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ReGLOSS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regloss_logo_white.png|width=120]] || ||<rowbgcolor=#46c2f2> '''[[히오도시 아오|{{{#fff 히오도시 아오}}}[br]{{{#fff [ruby(火, ruby=ひ)][ruby(威, ruby=おどし)][ruby(青, ruby=あお)][br]hiodoshi ao}}}]]''' || '''[[오토노세 카나데|{{{#fff 오토노세 카나데}}}[br]{{{#fff [ruby(音, ruby=おと)][ruby(乃, ruby=の)][ruby(瀬, ruby=せ)][ruby(奏, ruby=かなで)][br]otonose kanade}}}]]''' || '''[[이치조 리리카|{{{#fff 이치조 리리카}}}[br]{{{#fff [ruby(一, ruby=いち)][ruby(条, ruby=じょう)][ruby(莉, ruby=り)][ruby(々, ruby=り)][ruby(華, ruby=か)][br]ichijou ririka}}}]]''' || '''[[주우후테이 라덴|{{{#fff 주우후테이 라덴}}}[br]{{{#fff [ruby(儒, ruby=じゅ)][ruby(烏, ruby=う)][ruby(風, ruby=ふう)][ruby(亭, ruby=てい)]らでん[br]Juufuutei Raden}}}]]''' || '''[[토도로키 하지메|{{{#fff 토도로키 하지메}}}[br]{{{#fff [ruby(轟, ruby=とどろき)]はじめ[br]Todoroki Hajime}}}]]''' || ||<v|1><width=20%><nopad> [[파일:히오도시 아오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오토노세 카나데 이미지.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이치조 리리카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주후테이 라덴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토도로키 하지메 프로필.png|width=100%]] || || [[https://youtube.com/@HiodoshiA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iodoshiao, 크기=24)] || [[https://youtube.com/@OtonoseKana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tonosekanade, 크기=24)] || [[https://youtube.com/@IchijouRiri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ichijouririka, 크기=24)] || [[https://youtube.com/@JuufuuteiRad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juufuuteiraden, 크기=24)] || [[https://youtube.com/@TodorokiHaji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odoroki_hajime, 크기=24)] || [include(틀:ReGLOSS 디스코그래피)] >Reach the top! >We are ReGLOSS! > --ReGLOSS 단체 활동할 때 나오는 인사말[* 카나데가 제안한 인삿말이라고 한다. 보통 공식방송에서 주로 진행을 맡는 리리카가 We are까지 선창하고 ReGLOSS를 동시에 외친다. 방송에 따라서는 해당 기획에서 진행을 담당하는 다른 멤버가 선창하기도 한다.] 홀로라이브 신규 브랜치 DEV_IS의 첫 번째 기수이자 음악 아티스트로서의 활동을 메인으로 표방하는 그룹. 2023년 9월 9일~10일에 걸쳐 데뷔하였다. 순수 [[아이돌|아이돌 그룹]]으로서 공개되었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드디어 [[YAGOO]]가 작정하고 아이돌 그룹을 추진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많았으며, 실제 6주년 기념 공식 방송에서 YAGOO가 [[K-POP]]처럼 홀로라이브가 해외로 더 퍼져나갔으면 좋겠다고 밝히는 등 실제 K-POP 아이돌 그룹을 벤치마킹한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많았다.[[https://www.fmkorea.com/6159756728|#]] DEV_IS 채널을 별도로 만들고 7일에 걸친 카운트다운 영상에 선 단체곡 MV 공개, 공식 방송에서 라이브 2D 모델 전격 공개 등 상당히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타 기수에 비해 유독 데뷔 발표 후 첫방송까지 걸린 기간이 길었고 그로 인해 온갖 루머가 난무했다. 설상가상으로 갑작스러운 구독자 증가를 비정상적인 활동이라고 인지한 유튜브에 의해 구독자 수가 몇 차례나 강제로 조정되는 바람에 모든 멤버들의 데뷔 전 구독자 수가 3만 명 정도에서 정체되는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했다. 음악 아티스트 그룹이라는 호언장담에도 불구하고 데뷔 방송부터 하나같이 장난기 많은 면모를 잔뜩 발산함은 물론 게임방송을 포함한 통상적인 방송 일정을 발표하는 등 기존 홀로멤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평이 많았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애초에 음악 아티스트 컨셉의 멤버들을 따로 뽑은게 아니기 때문으로 개개인의 노래 실력도 그다지 특출나다고 보기 어려우며,[* 일본 아이돌은 완성형을 내놓는 우리나라와 달리 '팬의 응원을 받아가며 성장한다'는 성장 스토리를 중시하기 때문에 데뷔 당시에는 실력 자체가 높지 않은 아이돌도 상당히 많다. 그나마 음악 중시를 표방한 [[오토노세 카나데]]가 데뷔 초부터 비교적 안정적인 가창력을 선보였다.] 사실상 기존 기수와의 차이점이 있는지조차 의문이라는 반응이 많다. 오히려 기존 홀로멤들의 장난기나 광기를 능가하는 무시무시한 첫인상을 줄줄이 남기더니, 이후 방송에서는 다들 또다른 면모를 보여주면서 기존 홀로라이브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강렬한 개성들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도 데뷔 방송 직후 처음으로 모두가 모인 콜라보 방송에서 순간 하트비트 MV가 100만 조회수를 돌파하자마자 곧바로 두번째 싱글 앨범 제작이 결정된 것을 보면 음악에 대한 비중을 많이 두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ReGLOSS는 1주년을 맞이하기까지 낸 기수 단체 오리지널 곡만 4곡에, 수십개가 넘는 커버 영상을 올리며 엄청난 음악 활동량을 보여주고 있다. 솔로곡 역시 1주년을 전후하여 리리카를 시작으로 속속 발매되는 중. 평균적인 게임 실력은 '''전 그룹 최약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멤버 대부분이 살면서 게임을 접할 기회가 드물었던 듯 하며, 그나마 [[이치조 리리카|리리카]]가 다양한 게임을 많이 접해본 티가 나는 정도이다. [[점프킹]] 콜라보에서 1시간 동안 단 한 명도 1스테이지조차 돌파하지 못하는 등 게임 감각 자체가 둔한 멤버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비디오 게임 뿐만 아니라 데뷔 2주 만에 해금된 holoX와의 콜라보 대결에서 개인전 전적 1승 4패(하지메만 승리), 단체전 패배 등 종목을 가리지 않고 모조리 패배하며 해당 밈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페코라의 아소비대전 역도츠에서는 카나데, 리리카, 라덴 셋이 맞붙어 상대전적 '''24대 1'''[* 카나데 1승 1무 6패, 리리카 9패, 라덴 9패. 카나데는 1대 3에서 막판 뒤집기 3승짜리 판을 했으나 무승부를 기록해 가위바위보로 결정, 패배하였고 리리카와 라덴은 처참한 실력으로 전패를 박자 마지막 역전의 기회로 수련회 메타를 열어 각각 5승짜리 판을 했는데 그마저 패배하였다. 오셀로를 셋 다 골랐으나 페코라가 봐준 카나데만 겨우 무승부에 나머지는 참패했고 특히 라덴은 무려 요트로 페코라에게 더블스코어 이상의 격차로 압살당함은 물론 룰을 하나도 몰라 페코라가 훈수까지 둘 정도로 끔찍한 실력을 뽐냈다. 운까지 따르지 않은 결과 최종 점수가 무려 69점이다.]이라는 경악스러운 스코어로 압살당하며 공인 최약체 기수 인증이 박혔다. 홀로정월컵 2024에서는 5명이 모두 출전해 하지메 이외 전원 자코배행이라는 참사가 났다.[* 그나마 긴급하게 대타로 출전해 겨우 3일 연습한 것이 다인 라덴은 그렇다 치고 그 라덴보다 한참 못하는 멤버가 둘이나 있었으며, 끝내 아오는 자코배 최하위를 기록하며 초코에 이은 자코 패왕이 됐다. 유일하게 츠요배에 진출한 하지메가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엄청난 실력으로 다크호스가 되어 츠요배 최종 3위로 첫 출전에 동메달을 목에 건 것이 위안이라면 위안. 리리카는 본래 자코배는 아니었지만 무메이가 건강문제로 빠지게 되면서 바로 윗 순위에 있던 리리카가 끌려들어가게 되었고 자코배에서도 우승에는 실패, 3위를 기록하였다.] 다만 2024년에 들어 카나데가 각종 슈팅 게임에서 엄청난 피지컬을 발휘하고, 갓필드 대회에서도 뇌지컬로 순식간에 속공을 퍼부어 상대가 뇌정지에 걸리게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두각을 드러내는 중이다. 9월 22일 데뷔 2주도 안 된 시점에 콜라보 해금이 되었는데, 데바이스 공식 채널에서 holoX와의 5:5 콜라보를 진행함으로써 '''실질적인 JP 7기생 취급을 받고 있다.'''[* 어드밴트는 EN 기존 기수와의 개인적인 콜라보 방송으로 자연스럽게 해금한 반면, ReGLOSS는 운영 측에서 제안하고 대본 구성까지 맡아 주도해 스튜디오 방송으로 굉장히 본격적으로 진행했다.] 다만 여전히 운영 측에서는 JP가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기 때문에, holoX 멤버들은 'JP 7기생은 아니지만 JP 계열의 첫 후배'라는 어중간한 스탠스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후로도 각종 기획방송에서 JP랑 묶여 JP+ReGLOSS 같은 식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이어지고 있다. 동기들 간의 사이가 굉장히 좋다. 거의 일주일에 한 번씩은 오프콜라보가 있을 정도이며 동기 콜라보 자체가 굉장히 많다. JP 계열 선배들이 하나같이 ReGLOSS 멤버들에게 "이 시기가 제일 한가하니까 이때 놀아라"라고 충고했는데, 이를 몸소 실천하고 있다. 5명이 모여서 하루 종일 노는 날도 많은데, 이런 날 항상 방송은 딱 1시간만 켜기 때문에 "너희들끼리만 재밌게 놀지 말라고!"라는 밈이 있을 정도다. 매월 10일은 ReGLOSS의 날이라고 해서, ReGLOSS 공식 채널에서 컨텐츠를 진행한다.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등의 더 큰 중요 이벤트가 있거나 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 지켜지며, 가끔 ReGLOSS의 날이 아니더라도 공식방송이 올라오기도 한다. 3월 24일 0시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kizunaai&no=9761866|중대 발표]]로 두 번째 오리지널 곡 シンメトリー를 공개하고, 같은 날 19시 하프 애니버서리 기념 방송에서 8월까지 ReGLOSS 구독자를 '''총합 250만 명 이상''' 달성할 경우 3D 모델을 제공할 것이라는 소식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마땅히 축하를 받고 기뻐해야 할 기념일에 오히려 시련을 던져준 것 등에 대해 ReGLOSS 팬덤(glosser)뿐만 아니라 홀로 팬덤, 안티들 사이에서까지도 너무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운영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이유를 몇 가지 살펴보자면, * 만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가장 구독자수가 적은 채널이 타 ReGLOSS 채널의 팬덤에 의한 비난과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며, 그러지 않더라도 멤버 본인의 멘탈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게 뻔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후술하겠지만, 사실상의 목표였던 인당 50만을 달성하지 못했던 카나데가 공식 영상에서 차별대우를 받거나, 뒤늦게 50만을 달성하고 나서야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음을 내비치고 울어버리며 '''"내가 기쁜 마음으로 3D를 받아도 되는 걸까"'''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할 정도로 이러한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그나마 다행으로 도합 250만 달성은 성공해서 3D를 받을 수 있었기에 팬덤의 공격을 받거나 동료들의 발목을 잡는 일은 없었다.] * 일정 기간 내에 특정 구독자 수를 넘겨야 3D 모델을 준다는 운영측의 방침은 홀로라이브 내에서 전례가 없는데, 비슷한 케이스를 살펴보자면 오히려 [[THE iDOLM@STER]]의 버튜버 프로젝트인 [[vα-liv]]에 있었던 일정 성과를 내지 못하거나 투표수가 미달했을 경우 불합격이라는 오디션 요소에 가깝다. 그리고 해당 문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조건 역시 팬들한테 엄청난 반발을 샀다. 이런 사건이 있었는데 홀로라이브에서까지 또 트라우마를 자극당해야 하느냐는 분노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 정해진 기간 내 250만이란 조건은 홀로라이브 전체 팬덤과 멤버에 대한 협박 내지는 구걸로 느껴지며, 운영측에서 느끼는 실적에 대한 압박이나 부담감을 팬덤에게까지 전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 그간 아이돌 활동을 표방해왔던 홀로라이브, 그중에서도 가장 본격적으로 아이돌 노선을 지향하는 ReGLOSS라면 3D 모델이 필수적인데, 그런 3D 모델을 인질로 50만 구독자를 자기 목소리와 컨텐츠만으로 확보하라는 것은 몸 없이 춤추라고 시키는 것과 같은 [[어불성설]]이라는 의견도 있다. 또한 상기하였듯 이러한 운영 방침이 전례가 없었던만큼, ReGLOSS에게만 갑작스레 이런 시련을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의견도 있다. 구독자 증가 추세를 고려하여 충분히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한 것이 아니겠냐는 반론도 있으나, 큰 어려움 없이 달성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언급한 것처럼 반주년을 축하하는 날에 중대발표라며 내건 공약이 시련이나 부담으로 느껴진다는 점과 [[연대책임]] 강요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운영 측의 행태에 대해선 팬들뿐만 아니라 선배 기수 멤버들도 이례적으로 우려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시로 보탄]]은 정확한 수치로 목표를 정해주는 건 좋지만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해한다며, 전달의 방식이 부적절했다는 식으로 [[https://youtu.be/0OF1QpR0gYI|에둘러 비판했다.]] [[타카네 루이]]도 앞장서서 본인의 트윗([[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4109920198699|#]][[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5135964405950|#]][[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6289427427741|#]][[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6996834574587|#]][[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7868062745066|#]])을 통해 자신의 구독자들에게 ReGLOSS 멤버들을 구독해줄 것을 호소하기도 했다. 아오 또한 "인당 50만, 총합 250만, 3D 데뷔'와 같은 표면적인 목표를 위해 맹목적으로 달려가며 지나치게 무리를 한다면, 3D 데뷔를 한다고 해도 3D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자신들의 진정한 목적인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의미가 없다."며 물론 최선은 다하겠지만, 걱정해주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위태로운 모습을 보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카나데가 순간 하트비트 100회 부르기라는, 사실상 목을 혹사시키는 기획을 들고 나오면서 아오의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스이세이가 직접 병원까지 소개해주었을 정도.][[https://youtu.be/V9csoZlOKEc|#]] 다만 달성 자체는 비판 측에서도 불가능한 목표라고 보지는 않고 있으며, 보탄도 전달 방식이 좋지 않다고 했지, 목표는 있는 것이 좋으며 숫자 또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당사자 중 한 명인 카나데 또한 미션 달성을 못했다고 해도 운영 측이 어떠한 조치를 취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했으며, 팬덤 측에서도 미션 달성을 못했다고 정말로 3D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은 적다.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끝에 8월 15일 총합 구독자 250만 명을 돌파하며 해당 공약에 대한 비판과는 별개로 3D 데뷔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충족되었다. 이러한 250만 공약 이슈 외에도 ReGLOSS 운영에 대한 리스너들의 평가는 매우 좋지 않다. 유튜브 뮤직 위켄드에 나가 놓고 믹싱도 제대로 하지 않은 음원을 사용한 것은 물론 후술할 1주년에도 온갖 문제가 터졌다. 안무+노래까지 전부 라이브로 한다는 사실을 라이브가 임박해서야 알려줬다거나, 1주년 기념 방송 오프닝에서 멤버 각각이 구독자 50만 명을 달성한 순간을 보여주었는데 아직 50만을 못 찍은 [[갈라치기|카나데 혼자만 얼렁뚱땅 넘어가는 등]][* 이후 카나데가 50만 명 내구방송에서 구독자 50만을 달성한 후 "다행이다..."라며 안도의 눈물을 흘리며 엄청난 압박을 받아왔음이 드러나기도 했다.] 충격적인 뒷이야기들이 나오면서 ReGLOSS의 프로듀서와 산하 운영진에 대한 평가는 완전히 바닥으로 쳐박혔다. 그 외에도 멤버들의 단점을 말해보는 기획을 아오가 칭찬으로 바꿔서 넘어가기도 했다고 아오 본인이 직접 언급했다. 이외에 소통과 관련된 문제도 많이 터지고 있다. 멤버들이 직접 운영과 거의 소통이 없다고 언급했고, 아예 춤을 춰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고 데뷔시켰다고 아오가 언급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가장 고통받은 멤버가 [[이치죠 리리카]]로, 다른 동료들에 비해 댄스 실력이 뒤떨어지는 것에 열등감을 느껴 아프다는 핑계로 댄스 연습에서 빠질 것을 생각할 만큼 심적으로 몰렸었다는 것을 후일담에서 밝혔다.[[https://www.youtube.com/watch?v=MiOHqJ_jXLo&ab_channel=%E3%83%9B%E3%83%AD%E3%81%A8%E5%85%B1%E3%81%AB%E7%94%9F%E3%81%8D%E3%82%8B|#]]] 즉, ReGLOSS 자체가 명확한 컨셉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멤버들이 뽑힌 게 아니라 일단 홀로라이브로 뽑아놓고 나서 덜컥 음악기수라는 컨셉을 멤버들에게 씌워버린 것이다. 반대로 그룹의 실질적인 리더 역할을 맡으며 멤버들의 멘탈을 케어하고 운영 관련 얘기를 솔직하게 언급하고 있는 아오는 팬덤에서 [[아버지|아(오)버지]]로 칭송받고 있다. 9월 28일 20시 ReGLOSS 전원의 첫 3D 라이브 개최가 확정되었다. 비록 풀 라이브까진 아니었지만 데뷔 1년차인 신인들에게 노래+안무 라이브를 AR조차 없이 시킨 것이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애초에 노래+안무를 전부 라이브로 소화한다는 건 홀로라이브에서 음악하면 떠오르는 실력자들에게조차 매우 버거운 일이다. 심지어 안무도 실제 K팝 아이돌급은 아니지만 엄연히 포메이션 댄스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었다. 이를 이제 데뷔한지 만 1년 된, 그것도 첫 3D 데뷔인 신인들에게 덜컥 시키니 안 그래도 첫 무대라 떨리는 판에 음정도 많이 벗어나고 화음도 잘 맞지 않는 등 초반 무대들은 완성도에서 큰 아쉬움을 드러냈다. 어디까지나 홀로라이브에서도 이런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정도.] 카메라 워킹도 끔찍한 수준이어서 카메라맨도 성장 중이냐는 조롱이 난무했다. 거기다 각자의 채널에 솔로파트가 올라가며 아오의 솔로파트를 시간제한 5분이 됐다고 남은 12초를 끊어버리고 넘어간 것이 드러나 다소 논란이 되었다.[* 5분을 풀로 채운건 리리카 한명이고, 하지메는 3분 20초, 라덴은 3분 28초, 카나데는 4분 47초라서 12초정도는 충분히 추가로 할당할 여유가 됐다.] 그래도 3D 모델의 퀄리티 자체는 상당히 높았으며 수록 파트인 ReGLOSS의 솔로 무대에서 각 멤버들의 특징을 잘 살렸다. 특히 하지메는 그동안 멤버들의 증언 등으로만 간접적으로 전해들을 수 있던 발군의 댄스 실력을 유감없이 선보이면서 단박에 벨즈, 라플라스와 같은 댄스 고수 선배들에 준하는 실력자라는 평을 받게 되었고, 카나데는 [[Departures ~당신에게 보내는 사랑의 노래~]]를 아예 무반주로 2절까지 [[아카펠라]]로 소화해 가창력을 다시금 드러냈다.[* 개인 파트라는 걸 감안해 운영진이 살짝 던져보고 무리다 싶으면 MR을 붙여서 하자고 생각했으나 카나데가 아카펠라 제안을 덜컥 받아들였다고.] 그리고 1년 내내 노력한 만큼 전반적으로 ReGLOSS의 춤 실력 자체는 준수하다는 평을 받았다. 동시시청자 수도 20만 명을 돌파, 역대 홀로 3D 라이브들 중에서도 탑급의 화제성을 자랑했다. FLOW GLOW의 데뷔 소식이 발표된 직후 DEV_IS 공식 채널이 DEV_IS ReGLOSS 공식 채널로 변경되었다. FLOW GLOW는 이와는 별도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유닛 활동을 진행 중이다. 2024년 12월 24일 [[주우후테이 라덴]]이 DEV_IS 소속으로는 최초로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5년 3월 30일, 오후 8시에 미니 라이브 [[https://www.youtube.com/live/qc2owX4GFwA|Sakura Mirage]]를 개최했다. 미니 라이브는 금년 개최된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엑스포 2일차에 발표되었으며 티저만으로 큰 관심을 받았는데, 홀로라이브에서 개최된 3D 라이브 중 최초로 [[언리얼 엔진|언리얼 엔진 5]]를 적용한 라이브이기 때문이다.[* 다만 3월 21일부로 [[히오도시 아오#무기한 휴식|히오도시 아오가 정신 건강 문제로 당분간 활동을 중단]]함에 따라 해당 라이브를 비롯하여 당분간 ReGLOSS의 모든 일정은 4인 체제로 소화할 예정이다. [[히오도시 아오]]의 경우 본인은 괜찮다고 하면서 라이브까지는 활동하려 했지만 매니저와 운영 측에서 이를 허락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새 엔진을 도입한 첫 라이브이니만큼 아쉬운 점도 많았고[* 특히 모션 블러가 너무 과했던 탓에 스크린샷을 남기기 어려웠다는 리스너들의 지적이 많았다. 그 외에도 관객석의 관객들이 제대로 모델링을 갖춘 상태로 나타났는데 여기서 [[불쾌한 골짜기]]가 느껴진다는 비평도 많았다.] 음향팀의 미숙한 음향처리[* 보정을 제대로 넣지 못한 탓에 음향 중간중간 흐릿하게 들리는 구간이 발생했다.] 및 방송사고[* 첫번째 하이라이트 구간에서 멤버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필이면 이 방송사고가 미니 라이브의 핵심이었던 [[サクラミラージュ]] 공연 중에 발생했기에 리스너들이 음향팀을 크게 비판했다. 가뜩이나 전날 네네의 생일 중에도 방송사고가 발생했던 터라 더욱 팬덤이 민감했던 상황이었다.] 등을 포함해 비판거리가 없는 건 아니었지만 매우 고퀄리티로 뽑힌 3D 모델링과 다채로운 공연 효과 및 시간 경과의 변화 등 여러 연출과 함께 이전의 3D 라이브에 비해 멤버들이 훨씬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선보임으로써 첫 언리얼 엔진 5 시연 라이브로서는 성공적이었다는 반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미니 라이브 종료 후 [[https://youtu.be/jAOqZqQXbqM|サクラミラージュ 안무를 언리얼 엔진 5로 촬영한 프리미어 영상]]은 확실한 기술력의 발전을 보였다는 평. 멤버들의 경우 아오의 갑작스런 휴식으로 인해 안 그래도 빡빡한 준비기간 내에 바뀐 안무 동선, 노래 파트 등을 추가로 소화해야 했고 이걸 또 전부 생 라이브로 진행해야 한다는 엄청난 부담감 속에서도 최선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많은 격려를 받았다. 2025년 8월 6일 [[토도로키 하지메]]가 DEV_IS 소속으로는 두 번째로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5년 8월 21일에는 애니플러스 카페에서 한정 콜라보레이션의 주인공으로 채택되면서 리글로스 관련 카페 메뉴와 굿즈의 판매 예정 스케쥴이 공개되었다. 각각 서울과 부산 지부에서 진행될 예정이고 기본 일러스트와 SD 일러스트 공통으로 한복 차림의 그림으로 나오며 기본 일러스트는 [[세발문어]]가, SD는 [[JAZZ JACK]]이 담당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m8H5fZ3Lkx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