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국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아시아]] === ☆는 해당 국가의 현행권 화폐에 얼굴이 새겨진 인물. * [[중국|중화인민공화국]] * [[마오쩌둥]]☆: [[중국공산당]]의 창립 멤버였으며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한 인물. 모든 [[위안화]]의 앞면,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 초상화가 그려져 있을 정도로 [[중국 대륙]]에서는 명실상부한 국부 대접을 받는다. * [[쑨원]]: 마오쩌둥의 위상에는 못 미치지만 봉건제를 타파한 혁명 선행자로 국부에 준하는 높은 평가를 받으며 국경절, 전승절과 같은 주요 기념일 행사에는 마오쩌둥에 앞서 쑨원의 초상화가 등장한다. * [[중화민국]] * [[쑨원]]☆: 중화민국의 창립자로 명실상부한 국부. 주요 관공서마다 그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 장제스를 비롯한 역대 총통들은 정당 관계없이 모두 그의 초상화 앞에서 취임 선서를 거행했으며 지금도 하고 있다. * [[장제스]]☆: 쑨원의 사상을 계승하여 [[국민혁명|북벌]]을 감행하고 국민당을 중국의 지배 세력으로 발돋움시켰으며 [[중일전쟁|항일전쟁]]에서의 승리를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비록 공산당에 패배하여 대륙을 뺏기고 [[국부천대]]의 당사자가 되었지만 여전히 중화민국의 기틀을 닦은 인물로 평가받으며 오늘날 대만에는 그를 기리는 [[중정기념당]]이 설립되어 있다.[* 다만 그의 [[대만 독립운동|대만 독립파]] 탄압 때문에 자신을 '중화민국'의 국민으로 여기지 않는 본성인들에게서는 독재자, 외세 학살자와 같은 박한 평가를 받는다. 즉, 중화민국의 국부라고 할 수 있어도 대만의 국부는 아니다. 중화민국의 민주화를 막고 독재정치를 펼쳤다는 이유로 반감을 가지는 사람들도 있다.] * [[네팔]] * [[람 바란 야다브]] * [[동티모르]] * [[샤나나 구스망]] * [[라오스]] * [[수파누봉]] * [[까이쏜 폼위한]]☆ * [[말레이시아]] * [[툰쿠 압둘 라만]] * [[투앙쿠 압둘 라만]]☆ * [[압둘 라작]] *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 [[몽골]] * [[담딘 수흐바타르]]☆ * [[칭기즈 칸]]☆: 국부를 넘어 [[몽골족]]의 사실상 시조로 추앙받고 있다. * [[푼살마깅 오치르바트]] * [[몰디브]] * [[모하메드 아민 디디]] * [[미얀마]] * [[아웅 산]]☆: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던 [[버마]]를 독립시킨 미얀마인의 영웅으로 그 위상에 힘입어 그의 딸인 [[아웅 산 수 치]]가 미얀마의 정치인이자 민주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 [[아웅 산 수 치]] * [[바레인]] * [[아흐메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할리파]] *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 [[방글라데시]] *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다만 딸 [[셰이크 하시나]]가 시위대를 학살하고 [[몬순 혁명]]으로 실각하고 인도로 망명하면서 방글라데시 내에서 라흐만의 공적들이 부정되는 상황이 되었다. * [[베트남]] * [[호찌민]]☆: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승리하여 베트남을 외세로부터 독립시키고 [[베트남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그의 사후 통일에 기여했고 베트남에서는 명실상부한 국부 대접을 받고 있다. * [[부탄]] * [[우겐 왕축]]☆ * [[지그메 싱계 왕축]]☆ * [[북한]] * [[김일성]]--☆-- * [[김정일]] * [[브루나이]]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 [[사우디아라비아]] *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스리랑카]] * [[윌리엄 고팔라와]] * [[싱가포르]] * [[리콴유]] * [[유솝 빈 이샥]]☆: 싱가포르의 초대 대통령으로 리콴유와 함께 양대 국부로 통하지만 싱가포르는 의원내각제 국가라서 실권이 없었다보니 입지는 많이 애매한 편. 그래도 [[싱가포르 달러]]의 모든 권종 앞면을 장식하는 만큼 국부로서의 위상은 확고한 편이다. * [[토머스 스탬포드 래플스]]: 사실상 [[싱가포르]]라는 [[도시국가]]의 첫 시작이 된 인물이라서 국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 [[아랍에미리트]] *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아프가니스탄]] * [[모하마드 자히르 샤]]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오만]] * [[아흐마드 빈 사이드]] * [[카부스 빈 사이드]] - 전근대 수준이던 오만을 근대화시킨 인물. * [[요르단]] * [[압둘라 1세]]☆ * [[우즈베키스탄]] * [[이슬롬 카리모프]] * [[티무르]] * [[이라크]] * [[잘랄 탈라바니]] * [[이란|이란 이슬람 공화국]]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이란]] * [[이스마일 1세]] * [[샤흐르바누]] * [[이스라엘]] * [[하임 바이츠만]] * [[다비드 벤구리온]] * [[테오도르 헤르츨]] * [[모세]] * [[인도]]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자와할랄 네루]]: 독립운동가이자 현대 인도의 기틀을 다진 초대 총리로 간디와 함께 인도의 국부로 추앙받는다. * [[찬드라 보스]]: 네루와 달리 [[일본 제국]]에 [[적의 적은 나의 친구|협력하여]] 인도의 독립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인도에서는 그도 네루와 같은 독립운동가로서 국부에 준하는 존경을 받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도 국부 수준의 대접을 받는다. *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인도의 독립운동가임과 동시에 초대 법무부장관으로 인도 헌법의 아버지로 추앙받는다. [[불가촉천민]] 출신으로 '달리트'라는 용어를 최초로 고안해낸 사람이며 [[카스트]]의 근간이 되는 힌두교에 반발하여 불교로 개종하고 헌법 차원에서 카스트를 부정하게 하는 등 일평생을 불가촉천민의 권리를 위해 일했던 사람이기도 하다. *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 * [[인도네시아]] * [[수카르노]]☆ * [[모하맛 하타]]☆ * [[카자흐스탄]]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카타르]] * [[무함마드 빈 알사니]] * [[할리파 빈 하마드 알사니]] * [[캄보디아]] * [[소마 여왕]] * [[노로돔 시아누크]]☆ * [[쿠웨이트]] * [[사바 1세]] * [[키르기스스탄]] * [[아스카르 아카예프]] * [[타지키스탄]] * [[카하르 마흐카모프]] * [[라흐몬 나비예프]] * [[태국]] * [[람캄행]]: 태국 버전의 [[세종대왕]]. 크메르 문자를 통해 태국 문자를 만들었다. * [[투르크메니스탄]]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국부의 조건을 다 갖추긴 했으나 재임 기간 동안 벌인 각종 기행으로 인해 위상은 처참한 수준이다. * [[파키스탄]] * [[무함마드 알리 진나]]☆ * [[팔레스타인]] * [[야세르 아라파트]] * [[필리핀]] * [[호세 리잘]]☆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 [[에밀리오 아기날도]] * [[라몬 막사이사이]]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