으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섞은 송정리식은 지역민들이 저렴하게 먹을수 있도록 바뀐 형태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돼지고기를 사용해 만든 떡갈비가 솔직히 더 싸고 더 맛있다 보니 지금은 돼지고기 떡갈비와 소고기 떡갈비를 분리해 팔고 있다. 떡갈비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원래 궁중에서 임금이 즐기던 궁중요리인데 갈비는 손으로 들고 뜯어야 맛이긴 하지만 양반이나 높으신 분들이 체통없이 손으로 고기를 뜯을수는 없는 노릇이었고 임금도 사람인지라 갈비맛은 봐야 했으니 달콤한 양념장을 발라 숯불에 살살 구운 갈비는 생각, 냄새만으로도 입안가득 침을 고이게 하면서 그런 맛있는 고기를 포기할리는 없었다. 그래서 어느 지혜로운 상궁이 임금께서 갈비를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갈빗살을 다져서 갈비뼈에 도톰하게 붙여 구워서 수라상에 올렸고, 떡처럼 생긴 갈비라고 하여 '떡갈비'라고 했다. 송정식 떡갈비는 1950년대 송정5일장의 '최처자'라는 인물이 친정어머니와 함께 밥집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치아가 좋지 않은 시댁 어른들을 위해 고기를 다진 뒤 양념을 해 떡갈비를 내놨다. 맛이 좋아 시댁 어른들의 극찬을 받아 밥집 메뉴로 상품화했는데, 손님들 사이에서 매우 맛있다는 평을 받아 떡갈비 집은 문전성시를 이룬다. 이후 최처자 씨는 1975년에 송정5일장에서 지금의 송정떡갈비골목으로 자리를 옮긴 뒤 영업을 계속했으나, 나이가 먹고 식당 일이 고되다는 이유로 1990년대에 영업을 그만뒀다. 현재 송정떡갈비골목에 있는 여러 떡갈비 집은 당시 고 최처자 할머니 식당에서 일한 직원들이 차린 집임을 표방하고 있다. 고 최처자 할머니의 밥집이 비빔밥을 팔던 집이었기 때문에 [[고추장]]으로 간을 맞춘 송정동 비빔밥이 떡갈비와 함께 나오는게 특징이다. 이 문서에서는 가장 많이 알려진 송정 떡갈비와 담양 떡갈비를 서술한다. 아래 두 곳 이 외에도 [[전북]] [[군산시]]와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엄밀히 말해서 이 쪽은 '언양[[불고기]]'이다. 떡갈비라는 명칭이 이젠 완전히 대명사화되어 현지에서도 떡갈비라고 하면 다 알아듣지만.] 역시 각 지역 특유의 떡갈비로 알려진 지역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