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hinking!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lXw9_WSteCM)]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3 (2025)}}} || || {{{-1 '''장르'''}}} ||{{{-1 hyperpop}}} || || {{{-1 '''BPM'''}}} ||{{{-1 186}}} || || {{{-1 '''작곡'''}}} ||{{{-1 Parang}}} || || {{{-1 '''BGA'''}}} ||{{{-1 LUXEL(원화) / MoDEKU(모션)}}} || == 개요 == Parang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오리지널 곡으로서는 [[Cotton Candy Soda]] 이후 두 번째로 참전한 곡으로, Parang이 [[네오위즈]]를 퇴사하고 [[PLATiNA :: LAB]]의 사내 작곡가로 이적하기 전에 남긴 곡이다. 곡은 Parang이 Cotton Candy Soda에 이어 [[칩튠]] 사운드가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곡으로, 하드스타일 킥 등이 활용되는 다채로운 구성과 변박이 특징적인 곡이다. LUXEL이 작업한 귀여운 BGA도 눈에 띄는데, [[플레이(DJMAX)|플레이]]가 요정 [[엘 클리어|클리어]], [[엘 페일|페일]]과 함께 게임 세계로 떠나며 일어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3)]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cd3658,#cd3658><bgcolor=#97253f,#97253f><nopad> [[파일:thinking!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cd3658 0% 45%, transparent 45% 49%, #cd3658 49% 59%, transparent 59% 65%, #fe6c7a 65% 76%, transparent 76% 82%, #ff8391 82% 93%, transparent 93%), linear-gradient(-154deg, transparent 0% 10%, #e6455c 10% 20%, transparent 20% 26%, #b12d47 26% 36%, transparent 36% 42%, #97253f 42% 52%, transparent 52% 56%, #97253f 56% 64%, transparent 64% 73%); color:#fff" '''{{{#fff,#fff V LIBERTY 3}}}'''}}} || ||<-4>'''{{{+5 thinking!}}}''' || ||<rowbgcolor=#fe6c7a,#fe6c7a><rowcolor=#3f2546,#3f2546><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d3658><colcolor=#fcbcc3>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33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7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5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480}}}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1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8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45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5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0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57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6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8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51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ff8391 0% 7%, #cd3658 7% 12%, #fe6c7a 12% 20%, #cd3658 20% 100%)" {{{-3 {{{#fff,#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정식 공개 후 말랑말랑하고 귀여운 곡과는 달리 의외의 복병 포지션으로 자리매김했는데, 4버튼에 '''14레벨'''이 배정되고 5, 6, 8버튼 역시 고속 패턴을 위시로 한 상당한 고난이도의 패턴이 등장했다. 전체적으로 순간순간 튀어나오는 24/32비트 계단 패턴이 난이도의 핵심. === 4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ms9-dRBpuRk)] ||<nopad> [youtube(pPP8SYE9Wh0)]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wl1Dl3nGvig)] ||<nopad> [youtube(TOUixQQMnvs)] || === 5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_rMH-5Ps7pg)] ||<nopad> [youtube(3CpdpxOZnPU)]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uccos7GhQA0)] ||<nopad> [youtube(0zZAoLDn-vw)] || === 6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mkFga81fWCo)] ||<nopad> [youtube(jcHZT8l5zZA)]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2OC8D3pk9lY)] ||<nopad> [youtube(CvAxuBDvuYI)] || === 8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ybFcAWjhKTE)] ||<nopad> [youtube(CfsUJpmjrXo)]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5VumvZZWpWc)] ||<nopad> [youtube(je5_Wa8wEw8)] || 8B SC는 특이하게도 [[SIN(DJMAX)|SIN]] 8B MX마냥 6B SC를 기반으로 트리거를 덧댄 구성으로 나왔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thinking!, version=24, uuid=ceed8fdd-3b77-4329-adae-e3331d6e8799)]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