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소속사별 버츄얼 유튜버]][[분류:hololive/소속 크리에이터]][[분류:hololive INDONESIA/소속 크리에이터]][[분류:hololive ENGLISH/소속 크리에이터]][[분류:HOLOSTARS/소속 크리에이터]][[분류:HOLOSTARS ENGLISH/소속 크리에이터]][[분류:멤버 목록]]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hololive 프로덕션)]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weetStereotypedDecorousTin, 합의사항1=멤버 별로 개별 문단을 작성하고 각자 명칭으로 리다이렉트 생성, 토론주소2=DemonicWhiteSedateJail, 합의사항2= 목차 접기 문법 제거하기)] [include(틀:일본의 MCN)]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version=6345, uuid=801fd42d-4431-4386-b7a3-7cd6d5e5f9f9)] [목차] == 개요 == [include(틀:hololive 프로덕션 멤버)] [[커버(기업)|cover 주식회사]]가 캐릭터 IP 판권을 가지고 [[hololive 프로덕션]] 소속으로 활동하는 [[버츄얼 유튜버]]들을 정리한 문서. * 옅게 표기된 이름은 졸업/계약 종료/제명 등의 이유로 활동을 종료한 멤버를 뜻한다. == [[hololive]] == === 데뷔, 졸업 연표 === 연도별로 멤버들의 데뷔, 이적, 졸업, 활동종료를 정리했다. JP, EN, ID, DEV_IS는 분류상으로는 분명 다른 그룹이지만, 같이 콜라보 하는 일이 일상이어서 서로 친해져 특별히 애칭이 있거나 말을 놓지 않은 이상은 데뷔 날짜를 기준으로 선후배 구분이 확실하다. ||<-2> '''2017년''' || || 9월 7일 || [[토키노 소라]] 데뷔 || || 12월 11일 || [[hololive]] 설립. 토키노 소라 창립 멤버로 이적 || ||<-2> '''2018년''' || || 3월 4일 || [[로보코 씨]] 데뷔 || || 3월 22일 || 개인 버튜버 [[호시마치 스이세이]] 데뷔 || || 5월 13일 || JP 1기생 [[요조라 멜]] 데뷔 || || 6월 1일 || JP 1기생 [[아키 로젠탈]],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데뷔 || || 6월 2일 || JP 1기생 [[아카이 하아토]] 데뷔 || || 8월 1일 || 사쿠라 미코 프로젝트 [[사쿠라 미코]] 데뷔 || || 8월 8일 || JP 2기생 [[미나토 아쿠아]] 데뷔 || || 8월 17일 || JP 2기생 [[무라사키 시온]] 데뷔 || || 9월 3일 || JP 2기생 [[나키리 아야메]] 데뷔 || || 9월 4일 || JP 2기생 [[유즈키 초코]] 데뷔 || || 9월 16일 || JP 2기생 [[오오조라 스바루]] 데뷔 || || 11월 15일 || [[AZKi]] 데뷔 || || 12월 7일 || 게이머즈 출범. 게이머즈 [[오오카미 미오]] 데뷔 || || 12월 25일 || [[사쿠라 미코]] 홀로라이브 이적 || ||<-2> '''2019년''' || || 4월 6일 || 게이머즈 [[네코마타 오카유]] 데뷔 || || 4월 13일 || 게이머즈 [[이누가미 코로네]] 데뷔 || || 5월 19일 || [[이노나카 뮤직]] 설립. [[AZKi]], [[호시마치 스이세이]] 이노나카 뮤직 이적. || || 7월 17일 || JP 3기생 [[우사다 페코라]] 데뷔 || || 7월 18일 || JP 3기생 [[우루하 루시아]] 데뷔 || || 8월 7일 || JP 3기생 [[시라누이 후레아]] 데뷔 || || 8월 8일 || JP 3기생 [[시로가네 노엘]] 데뷔 || || 8월 11일 || JP 3기생 [[호쇼 마린]] 데뷔 || || 12월 1일 || [[호시마치 스이세이]] 홀로라이브 이적 || || 12월 27일 || JP 4기생 [[아마네 카나타]], [[츠노마키 와타메]] 데뷔 || || 12월 28일 || JP 4기생 [[키류 코코]] 데뷔 || ||<-2> '''2020년''' || || 1월 3일 || JP 4기생 [[토코야미 토와]] 데뷔 || || 1월 4일 || JP 4기생 [[히메모리 루나]] 데뷔 || || 4월 10일 || ID 1기생 [[아윤다 리스]] 데뷔 || || 4월 11일 || ID 1기생 [[무나 호시노바]] 데뷔 || || 4월 12일 || ID 1기생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데뷔 || || 8월 12일 || JP 5기생 [[유키하나 라미]] 데뷔 || || 8월 13일 || JP 5기생 [[모모스즈 네네]] 데뷔 || || 8월 14일 || JP 5기생 [[시시로 보탄]] 데뷔 || || 8월 15일 || JP 5기생 [[마노 알로에]] 데뷔 || || 8월 16일 || JP 5기생 [[오마루 폴카]] 데뷔 || || 8월 31일 || JP 5기생 [[마노 알로에]] 은퇴 || || 9월 12일 || Myth (EN 1기생) [[모리 칼리오페]], [[타카나시 키아라]] 데뷔 || || 9월 13일 || Myth (EN 1기생) [[니노마에 이나니스]], [[가우르 구라]], [[왓슨 아멜리아]] 데뷔 || || 12월 4일 || ID 2기생 [[쿠레이지 올리]] 데뷔 || || 12월 5일 || ID 2기생 [[아냐 멜핏사]] 데뷔 || || 12월 6일 || ID 2기생 [[파볼리아 레이네]] 데뷔 || ||<-2> '''2021년''' || || 7월 1일 || JP 4기생 [[키류 코코]] 졸업 || || 7월 11일 || Project:HOPE [[IRyS]] 데뷔 || || 8월 23일 || Council (EN 2기생) [[세레스 파우나]],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츠쿠모 사나]] 데뷔 || || 11월 26일 || JP 6기생 [[라플라스 다크니스]] 데뷔 || || 11월 27일 || JP 6기생 [[타카네 루이]] 데뷔 || || 11월 28일 || JP 6기생 [[하쿠이 코요리]] 데뷔 || || 11월 29일 || JP 6기생 [[사카마타 클로에]] 데뷔 || || 11월 30일 || JP 6기생 [[카자마 이로하]] 데뷔 || ||<-2> '''2022년''' || || 2월 24일 || JP 3기생 [[우루하 루시아]] 계약 해지 || || 3월 25일 || ID 3기생 [[베스티아 제타]] 데뷔 || || 3월 26일 || ID 3기생 [[카엘라 코발스키아]] 데뷔 || || 3월 27일 || ID 3기생 [[코보 카나에루]] 데뷔 || || 4월 1일 || [[AZKi]] 홀로라이브 이적. [[이노나카 뮤직]] 폐지 || || 7월 31일 || Council (EN 2기생) [[츠쿠모 사나]] 졸업 || ||<-2> '''2023년''' || || 7월 30일 || Advent (EN 3기생) [[시오리 노벨라]], [[코세키 비쥬]] 데뷔 || || 7월 31일 || Advent (EN 3기생)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후와와 어비스가드]], [[모코코 어비스가드]] 데뷔 || || 9월 9일 || ReGLOSS (DEV_IS 1기생) [[히오도시 아오]], [[오토노세 카나데]], [[이치조 리리카]] 데뷔 || || 9월 10일 || ReGLOSS (DEV_IS 1기생) [[주우후테이 라덴]], [[토도로키 하지메]] 데뷔 || || 10월 9일 || CouncilRyS를 Promise라는 유닛으로 개편. Project:HOPE 종료. || ||<-2> '''2024년''' || || 1월 16일 || JP 1기생 [[요조라 멜]] 계약 해지 || || 6월 22일 || Justice (EN 4기생)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지지 무린]] 데뷔 || || 6월 23일 || Justice (EN 4기생) [[세실리아 이머그린]], [[라오라 판테라]] 데뷔 || || 8월 28일 || JP 2기생 [[미나토 아쿠아]] 졸업 || || 9월 30일 || Myth (EN 1기생) [[왓슨 아멜리아]] 활동 종료 || || 11월 9일 || FLOW GLOW (DEV_IS 2기생) [[이사키 리오나]], [[코가네이 니코]], [[미즈미야 스우]], [[린도 치하야]], [[키키라라 비비]] 데뷔 || ||<-2> '''2025년''' || || 1월 3일 || Promise (EN 2기생) [[세레스 파우나]] 졸업 || || 1월 26일 || holoX (JP 6기생) [[사카마타 클로에]] 활동 종료 || || 4월 26일 || JP 2기생 [[무라사키 시온]] 졸업 || || 4월 28일 || Promise (EN 2기생) [[나나시 무메이]] 졸업 || || 5월 1일 || Myth (EN 1기생) [[가우르 구라]] 졸업 || === hololive JP === 일본 멤버들. 공식적인 유닛 이름은 hololive이지만, 그렇게 되면 "버추얼 유튜버 그룹 hololive" 안에 "유닛 hololive"가 존재하게 되어 hololive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일본 멤버들은 hololive EN/ID를 따라 hololive JP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버츄얼 유튜버]]라는 문화가 일본에서 발전한 만큼 hololive의 근간이 되는 멤버들이다. 모든 멤버들이 일본에서 거주한다는 이유 덕분에 해외 멤버들에 비해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나 음악 작업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3D 모델링을 이용한 3D 라이브, 홀로노그라피티 등 양질의 컨텐츠를 꾸준히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홀로라이브의 전체적인 방향을 이끌어가고 있다. 기수제로 데뷔하지 않은 0기생들을 제외한 정식 기수는 전부 5인으로 시작해서 6기까지 구성했으나, 2025년을 기해 모든 기수에서 1명씩은 이탈자가 생겼다. ==== 0기생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6c2f2><rowbgcolor=#fff,#1c1d1f><nopad> [[파일:0th_Gen_history.jpg|width=100%]] || ||<bgcolor=#46c2f2> {{{#fff '''0기생 멤버 연표'''[*원출처 [[https://twitter.com/Kushikara/status/1566722162400305152]]]}}}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토키노 소라|{{{#fff 토키노 소라}}}[br]{{{#fff ときのそら}}}]]''' || '''[[로보코 씨|{{{#fff 로보코 씨[br]ロボ[ruby(子, ruby=こ)]さん}}}]]''' || '''[[AZKi|{{{#fff 아즈키}}}[br]{{{#fff AZKi}}}]]''' || '''[[사쿠라 미코|{{{#fff 사쿠라 미코}}}[br]{{{#fff さくらみこ}}}]]''' || '''[[호시마치 스이세이|{{{#fff 호시마치 스이세이}}}[br]{{{#fff [ruby(星, ruby=ほし)][ruby(街, ruby=まち)]すいせい}}}]]''' || ||<width=20%><nopad> [[파일:766395_704791.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Robocosan_2022_Portrait.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AZKi_2022_Portrait.png|width=100%]]||<width=20%><nopad> [[파일:SakuraMiko_3DPortrait.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hoshimati_suisei.png|width=100%]] || || [[https://youtube.com/@TokinoSo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okino_sora, 크기=24)] || [[https://youtube.com/@Robocosa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obocosan, 크기=24)] || [[https://youtube.com/@AZ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ZKi_VDiVA, 크기=24)] || [[https://youtube.com/@SakuraMik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akuramiko35, 크기=24)] || [[https://youtube.com/@HoshimachiSuise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uisei_hosimati, 크기=24)] || 홀로라이브 0기생은 홀로라이브에서 1기생보다 앞서 데뷔한 멤버들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어떤 이유에서든 동기가 없이 혼자 홀로라이브에 합류해서 기수제로 구분되지 않는 멤버들을 묶어 부르는 표현이다.[[https://youtu.be/na1X25Z_6Y8|로보코의 설명]] 실제로 미코의 경우 1기생보다, AZKi의 경우는 2기생보다도 데뷔일이 느리다. 다만 그런 오해를 살 정도로 데뷔가 오래되긴 한 편으로, 0기생 중 데뷔가 늦은 편인 미코나 AZKi도 대선배급 짬이다. 처음부터 만들어진 말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0기생이라는 이름을 정하는 과정에 관한 에피소드도 많다. 미코와 스이세이는 다른 멤버들이 자신을 '홀로라이브 n기 소속'으로 소개하는 것이 내심 부러워 자신들도 예전부터 무언가 유닛명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고, 소라는 이 멤버들과 함께 활동을 해보고 싶어 0기생을 만들게 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경력으로는 토키노 소라, 로보코, 호시마치 스이세이가 1기생보다 길다.[* 트위터 활동 개시일을 기준으로 하면 사쿠라 미코도 1기생보다 길다.(미코 첫 트윗 2018년 5월 1일, 멜 첫 트윗 2018년 5월 3일)][* 소라의 경우는 차이가 꽤 나는 편이고 로보코나 스이세이는 1기생 중 가장 먼저 데뷔한 멜과 비교해서 약 2달 정도 차이가 난다.] 같은 0기생이라고 해도 멤버들 사이에 데뷔일이 크게 차이가 나고, [[토키노 소라]]와 [[로보코 씨]]는 hololive가 방송 송출용 앱이 아닌 자체 캐릭터 라이브 시청 앱이었을 당시에도 hololive 소속이었던 고참이다. 소라의 문서에서도 서술되었듯 홀로라이브는 커버에서 소라 전용 라이브 시청 앱으로 시작했고, 그녀의 데뷔일이 홀로라이브 브랜드 런칭 기념일로 되어있다. 그러나 [[사쿠라 미코]]와 [[호시마치 스이세이]]는 홀로라이브 멤버가 되기 전부터 버추얼 유튜버로 활동한 기간도 있기 때문에 멤버들의 배경도 제각각이다. [[호시마치 스이세이]]는 유튜버로 활동한 기간은 로보코와 비슷할 정도로 오래 되었지만 정식으로 홀로라이브 멤버가 된 것은 2기생보다 늦기 때문에 [[미나토 아쿠아]]와 누가 선배인지를 두고 짧은 상황극을 보여주기도 했고, [[https://youtu.be/l5jox5xhEMI|#]] [[사쿠라 미코]] 역시 스이세이와 비슷하게 홀로라이브 2기생들보다 약 1주일 정도 앞서 유튜브 활동을 시작했지만 홀로라이브 멤버로 합류한 것은 상대적으로 늦어서 처음에는 2기생들을 선배로 대하기도 했다 [[https://youtu.be/6z_eIGhMQEY|#]]. 다만 홀로라이브 JP는 3기생 이후부터 증원할 때 기수마다 기간을 길게 잡고 계획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0기생들은 필연적으로 그 이전의 초창기에 영입된 멤버들이 많아 선배 이미지가 강하다. 홀로라이브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정식으로 홀로라이브에 들어온 날짜를 기준으로 멤버들을 정렬하고 있기 때문에 [[사쿠라 미코]]는 2기생과 [[오오카미 미오]] 다음 순서에, [[호시마치 스이세이]]는 [[네코마타 오카유]]와 [[이누가미 코로네]]가 추가로 데뷔한 이후 순서에 위치하고 있다. [[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gp=hololive|#]] [[AZKi]]는 예외로 이노나카 뮤직 소속으로 활동할 시기부터 홀로라이브 멤버 목록에 동시에 등재되어 있었으며, 2022년 4월 1일 이노나카 뮤직에서 홀로라이브로 소속을 옮긴 이후로도 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홀로라이브를 대표하는 음악 기수이기도 하다. 홀로 내에서 손에 꼽는 가창력을 지닌 소라, 아즈키, 스이세이는 모두 메이저 데뷔를 하여 수많은 곡을 발표하며 왕성한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로보코와 미코도 독특한 음색을 갖고 있어 라이브 무대에서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2024년 0기생 최초 단체 커버곡에서는 이러한 장점이 극대화되어 각자의 특색이 제대로 드러나면서도 각각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화음까지 만들어내며 리스너들의 극찬을 받았고, 기수별 주년 라이브에서도 모든 멤버와 무대가 호평을 받았다. 2023년 9월 27일 [[호시마치 스이세이]]가 홀로라이브 사상 8번째, 0기생 중에서는 처음으로 구독자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4년 4월 9일 [[사쿠라 미코]]가 0기생 중 두번째로 구독자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4년 4월 12일 [[로보코 씨]]가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4년 4월 27일 0기생에서 마지막으로 [[AZKi]]가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Myth, 게이머즈, 5기생, 3기생, 2기생, 4기생에 이어 7번째로 기수 전원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했다. JP 기수 전체에서 유일무이하게 5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1기생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bgcolor=#46c2f2> '''[[아키 로젠탈|{{{#fff 아키 로젠탈}}}[br]{{{#fff アキ・ローゼンタール}}}]]''' || '''[[아카이 하아토|{{{#fff 아카이 하아토}}}[br]{{{#fff [ruby(赤, ruby=あか)][ruby(井, ruby=い)]はあと}}}]]''' || '''[[시라카미 후부키|{{{#fff 시라카미 후부키}}}[br]{{{#ffffff [ruby(白, ruby=しら)][ruby(上, ruby=かみ)]フブキ}}}]]''' || ||<v|1><width=33%><nopad> [[파일:Aki Rosenthal.png|width=100%]] ||<v|1><width=33%><nopad> [[파일:Akai Haato.png|width=100%]] ||<v|1><width=33%><nopad> [[파일:Shirakami_Fubuki_2023_rev.png|width=100%]] || || [[https://youtube.com/@AkiRosenth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AkiRoseChSub|부계정]]]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kirosenthal, 크기=24)] || [[https://youtube.com/@AkaiHaat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kaihaato, 크기=24)] || [[https://youtube.com/@ShirakamiFubu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rakamifubuki, 크기=24)] || ||<rowbgcolor=#46c2f2> '''[[나츠이로 마츠리|{{{#fff 나츠이로 마츠리}}}[br]{{{#ffffff [ruby(夏, ruby=なつ)][ruby(色, ruby=いろ)]まつり}}}]]''' ||<bgcolor=#848484> '''[[요조라 멜|{{{#fff 요조라 멜}}}[br]{{{#fff [ruby(夜, ruby=よ)][ruby(空, ruby=ぞら)]メル}}}]]''' ||<bgcolor=#848484> '''[[히토미 크리스|{{{#fff 히토미 크리스}}}[br]{{{#ffffff [ruby(人, ruby=ひと)][ruby(見, ruby=み)]クリス}}}]]''' || ||<v|1><width=33%><nopad> [[파일:Natsuiro Matsuri.png|width=90%]] ||<v|1><width=33%><nopad> [[파일:Yozora Mel.png|width=100%]] ||<v|1><width=33%><nopad> [[파일:Hitomi_Chris_Portrait.png|width=90%]] || || [[https://youtube.com/@NatsuiroMatsu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atsuiromatsuri, 크기=24)] || [[https://youtube.com/@YozoraM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ozoramel, 크기=24)]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fQf5D9v8XBp7_sQsh5rf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itomikurisu, 크기=24)] || 2018년 5월 2일부터 동년 5월 13일까지의 오디션([[https://panora.tokyo/60582/|기사]])을 통해 모집된 멤버. 2018년 5월 13일에 요조라 멜이 데뷔하고, 동년 6월 1일에 나머지 4명이 데뷔하였다.[* 때문에 먼저 데뷔한 멜은 소라, 로보코와 함께 홀로라이브의 스타팅 멤버로 취급받기도 한다. 실제로 멜의 경우 로보코와 데뷔 날짜 차이가 두 달밖에 안 된다.] 캐릭터 디자인은 공모전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각 멤버 트위터 프로필에는 디자인한 일러스트레이터의 닉네임이 추가되어 있다. 원래 총 6명이 1기생으로 활동을 할 예정이었지만, [[https://www.moguravr.com/cover-vtuber-fd/|#]] [[히토미 크리스]]가 과거 행적 때문에 제명되어 5명이 되었다. 1기생들이 데뷔할 시점엔 스트리머 본인들도 아직 버추얼 유튜버 방송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데뷔를 딱 하루 앞두고 방송용 스마트폰이 도착해 제대로 된 테스트로 하지 못한 채 부랴부랴 방송을 시작해야 했을 정도로 커버 주식회사가 변변한 지원을 해주지 못해 멤버 개개인이 많은 고생을 해야 했다. 이를 증명하듯 시라카미 후부키는 데뷔 방송부터 문제가 생겨 15분 동안 버벅거렸고 [[https://youtu.be/DJhCb7dpE3Q|#]], 나츠이로 마츠리는 급하게 날림으로 만든 화면만 띄워놓고 방송을 해야 했으며 [[https://youtu.be/dJ-8EGi5zCs|#]], 아키 로젠탈은 아예 유튜브에서 방송을 할 환경이 되지 않아 6월 내내 스마트폰 방송용 앱인 [[미러티브]]를 사용해 스트리밍을 했다. 시청자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히 수입도 형편없었는데, 마츠리는 데뷔 후 1년 정도는 한달 수입이 5만엔 안팎이었다고 밝혔다. [[https://youtu.be/Hd-DJ6w705k|#]] 3기생 이후부터는 데뷔 전부터 멤버들끼리 미리 연락을 주고받으며 서로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있었고 2기생도 데뷔 전에 모여 설명회 같은 것을 함께 들을 기회라도 있었지만, [[https://youtu.be/U-nBrfuRDhA|#]] 1기생이 데뷔할 당시에는 말 그대로 데뷔 당일에 서로 처음 인사를 나누거나 [[https://youtu.be/VNOdO8oZOMM|#]] 멤버에 따라서는 데뷔한지 한달이 다 지나서야 인사를 건네는 등 전혀 여유가 없었다. [[https://youtu.be/Jlq3cVDzMEU|#]] 회사의 운영 방침도 거의 정해진 것이 없는 불안정한 상태였기 때문에 홀로라이브 멤버라는 정체성도 굉장히 옅었다. 아키 로젠탈은 홀로라이브에 들어온 이후로 "앞으로 버추얼 유튜버로서 방송 열심히 하세요. 이상!" 정도의 말만 전해 들은 이후로 회사측과 거의 연락을 주고받을 일이 없어 홀로라이브라는 그룹이 실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https://youtu.be/I0zB3OqrtOg|#]] 또한 [[나츠이로 마츠리]]가 [[타카나시 키아라]]의 홀로토크에 출연하여 말한 바로, 초기 홀로라이브는 [[니지산지|다른]] [[닷라이브|그룹들에]] 비해 인기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든 [[어그로|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과격한 방송을 하거나 유난히 섹드립을 치기도 했다고 한다. [[https://youtu.be/MXOhD0jXdWI&t=3166s|#]] 2021년 5월 28일에 1기생 [[https://youtu.be/yRgjhtHsvNA|3주년 기념 합동 라이브 공연]]을 열었다. 이 공연은 마츠리가 처음 제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 기수가 모두 모여 공연을 선보이는 선례를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한창 코로나 사태가 있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홀로라이브 측에서 난색을 표했지만, 1기생 멤버들이 모두 뜻을 모아 강하게 주장한 끝에 성사될 수 있었다. [[https://youtu.be/_c0kJ3PzFZk|#]] 비슷한 시각, [[굿스마일 컴퍼니]] 미국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https://twitter.com/GoodSmile_US/status/1398248213753303046|나츠이로 마츠리]], [[https://twitter.com/GoodSmile_US/status/1398248879464853509|시라카미 후부키]], [[https://twitter.com/GoodSmile_US/status/1398249799070199815|아카이 하아토]]의 [[넨도로이드]] 제작을 알리고 선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https://youtu.be/2U8drD9wOhY|#]] 마츠리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수 있는 그 표정도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맥스 팩토리]]에서도 여러 멤버들의 넨도로이드나 [[피그마]] 상품들을 준비중이다. [[http://whl4u.jp/wh33/gallery/en/#/images/103|#]] 2022년 7월 9일 1기생들이 순서대로 v3.0으로 개선된 Live2D 모델을 선보였다.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719.000030268.html|#]] 2024년 1월 16일 [[요조라 멜]]이 계약 위반 행위를 사유로 계약해지되었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홀로라이브 JP 전체에서 [[아키 로젠탈]]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JP에서도 1기생을 제외한 전 기수가 전원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한 상황이다. 2025년 5월 11일에 아키 로젠탈이 100만을 달성하면서 1기생, 그리고 현역 JP 전체가 100만을 달성하게 되었다. ==== 2기생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나키리 아야메|{{{#fff 나키리 아야메}}}[br]{{{#fff [ruby(百鬼, ruby=なきり)]あやめ}}}]]''' || '''[[유즈키 초코|{{{#fff 유즈키 초코}}}[br]{{{#fff [ruby(癒, ruby=ゆ)][ruby(月, ruby=づき)]ちょこ}}}]]''' || '''[[오오조라 스바루|{{{#fff 오오조라 스바루}}}[br]{{{#fff [ruby(大空, ruby=おおぞら)]スバル}}}]]''' ||<bgcolor=#848484> '''[[미나토 아쿠아|{{{#fff 미나토 아쿠아}}}[br]{{{#fff [ruby(湊, ruby=みなと)]あくあ}}}]]''' ||<bgcolor=#848484> '''[[무라사키 시온|{{{#fff 무라사키 시온}}}[br]{{{#fff [ruby(紫咲, ruby=むらさき)]シオン}}}]]''' || ||<v|1><width=20%><nopad> [[파일:Nakiri_Ayame_-_Portrait_01.png|width=100%]]||<v|1><width=20%><nopad> [[파일:Yuzuki Choco.png|width=100%]]||<v|1><width=20%><nopad> [[파일:Oozora Subaru.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Minato Aqua.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Murasaki Shion.png|width=100%]] || || [[https://youtube.com/@NakiriAya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akiriayame, 크기=24)] || [[https://youtube.com/@YuzukiCho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YuzukiChoco_Sub|부계정]]]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uzukichococh, 크기=24)] || [[https://youtube.com/@OozoraSuba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ozorasubaru, 크기=24)] || [[https://youtube.com/@MinatoAqu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inatoaqua, 크기=24)] || [[https://youtube.com/@MurasakiSh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urasakishionch, 크기=24)] || 2018년 8월 8일 [[미나토 아쿠아]]를 시작으로 활동을 개시한 멤버들로, 총 5명이다. 동년 6월 1일에 데뷔한 1기생들과는 경력 차이가 2개월로 그리 크지 않다. 캐릭터 디자인은 공모전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각 멤버 트위터 프로필에는 디자인한 일러스트레이터의 닉네임이 추가되어 있다. 이때부터 [[미나토 아쿠아|메이드]], [[무라사키 시온|마법사]], [[나키리 아야메|오니]], [[유즈키 초코|악마]] 등 캐릭터성에 서브컬처 롤플레이 속성이 본격적으로 추가되면서, '이세계적인' 느낌이지만 어쨌든 우리는 [[여고생]]'의 일변도였던 1기생들과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유일하게 스바루는 이런 롤플레이 속성이 없고 활동이 활발한 편. 반쯤 농담삼아 "[[엑조디아]]"라는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한 자리에 모여서 그룹으로 활동하는 일이 드문 기수였다. 서로 사이는 좋아서 막상 만나면 잘 어울리지만, 스바루의 말에 따르면 멤버들 모두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뚜렷해서 일을 함께 할 기회가 많지 않다고 한다. 또한 [[나츠이로 마츠리]], [[호쇼 마린]], [[키류 코코]] 등 다른 기수에는 그룹 활동에 열의를 갖고 있는 멤버들이 있었던 반면, 2기생은 유독 개인활동을 선호하는 멤버들이 많다.[* 시온은 만약 자신이 홀로라이브에 스카우트되었을 당시에 홀로라이브가 DEV_IS처럼 그룹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곳이었다면 스카우트 제의를 거절했을 것이라며 2기생이라서 좋았다고 밝히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PU1k0_5hOO0&t=2334s|#]]] [[오오조라 스바루]]가 있긴 하지만, 스바루는 일단 한명의 인터넷 방송인으로서 성장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했고, 스바루가 마침내 성장하여 그룹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볼 수 있는 위치가 되자 공교롭게 [[미나토 아쿠아]]와 [[무라사키 시온]]이 졸업을 고민하면서 활동이 크게 줄어드는 바람에 스바루의 뜻은 이루어지지 못했다.[[https://youtu.be/zqeHQ2sNLCg|#]] 유즈키 초코의 말에 의하면 2기생의 경우는 데뷔하기 전까지 서로에 대해서 전혀 아는 게 없었다고 하며, 데뷔 전, 미리 만나서 동기끼리 합을 맞춰보기 시작한 것도 3기생 이후부터라고 한다. 미나토 아쿠아나 오오조라 스바루 등에 의하면 오프라인으로 기념일이 있으면 연락도 하고 필요하면 만나기도 하는데, 정작 2기생 단체 디스코드나 라인 그룹은 없었다고 한다.[* 미나토 아쿠아가 새해 기념 채팅을 했는데, 반응이 2건밖에 없다는 것을 보면, 디스코드 채널은 만든 것으로 보인다. 라인 그룹은 2021년 12월 기준 아직 없다고 한다.] 2023년 9월 6일 유즈키 초코의 100만 내구 방송으로 기수 전원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myth, 게이머즈, 5기, 3기에 이은 다섯 번째 기록. 2024년 5월 9일 [[미나토 아쿠아]]가 홀로라이브 역대 10번째, 2기생 중에서는 최초로 구독자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4년 8월 28일부로 [[미나토 아쿠아]]가, 2025년 4월 26일부로 [[무라사키 시온]]이 졸업하게 되어 JP에서는 유일하게 '''3인''' 기수가 되었다. ==== hololive 게이머즈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hlg.png|width=50]] || ||<rowbgcolor=#46c2f2> '''[[시라카미 후부키|{{{#fff 시라카미 후부키}}}[br]{{{#fff [ruby(白, ruby=しら)][ruby(上, ruby=かみ)]フブキ}}}]]''' || '''[[오오카미 미오|{{{#fff 오오카미 미오}}}[br]{{{#fff [ruby(大神, ruby=おおかみ)]ミオ}}}]]''' || '''[[네코마타 오카유|{{{#fff 네코마타 오카유}}}[br]{{{#fff [ruby(猫又, ruby=ねこまた)]おかゆ}}}]]''' || '''[[이누가미 코로네|{{{#fff 이누가미 코로네}}}[br]{{{#fff [ruby(戌神, ruby=いぬがみ)]ころね}}}]]''' || ||<v|1><nopad> [[파일:Shirakami_Fubuki_2023_rev.png|width=100%]] ||<v|1><nopad> [[파일:Ookami Mio.png|width=100%]] ||<v|1><nopad> [[파일:Nekomata Okayu.png|width=100%]] ||<v|1><nopad> [[파일:Inugami Koron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ShirakamiFubu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rakamifubuki, 크기=24)] || [[https://youtube.com/@OokamiM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okamimio, 크기=24)] || [[https://youtube.com/@NekomataOkay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ekomataokayu, 크기=24)] || [[https://youtube.com/@InugamiKoro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inugamikorone, 크기=24)] || ||[youtube(UATaOzzxq_0)]|| || 1st 곡 [[We are GAMERS !!!!]] || ||[youtube(C-01aqf-oU8)]|| || 2nd 곡 To Be Continued.... || 게임 플레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유닛. 유닛 탄생 비화가 홀로라이브 내에선 이례적인 편인데, 미오가 막 홀로라이브 오디션을 통과할 무렵엔 기간이 애매해 2기생으로 데뷔시키자니 일정이 너무 빡빡했고, 그렇다고 3기생으로 분류하기엔 한동안 새 맴버를 뽑을 계획도 없었기 때문이다.[[https://youtu.be/d20OAuSZLuQ&t=2450s|#]] 기존 유닛에 편성시키기도 힘들고,[* 2기생은 상술한대로 일정상 힘들고 0기생은 당시 해당 개념자체도 없다시피한데다가, 외부에서 중도 편입된 인물들만을 위한 기수라 정식 입사한 미오와는 맞지도 않았다.] 그렇다고 미오 때문에 신 유닛 결성을 앞당기는 것도 힘들다보니 1기생인 [[시라카미 후부키]][* 후술하듯 고등학교 동창으로서 인연도 있었고, 둘다 게임을 좋아한다는 장점도 있어 게이머즈 취지와 맞았기 때문이다.]와 함께 급하게 2인조 팀으로 결성한게 게이머즈의 시작이 되었다. 미오는 자신이 오디션을 봤을 때 "게임을 좋아한다"고 말한 것을 들은 [[YAGOO]]가 '미오는 [[프로게이머|게임을 굉장히 잘하는 사람]]'인 것으로 착각한 것이 계기가 되어 게이머즈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표현했다. [[https://youtu.be/yp47bu0aSIU&t=1058s|#]] 어떻게든 미오를 유닛에 넣고자 급조한 유닛이다보니 후부키가 1기생과 함께 이중소속되어있는 건 물론이요 미오가 데뷔하고 '''약 반년 뒤'''인 2019년 4월이 돼서야 [[네코마타 오카유]]와 [[이누가미 코로네]]가 합류하면서 데뷔 기수가 제각각인 4인 유닛이 되었다.[* 실제로 오카유와 코로네는 서로를 "유일한 동기"로 표현한다.[[https://youtu.be/HGeP8I8d5yk|#]] ] 초창기 홀로라이브는 시라카미 후부키와 미나토 아쿠아를 제외하면 방송 중에 게임을 플레이하는 멤버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게이머즈 멤버들은 게임 실력이 뛰어난 멤버가 아니라 '게임 플레이 방송을 주력으로 활동하는 멤버'들이었다. 후부키를 제외하면 게임을 경쟁적으로 플레이하기보단 느긋하게 즐기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게이머'의 이미지와는 다소 차이가 나기 때문에 활동 초기부터 팬들 사이에서는 '게이머즈는 왜 게이머즈냐' 라는 질문 겸 우스갯소리가 나오곤 한다. 이후 기존 홀로라이브 멤버들의 방송에서 게임 방송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게 되었고, 페코라[* 다만 페코라의 경우 소위 말하는 실력 상위권이라기보단, 종겜 방송인으로서의 플레이짬과 '''특유의 잔머리'''로 커버하는 경우에 가깝다. 때문에 홀로의 진짜 실력자들 상대로는 온갖 발악을 하다 발리는 모습 자체가 일종의 컨텐츠 겸 이미지가 된 특이 케이스.], 토와, 보탄 등 게임 실력이 뛰어난 멤버들이 속속 홀로라이브에 합류하는 한편 게이머즈 소속 멤버들도 음악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가면서 게이머즈는 다른 기수들과 특별한 차이가 나지 않게 되었다. 다만 그럼에도 알게모르게 게이머즈 소속들은 기본적으로 실력이 좋다는 인식이 퍼져있어서, 홀로 내에서 게임 대회가 열린다 싶으면 후부키, 오카유, 코로네는 거진 항상 우승후보 중 하나로 꼽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초초초초 게이머즈'''와 같이 게이머즈가 중심이 되는 이벤트는 다른 3D 라이브와는 달리 출연자들이 다양한 게임을 플레이하는 등 리얼리티 게임쇼처럼 구성되어 게이머즈만의 개성을 이어가고 있다. 넷 모두 [[식육목]] 생물이고, 그 중에서도 오카유를 제외하면 모두 갯과 생물이다.[* 여우인 후부키, 늑대인 미오, 개인 코로네 모두 식육목 갯과, 고양이인 오카유가 식육목 고양잇과다. 때문에 이들의 레트로 게임 성향, 추정 연배, 평소 이미지 등등으로 인해 한국 한정으로 '개이모즈'라는 별명까지 생길 정도.] 또한 멤버들이 모두 [[시라카미 후부키]]의 현실 친구들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오오카미 미오]]는 후부키의 고등학교 동창이긴 해도 정식으로 오디션을 통과해 홀로라이브에 들어왔지만, [[https://youtu.be/elL7NK5Se4A|#]] 다른 두 사람은 후부키가 자신이 다니던 게임센터에서 친해진걸 계기로 직접 스카우트했다. [[네코마타 오카유]]는 오후에 면접을 본 뒤 당일 오후 6시에 합격이 결정될 정도로 형식상으로만 가볍게 면접을 봤고, [[이누가미 코로네]]는 아예 면접도 보지 않고 오카유를 따라 들어오게 되었다. [[https://youtu.be/YFnVcyfVcjc|#]] 2021년 11월 1일에 [[이누가미 코로네]]가 홀로라이브 전체에서 2번째, JP 최초로 구독자 수 100만 명을 달성하였다. 2022년 6월 7일 오후 10시 42분 쯤에 오오카미 미오가 구독자 수 100만 명을 달성함으로써 EN의 홀로Myth에 이어 두 번째로 전원 모두 100만 명을 넘어선 라인이 되었다. 10월 25일 오후 9시 19분 쯤에 [[시라카미 후부키]]가 홀로 게이머즈의 첫 구독자 수 200만 명을 달성하였다. 2023년 6월 18일에 이누가미 코로네가 홀로라이브 전체에서 7번째, 게이머즈에서 2번째로 구독자 수 200만명을 달성하였다. 2025년 5월 15일에 네코마타 오카유가 게이머즈에서 3번째로 구독자 수 200만명을 달성하였다. ==== 3기생 - Hololive Fantasy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우사다 페코라|{{{#fff 우사다 페코라}}}[br]{{{#fff [ruby(兎, ruby=うさ)][ruby(田, ruby=だ)]ぺこら}}}]]''' || '''[[시라누이 후레아|{{{#fff 시라누이 후레아}}}[br]{{{#fff [ruby(不知火, ruby=しらぬい)]フレア}}}]]''' || '''[[시로가네 노엘|{{{#fff 시로가네 노엘}}}[br]{{{#fff [ruby(白銀, ruby=しろがね)]ノエル}}}]]''' || '''[[호쇼 마린|{{{#fff 호쇼 마린}}}[br]{{{#fff [ruby(宝, ruby=ほう)][ruby(鐘, ruby=しょう)]マリン}}}]]''' ||<bgcolor=#848484> '''[[우루하 루시아|{{{#fff 우루하 루시아}}}[br]{{{#fff [ruby(潤, ruby=うる)][ruby(羽, ruby=は)]るしあ}}}]]''' || ||<v|1><width=20%><nopad> [[파일:Usada Pekora.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809702_994703.webp|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Shirogane Noel.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Houshou marine.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Uruha Rushia.png|width=100%]] || || [[https://youtube.com/@usadapeko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usadapekora, 크기=24)] || [[https://youtube.com/@ShiranuiFla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ranuiflare, 크기=24)] || [[https://youtube.com/@ShiroganeNo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roganenoel, 크기=24)] || [[https://youtube.com/@HoushouMari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ushoumarine, 크기=24)] || [[https://youtube.com/@UruhaRush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uruharushia, 크기=24)] || "판타지 세계에서 찾아온 VTuber(ファンタジーの世界からやって来たVTuber)"라는 컨셉으로 2019년 7~8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멤버들이다. [[우사다 페코라]]와 [[우루하 루시아]]는 다른 멤버들에 비해 일찍 데뷔가 결정되어 7월 중순에 데뷔했고,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3명은 2019년 6월 13일부터 23일까지 공개적으로 열린 오디션을 통해 선발되어 8월 초에 데뷔했다.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073.000030268.html|#]] 홀로라이브에서 '''처음으로''' 기수 체제와 유닛 체제가 일원화되었다는 의의가 있다. 3기생을 시작으로 데뷔 전에 서로 친목을 다질 시간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한 달 간 선배와 콜라보 금지를 걸어 해당 기수만의 개성을 찾을 수 있도록 했으며 해당 기수를 칭하는 호칭이 붙기 시작했다. 그래서 1기생과 2기생은 크게 구분 없이 섞여 활동한 데에 비해 3기생 이후로는 좀 더 기수를 강조하는 활동이 늘어났다. 홀로라이브 콜라보 관계도에서 동기간의 케미가 본격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기수이기도 하다. 동기 간의 분위기는 3기생 이후로 계속 깊어져서, 4기생과 홀로 ID에서는 서로 허물없는 절친한 우정을, 다시 5기생과 홀로 EN에서는 심지어 가족처럼 서로를 아끼는 깊은 유대감을 보여준다. [youtube(F61eDAXtmnw)] 2021년 11월 25일 첫 3기생 라이브를 기념해서 단체곡 [[いんたらくとふぁんたじあ| 인터랙트 판타지아]]가 공개되었다. 2022년 2월 24일, [[우루하 루시아]]가 계약 규정 위반에 의해서 계약이 해지되었다. 2022년 8월 1일, [[호쇼 마린]]이 홀로라이브 JP 멤버 중에서 최초로 구독자 '''200만 명'''을 달성했다. 그리고 3일 오후 9시 26분 기점으로 [[우사다 페코라]]가 홀로라이브 JP 멤버 중에 두 번째로 구독자 '''200만 명'''을 달성했다. 일본 버추얼 유튜버 중 구독자 수 2, 3위에 올라선 것이다. 2023년 6월 15일 후레아의 100만 내구방송으로 모든 멤버가 유튜브 구독자 100만을 달성했다. 이로 인해 홀로라이브 전체에서 Myth, 게이머즈, 5기생에 이어 4번째로 구성원 전원이 100만을 달성한 기수가 되었다. 2024년 1월 10일 마린이 '''구독자 300만 명'''을 돌파하였다. [[https://twitter.com/houshoumarine/status/1745090832917504446|#]] 이는 [[가우르 구라]]에 이어 홀로라이브에서 두 번째, 모든 버추얼 유튜버 중에선 세 번째, 홀로라이브 JP에서는 최초이다. 돌파 직후 몇 시간만에는 301만 명까지 달성하면서, 기존 일본 버추얼 유튜버 구독자 수 1위였던 [[키즈나 아이]]를 제치며 1위가 되었고, 전 세계 버추얼 유튜버 중에선 2위가 되었다. 2025년 2월 18일, [[시로가네 노엘]]이 '''구독자 200만 명'''을 달성했다. 2025년 5월 5일, [[호쇼 마린]]이 '''구독자 400만 명'''을 달성했다. ==== 4기생 - holoForce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아마네 카나타|{{{#fff 아마네 카나타}}}[br]{{{#fff [ruby(天, ruby=あま)][ruby(音, ruby=ね)]かなた}}}]]''' || '''[[츠노마키 와타메|{{{#fff 츠노마키 와타메}}}[br]{{{#fff [ruby(角巻, ruby=つのまき)]わため}}}]]''' || '''[[토코야미 토와|{{{#fff 토코야미 토와}}}[br]{{{#fff [ruby(常闇, ruby=とこやみ)]トワ }}}]]''' || '''[[히메모리 루나|{{{#fff 히메모리 루나}}}[br]{{{#fff [ruby(姫森, ruby=ひめもり)]ルーナ}}}]]''' ||<bgcolor=#848484> '''[[키류 코코|{{{#fff 키류 코코}}}[br]{{{#fff [ruby(桐生, ruby=きりゅう)]ココ}}}]]''' || ||<width=20%><nopad> [[파일:Amane Kanata.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Tunomaki Watam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Tokoyami Towa.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Himemori Runa.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Kiryu Koko.png|width=100%]] || || [[https://youtube.com/@AmaneKanat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manekanatach, 크기=24)] || [[https://youtube.com/@TsunomakiWata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sunomakiwatame, 크기=24)] || [[https://youtube.com/@TokoyamiTow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okoyamitowa, 크기=24)] || [[https://youtube.com/@HimemoriLu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include(틀:X(SNS) 로고, 링크=himemoriluna, 크기=24)] || [[https://youtube.com/@KiryuCo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iryucoco, 크기=24)] || 2019년 12월 말부터 활동을 개시하였다. 본인들의 3D 모델링이 나오기 좀 전부터 4번째라는 의미로 홀로포스(holoForce; holo4th)라고 불리고 있다. 게이머즈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동기들 중 늦게 데뷔한 멤버들이 해를 넘겨 데뷔했는데,[* 카나타, 와타메, 코코는 2019년 12월 데뷔, 토와, 루나는 2020년 1월 데뷔.] 이는 카나타, 와타메, 코코가 데뷔하고 직후가 연말시즌이었다보니 연말 기획으로 인해 다른 둘의 데뷔가 조금 더 미뤄졌기 때문이다.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이 본격적으로 하나의 그룹으로서 일체감을 갖기 시작한 시기로, 회사 차원에서도 4기생 데뷔 이전부터 전체 라이브 공연을 기획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었지만 소속 멤버들이 자발적으로 홀로라이브 전체가 참여하는 컨텐츠를 생산한 것은 4기생의 합류, 특히 그 중에서도 [[키류 코코]]가 주축이 되어 추진한 [[ARK: Survival Evolved]] 합동 방송이 시작점이다.[[https://youtu.be/yUNxnppe1PM|#]] [[키류 코코]]가 2021년 7월 1일 졸업하게 되면서 '''홀로라이브 최초로 1년 넘게 활동하고 졸업한 멤버를 배출한 기수'''가 되었으며, 졸업 준비과정에서 멤버들이 서로를 진심으로 위하는 우정어린 모습을 보여주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youtube(k7cpjmkc1Rw)] [[키류 코코]]의 졸업을 앞두고 2021년 6월 25일 오후 6시에 4기생 전원이 참여한 오리지널 곡 [[キセキ結び]]가 발표되어 팬들의 눈물을 뽑아냈다. 키류 코코의 졸업 전에는 아사코코를 중심으로 멤버들이 합방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코코의 졸업 이후에는 2기생 이상으로 멤버들이 각자도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기수가 되었다.[[https://youtu.be/ETS8qkZ332I|#]] 그나마 [[아마네 카나타]]와 [[토코야미 토와]]가 컨셉과 주력 방송 분야가 맞물려 안건 방송이나 라디오 등을 간간이 같이 하고 있고[* 물론 이마저도 ORIO 활동이 끝나자마자 아예 만남이 끊어져버렸다.], 그 외에 4기생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홀로라이브 올스타즈 수준의 대규모 기획이 아닌 이상에야 손에 꼽을 정도. 외려 각 멤버들이 다른 기수의 멤버들이나 타사 소속 버튜버들과 유닛을 맺고 활동하는 것이 더 눈에 띄고 있다. 특이한 점은 그 와중에도 둘씩 만나면 대체로 좋은 케미를 보이며 잘 논다는 것. 2025년 1월 5일 오래간만에 기수 전원이 모여 5주년 기념 라이브를 펼쳤으나 여기서조차 듀엣곡 2곡+단체곡 1곡 외에는 전부 솔로 무대로 꾸린 데다 MC 파트조차 카나루나, 토와타메로 진행하였다. 2024년 4월 2일을 히메모리 루나가 100만을 달성함으로서 myth, 게이머즈, 5기생, 3기생, 2기생을 이어 6번째로 전원 100만인 기수가 되었다. ==== 5기생 - holoFive, 네포라보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유키하나 라미|{{{#fff 유키하나 라미}}}[br]{{{#fff [ruby(雪花, ruby=ゆきはな)]ラミィ}}}]]''' || '''[[모모스즈 네네|{{{#fff 모모스즈 네네}}}[br]{{{#fff [ruby(桃鈴, ruby=ももすず)]ねね}}}]]''' || '''[[시시로 보탄|{{{#fff 시시로 보탄}}}[br]{{{#fff [ruby(獅, ruby=し)][ruby(白, ruby=しろ)]ぼたん}}}]]''' || '''[[오마루 폴카|{{{#fff 오마루 폴카}}}[br]{{{#fff [ruby(尾, ruby=お)][ruby(丸, ruby=まる)]ポルカ}}}]]''' ||<bgcolor=#848484> '''[[마노 알로에|{{{#fff 마노 알로에}}}[br]{{{#fff [ruby(魔乃, ruby=まの)]アロエ }}}]]''' || ||<width=20%><nopad> [[파일:JP5th_Yukihana_Lamy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5th_Momosuzu_Nene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5th_Shishiro_Botan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5th_Omaru_Polka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5th_Mano_Aloe_Profil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YukihanaLam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ukihanalamy, 크기=24)] || [[https://youtube.com/@MomosuzuNe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omosuzunene, 크기=24)] || [[https://youtube.com/@ShishiroBota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shirobotan, 크기=24)] || [[https://youtube.com/@OmaruPol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marupolka, 크기=24)] || [[https://youtube.com/@ManoAlo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anoaloe, 크기=24)] || 2020년 8월 12일 유키하나 라미를 시작으로 데뷔하였다. 초기에는 홀로파이브[* 폴카가 자신의 첫 방송에서 자신이 이 명칭을 지었다고 주장하였다. [[https://youtu.be/uNWPUyAxOKo|첫 방송 56:25부터.]]]라는 이름으로 통칭되었으나, 마노 알로에가 졸업하고 5기생 4명 체제가 안정되면서 2021년부터는 '''네포라보'''(ねぽらぼ)[* 알로에를 제외한 멤버들의 이름 앞글자를 땄다.]라는 이름으로 통칭되고 있다. 기수 전체가 하나가 되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멤버들로, 원래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측에서는 데뷔 전 멤버들에게 "처음에는 서로 뜻이 잘 맞아서 유닛으로 활동하더라도, 시간이 지나 서로 추구하는 것이 달라지면 곤란해질 수 있으니 유닛을 중심으로 활동할지, 각자 하고 싶은 것을 중심으로 활동할지는 신중하게 결정해라"며 다소 우려를 표했다고 한다.[* 훗날 5기생이 라이브 공연을 준비하면서 서로의 입장차이 때문에 [[유키하나 라미]]와 [[오마루 폴카]]가 큰 마찰을 겪었고, 폴카는 이대로 가면 5기생들과 발맞춰 가기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할 정도로 크게 고민한 적이 있었다고 하니 근거 없는 기우는 아니었다.[[https://www.youtube.com/live/dOLs_9Fubic?t=7199s|#]]] 하지만 멤버들은 논의 끝에 다 함께 활동해나가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그 뜻대로 이전 기수들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단체 활동을 하는 기수가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PU1k0_5hOO0&t=2438s|#]] 3기생이 데뷔한 이후에 이루어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되었다. 정식으로 합격 통보를 받은 것은 4기생의 데뷔 직전 무렵이었다고 하며, 그 후 약 1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친 후 데뷔하였다. 이 시기는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의 방향성이 크게 바뀐 시기와 거의 일치하는데, 3기생이 활동할 때만 해도 아이돌 그룹이라는 정체성은 없었으며 사실상 아무런 제약 없이 어떤 방송을 해도 괜찮은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하지만 4기생 데뷔 직후부터 콘서트를 개최하는 등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은 아이돌 활동에 주력하게 되었고, 5기생이 데뷔할 때는 이미 아이돌 그룹이라는 정체성이 강하게 자리잡았다. 즉, 공교롭게도 5기생 멤버들이 오디션에 지원했을 때 기대했던 홀로라이브와 데뷔할 때의 홀로라이브는 사실상 다른 그룹에 가깝게 바뀌었던 것이다. [[유키하나 라미]]는 아이돌 그룹으로서의 홀로라이브에서 활동할 수 있어 굉장히 행복하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면서도 당시에 느꼈던 당혹감을 방송 중에 회상하기도 하였으며, [[https://youtu.be/QduhK-zNwG0|#]] [[시시로 보탄]] 역시 아이돌 그룹의 멤버로서 활동하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지만 활동 초기만 해도 오리지널송은 커녕 노래를 제대로 부를 생각도 전혀 없었다고.[[https://youtu.be/OaSOxZkIEqQ|#]] 뿐만 아니라 5기생보다 1개월 늦게 데뷔한 홀로EN의 HoloMyth 기수에게 굉장한 열등감을 느껴서 기가 죽어 있었다고 한다. [[https://youtu.be/soY4OYrcfO8|#]] [[아마네 카나타]]에 따르면 5기생들은 하나같이 [[외향적]]인 성격이어서 놀랐다고 한다. [[https://youtu.be/qCBur0tE7o8|#]] 후배들과의 첫 만남 자리에서 카나타는 어떻게 대해야 좋을지 몰라 떨고 있는데, 정작 후배인 5기생들 쪽에서 선배인 카나타를 더욱 편안하게 대해 주었다는 것. 화사하게 웃으며 반겨 준 라미, 차분하지만 당당하게 자기소개를 한 보탄, 쉴새없이 말을 쏟아낸 네네, 첫 만남 자리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졸려요" 소리를 한 폴카까지, 첫 인사를 조심스럽게 했던 카나타가 오히려 자기 쪽이 아싸처럼 보일까 봐 걱정하게 될 정도였다고 한다. 토와나 와타메와의 조용했던 첫 만남을 생각하면 4기생들은 전혀 이런 분위기가 아니라고. 그러면서도 진짜 인싸들은 첫 만남에서 쭈뼛거린다는 이유로 상대방이 아싸일 거라며 비웃지 않는다는 말도 덧붙였다. 마인크래프트 홀로라이브 서버에서 5기생이 살 공동주택 「네포라보 빌딩」을 지었다. 디자인이 디자인이다 보니 마음 가는 대로 짓다 보니 저렇게 된 것이 아니냐고 팬들이 호기심을 보였는데 알고 보니 [[https://youtu.be/aMTKmr39CEA|네네의 도안]]대로 충실히 지은 것이라고 한다. 네네가 어두운 방보다 밝은 방이 좋다며 발광석과 바다 랜턴을 애용해 장식해서인지 시청자가 보기엔 눈이 많이 부시다는 특징이 있다. 이후 라미가 네네 50만 구독 달성 기념으로 네포라보 빌딩에 [[https://youtu.be/p3_nMnRFtAU|기념물을 만들었다]]. 2020년 10월경 라미, 보탄, 폴카가 청소부 직업비하로 논란이 되었었다. [[https://youtu.be/EGCETcjUiog|당시 방송 아카이브. 27분 부분부터 문제 발언이 나온다.]] 논란이 발생한 뒷날 트위터를 통해 '의도치 않은 오해'라는 취지의 사과문을 게시했다. 2021년 2월 24일 다 같이 [[https://youtu.be/Yi4go06lexQ|데뷔기념 Q&A 방송]]을 했다. 인상이 많이 바뀐 멤버로 라미가 가장 많이 지목되었으며 본인도 인정했다. 특히 네네는 라미를 병약소녀에서 자기를 패죽일 것 같은 분위기라고 했다. 그런데 네네가 염상 없이 그냥 순수하게 다 같이 '졸업곡'을 부르고 싶다고 해서 시청자들의 가슴을 철렁이게 했다. 초기에 졸업한 알로에를 제외하면 22년 12월 3일부로 네네가 구독자 수 100만을 달성하면서 홀로라이브에서 Myth, 게이머즈에 이어 3번째로 모든 멤버가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 6기생 - 비밀 결사 holoX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Profile_Logo_HoloX.png|width=75]] || ||<rowbgcolor=#46c2f2> '''[[라플라스 다크니스|{{{#fff 라플라스 다크니스}}}[br]{{{#fff ラプラス・ダークネス}}}]]''' || '''[[타카네 루이|{{{#fff 타카네 루이}}}[br]{{{#fff [ruby(鷹, ruby=たか)][ruby(嶺, ruby=ね)]ルイ}}}]]''' || '''[[하쿠이 코요리|{{{#fff 하쿠이 코요리}}}[br]{{{#fff [ruby(博, ruby=はく)][ruby(衣, ruby=い)]こより}}}]]''' || '''[[카자마 이로하|{{{#fff 카자마 이로하}}}[br]{{{#fff [ruby(風, ruby=かざ)][ruby(真, ruby=ま)]いろは}}}]]''' ||<bgcolor=#483d8b> '''[[사카마타 클로에|{{{#fff 사카마타 클로에}}}[br]{{{#fff [ruby(沙, ruby=さ)][ruby(花, ruby=か)][ruby(叉, ruby=また)]クロヱ }}}]]''' || ||<width=20%><nopad> [[파일:JP6th_Laplus_Darkness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6th_Takane_Lui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6th_Hakui_Koyori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6th_Kazama_Iroha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JP6th_Sakamata_Chloe_Non-mask_Profil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LaplusDarknes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LaplusDarknesss, 크기=24)] || [[https://youtube.com/@TakaneLu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akanelui, 크기=24)] || [[https://youtube.com/@HakuiKoyo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akuikoyori, 크기=24)] || [[https://youtube.com/@kazamairoh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zamairohach, 크기=24)] || [[https://youtube.com/@SakamataChlo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akamatachloe, 크기=24)] || [youtube(mUlIbQlazLU)] >そこに跪け! >거기에 무릎꿇어라! >掃いて棄てるような現実を! >토해버리고싶은 현실을! >一刀両断ぶった切る! >일도양단 베어버리고! >終わりなき輪廻に迷いし子らよ! >끝없는 윤회에서 헤메이는 아이들아 >漆黒の翼で誘おう! >칠흑의 날개로 감싸 안아주지 >我ら、エデンの星を統べる者!秘密結社 >우리들 에덴의 별을 지배하는자! 비밀결사 >holoX~! >---- >HoloX 5인 합방시 사용하는 전용 인삿말 2021년 11월 26일에 공개된 JP 6기다. 공식적인 명칭은 "비밀결사 holoX(秘密結社holoX)".[* holoX의 읽는 법은 "홀로 엑스"가 아니라 "홀록스(ホロックス, ho-looks)"다. [[https://twitter.com/tanigox/status/1464074280967106567|#]] [[https://twitter.com/omegaalpha_en/status/1464077400799539203|#]] 일본식으로 읽으면 호록쿠스가 되는 것을 감안하면 6 이 일본어로는 로쿠(ろく)로 읽히고 영어 Six가 일본식으론 シックス인 것을 동시에 이용한 말장난 인 것으로 보인다.] 6기생 각자가 해당 조직에 소속된 조직원이라는 설정이다. EN 출범 이전의 기수들과 달리 통일된 세계관을 들고 나온 것이 특징인데,[* 함께 데뷔하는 한 기수에 통일된 하나의 세계관을 적용한 것은 홀록스 데뷔 이전까지는 EN 1,2기 밖에 없었다.] 이 덕택에 데뷔 방송에서부터 holoX의 조직내 관계를 이용한 티키타카가 쉽게 오고가는 모습이 곧잘 보이곤 한다.[* 기존 홀로라이브 멤버들은 같은 기수 내에서도 설정이 제각각이라 한 세계관으로 엮기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hololive Alternative]]에서도 온전한 한 기수가 같은 세계관으로 등장한 장면이 없었다.] 상술된 세계관 통일로 인하여 캐릭터 설정에 맞춰 소위 방송각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홀로라이브 측에서도 6기생 단체 굿즈를 출시하고 6기생 전체 팬덤에게 홀록서(holoXer)라는 이름을 붙여주는 등 시청자들에게 유닛 활동을 어필하였으며, 내부적으로도 한때 홀로라이브 멤버들에게 "6기생"이라는 이름으로 부르지 말 것을 부탁하는 등 기존 기수들과 차별화되는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GiYDfEOjExM&t=880s|#]] 캐릭터별 역할 안배도 어느정도 유사 가족 형태로[* JP멤버 일부 인물간의 케미 및 EN 1기의 인기 요인 중 하나로 가족적인 구도로 인해 멤버 간 원활한 주고받기 및 어느정도 예상되는 관계성을 통하여 확보되는 방송 안정성이 큰 장점. 6기생 역시 어머니 혹은 맏언니 역할을 하는 간부 루이. 그리고 코요리, 클로에, 이로하가 자매같은 역할로 포진해있고 마지막으로 우두머리 총수지만 사실상 막내 입장인 라플라스로 이루어져있다. 실제 성격적인 부분까지 고려하여 각자의 RP자체도 이러한 구도를 의식해 배분된 것으로 보인다.] 안배가 되어있어 역시 안정적인 방송 구도에 한 몫 보태고 있다. 다만 비교적 어른스러운 느낌의 3기생과 달리 루이를 제외하고는 어딘가 애들같은 느낌이 강해서 장난스러운 분위기가 자주 나오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홀록스만의 전통(?)이 하나 있는데 홀록스 멤버중 한명이 생일을 맞이한다면 0시 생일이 되자마자 나머지 멤버들이 단체로 몰려와 아주 빠르게 생일축하를 해주고 도주하는 것이다. 데뷔 당시 여러모로 팬들을 놀래킨 기수인데, 발표 당시까지 어떠한 정보는 커녕 데뷔를 준비하고 있다는 낌새도 없었던데다, 그렇게 기습적으로 PV를 공개한 '''당일 저녁부터''' 하루에 한 명씩 데뷔한다는 파격적인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그동안 새로운 멤버에 대한 정보는 공식적으로 지원자를 모집했던 ID 3기가 끝이었고, 2020년 3월부터 두 캐릭터에 대해 실시한 오디션이 2021년 11월 2일에 적당한 지원자가 없다는 이유로 종료된다는 공지를 한 적도 있어서 [[https://twitter.com/hololivetv/status/1455369070384062468|#]][* 해당 공지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일러스트레이터들은 "다른 형태로 협력을 받을 예정" 이라는 언급이 있었는데, 실제로 당시 두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파세리(일러스트레이터)|파세리]]와 かかげ 둘 다 6기생 캐릭터 디자인으로 참여했다. 6기생의 트위터 계정 생성은 2021년 9월, 유튜브 채널 생성은 9월 12일이라 늦어도 해당 공지 이전이며, 후술할 신년 의상 매우 빨리 나온 것과 별개로 다른 형태로 협력 자체는 오디션 종료 공지에서 언급 당시 기준으로 이미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빠른 시일 내에 다른 멤버가 들어올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 어려웠던 탓도 크다. 특히 홀로 EN 2기 생이 데뷔한지 겨우 3달째라 더욱 예상이 안 되는 상황이었다. 홀로라이브 멤버들에게도 6기생이 데뷔를 할 것이라는 것만 알려주고 구체적인 일정을 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https://youtu.be/SYBRNHHa-Ks|#]] 이전 5기가 데뷔한지 1년이 넘어가는 시점이라 하반기 중 데뷔 가능성이 있기는 했다. 한편 데뷔 발표 12일 전인 2021년 11월 14일, 홀로EN 끼리의 잭박스 콜라보에서 "매우 올바르고 건전한 성인 채널의 이름은?"이라는 질문이 나왔을 때 Myth의 [[왓슨 아멜리아]]가 HOLOLIVE X[* [[https://en.wikipedia.org/wiki/Television_X|영국의 성인채널 Television X]] 패러디.] 라는 드립을 쳤었다. 이후 정말로 JP 6기생이 holoX라는 이름으로 데뷔했기에 아메는 [[https://twitter.com/watsonameliaEN/status/1464074218534961155|"거봐 내가 뭐랬어"]]라고 트윗을 남겼고, 팬들은 시간여행자답게 미래에서 보고와서 까발린거였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합격한 멤버들인 만큼 데뷔 방송부터 모두 생방송에 익숙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시청자들과 어떻게 대화해야 할지 잘 알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각 멤버들의 방송 재능이 워낙에 뛰어나다 보니 예전 홀로EN 1기생 데뷔 때처럼 선배들이 많은 충격을 받기도 했다. 심지어 홀로스타즈에서도 6기생들의 방송을 지켜보고는 캐릭터가 겹치면 [[멘붕]]할 선배들 많겠다며 우려했을 정도. 이 와중에 일부 악성 시청자들이 슈퍼챗으로 '오시헨', 즉 "널 차버리고 6기생에게 가겠다"는 식의 최애 갈아타기 선언을 '''[[유키하나 라미|당사자]] 면전에 대놓고''' 하기도 하여 팬덤의 지탄을 받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토코야미 토와]]나 [[아카이 하아토]]처럼 6기생 후배들과 투닥거리면서 자기 캐릭터성이 강해지는 사례들도 있다. 2022년 새해를 맞아 [[모모스즈 네네]]와 함께 새로운 복장을 공개한다. [[https://twitter.com/hololivetv/status/1475662966309933058|#]] 멤버마다 설빔을 받는 것은 으레 있는 연례 행사이지만, 그것을 고려해도 6기생은 데뷔 후 이례적으로 빠르게 추가 복장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IRyS]]와 EN 2기생을 비롯한 다른 멤버들의 팬 사이에서는 가볍게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질 예정이었던 [[IRyS]]를 제외한 EN 멤버 전원이 설빔을 받게 되었다.] 2022년 4월 27일 기점으로 데뷔한지 약 5개월만에 [[타카네 루이]]가 유튜브 구독자 50만 달성하면서 홀록스 전원이 50만을 돌파했다. 2022년 6월 3일에 이로하의 3D 데뷔를 공지하면서 데뷔한지 6개월 좀 되는 시점부터 6기생들의 3D 데뷔가 시작되는 것을 알렸다. 특이하게도 가장 나중에 데뷔한 카자마 이로하를 시작으로 역순으로 3D를 진행하고있다. 그리고 6월 27일, 라플라스의 3D 데뷔를 마지막으로 모든 6기생이 3D 데뷔에 성공하였다. 6월 30일 홀록스 단체 라이브에서 자신들의 비밀기지를 공개했다. 데뷔 1주년이 가까워지며 1주년 기념으로 국내 지하철 광고 모금을 시작했다. [[https://twitter.com/1Holox/status/1563364362122711040|#]] 이후 모금액이 충분히 모여 합정역 8번출구에 광고가 개시되었으며, 광고 트윗에 라플라스 본인이 등판해 한글로 쓴 답글을 달거나, 코요리가 해당 트윗을 알리는 등 홀록스 멤버들에게 응원의 메시지가 분명히 전달되었다.[[https://twitter.com/1Holox/status/1591003275352248320|#]] 2022년 11월 16일 오프콜라보 방송에서 데뷔 1주년 기념 중대공지를 발표했다. 11월 26일부터 라플라스 다크니스를 시작으로 5일 연속 릴레이 라이브 공연 및 아이돌 의상을 선보일 예정이고, 12월 4일에는 새로운 유닛곡을 공개한다. 그 외에 애니메이트 콜라보 굿즈 발매 및 점프 표지 모델 등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렸고, 마지막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SD 캐릭터의 실루엣을 띄워 놓고 holoX 신멤버가 등장한다는 장난 섞인 공지를 해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더했다. 그리고 holoX의 대망의 신멤버는 holoXer, 즉 시청자였다. 2023년 2월 18일 [[사카마타 클로에]]가 holoX 멤버중 가장먼저 구독자 100만을 달성했는데 이는 데뷔한지 447일로 JP멤버중에 3번째로 빠르게 100만을 달성했다.[* 가장 빠른 멤버는 [[키류 코코]](417일) 그 다음은 [[시시로 보탄]](429일)이다.] 2023년 7월 3일 [[라플라스 다크니스]]가 holoX에서 2번째로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2023년 9월 24일 [[하쿠이 코요리]]가 holoX에서 3번째로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2024년 11월 16일 [[타카네 루이]]가 holoX에서 4번째로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2024년 11월 19일 [[카자마 이로하]]를 마지막으로 holoX 전원이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Myth, 게이머즈, 5기생, 3기생, 2기생, 4기생, 0기생에 이은 8번째 전원 구독자 100만 명 달성 기수가 되었다. 2025년 1월 26일 부로 [[사카마타 클로에]]의 방송 활동이 종료된다. [[왓슨 아멜리아]]에 이은 졸업이 아닌 2번째 사례. === [[hololive INDONESI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INDONESIA)] ==== 1기생 - AREA15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아윤다 리스|{{{#fff 아윤다 리스}}}[br]{{{#fff Ayunda Risu}}}]]''' || '''[[무나 호시노바|{{{#fff 무나 호시노바}}}[br]{{{#fff Moona Hoshinova}}}]]''' || '''[[아이라니 이오피프틴|{{{#fff 아이라니 이오피프틴}}}[br]{{{#fff Airani Iofifteen}}}]]''' || ||<v|1><width=33%><nopad> [[파일:hololiveIN_Ayunda_re.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IN_Moona_r.png|width=100%]] ||<v|1><width=33%><nopad> [[파일:hololiveIN_Airani_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AyundaRis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yunda_risu, 크기=24)] || [[https://youtube.com/@MoonaHoshino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oonahoshinova, 크기=24)] || [[https://youtube.com/@AiraniIofifte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iraniiofifteen, 크기=24)] || ==== 2기생 - HOLORO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쿠레이지 올리|{{{#fff 쿠레이지 올리}}}[br]{{{#fff Kureiji Ollie}}}]]''' || '''[[아냐 멜핏사|{{{#fff 아냐 멜핏사}}}[br]{{{#fff Anya Melfissa}}}]]''' || '''[[파볼리아 레이네|{{{#fff 파볼리아 레이네}}}[br]{{{#fff Pavolia Reine}}}]]''' || ||<width=33%><nopad> [[파일:Kureiji_Ollie.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Anya_Melfissa.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Pavolia_Rein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KureijiOlli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ureijiollie, 크기=24)] || [[https://youtube.com/@AnyaMelfis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nyamelfissa, 크기=24)] || [[https://youtube.com/@PavoliaRei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pavoliareine, 크기=24)] || ==== 3기생 - HOLOH3RO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베스티아 제타|{{{#fff 베스티아 제타}}}[br]{{{#fff Vestia Zeta}}}]]''' || '''[[카엘라 코발스키아|{{{#fff 카엘라 코발스키아}}}[br]{{{#fff Kaela Kovalskia}}}]]''' || '''[[코보 카나에루|{{{#fff 코보 카나에루}}}[br]{{{#fff Kobo Kanaeru}}}]]''' || ||<width=33%><nopad> [[파일:VestiaZeta.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KaelaKovalskia.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KoboKanaeru.png|width=100%]] || || [[https://youtube.com/@VestiaZet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vestiazeta, 크기=24)] || [[https://youtube.com/@KaelaKovalsk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elakovalskia, 크기=24)] || [[https://youtube.com/@KoboKanae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obokanaeru, 크기=24)] || === [[hololive ENGLIS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ENGLISH)] ==== Myth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Profile_Logo_HoloMyth_White.png|width=100]] || ||<rowbgcolor=#46c2f2> '''[[모리 칼리오페|{{{#fff 모리 칼리오페}}}[br]{{{#fff Mori Calliope}}}]]''' || '''[[타카나시 키아라|{{{#fff 타카나시 키아라}}}[br]{{{#fff Takanashi Kiara}}}]]''' || '''[[니노마에 이나니스|{{{#fff 니노마에 이나니스}}}[br]{{{#fff Ninomae Ina'nis}}}]]''' ||<bgcolor=#483d8b> '''[[왓슨 아멜리아|{{{#fff 왓슨 아멜리아}}}[br]{{{#fff Watson Amelia}}}]]''' ||<bgcolor=#848484> '''[[가우르 구라|{{{#fff 가우르 구라}}}[br]{{{#fff Gawr Gura}}}]]''' || ||<width=20%><nopad> [[파일:EN1st_Mori_Calliope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타카나시 키아라.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1st_Ninomae_Ina'nis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1st_Watson_Amelia_Profil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1st Gawr Gura Profile!.webp|width=100%]] || || [[https://youtube.com/@MoriCalliop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oricalliope, 크기=24)] || [[https://youtube.com/@TakanashiKia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akanashikiara, 크기=24)] || [[https://youtube.com/@NinomaeInan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inomaeinanis, 크기=24)] || [[https://youtube.com/@WatsonAmel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watsonameliaen, 크기=24)] || [[https://youtube.com/@GawrGu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gawrgura, 크기=24)] || ==== Promise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IRyS|{{{#fff 아이리스}}}[br]{{{#fff IRyS}}}]]''' || '''[[오로 크로니|{{{#fff 오로 크로니}}}[br]{{{#fff Ouro Kronii}}}]]''' || '''[[하코스 벨즈|{{{#fff 하코스 벨즈}}}[br]{{{#fff Hakos Baelz}}}]]''' || ||<width=33%><nopad> [[파일:IRyS_2022_Portrait.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오로 크로니.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EN_Hakos_Baelz_Profil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IRy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irys_en, 크기=24)] || [[https://youtube.com/@OuroKroni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urokronii, 크기=24)] || [[https://youtube.com/@HakosBael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akosbaelz, 크기=24)] || ||<rowbgcolor=#848484> '''[[츠쿠모 사나|{{{#fff 츠쿠모 사나}}}[br]{{{#fff Tsukumo Sana}}}]]''' || '''[[세레스 파우나|{{{#fff 세레스 파우나}}}[br]{{{#fff Ceres Fauna}}}]]''' || '''[[나나시 무메이|{{{#fff 나나시 무메이}}}[br]{{{#fff Nanashi Mumei}}}]]''' || ||<width=33%><nopad> [[파일:EN2nd_Tsukumo_Sana_Profile.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EN2nd_Ceres_Fauna_Profile.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EN2nd_Nanashi_Mumei_Profil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TsukumoSa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sukumosana, 크기=24)] || [[https://youtube.com/@CeresFau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ceresfauna, 크기=24)] || [[https://youtube.com/@NanashiMume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anashimumei_en, 크기=24)] || ==== [[hololive ENGLISH#Advent|Advent]]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holoadvent_w.png|width=100]] || ||<rowbgcolor=#46c2f2> '''[[시오리 노벨라|{{{#fff 시오리 노벨라}}}[br]{{{#fff Shiori Novella}}}]]''' || '''[[코세키 비쥬|{{{#fff 코세키 비쥬}}}[br]{{{#fff Koseki Bijou}}}]]''' ||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fff {{{#fff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br]Nerissa Ravencroft}}}]]''' || '''[[후와와 어비스가드|{{{#fff 후와와 어비스가드}}}[br]{{{#fff Fuwawa Abyssgard}}}]]''' || '''[[모코코 어비스가드|{{{#fff 모코코 어비스가드}}}[br]{{{#fff Mococo Abyssgard}}}]]''' || ||<width=20%><nopad> [[파일:シオリ・ノヴェラ_r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古石ビジュー_r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ネリッサ・レイヴンクロフト_r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フワワ・アビスガード_re.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モココ・アビスガード_re.png|width=100%]] || || [[https://youtube.com/@ShioriNovel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hiorinovella, 크기=24)] || [[https://youtube.com/@KosekiBijo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osekibijou, 크기=24)] || [[https://youtube.com/@NerissaRavencrof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erissa_en, 크기=24)] ||<-2> [[https://youtube.com/@FUWAMOCOc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fuwamoco_en, 크기=24)] || ==== [[hololive ENGLISH#Justice|Justice]]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fff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br]{{{#fff Elizabeth Rose Bloodflame}}}]]''' || '''[[지지 무린|{{{#fff 지지 무린}}}[br]{{{#fff Gigi Murin}}}]]''' || '''[[세실리아 이머그린|{{{#fff 세실리아 이머그린}}}[br]{{{#fff Cecilia Immergreen}}}]]''' || '''[[라오라 판테라|{{{#fff 라오라 판테라}}}[br]{{{#fff Raora Panthera}}}]]''' || ||<width=20%><nopad> [[파일:EN3_EBRB.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4_gigi.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4_Cecilia.png|width=100%]] ||<width=20%><nopad> [[파일:EN4_Raora.png|width=100%]] || || [[https://youtube.com/@holoen_erbloodfla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ERBloodflame, 크기=24)] || [[https://youtube.com/@holoen_gigimuri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gigimurin, 크기=24)] || [[https://www.youtube.com/@holoen_ceciliaimmergre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ceciliaimgreen, 크기=24)] ||<-2> [[https://youtube.com/@holoen_raorapanthe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aorapanthera, 크기=24)] || === hololive DEV_IS === 홀로라이브 서머 2023 3D LIVE Splash Party!를 통해 처음으로 티저가 공개된 프로젝트로서, '도전'과 '성장'을 키워드로 삼는 여성 버튜버 그룹이다. 2023년 9월 발족하였으며[[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978.000030268.html|#]] 9월 4일 첫 기수 ReGLOSS의 '[[瞬間ハートビート|순간 하트비트]]'의 [[https://youtu.be/Ix_uXN_ybxc|MV를 공개]] 하면서 홀로라이브 내에서 최초로 데뷔보다도 MV가 먼저 공개되는 케이스가 되었다. 과거 [[이노나카 뮤직]]처럼 홀로라이브와 별도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홀로라이브의 산하 그룹이다. ReGLOSS 데뷔 후 약 1개월 뒤 [[https://note.cover-corp.com/n/n888b0e676304|커버 노트]]를 통해 공개된 바로는, 하나의 내용에 특화한 새로운 "'''도전'''"을 유닛 단위로 실시해, 리스너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것을 테마로 한 그룹으로, 종래의 홀로라이브 그룹들과 비교해 유닛 중심의 활동을 더욱 중점적으로 시행한다고 한다. DEV_IS라 쓰고 '''디바이스'''라고 읽는데, DEV는 개발(Development)을, IS는 거기에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그리고 합쳐서 '''Device'''가 되는 일종의 [[역두문자어]] 말장난. 타 홀로라이브 그룹과의 확실한 차별점 중 하나로 '''프로듀서의 존재'''와 '''그룹 활동'''을 들 수 있다. 개개인의 방송은 기존 기수들처럼 자율적으로 돌아가지만, 그룹 단위의 행동에 있어서 리글로스 전체를 통괄하는 프로듀서의 존재가 멤버들로부터 여러차례 언급되었고, 상술한 커버 노트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플로글로에는 프로듀서의 존재가 언급된 걸로 보아 각 유닛마다 별개의 프로듀서가 배정된 모양. 그 외에도 다른 그룹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인지,[* 일반적인 JP에서의 작명법은 앞 부분에는 한자 두 글자, 뒷 부분은 가나 세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단, [[시라누이 후레아|후레아]]나 [[토코야미 토와|토와]]처럼 앞 뒤부분에 한 글자를 빼거나 더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라플라스 다크니스|라플라스]]처럼 아예 벗어나는 예외도 몇 있다.] ReGLOSS의 경우에는 이름이 전부 한자로 이루어져 있거나, 아예 뒷부분이 글자 하나로 이루어진 멤버들이 있다.[* [[이치조 리리카]]가 [[々]]를 제외하고 전부 한자로 이루어져 있고, [[히오도시 아오]]나 [[오토노세 카나데]]의 이름은 훈독이지만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이전까지 홀로라이브에서 이름 전체를 한자로 표기하는 멤버는 EN의 [[니노마에 이나니스]]뿐이며, 그마저도 굉장히 특이한 작명/표기법이었다.] 심지어 [[주우후테이 라덴|라덴]]처럼 앞 부분이 네 글자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그나마 ReGLOSS에서 기존의 JP 작명법에 가까운 형태는 [[토도로키 하지메]] 정도밖에 없을 정도로 기존의 JP와 다른 스타일의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DEV_IS의 이 방향성에 대해 첫 기수인 리글로스의 오디션 단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다고 여겨지는데, 홀로라이브 오디션을 2회 보았다는 오토노세 카나데의 말에 따르면, 처음 오디션[* JP 6기 였을 것으로 추측]에선 오디션 명에 기수가 적혀있었는데, 두번째 오디션[* DEV_IS 1기]에선 기수 표시 없이 그냥 홀로라이브 오디션이라고만 적혀있어서 기존 기수와는 다른 팀을 뽑는건가?라고 짐작한 정도였다고 한다. 물론 이는 오디션 참가자를 통한 간접적인 정보 누설을 경계한 것일 수는 있다. 소속 멤버들이 평범하게 일본어를 메인으로 사용하기는 하지만 JP와는 분리되어 있으며 여러 멤버들이 ID, EN과 같은 별도의 그룹이라고 언급하였다. JP, EN, ID를 비롯한 홀로라이브 멤버에서 있었던 여태까지 있었던 판타지스러운 컨셉과는 달리 현실적인 설정을 하고 있으며 전원 순수 인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데바이스 단체곡이 새로 나오면 해당 뮤비에 나온 일러스트로 프로필 사진으로 바뀐다. ==== ReGLOSS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regloss_logo_white.png|width=120]] || ||<rowbgcolor=#46c2f2> '''[[히오도시 아오|{{{#fff 히오도시 아오}}}[br]{{{#fff [ruby(火, ruby=ひ)][ruby(威, ruby=おどし)][ruby(青, ruby=あお)][br]hiodoshi ao}}}]]''' || '''[[오토노세 카나데|{{{#fff 오토노세 카나데}}}[br]{{{#fff [ruby(音, ruby=おと)][ruby(乃, ruby=の)][ruby(瀬, ruby=せ)][ruby(奏, ruby=かなで)][br]otonose kanade}}}]]''' || '''[[이치조 리리카|{{{#fff 이치조 리리카}}}[br]{{{#fff [ruby(一, ruby=いち)][ruby(条, ruby=じょう)][ruby(莉, ruby=り)][ruby(々, ruby=り)][ruby(華, ruby=か)][br]ichijou ririka}}}]]''' || '''[[주우후테이 라덴|{{{#fff 주우후테이 라덴}}}[br]{{{#fff [ruby(儒, ruby=じゅ)][ruby(烏, ruby=う)][ruby(風, ruby=ふう)][ruby(亭, ruby=てい)]らでん[br]Juufuutei Raden}}}]]''' || '''[[토도로키 하지메|{{{#fff 토도로키 하지메}}}[br]{{{#fff [ruby(轟, ruby=とどろき)]はじめ[br]Todoroki Hajime}}}]]''' || ||<v|1><width=20%><nopad> [[파일:히오도시 아오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오토노세 카나데 이미지.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이치조 리리카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주후테이 라덴 프로필.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토도로키 하지메 프로필.png|width=100%]] || || [[https://youtube.com/@HiodoshiA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iodoshiao, 크기=24)] || [[https://youtube.com/@OtonoseKana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tonosekanade, 크기=24)] || [[https://youtube.com/@IchijouRiri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ichijouririka, 크기=24)] || [[https://youtube.com/@JuufuuteiRad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juufuuteiraden, 크기=24)] || [[https://youtube.com/@TodorokiHaji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odoroki_hajime, 크기=24)] || [include(틀:ReGLOSS 디스코그래피)] >Reach the top! >We are ReGLOSS! > --ReGLOSS 단체 활동할 때 나오는 인사말[* 카나데가 제안한 인삿말이라고 한다. 보통 공식방송에서 주로 진행을 맡는 리리카가 We are까지 선창하고 ReGLOSS를 동시에 외친다. 방송에 따라서는 해당 기획에서 진행을 담당하는 다른 멤버가 선창하기도 한다.] 홀로라이브 신규 브랜치 DEV_IS의 첫 번째 기수이자 음악 아티스트로서의 활동을 메인으로 표방하는 그룹. 2023년 9월 9일~10일에 걸쳐 데뷔하였다. 순수 [[아이돌|아이돌 그룹]]으로서 공개되었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드디어 [[YAGOO]]가 작정하고 아이돌 그룹을 추진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많았으며, 실제 6주년 기념 공식 방송에서 YAGOO가 [[K-POP]]처럼 홀로라이브가 해외로 더 퍼져나갔으면 좋겠다고 밝히는 등 실제 K-POP 아이돌 그룹을 벤치마킹한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많았다.[[https://www.fmkorea.com/6159756728|#]] DEV_IS 채널을 별도로 만들고 7일에 걸친 카운트다운 영상에 선 단체곡 MV 공개, 공식 방송에서 라이브 2D 모델 전격 공개 등 상당히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타 기수에 비해 유독 데뷔 발표 후 첫방송까지 걸린 기간이 길었고 그로 인해 온갖 루머가 난무했다. 설상가상으로 갑작스러운 구독자 증가를 비정상적인 활동이라고 인지한 유튜브에 의해 구독자 수가 몇 차례나 강제로 조정되는 바람에 모든 멤버들의 데뷔 전 구독자 수가 3만 명 정도에서 정체되는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했다. 음악 아티스트 그룹이라는 호언장담에도 불구하고 데뷔 방송부터 하나같이 장난기 많은 면모를 잔뜩 발산함은 물론 게임방송을 포함한 통상적인 방송 일정을 발표하는 등 기존 홀로멤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평이 많았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애초에 음악 아티스트 컨셉의 멤버들을 따로 뽑은게 아니기 때문으로 개개인의 노래 실력도 그다지 특출나다고 보기 어려우며,[* 일본 아이돌은 완성형을 내놓는 우리나라와 달리 '팬의 응원을 받아가며 성장한다'는 성장 스토리를 중시하기 때문에 데뷔 당시에는 실력 자체가 높지 않은 아이돌도 상당히 많다. 그나마 음악 중시를 표방한 [[오토노세 카나데]]가 데뷔 초부터 비교적 안정적인 가창력을 선보였다.] 사실상 기존 기수와의 차이점이 있는지조차 의문이라는 반응이 많다. 오히려 기존 홀로멤들의 장난기나 광기를 능가하는 무시무시한 첫인상을 줄줄이 남기더니, 이후 방송에서는 다들 또다른 면모를 보여주면서 기존 홀로라이브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강렬한 개성들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도 데뷔 방송 직후 처음으로 모두가 모인 콜라보 방송에서 순간 하트비트 MV가 100만 조회수를 돌파하자마자 곧바로 두번째 싱글 앨범 제작이 결정된 것을 보면 음악에 대한 비중을 많이 두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ReGLOSS는 1주년을 맞이하기까지 낸 기수 단체 오리지널 곡만 4곡에, 수십개가 넘는 커버 영상을 올리며 엄청난 음악 활동량을 보여주고 있다. 솔로곡 역시 1주년을 전후하여 리리카를 시작으로 속속 발매되는 중. 평균적인 게임 실력은 '''전 그룹 최약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멤버 대부분이 살면서 게임을 접할 기회가 드물었던 듯 하며, 그나마 [[이치조 리리카|리리카]]가 다양한 게임을 많이 접해본 티가 나는 정도이다. [[점프킹]] 콜라보에서 1시간 동안 단 한 명도 1스테이지조차 돌파하지 못하는 등 게임 감각 자체가 둔한 멤버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비디오 게임 뿐만 아니라 데뷔 2주 만에 해금된 holoX와의 콜라보 대결에서 개인전 전적 1승 4패(하지메만 승리), 단체전 패배 등 종목을 가리지 않고 모조리 패배하며 해당 밈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페코라의 아소비대전 역도츠에서는 카나데, 리리카, 라덴 셋이 맞붙어 상대전적 '''24대 1'''[* 카나데 1승 1무 6패, 리리카 9패, 라덴 9패. 카나데는 1대 3에서 막판 뒤집기 3승짜리 판을 했으나 무승부를 기록해 가위바위보로 결정, 패배하였고 리리카와 라덴은 처참한 실력으로 전패를 박자 마지막 역전의 기회로 수련회 메타를 열어 각각 5승짜리 판을 했는데 그마저 패배하였다. 오셀로를 셋 다 골랐으나 페코라가 봐준 카나데만 겨우 무승부에 나머지는 참패했고 특히 라덴은 무려 요트로 페코라에게 더블스코어 이상의 격차로 압살당함은 물론 룰을 하나도 몰라 페코라가 훈수까지 둘 정도로 끔찍한 실력을 뽐냈다. 운까지 따르지 않은 결과 최종 점수가 무려 69점이다.]이라는 경악스러운 스코어로 압살당하며 공인 최약체 기수 인증이 박혔다. 홀로정월컵 2024에서는 5명이 모두 출전해 하지메 이외 전원 자코배행이라는 참사가 났다.[* 그나마 긴급하게 대타로 출전해 겨우 3일 연습한 것이 다인 라덴은 그렇다 치고 그 라덴보다 한참 못하는 멤버가 둘이나 있었으며, 끝내 아오는 자코배 최하위를 기록하며 초코에 이은 자코 패왕이 됐다. 유일하게 츠요배에 진출한 하지메가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엄청난 실력으로 다크호스가 되어 츠요배 최종 3위로 첫 출전에 동메달을 목에 건 것이 위안이라면 위안. 리리카는 본래 자코배는 아니었지만 무메이가 건강문제로 빠지게 되면서 바로 윗 순위에 있던 리리카가 끌려들어가게 되었고 자코배에서도 우승에는 실패, 3위를 기록하였다.] 다만 2024년에 들어 카나데가 각종 슈팅 게임에서 엄청난 피지컬을 발휘하고, 갓필드 대회에서도 뇌지컬로 순식간에 속공을 퍼부어 상대가 뇌정지에 걸리게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두각을 드러내는 중이다. 9월 22일 데뷔 2주도 안 된 시점에 콜라보 해금이 되었는데, 데바이스 공식 채널에서 holoX와의 5:5 콜라보를 진행함으로써 '''실질적인 JP 7기생 취급을 받고 있다.'''[* 어드밴트는 EN 기존 기수와의 개인적인 콜라보 방송으로 자연스럽게 해금한 반면, ReGLOSS는 운영 측에서 제안하고 대본 구성까지 맡아 주도해 스튜디오 방송으로 굉장히 본격적으로 진행했다.] 다만 여전히 운영 측에서는 JP가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기 때문에, holoX 멤버들은 'JP 7기생은 아니지만 JP 계열의 첫 후배'라는 어중간한 스탠스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후로도 각종 기획방송에서 JP랑 묶여 JP+ReGLOSS 같은 식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이어지고 있다. 동기들 간의 사이가 굉장히 좋다. 거의 일주일에 한 번씩은 오프콜라보가 있을 정도이며 동기 콜라보 자체가 굉장히 많다. JP 계열 선배들이 하나같이 ReGLOSS 멤버들에게 "이 시기가 제일 한가하니까 이때 놀아라"라고 충고했는데, 이를 몸소 실천하고 있다. 5명이 모여서 하루 종일 노는 날도 많은데, 이런 날 항상 방송은 딱 1시간만 켜기 때문에 "너희들끼리만 재밌게 놀지 말라고!"라는 밈이 있을 정도다. 매월 10일은 ReGLOSS의 날이라고 해서, ReGLOSS 공식 채널에서 컨텐츠를 진행한다.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등의 더 큰 중요 이벤트가 있거나 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 지켜지며, 가끔 ReGLOSS의 날이 아니더라도 공식방송이 올라오기도 한다. 3월 24일 0시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kizunaai&no=9761866|중대 발표]]로 두 번째 오리지널 곡 シンメトリー를 공개하고, 같은 날 19시 하프 애니버서리 기념 방송에서 8월까지 ReGLOSS 구독자를 '''총합 250만 명 이상''' 달성할 경우 3D 모델을 제공할 것이라는 소식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마땅히 축하를 받고 기뻐해야 할 기념일에 오히려 시련을 던져준 것 등에 대해 ReGLOSS 팬덤(glosser)뿐만 아니라 홀로 팬덤, 안티들 사이에서까지도 너무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운영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이유를 몇 가지 살펴보자면, * 만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가장 구독자수가 적은 채널이 타 ReGLOSS 채널의 팬덤에 의한 비난과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며, 그러지 않더라도 멤버 본인의 멘탈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게 뻔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후술하겠지만, 사실상의 목표였던 인당 50만을 달성하지 못했던 카나데가 공식 영상에서 차별대우를 받거나, 뒤늦게 50만을 달성하고 나서야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음을 내비치고 울어버리며 '''"내가 기쁜 마음으로 3D를 받아도 되는 걸까"'''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할 정도로 이러한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그나마 다행으로 도합 250만 달성은 성공해서 3D를 받을 수 있었기에 팬덤의 공격을 받거나 동료들의 발목을 잡는 일은 없었다.] * 일정 기간 내에 특정 구독자 수를 넘겨야 3D 모델을 준다는 운영측의 방침은 홀로라이브 내에서 전례가 없는데, 비슷한 케이스를 살펴보자면 오히려 [[THE iDOLM@STER]]의 버튜버 프로젝트인 [[vα-liv]]에 있었던 일정 성과를 내지 못하거나 투표수가 미달했을 경우 불합격이라는 오디션 요소에 가깝다. 그리고 해당 문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조건 역시 팬들한테 엄청난 반발을 샀다. 이런 사건이 있었는데 홀로라이브에서까지 또 트라우마를 자극당해야 하느냐는 분노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 정해진 기간 내 250만이란 조건은 홀로라이브 전체 팬덤과 멤버에 대한 협박 내지는 구걸로 느껴지며, 운영측에서 느끼는 실적에 대한 압박이나 부담감을 팬덤에게까지 전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 그간 아이돌 활동을 표방해왔던 홀로라이브, 그중에서도 가장 본격적으로 아이돌 노선을 지향하는 ReGLOSS라면 3D 모델이 필수적인데, 그런 3D 모델을 인질로 50만 구독자를 자기 목소리와 컨텐츠만으로 확보하라는 것은 몸 없이 춤추라고 시키는 것과 같은 [[어불성설]]이라는 의견도 있다. 또한 상기하였듯 이러한 운영 방침이 전례가 없었던만큼, ReGLOSS에게만 갑작스레 이런 시련을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의견도 있다. 구독자 증가 추세를 고려하여 충분히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한 것이 아니겠냐는 반론도 있으나, 큰 어려움 없이 달성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언급한 것처럼 반주년을 축하하는 날에 중대발표라며 내건 공약이 시련이나 부담으로 느껴진다는 점과 [[연대책임]] 강요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운영 측의 행태에 대해선 팬들뿐만 아니라 선배 기수 멤버들도 이례적으로 우려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시로 보탄]]은 정확한 수치로 목표를 정해주는 건 좋지만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해한다며, 전달의 방식이 부적절했다는 식으로 [[https://youtu.be/0OF1QpR0gYI|에둘러 비판했다.]] [[타카네 루이]]도 앞장서서 본인의 트윗([[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4109920198699|#]][[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5135964405950|#]][[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6289427427741|#]][[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6996834574587|#]][[https://twitter.com/takanelui/status/1771957868062745066|#]])을 통해 자신의 구독자들에게 ReGLOSS 멤버들을 구독해줄 것을 호소하기도 했다. 아오 또한 "인당 50만, 총합 250만, 3D 데뷔'와 같은 표면적인 목표를 위해 맹목적으로 달려가며 지나치게 무리를 한다면, 3D 데뷔를 한다고 해도 3D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자신들의 진정한 목적인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의미가 없다."며 물론 최선은 다하겠지만, 걱정해주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위태로운 모습을 보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카나데가 순간 하트비트 100회 부르기라는, 사실상 목을 혹사시키는 기획을 들고 나오면서 아오의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스이세이가 직접 병원까지 소개해주었을 정도.][[https://youtu.be/V9csoZlOKEc|#]] 다만 달성 자체는 비판 측에서도 불가능한 목표라고 보지는 않고 있으며, 보탄도 전달 방식이 좋지 않다고 했지, 목표는 있는 것이 좋으며 숫자 또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당사자 중 한 명인 카나데 또한 미션 달성을 못했다고 해도 운영 측이 어떠한 조치를 취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했으며, 팬덤 측에서도 미션 달성을 못했다고 정말로 3D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은 적다.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끝에 8월 15일 총합 구독자 250만 명을 돌파하며 해당 공약에 대한 비판과는 별개로 3D 데뷔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충족되었다. 이러한 250만 공약 이슈 외에도 ReGLOSS 운영에 대한 리스너들의 평가는 매우 좋지 않다. 유튜브 뮤직 위켄드에 나가 놓고 믹싱도 제대로 하지 않은 음원을 사용한 것은 물론 후술할 1주년에도 온갖 문제가 터졌다. 안무+노래까지 전부 라이브로 한다는 사실을 라이브가 임박해서야 알려줬다거나, 1주년 기념 방송 오프닝에서 멤버 각각이 구독자 50만 명을 달성한 순간을 보여주었는데 아직 50만을 못 찍은 [[갈라치기|카나데 혼자만 얼렁뚱땅 넘어가는 등]][* 이후 카나데가 50만 명 내구방송에서 구독자 50만을 달성한 후 "다행이다..."라며 안도의 눈물을 흘리며 엄청난 압박을 받아왔음이 드러나기도 했다.] 충격적인 뒷이야기들이 나오면서 ReGLOSS의 프로듀서와 산하 운영진에 대한 평가는 완전히 바닥으로 쳐박혔다. 그 외에도 멤버들의 단점을 말해보는 기획을 아오가 칭찬으로 바꿔서 넘어가기도 했다고 아오 본인이 직접 언급했다. 이외에 소통과 관련된 문제도 많이 터지고 있다. 멤버들이 직접 운영과 거의 소통이 없다고 언급했고, 아예 춤을 춰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고 데뷔시켰다고 아오가 언급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가장 고통받은 멤버가 [[이치죠 리리카]]로, 다른 동료들에 비해 댄스 실력이 뒤떨어지는 것에 열등감을 느껴 아프다는 핑계로 댄스 연습에서 빠질 것을 생각할 만큼 심적으로 몰렸었다는 것을 후일담에서 밝혔다.[[https://www.youtube.com/watch?v=MiOHqJ_jXLo&ab_channel=%E3%83%9B%E3%83%AD%E3%81%A8%E5%85%B1%E3%81%AB%E7%94%9F%E3%81%8D%E3%82%8B|#]]] 즉, ReGLOSS 자체가 명확한 컨셉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멤버들이 뽑힌 게 아니라 일단 홀로라이브로 뽑아놓고 나서 덜컥 음악기수라는 컨셉을 멤버들에게 씌워버린 것이다. 반대로 그룹의 실질적인 리더 역할을 맡으며 멤버들의 멘탈을 케어하고 운영 관련 얘기를 솔직하게 언급하고 있는 아오는 팬덤에서 [[아버지|아(오)버지]]로 칭송받고 있다. 9월 28일 20시 ReGLOSS 전원의 첫 3D 라이브 개최가 확정되었다. 비록 풀 라이브까진 아니었지만 데뷔 1년차인 신인들에게 노래+안무 라이브를 AR조차 없이 시킨 것이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애초에 노래+안무를 전부 라이브로 소화한다는 건 홀로라이브에서 음악하면 떠오르는 실력자들에게조차 매우 버거운 일이다. 심지어 안무도 실제 K팝 아이돌급은 아니지만 엄연히 포메이션 댄스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었다. 이를 이제 데뷔한지 만 1년 된, 그것도 첫 3D 데뷔인 신인들에게 덜컥 시키니 안 그래도 첫 무대라 떨리는 판에 음정도 많이 벗어나고 화음도 잘 맞지 않는 등 초반 무대들은 완성도에서 큰 아쉬움을 드러냈다. 어디까지나 홀로라이브에서도 이런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정도.] 카메라 워킹도 끔찍한 수준이어서 카메라맨도 성장 중이냐는 조롱이 난무했다. 거기다 각자의 채널에 솔로파트가 올라가며 아오의 솔로파트를 시간제한 5분이 됐다고 남은 12초를 끊어버리고 넘어간 것이 드러나 다소 논란이 되었다.[* 5분을 풀로 채운건 리리카 한명이고, 하지메는 3분 20초, 라덴은 3분 28초, 카나데는 4분 47초라서 12초정도는 충분히 추가로 할당할 여유가 됐다.] 그래도 3D 모델의 퀄리티 자체는 상당히 높았으며 수록 파트인 ReGLOSS의 솔로 무대에서 각 멤버들의 특징을 잘 살렸다. 특히 하지메는 그동안 멤버들의 증언 등으로만 간접적으로 전해들을 수 있던 발군의 댄스 실력을 유감없이 선보이면서 단박에 벨즈, 라플라스와 같은 댄스 고수 선배들에 준하는 실력자라는 평을 받게 되었고, 카나데는 [[Departures ~당신에게 보내는 사랑의 노래~]]를 아예 무반주로 2절까지 [[아카펠라]]로 소화해 가창력을 다시금 드러냈다.[* 개인 파트라는 걸 감안해 운영진이 살짝 던져보고 무리다 싶으면 MR을 붙여서 하자고 생각했으나 카나데가 아카펠라 제안을 덜컥 받아들였다고.] 그리고 1년 내내 노력한 만큼 전반적으로 ReGLOSS의 춤 실력 자체는 준수하다는 평을 받았다. 동시시청자 수도 20만 명을 돌파, 역대 홀로 3D 라이브들 중에서도 탑급의 화제성을 자랑했다. FLOW GLOW의 데뷔 소식이 발표된 직후 DEV_IS 공식 채널이 DEV_IS ReGLOSS 공식 채널로 변경되었다. FLOW GLOW는 이와는 별도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유닛 활동을 진행 중이다. 2024년 12월 24일 [[주우후테이 라덴]]이 DEV_IS 소속으로는 최초로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5년 3월 30일, 오후 8시에 미니 라이브 [[https://www.youtube.com/live/qc2owX4GFwA|Sakura Mirage]]를 개최했다. 미니 라이브는 금년 개최된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엑스포 2일차에 발표되었으며 티저만으로 큰 관심을 받았는데, 홀로라이브에서 개최된 3D 라이브 중 최초로 [[언리얼 엔진|언리얼 엔진 5]]를 적용한 라이브이기 때문이다.[* 다만 3월 21일부로 [[히오도시 아오#무기한 휴식|히오도시 아오가 정신 건강 문제로 당분간 활동을 중단]]함에 따라 해당 라이브를 비롯하여 당분간 ReGLOSS의 모든 일정은 4인 체제로 소화할 예정이다. [[히오도시 아오]]의 경우 본인은 괜찮다고 하면서 라이브까지는 활동하려 했지만 매니저와 운영 측에서 이를 허락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새 엔진을 도입한 첫 라이브이니만큼 아쉬운 점도 많았고[* 특히 모션 블러가 너무 과했던 탓에 스크린샷을 남기기 어려웠다는 리스너들의 지적이 많았다. 그 외에도 관객석의 관객들이 제대로 모델링을 갖춘 상태로 나타났는데 여기서 [[불쾌한 골짜기]]가 느껴진다는 비평도 많았다.] 음향팀의 미숙한 음향처리[* 보정을 제대로 넣지 못한 탓에 음향 중간중간 흐릿하게 들리는 구간이 발생했다.] 및 방송사고[* 첫번째 하이라이트 구간에서 멤버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필이면 이 방송사고가 미니 라이브의 핵심이었던 [[サクラミラージュ]] 공연 중에 발생했기에 리스너들이 음향팀을 크게 비판했다. 가뜩이나 전날 네네의 생일 중에도 방송사고가 발생했던 터라 더욱 팬덤이 민감했던 상황이었다.] 등을 포함해 비판거리가 없는 건 아니었지만 매우 고퀄리티로 뽑힌 3D 모델링과 다채로운 공연 효과 및 시간 경과의 변화 등 여러 연출과 함께 이전의 3D 라이브에 비해 멤버들이 훨씬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선보임으로써 첫 언리얼 엔진 5 시연 라이브로서는 성공적이었다는 반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미니 라이브 종료 후 [[https://youtu.be/jAOqZqQXbqM|サクラミラージュ 안무를 언리얼 엔진 5로 촬영한 프리미어 영상]]은 확실한 기술력의 발전을 보였다는 평. 멤버들의 경우 아오의 갑작스런 휴식으로 인해 안 그래도 빡빡한 준비기간 내에 바뀐 안무 동선, 노래 파트 등을 추가로 소화해야 했고 이걸 또 전부 생 라이브로 진행해야 한다는 엄청난 부담감 속에서도 최선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많은 격려를 받았다. 2025년 8월 6일 [[토도로키 하지메]]가 DEV_IS 소속으로는 두 번째로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5년 8월 21일에는 애니플러스 카페에서 한정 콜라보레이션의 주인공으로 채택되면서 리글로스 관련 카페 메뉴와 굿즈의 판매 예정 스케쥴이 공개되었다. 각각 서울과 부산 지부에서 진행될 예정이고 기본 일러스트와 SD 일러스트 공통으로 한복 차림의 그림으로 나오며 기본 일러스트는 [[세발문어]]가, SD는 [[JAZZ JACK]]이 담당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m8H5fZ3Lkxw|#]] ==== FLOW GLOW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FLOW GLOW LOGO.webp|width=200]] || ||<rowbgcolor=#46c2f2> '''[[이사키 리오나|{{{#fff 이사키 리오나}}}[br]{{{#fff 響咲リオナ[br]Isaki Riona}}}]]''' || '''[[코가네이 니코|{{{#fff 코가네이 니코}}}[br]{{{#fff 虎金妃笑虎 [br]Koganei Niko}}}]]''' || '''[[미즈미야 스우|{{{#fff 미즈미야 스우}}}[br]{{{#fff 水宮枢[br]Mizumiya Su}}}]]''' || '''[[린도 치하야|{{{#fff 린도 치하야}}}[br]{{{#fff 輪堂 千速[br]Rindo Chihaya}}}]]''' || '''[[키키라라 비비|{{{#fff 키키라라 비비}}}[br]{{{#fff 綺々羅々ヴィヴィ[br]Kikirara Vivi}}}]]''' || ||<v|1><width=20%><nopad> [[파일:Isaki-Riona_pr-img.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Koganei-Niko_pr.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Mizumiya-Su_pr.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Rindo-Chihaya_pr.png|width=100%]] ||<v|1><width=20%><nopad> [[파일:Kikirara-Vivi_p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IsakiRio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isakiriona, 크기=24)] || [[https://youtube.com/@KoganeiNik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oganeiniko, 크기=24)] || [[https://youtube.com/@MizumiyaS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izumiya_su, 크기=24)] || [[https://youtube.com/@RindoChihay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indochihaya, 크기=24)] || [[https://youtube.com/@KikiraraViv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ikiraravivi, 크기=24)] || [include(틀:FLOW GLOW 디스코그래피)] >What's up? keep growin! >FLOW GLOW 입니다! > --FLOW GLOW 단체 활동할 때 나오는 인사말 설정상 거점은 [[https://x.com/hololivetv/status/1854366339361898775|NOW RAWDING]]. 원래는 [[시부야구|시부야]]의 어느 커피샵에 머무르려고 빌렸는데 자기들이 가장 좋아하는 취미와 물건들을 챙기다 보니 개성이 가장 강한 공간이 되어버렸다고 한다. 자가용 [[https://x.com/hololivetv/status/1854366673039737233|ふぐ太郎(복어타로)]]라는 [[지프 랭글러]]를 몰고 다니며, 운전수가 바로 치하야다. 2024년 11월 7일, 데바이스 2기로 발표된 힙합 유닛. 11월 9일 20시부터 30분 단위로 순차적으로 데뷔하였다. ReGLOSS 당시의 실책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듯 공개 이후 이틀 만에 바로 5명 전원을 데뷔시키며 관심을 제대로 집중시켰고 5명 모두가 반쯤 정신이 나간 것 같으면서도 매우 견실한 컨텐츠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 데뷔 방송 동시시청자 수가 '''최대 19만 명'''[* '''역대 버튜버 데뷔 방송 기록 2위'''를 갱신했다. 주인공은 [[코가네이 니코]].]에서 최저 17만 명대로 집계되었으며 구독자 수도 첫 날만에 전부 10만 명 이상을 달성하는 등 순조롭게 출발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튜브의 구독자 칼질을 당하며 하루 만에 전원 구독자가 5만 명 이상 증발하는 등 초기 리글로스와 같은 해프닝이 있었다. 선배 그룹인 ReGLOSS가 성장형 아이돌인 것에 비해 비교적 완성형 아이돌에 가깝다. 데뷔방송서 리오나를 제외하면 랩을 잘 보여주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딕션과 발음이 좋은 편이며 말이 빠를 때조차 발음이 정확하다는 평. 공식 콜라보 기획으로 홀로에서 거의 유일하게 힙합이 주력인 [[모리 칼리오페]]와 콜라보를 진행해 힙합에 대한 기본에 대해 가르쳐주면서 나름대로 [[https://www.youtube.com/watch?v=-XLiQ94oWMM|방향]]은 잡혀 있음을 보여주었다. [[코가네이 니코]]가 우스갯소리로 "랩 가사가 전부 존댓말이 되는거 아닌가 걱정된다."고 말할 정도로, 홀로라이브 최초로 힙합 컨셉을 내세운 것과 대조적으로 멤버들 모두 성실하고 반듯한 성격이라고 한다. 홀로라이브는 새 멤버들이 금방 환경에 적응하고 선배 멤버들과 격의 없이 편하게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모처럼 신입 느낌이 나는 신입 멤버들이 들어와 역설적으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w-Mv31HMwLk&t=3456s|#]] 홀로라이브 선배 멤버들을 처음 만났을 때도 진짜 아이돌 그룹에서 신인 멤버가 인사하는 것 처럼 "잘 부탁드립니다! 시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는 식으로 깍듯이 인사를 올려 오히려 선배들을 당황시켰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w-Mv31HMwLk&t=16347s|#]] 전원 치마 대신 [[바지]]를 입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기수 멤버 전원이 특정 멤버의 오시라는 점을 명백히 밝히고 있는데 이는 홀록스와 상당 부분 유사한 점이라 할 수 있다.[* 홀록스 역시 [[라플라스 다크니스|권속]], [[타카네 루이|이치미이자 러피안]], [[카자마 이로하|호시요미]], [[사카마타 클로에|시옷코]]라고 알려진 멤버들이 대부분이다.] 각각 [[히메모리 루나|루나이트]]([[이사키 리오나|리오나]]), [[타카네 루이|루이토모]]([[코가네이 니코|니코]]), [[오오조라 스바루|스바토모]]([[미즈미야 스우|스우]]), [[사카마타 클로에|사육사]]([[린도 치하야|치하야]]), [[토코야미 토와|권속]]([[키키라라 비비|비비]]). 11월 10일 공식 채널에서 첫 유닛 단체 콜라보를 진행하였는데, '''데뷔 단 하루 만에''' 직속 선배 기수인 리글로스 멤버들과의 콜라보가 해금되었다. 그리고 8월부터 이미 서로 만난 사이라고는 하지만 '''신입'''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물 흐르듯이 자연스러운 진행 능력과 조금도 비지 않는 오디오, 그리고 멤버 간 적절한 케미를 보여주면서 그룹 전체가 완성형이라는 의견에 힘이 더 실리게 되었다. 선배인 리글로스 멤버들이 범상치 않은 후배들의 포스에 크게 긴장했을 정도. 그러나 시작부터 줄곧 기수 간 동기애가 매우 강했던 리글로스에 비해 플로글로는 8월이 되어서야 서로 직접 대면했던 지라 그 점이 다소 취약했고 기수 콜라보에서 이 부분이 부각되면서 부족한 점을 드러냈다. 결국은 데바이스의 취지대로 플로글로 역시 도전과 성장의 기수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어진 셈.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가끔 방송하던 중에 현실 레이드를 하거나 자기들끼리 사랑의 작대기를 난사하며 동기애를 표출하고 있다. 2025년 2월 마인크래프트 신 서버 개방에 발맞춰 5인 모두 서버 내에서 엄청난 활동량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치하야[* 건축학과를 전공했다.]의 주도로 FLOW GLOW 캐슬을 자신들의 거점으로 빠르게 확정, 건설하는 데 성공했고 비비는 농부로 전직하여 매일 10시간 이상을 마인크래프트만 하는 등 NPC가 다 되었다. 기존 마크 내에서의 건설사 등 여러 관계들을 전면 리셋한 덕에 플로글로가 선배들과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면서 하코오시들에게 각자의 매력을 제대로 발산하는 중. 운영측도 ReGLOSS의 반주년 목표 사태가 시행착오임을 인정하고 나름 반성의 모습을 보이려는 건지 FLOW GLOW는 비교적 나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주년 목표에서도 공동의 목표보다는 각 멤버들의 개별적인 목표를 세웠는데 니코는 총조회수 1억, 스우는 3d로 통해 FG를 사람들에게 더욱 알려주고 싶다. 치하야는 할 수 있는 걸 잘해두자, 비비는 화장품을 더욱 중요시하자, 리오나는 1년안에 50만 구독자를 챙기고 직접 작사 작곡으로 만드는 노래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flow glow의 팬덤명은 flomie. folow me를 발음으로 비튼 말장난이다. 2025년 8월 9일, [[코가네이 니코]]가 FLOW GLOW 내에서 처음으로 구독자 수 50만 명을 달성하였다. === [[hololive CHIN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CHINA)] ==== 1기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848484> '''[[요기리|{{{#fff [ruby(夜, ruby=よ)][ruby(雾, ruby=ぎり)]}}}]]''' || '''[[Civia|{{{#fff 希微娅}}}]]''' || '''[[스페이드 에코|{{{#fff 黑桃影}}}]]''' ||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yogiri.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Civia.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SpadeEcho.png|width=100%]] || || [[https://space.bilibili.com/427061218|[[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_YOGiRi_owo, 크기=24)] || [[https://space.bilibili.com/354411419|[[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_Civia, 크기=24)] || [[https://space.bilibili.com/456368455|[[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padeEcho, 크기=24)] || ==== 2기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848484> '''[[hololive CHINA#도리스|{{{#fff 朵莉丝}}}]]''' || '''[[hololive CHINA#아티아|{{{#fff 阿媂娅}}}]]''' || '''[[로사린|{{{#fff 罗莎琳}}}]]''' ||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Doris.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Artia_r.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hololiveCN_Rosalyn_r.png|width=100%]] || || [[https://space.bilibili.com/511613156|[[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_Doris_Hololive, 크기=24)] || [[https://space.bilibili.com/511613155|[[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_Artia_OW, 크기=24)] || [[https://space.bilibili.com/511613157|[[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osalyn_holoCN, 크기=24)] || === 커플링/조합 약자 및 유닛 === [[https://seesaawiki.jp/hololivetv/d/%C1%E1%B8%AB%C9%BD#unit_name|일본 홀로라이브 비공식 위키 중 콤비 및 유닛 목록]] 단순히 멤버들의 이름을 나열하는 오카코로같은 조합 말고도 멤버의 특징에서 따와 유닛명을 짓는 경우가 상당히 있다. 유닛명에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 경우는 구성 멤버중 졸업 및 해지 등의 이유로 해당 조합을 볼 수 없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 2인 ==== * '''소라로보 (そらロボ)''' [[토키노 소라]], [[로보코 씨]] 홀로라이브의 최고(最古)의 듀오. 소라와 로보코 모두 홀로라이브의 모든 멤버를 통틀어 제일 빠르게 데뷔한 멤버로 서로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각별한 사이. 한창 바빴던 시절에도 서로의 생일을 챙겨주기도 했으며, 공겜으로 무서워하는 소라를 보고싶다는 로보코에게 어떤 공겜을 같이해줄거냐면서 다른 후배들로부터 권유받을 때와는 다르게 특히 들뜬 모습을 보이는 등 전혀 허물없는 모습을 보여줬다. 초창기부터 채널의 운영 방향성의 결이 상당히 비슷했다.[* 소라와 로보코 모두 방송과 영상을 병행했다.] 비단 팬덤에서 뿐만 아니라 멤버들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특별한 커플링이라고 할 수 있는데 0기생 콜라보 방송 중, 스이세이는 토키노 소라와 로보코를 두고 홀로라이브의 제네시스이자 오리진이라며 가장 근본적인 존재라 이야기했으며, 마츠리 역시 2023 3rd fes를 보고 저 두명이 없었으면 홀로라이브는 없었다고 말하는 등 타 커플링과 비교해 소라로보의 경우 이야기하면 항상 홀로라이브의 시작도 같이 엮여 나올 정도. * '''소라아즈 (SorAZ)''' [[토키노 소라]], [[AZKi]] 전통의 청초 듀오. 짬도 짬이고 해서 특별취급을 받아 콜라보를 잘 못하는 소라가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커플링 중 하나. 둘의 관계는 서로를 '''전우'''라 표현할 정도로 각별하며 아즈키가 [[빅터 엔터테인먼트]]에 합류, 메이저 데뷔를 하게 되자 소라아즈로 앨범을 내고 기념으로 라이브까지 성사시키는 등 많은 협업을 하고 있다. * '''페코미코 (ぺこみこ)''' [[우사다 페코라]], [[사쿠라 미코]] 초기 핫했던 홀로라이브 커플링 중 하나. 미코 전용으로 페코라를 "우사다"라고 부르는 호칭이 있었고 [[페코미코 대전쟁]]이라는 듀엣곡까지 나올 정도였으나 눈에띄게 식은 모습을 보인다. 본인들 피셜로는 "우리들 사이는 나쁘지 않다. 다만 기대받는 게 너무 부담이 될 뿐이다"라고 해명을 했으나 1:1 콜라보는 고사하고 어지간한 초대형 기획이 아닌 이상 둘이 의도적으로 피하는 것으로 보일 수준으로[* 이는 그래도 간간이 페코라 관련 화제에서 페코라를 언급하는 미코보다는 페코라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동시에 출연하는 일이 없어졌다. 이후로도 둘이 언급 없이도 서로가 시야에 보이는 정도만으로도 국적을 막론하고 팬덤에서는 “(페코미코는)있다!“ 하고 호들갑을 떨어준다. * '''밋코로네 (みっころね)''' [[사쿠라 미코]], [[이누가미 코로네]] 비정기 연말연시 기획으로 밋코로네 24같은 대형 기획들을 할정도의 커플링이었으나 바쁜 나머지 교류가 뜸해진 커플링. [[https://youtu.be/GCUK_IyRTY8|밋코로네X쇼타임!]]이라는 듀엣곡이 있다. 하지만 끊어진 것은 아니고 밋코로네 2025를 부활시키며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미코멧 (miComet)'''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코멧'은 스이세이의 이모지가 혜성 모양이라는 것에서 따온 것이다. 자신들의 관계는 비즈니스다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시청자들 모두 "아 늬예늬예" 하는 수준으로 핫한 커플링. 페코미코, 밋코로네 등을 이어 미코의 가장 중요한 커플링이다. 크게는 시라켄 유닛, 좁게는 다양한 1:1 콜라보를 같이 하고 있다. * 미코스바(みこスバ), '''호와미코(ほわみこ)''' [[사쿠라 미코]], [[오오조라 스바루]] 미오미코스바의 3인 조합이나 여러 대형 기획에서는 잘 소통하고 뭉치지만 둘만의 조합으로는 뭔가 어색하다. 하지만 24년 [[Chained Together]]를 하면서 거리가 급격히 가까워졌다. [[후와모코]]와 함께 오프 콜라보를 하였는데 후와모코의 소개에 대응해서 '''호와미코'''라는 호칭이 추가되어 호칭을 전환하는데 성공하여 대부분 많이 불리게 된다. [[https://www.youtube.com/live/QJtvnQGYfBA?si=TZ_QC0HGqxdit0ts&t=241|#]] 팬들 사이에서는 홀로라이브 최고의 예능조합으로 손꼽히며, 들고 오는 게임픽 역시 웃기는 상황이 극대화되는 것들만 골라서 가져온다. 둘 다 홀로라이브에서 손꼽을만큼 리액션이 찰지고 성량도 큰지라 오디오가 빌틈이 없어 동시간대 N마도 시청은 거의 불가능할 지경. * '''미코스우 (みこすう)''' [[사쿠라 미코]], [[미즈미야 스우]] 미코가 일방적으로 스우의 언니임을 주장하는 관계. 스우는 자신이 오히려 언니임을 주장하며 어떻게든 기싸움을 하고 있으나 미코가 워낙 짬이 많기도 하고 방송에서의 모습과 달리 실제로는 장녀로서 어른스럽다는 얘기도 있는지라 스우의 압도 잘 통하지 않아서 스우가 미코를 상당히 골치 아파한다. * '''아스타 (AS_tar)''' [[AZKi]], [[호시마치 스이세이]] 일명 '''이노나카조(組)'''로 불리던 조합으로, 2024년 6월이 되어서야 정식으로 조합명이 정해졌다. 이 둘은 [[이노나카 뮤직]] 출신으로 합류 시기는 차이가 있지만 함께 홀로라이브에 합류한 특기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정작 둘의 언급에 의하면 이노나카 뮤직 소속 시절에도 그다지 얽히는 일이 많이 없었다고 한다.] * '''하아미코 (はあみこ)''' [[아카이 하아토]], [[사쿠라 미코]] 금발 거유 하아토에게 껄떡대는 미코와 팅기면서도 데레데레하는 하아토의 조합이다. * '''바바도나 (ババドナ)''' [[호쇼 마린]], [[오오조라 스바루]] 할머니(바바)와 도날드덕(도나) * --'''메루키스 (メルキス)'''--[*A 계약 해지(멜)] --[[요조라 멜]]--, [[유즈키 초코]] '키스'는 초코의 이모지가 입술 모양이라는 것에서 따온 것이었다. 금발거유섹시컨셉의 둘이라 일단 나오면 수위가 급격히 상승한다. * '''오카코로 (おかころ)'''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데뷔 전부터 함께해온, 전통의 근본있는 커플링 중 하나. 코로네는 오카유의 천거로 홀로라이브에 면접없이 낙하산으로 들어올정도였다. 마리오 온라인 협동 플레이를 하려고 하는데 오프라인으로만 가능하다 하니 20분만에 간식까지 풀로 세팅해서 집에 쳐들어갈 정도의 사이이다. * '''냥콘 (にゃんぐこーん)''' [[네코마타 오카유]], [[시라카미 후부키]] 오카유 측에서 일방적인 가스라이팅과 세뇌를 가한 끝에 오카유가 언니, 후부키가 여동생이 되어버린 유사자매 관계. 섹드립에 능한 오카유가 방송 중 섹드립을 연발하면 기겁한 후부키가 이를 저지하거나 혹은 뇌정지를 일으키는, 오카유가 후부키를 가지고 노는 관계이다. 평소에는 다른 멤버들과 엮일 때 상대를 놀리거나 골탕먹이는 데 능숙한 후부키임에도 오카유에게는 일방적으로 당하고 사는 재미있는 현상이 일어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둘이서 코로네를 놀리는 데 최적화되어 있어 게이머즈 합방이 있다 하면 코로네 학대 분위기가 나올 때 둘이서 같이 코로네를 괴롭힌다. 조합명의 유래는 오카유의 밈 중 하나이자 마스코트인 '오카'''냥''''과 후부키의 팬덤명인 '스'''콘'''부'의 합성. * '''후부미오 (フブミオ)''' [[시라카미 후부키]], [[오오카미 미오]] 마찬가지로 데뷔 전부터 함께해 온, 또다른 게이머즈 전통의 커플링. * --'''아쿠아마린 (アクアマリン)'''--[*B 졸업(아쿠아)] --[[미나토 아쿠아]]--, [[호쇼 마린]] 바다와 관련된 설정으로 엮이는 둘. 나중에 이 설정이 확장되어 UMISEA로 연결되기도 하지만 둘만으로도 끈끈하다. 모?녀관계라는 설정으로 잘 논다. * --'''아쿠페코 (あくぺこ)'''--[*B 졸업(아쿠아)] --[[미나토 아쿠아]]--, [[우사다 페코라]] 둘 다 매우 소심한 성격의 소위 아싸들이라 접점조차 없었던 둘이었으나 2023년 들어 급속도로 관계가 진전이 된 듀오이다. 23년 마크 홀로섭에서 페코라가 아쿠아를 상대로 장난치고 아쿠아는 이에 복수하려 하다가 다시 당하는 등 재밌는 케미를 보여주더니이후로도 종종 콜라보를 진행했으며, 온리 업과 시시포스 게임의 병주대결에 이어 페코라의 하드코어 서버에서는 주최자와 서버 주역으로서 하루도 빠짐없이 엮이는 등 초반의 언급조차 거의 않던 듀오로는 보기 힘든 케미를 보여주고 있다. 아쿠아의 졸업 발표 이후 페코라의 잇단 대형 기획 자체가 아쿠아와 더 많이 시간을 보내기 위함이었다고 밝혔다. * ~~'''아쿠시오 (あくしお)'''~~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아쿠페코와 마찬가지로 아싸로 구성된 듀오. 아쿠아는 홀로라이브에서 아싸인 걸로 유명하며, 시온은 장난기 많은 면모가 부각되어서 그렇지 실제로는 낯가림이 심한 편이라고 한다. * '''노에후레 (ノエフレ)''' [[시로가네 노엘]], [[시라누이 후레아]] 초창기에는 부부[* 후레아가 남편] 시늉까지 내며 끈끈하게 붙어다녔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밖으로 대놓고 커플링을 보여주는 일은 줄었다. 대신 노에후레의 연으로 노엘이 시라켄에 들어가게 된다. * '''페코마리 (ぺこまり)''' [[우사다 페코라]], [[호쇼 마린]] 페코미코 이후 페코라 최대의 커플링. 홀로라이브와 [[HoneyWorks]]의 콜라보 오리지널 곡 브라이덜 드림에서는 결혼해서 2세까지 둔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2세의 이름은 [[팔악검 이계신장 마허라|마코라(まこーら).]] * '''후레아이리스 (ふれあいりす)''' [[시라누이 후레아]], [[IRyS]] 스플래툰으로 뭉친 키즈나. 이들의 혈관에는 피보다 진한 오징어 먹물이 흐르고 있다. * ~~'''카나코코 (かなココ)'''~~[*C 졸업(코코)] [[아마네 카나타]], ~~[[키류 코코]]~~ 한창때는 동거까지 할 정도였고 졸업 후 서로 떠나 살게 되면서도 파자코, 친구C등으로 언급할정도이다. * '''ORIO''' [[아마네 카나타]], [[토코야미 토와]] 천사, 악마 조합으로 원래부터 잘놀던 4기생의 둘로서 오리곡 "マドロミ" 발표를 위해 유닛화 하면서 명명되었다. 커플링으로 쓰일때나 오리지널 곡 유닛 이외로 지칭될 때는 카나토와라고도 불린다. * '''카나루나 (かなるーな)''' [[아마네 카나타]], [[히메모리 루나]] * '''카나마리 (かなマリ)''' [[아마네 카나타]], [[호쇼 마린]] 서로 거리낌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관계. 2020년 당시, 키류 코코의 졸업과 아카이 하아토의 무기한 활동 휴식 등 연달아 터지면서 멘탈이 박살나버린 호쇼 마린의 멘탈을 카나타가 잡아주는 등의 일을 거치면서 가까워진 사이. 이후, 점점 사이가 가까워지면서 카나타가 마린에게 디스하는 곡을 만들어 보내주기도 했다.[* 해당 곡을 들은 마린은 대폭소를 터뜨리면서 정신을 한동안 못차렸을 정도.] * '''이카로스 제트코스터''' [[토코야미 토와]], [[오오조라 스바루]] 일명 이카로스. 홀로에서 찐친 무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듀오로 방송 내적으로는 토와 특유의 톡톡 튀는 텐션과 이에 휘둘리는 스바루의 형태로 매번 투닥대는 사이로 비춰진다. 태양에 너무 가까이 다가갔다가 날개가 탄 [[이카로스]]처럼 거리감이 유지되어야 함+제트코스터마냥 텐션이 급격히 변함이라는 의미에서 유닛명을 지은 것도 이 때문. 그러나 실제로는 절친 사이이며 서로를 가장 죽이 잘 맞는 멤버라고 공인했을 만큼 호흡이 환상적이다. 둘 모두 아웃도어 활동을 매우 선호하고 적극적, 낙천적인 성격의 소유자라 사적으로도 자주 만나 놀고 있으며 그 외향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타 멤버들을 포함해 집단으로 놀러 다닌 일화가 상당히 많다. * '''리치 쇼콜라 (りっちしょこら)''' [[유즈키 쵸코]], [[타카네 루이]] 요리실력이 출중하여 둘이 비스트로 리치 쇼콜라 라는 이름으로 비정기적으로 요리방송 + 게스트 초대석 코너를 열고 있다. * '''사마즈 (様ーズ)''' [[라플라스 다크니스]], [[토코야미 토와]] 토와사마, 라프사마같이 "~사마" 로 불리는 멤버의 조합. 케미와는 별개로 라플라스 본인이 토와의 찐팬이기에 말수가 평소 막나가는 쿠소가키 RP는 온데간데 없고 수줍은 소녀만이 남게된다. * '''마가마가즈 (まがまが~ず)''' [[모모스즈 네네]], [[유키하나 라미]] * '''시시라미 (ししラミ)''' [[시시로 보탄]], [[유키하나 라미]] * '''시시와타 (ししわた)''' [[시시로 보탄]], [[츠노마키 와타메]] 포식자와 사냥감의 조합이지만 서로의 공수능력은 비슷하다. * '''네네네토와와(ねねねとわわ)''' [[모모스즈 네네]], [[토코야미 토와]] 커플링으로는 네네토와(ねねトワ), 토와네네(トワねね)라고도 불린다. * '''포루나 (ポルーナ)''' [[오마루 폴카]], [[히메모리 루나]] * ~~'''코요쿠로 (こよクロ)'''~~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 '''이로하스 (いろはス)''' [[카자마 이로하]], [[라플라스 다크니스]] * '''아즈이로 (Azいろ)''' [[카자마 이로하]], [[AZKi]] 이로하는 AZKi가 [[이노나카 뮤직]]애 속해있던 시절에도 팬이었다고 하며, 본격적으로 AZKi가 홀로라이브로 들어온 이후로는 직접적으로 접점을 가지면서 굉장히 친해졌다. 노래에 관심이 많은 만큼 노래 방송이나 커버곡 관련 콜라보가 활발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솔직하게 감정을 털어놓는 사이다 보니 거의 공인 부부로 취급받는다. 특히 마인크래프트 신서버에서 그 모습이 두드러진다. * '''오니칸 (おにかん)''' [[나키리 아야메]], [[타카네 루이]] 낯가림으로 따지면 아쿠아 이상인 아야메가 루이에게 먼저 다가가면서 생긴 조합. * '''아오카나 (青かな)''' [[히오도시 아오]], [[오토노세 카나데]] 대표적인 ReGLOSS 커플링. * '''아오리리 (あおりり)''' [[히오도시 아오]], [[이치조 리리카]] * '''아오마리 (あおマリ)''' [[호쇼 마린]], [[히오도시 아오]] 아오가 추파를 던지면 마린이 츤데레처럼 받아주는 관계. 방송상으로만 티키타카가 묘사되지 오프라인에서는 굉장히 친하다고 한다. * '''리리라덴 (りりらでん)''' [[이치조 리리카]], [[주우후테이 라덴]] * '''카나리리 (かなりり)''', '''리리나데(りりなで)''' [[이치조 리리카]], [[오토노세 카나데]] * '''소라덴 (そでん)''' [[토키노 소라]]. [[주우후테이 라덴]] 지식인 조합. 소라가 클래식 음악 / 성악 / 오페라, 악기 연주에 지식이 많은 편이고 라덴 또한 예술작품 / 전시회 / 사진전 / 라쿠고 등에 지식이 많은지라 서로가 지식을 공유하거나 관련 이야기를 하며 잡담을 하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한다. 라덴의 경우 소라에게서 친언니 느낌을 받고 있다고. * '''고릴라덴 (ごりらでん)''' [[아마네 카나타]], [[주우후테이 라덴]] * '''카나하지 (かなはじ)''' [[오토노세 카나데]], [[토도로키 하지메]] 이웃사촌동기. 방송에서는 서로 두들겨 패지만 사석에서는 카나데가 하지메를 언니로서 모시는 조합. * '''나데비비 (なでヴィヴィ)''' [[오토노세 카나데]], [[키키라라 비비]] DEV_IS 선후배 조합 1. 카나데 쪽이 선배라지만 실질적으로는 동생 취급을 받으며 티키타카가 상당히 자주 일어난다. * '''아즈노세 (Azのせ)''' [[AZKi]], [[오토노세 카나데]] 보통 카나데의 엄마 하면 마린, 노엘, 스바루로 알려져 있으나 가장 처음에 카나데의 엄마를 자청한 인물은 AZKi였다. DEV_IS 데뷔 전 홀로라이브 6주년 기념 방송에서 0기생들이 ReGLOSS에 대한 첫 인상을 얘기할 때 카나데가 AZKi와 닮았다며 AZKi의 딸이 아니냐는 농담이 나왔고 AZKi 또한 카나데를 가리키며 "제 딸입니다"라고 말했다. 비록 실제 데뷔 이후로는 이런 모녀 관계 얘기가 잘 나오지 않지만 카나데가 AZKi를 존경하며 굉장히 잘 따르고 있으며 AZKi 또한 카나데를 귀여운 후배로 대하고 있다. 음악 관련으로도 엮인다. 2025년 2월 마인크래프트 신서버 활동으로 마린, 노엘, 스바루를 이어 4번째 엄마가 되었다. * '''후레나데 (フレなで)''' [[시라누이 후레아]], [[오토노세 카나데]] 2024년 5월 15일 [[스플래툰 3]] 콜라보를 통해 엮이기 시작했다. 처음엔 카나데가 개인 계정 대신 방송용 계정을 급하게 판 지라 튜토리얼도 안 해놔서 [[스플래툰 3/새먼 런 NEXT WAVE|새먼 런]]을 바로 진행하지 못한지라 잠깐 분위기가 어색해졌지만 카나데가 튜토리얼부터 제대로 고인물 무빙을 선사하면서[* 능숙한 징어롤은 물론이고 자연스레 벽칠을 하거나 연어들을 컨테이너 혹은 박격포 근처에 올 때까지 기다리고, 스플래시 밤을 직접 맞춰서 아군을 살리는 등 새먼 런 알바 경력직스러운 면모를 보여줬다. 실제로 카나데는 학창 시절에 오빠의 스위치로 스플래툰 새먼 런을 자주 즐겨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분위기가 금세 풀어지고 자연스레 밥 약속까지 잡을 정도로 급격히 친해졌다. 이후 마인크래프트 하드코어 서버나 홀로라이브 아크 서버 활동, 후레아 5주년 기념 도츠마치 등으로 제대로 친해졌음을 인증하고, 후레아가 노엘과 함께 '카나데에게 샤브샤브를 사주는 모임'이라는 디스코드 채팅방을 만든 이후 오프라인에서도 가까워지고 있다. 10월 26일 오하스바에서의 스바루의 증언에 의하면 카나데를 대할 때의 후레아는 마치 엄마 같다고 하여 엄마 후보로 부상했다. 방송 상으로 잘 엮이기는 않지만 오프라인에서 후레아가 카나데를 잘 챙겨준다는 증언이 많다. * '''노에나데 (ノエなで)''' [[시로가네 노엘]], [[오토노세 카나데]] 전긍정 엄마와 전긍정 딸. 이 둘의 인연은 2024년 5월 마인크래프트 하드코어 서버에서 카나데가 아오와 합작해 다이아를 뜯는 부부사기단 활동으로 생겨났으며, 이후 아소비대전 콜라보를 하기도 하고, 아크 홀로서버에서 같이 엮이기도 했으며, 오프라인에서 후레아와 함께 '카나데에게 샤브샤브를 사주는 모임'이라는 이름의 디코방을 만들면서 인연을 깊게 이어가기 시작해 마침내 마린에 이어 2번째로 카나데의 엄마가 되었다. 노엘은 자기를 통해서 홀로라이브에 입문하지만 그대로 자기 오시는 되지 않는 팬덤이나 홀로멤을 보면서 많이 의기소침했는데 자신을 정말 좋아해주는 카나데의 등장으로 자신감을 회복했으며, 카나데가 무슨 행동을 해도 귀엽다면서 팔불출 딸바보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카나데 또한 노엘을 정말 좋아하는지라 '딸이 엄마에게 가치코이하는 관계'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 * '''카나카나 (かなかな)''' [[아마네 카나타]], [[오토노세 카나데]] 서로 이름이 '카나'로 시작하는데다 음악 활동에 진심이라는 점에서 엮이는 조합. * '''포루카나데 (ぽるかなで)''' [[오마루 폴카]], [[오토노세 카나데]] 폴카는 홀로멤들의 멘탈 케어 전문으로 유명한데 카나데 또한 일본에 이사온 이후 폴카의 도움을 많이 받았고, 그러다 보니 방송 상으로는 별로 엮인 적이 없었음에도 굉장히 친밀한 모습을 보여준다. 심지어 폴카 측에서 '선배 호칭 떼고 불러도 된다'라고 허락까지 할 정도로 거리감이 굉장히 가깝다. * '''라프사마 나데나데 (ラプさまなでなで)'''[* '''라프나데(ラプなで)'''로 축약할 수도 있다.] [[라플라스 다크니스]], [[오토노세 카나데]] 쿠소가키 조합. 홀로 GTA에서 카나데가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하라는 일은 안 하고]] 카지노에서 땡땡이치던 걸 라플라스가 참교육한[* 서장인 스바루의 허락 하에 '''총으로 쏴죽인 후''' 팩트 폭력을 날렸다.] 것에서 유래했다. 서로 쿠소가키인지라 마운트를 잡으려 하면서 WWE를 자주 걸며, 신경전을 자주 펼친다. 한편으로는 둘 다 츤데레인지라 서로가 서로에 대해 '틱틱대면서도 자기를 너무 좋아하는 거 아니냐'라는 말을 꺼낸다. 2025년 들어서는 아예 둘이서 같이 쿠소가키 시너지를 발휘하며 찰떡궁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조합명은 2024년 12월 24일 [[51 Worldwide Games]] 콜라보에서 즉석으로 정해졌다. * '''루이나데 (ルイなで)''' [[타카네 루이]], [[오토노세 카나데]] 이모와 사촌. 말이 이모와 사촌이지 사실상 스바루 - 카나데 / 마린 - 카나데 / 노에나데처럼 실질적 엄마와 딸 관계에 있다. 루이가 카나데를 챙겨주면서도 잔소리를 하는 현실 모녀관계에 유사하다. 루이는 다른 딸로 로보코나 라플라스가 있다 보니 딸을 세 명째 들이기에는 부담스러워 자신이 카나데의 엄마라는 걸 극구 부인하며 이모 포지션을 고수하고 있으나 팬덤에서는 사실상 모녀로 취급하며, 카나데 또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루이에게 자기 엄마가 되어달라고 들이댄다. 실제로 루이 또한 카나데를 의식하고 챙겨주는 게 영락없는 모녀다. * '''코요나데 (こよなで)''' [[하쿠이 코요리]], [[오토노세 카나데]] 선후배임에도 부담 없이 친하게 지내는 관계. 카나데 측에서 츤데레같이 구는 조합이다. * '''고자노세 (ござのせ)''' [[카자마 이로하]], [[오토노세 카나데]] 사제관계. 평소에는 응애 같다는 이로하가 카나데와 있을 때에는 믿음직한 선배가 되는 재미있는 현상이 일어난다. 요리 오프 콜라보를 2번 진행했다. 마찬가지로 이로하의 제자 중 하나인 아오가 진중하게 모신다면 카나데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대하는 편. * '''페코무나 (PekoMoona)''' [[우사다 페코라]], [[무나 호시노바]] 마인크래프트 건설회사 사장님과 부장의 인연. 페코라가 "헤이 무나!" 하고 부르면 무나는 "예스 샤쵸!" 하고 대답하는 관계이다. 2023년 셔플 메들리에서는 무나가 페코라의 바니걸 의상을 입기도 했다. * '''이오소라 (IoSora)''' [[토키노 소라]],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친자매처럼 지내기로 의기투합한 사이로, 이오피는 소라를 '소라 언니'(Sora-nee)라고 부르고 있다. * '''타카모리 (TakaMori, タカモリ)''' [[타카나시 키아라]], [[모리 칼리오페]] (+[[코보 카나에루]], [[코세키 비쥬]]) EN 1기생 전통의 커플. 일본에 계속 거주중인 칼리와 초창기 일본에 거주했던 키아라가 자주 만나고 했다. 키아라가 다시 오스트리아로 건너간 이후로는 전만큼 자주 만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완전히 식은 것은 아니다. 코보가 데뷔한 이후 칼리가 아빠, 키아라가 엄마 역할을 맡으며 코보를 입양해 가족을 이루었다는 설정이 붙게 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키아라가 생각해 놓은 2세 이름은 클라라(Clara) 라고 한다. 이후 코세키 비쥬가 끼여들면서 입양된 둘째 딸이라는 골 때리는 설정이 붙어 칼리가 야고 대신 고통을 받은 만큼 눈물을 흘린다고 한다. * ~~'''아메사메 (Amesame)'''~~ ~~[[왓슨 아멜리아]], [[가우르 구라]]~~ 왓슨의 애칭인 '아메' + 구라의 종족인 [[상어]]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 '사메'. 타카모리 대항마. EN 초창기에는 핫한 커플링이었으나 스케쥴상 만나는 일이 적어졌다. 그래도 24년 스펠링 비 기획으로 건재했지만, 아메의 방송 활동 종료, 구라가 졸업한 이후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 --'''이나아메 (Iname)'''-- [[니노마에 이나니스]], --[[왓슨 아멜리아]]-- * '''타코토리 (Takotori)''' [[니노마에 이나니스]], [[타카나시 키아라]] * ~~'''본 브로스 (Bone Bros)'''~~ [[모리 칼리오페]], ~~[[가우르 구라]]~~ * --'''사우나 (SAUNA)'''--[* 졸업(사나, 파우나)] --[[츠쿠모 사나]], [[세레스 파우나]]-- ''''Sa''''na Tsukumo, Ceres Fa''''una'''' 2022년 7월 31일부로 사나가, 2025년 1월 2일부로 파우나가 졸업함으로서 더 이상 볼 수 없는 유닛이 되어버렸다. * ~~'''크로메이 (Kromei, クロメイ)'''~~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초창기에는 EN계의 오카코로라 할 수 있는 달달함을 자랑했다. 시간이 경과하며 둘의 접접은 많이 사라졌다. * '''베이리스 (BaeRyS, べイリス)''' [[하코스 벨즈]], [[IRyS]] 프로미스 통합 이전까지 동기가 없이 사실상 카운슬의 동기 취급받아온 아이리스에게 중요한 커플링이다. 마인크래프트에서부터 결혼과 이혼을 반복하며 투닥거리며 죽이 잘맞는다. * '''프레이데터 (preYdator)''' [[하코스 벨즈]], ~~[[나나시 무메이]]~~ 특이하게도 나루토의 설정에서 차용했는데 하코스 벨즈는 우즈마키 나루토 포지션을, 나나시 무메이는 [[우치하 사스케]] 포지션을 취한다. * --'''파우메이 (Faumei)'''-- ~~[[세레스 파우나]], [[나나시 무메이]]~~ 무메이가 파우나의 얀데레 대상으로서의 위치를 가지며 출발한 조합이다. EN의 [[이모(음악)|EMO]] 조합으로 꼽혔으나 둘다 졸업하여 이제는 볼수 없는 조합이다. * '''[[데스스타]] (DeathStar)''' [[모리 칼리오페]], [[호시마치 스이세이]] Death(칼리오페) + Star(호시마치). [[GETCHA!]] 커버 이후 서로 접점이 없다가 칼리오페의 3D 데뷔가 이루어지고 나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 '''오렌즈 (O'riends)''' [[타카나시 키아라]], [[모모스즈 네네]] * '''아카코 (Akako)''' [[쿠레이지 올리]], [[하코스 벨즈]] 빨간머리 인싸 둘이 만났다. 혼돈과 광기의 조합으로 유닛화 되어 무대에 오르기도 하였다. * '''파보나시 (PavoNashi)''' [[파볼리아 레이네]], [[타카나시 키아라]] * '''타임스미스 (TimeSmith)''' [[오로 크로니]], [[카엘라 코발스키아]] 크로니를 상징하는 개념인 [[시간]](Time) + 카엘라의 직업인 [[대장장이]](Blacksmith). 크로니 오시였던 카엘라가 다가간 조합이다. 그라인드스톤 정도는 아니지만 마라톤급 콜라보를 하는 편이다. 크로니의 인도네시아 여행에서도 카엘라의 집에 머물정도가 되었다. * '''콰소니 (Quasonii)''' [[타카나시 키아라]], [[오로 크로니]] 키아라의 전용 크로니 별명 콰소니로 인한 조합명. 한국어 교실에서 "가슴 우유 주세요"라는 전설의 애드립이 나왔다. * '''시오레이븐 (Shioraven)''' [[시오리 노벨라]],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 '''락 앤 톰 (Rock and Tome)''' [[시오리 노벨라]], [[코세키 비쥬]] * '''툼스톤 (Tombstone)''' [[모리 칼리오페]], [[코세키 비쥬]] 비쥬의 첫 개인 콜라보[* 선배들과의 첫 콜라보는 단체로 키아라의 홀로토크에 출연]상대인 조합. 같은 마법소녀식 변진 등장씬을 가지고 있고 비쥬의 오디션때 [[언더테일]] [[샌즈]]전을 칼리오페 버전으로 자체제작 모딩을 했다는 일화까지 있을정도로 둘이 다가가는 조합. * '''그라인드스톤 (Grindstone)''' [[카엘라 코발스키아]], [[코세키 비쥬]] 광질의 달인 카엘라와 채굴 대상인 비쥬의 조합. 이 RP로 일단 관심을 끌었고 이후에도 장시간 게임 노가다 내구방송이 특기인 둘이라 진득한 마라톤 콜라보레이션을 같이 하는 일이 잦다. * '''그라온드스톤 (Graondstone)''' + [[라오라 판테라]] * '''쥬얼버드 (Jewelbird)''' [[코세키 비쥬]],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 ~~'''[[석기 시대|스톤 에이지]] (Stone Age)'''~~ ~~[[나나시 무메이]],~~ [[코세키 비쥬]] * '''베이비 (Baebi)''' [[하코스 벨즈]], [[코세키 비쥬]] 특이하게 서로를 별칭이 아닌 풀 네임으로 부른다. * '''붐붐 페어 (BOOM BOOM Pair)''' [[하코스 벨즈]], [[토도로키 하지메]] 폭발을 좋아해 아카스파에서도 붐붐 거리는 리액션을 취할정도인 벨즈와 인삿말에서 붕붕붕 거리는 하지메의 조합. 희대의 밈 JDON MY SOUL 탄생의 시작이다. 하지만 단순히 즈동 말고도 각각 내놓으라 하는 댄서이기도 하기 때문에 춤으로 엮이는 일도 있다. * '''GGCC''' [[지지 무린]], [[세실리아 이머그린]] ==== 3인 ==== * '''멍텅구리조 (バカタレ共)''' [[시라카미 후부키]], [[시라누이 후레아]], [[츠노마키 와타메]] * '''멍텅구리 서커스 (バカタレサーカス)''' + [[오마루 폴카]] * '''스바초코루나 (スバちょこるな)''' [[오오조라 스바루]], [[유즈키 초코]], [[히메모리 루나]] 조합에 특징적인 별명없이 이름만으로 지어놨다. 사석에서 강한 타입이다. 넷이 같은 무대에 올라가면 높은 확률로 Joyful을 부른다. * '''스바초코루나탄 (スバちょこるなたん)''' + [[시시로 보탄]] * '''미오미코스바 (ミオみこスバ)''' [[오오카미 미오]], [[사쿠라 미코]], [[오오조라 스바루]] 사석에서 친한 셋이 뭉쳐다닌다는 느낌이다. 운동회, 연말기획 홀로의 요정님 같은 대형기획을 같이 하기도 한다. 특히 여행을 자주다니는 멤버들이다. * '''후부미코멧 (ふぶみこめっとさん)''' [[시라카미 후부키]],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2024년부터 급부상한 유닛. [[요조라 멜|멜]]의 계약해지로 인해 충격을 받은 후부키를 케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뭉치게 되었다. 이전부터 매우 친하던 후부미코와 미코멧의 조합이다 보니 죽이 아주 잘 맞는다. 멜의 계약해지 당일 후부키의 학력테스트 기획에 미코멧이 참가하고 끝나자마자 [[팰월드]]의 선행 플레이를 내달리더니 이후로도 방송 내외적으로 셋이서 더 많은 교류를 하고 있다. 특히 셋이 모두 방송이 없을 때는 대부분 후부미코멧으로 놀러 갔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 * ~~'''만지구미 ( [ruby(卍組, ruby=まんじぐみ)] )'''~~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나키리 아야메]] 2기생의 3인 조합으로 방송시간이 적기로 악명높은 3인이라 좀처럼 만날 일이 없다. 만지구미의 존재로 2기생 전체 콜라보는 [[엑조디아]] 취급 받는다. 아쿠아의 졸업으로 더 모일 일이 없어졌으며 시온까지 졸업하면서 완전히 해체되었다. * ~~'''NEGI✩U'''~~ [[오오조라 스바루]], --[[미나토 아쿠아]]--, [[모모스즈 네네]] 핵인싸 둘이 아싸에게 들이대며 괴롭히는 컨셉의 조합이었다. * '''앙퐁탕 (あんぽんたん)''' [[로보코 씨]], [[아키 로젠탈]], [[히메모리 루나]] * '''홀로판타지 누님조 (ホロファンお姉さん組)'''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3기생 중에서 몸매가 좋은 멤버 셋을 뭉쳤다. 셋 모두 3기생이라는 점도 공통되는 부분이어서 3기생의 명칭인 홀로판타지를 합친 것. * '''이로하니호헷토 아야후부미 (いろはにほへっと あやふぶみ)'''[* 보통 '''아야후부미(あやふぶみ)'''로 줄여부른다.] [[시라카미 후부키]],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hololive IDOL PROJECT의 일본풍 유닛. * '''아야후부미코 (あやふぶみこ)''' + [[사쿠라 미코]] * '''PEBOT''' [[우사다 페코라]], [[토코야미 토와]], [[시시로 보탄]] 우사다 건설 멤버 중에서 우사켄 여름 축제를 전후로 같이 행동하는 경우가 많았던 세명의 조합. 마크를 하면 우사켄으로 참여보단 PEBOT으로 많이 참여하고 가끔가다 셋이서 콜라보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 --'''펫토봇토루'''[* ぺートボトル(PET Bottle). 페트병이라는 의미.]--[*E 계약 해지(루시아)] + --[[우루하 루시아]]-- * '''카나리아 (かなりあ)''' [[아마네 카나타]], [[하쿠이 코요리]], [[시라누이 후레아]] * ~~'''홀로데스 (HoloDeath)'''~~[*E] ~~[[우루하 루시아]]~~, [[모리 칼리오페]], [[쿠레이지 올리]] 각각 네크로맨서, 사신, 좀비로, 모두 죽음과 관련 있었다. * '''다크 스타 피치 (ダークスターピーチ)'''[* 줄여서 ダスピ(다스피)라고도 하며, 영어인 Dark Star Peach로도 쓰인다.] [[토코야미 토와]], [[호시마치 스이세이]], [[모모스즈 네네]] 토코'''야미'''(어둠) 토와, '''호시'''(별)마치 스이세이, '''모모'''(복숭아)스즈 네네.[* 네네가 처음에 이걸 제안했다가 스이세이한테 제대로 컷 당했다. 결국에는 설득에 성공한 듯.] 2021년 당시 합동 크리스마스 라이브를 개최하는 등 한때는 꽤나 의기투합하여 활동하였으나 셋이 따로 뭉치는 일은 거의 없고 네네와 토와의 일명 '네네네토와와' 조합은 잘 유지되고 있다. * '''챠마탄나노라 (ちゃまたんなのら)''' [[아카이 하아토]], [[아마네 카나타]], [[히메모리 루나]] * '''카나포루나 (かなポルーナ)''' [[아마네 카나타]], [[오마루 폴카]], [[히메모리 루나]] * '''CHAD''' [[하코스 벨즈]], [[IRyS]], [[모리 칼리오페]] '''C'''haos, '''H'''ope, '''A'''nd '''D'''eath. 칼리의 점프킹 방송을 빙자한 잡담방송으로 엮인 EN 수다회. 셋 다 일정 수준 이상의 일어 실력을 보유한 EN 멤버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베이리스 같은 다른 접점도 많다. 거주지도 둘은 일본 하나는 호주라 방송 시간 잡기도 용이하다. 월간 팟캐스트인 CHAD CAST를 진행했었다. 딱히 주제는 없고, 신변잡기와 오타쿠 토크를 마구 오간다. 시간이 경과하자 셋이 많이 바빠서 팟캐스트 방송은 사라졌지만 여전히 이 셋의 조합은 채드캐스트로 불리며 셋이서 게임 합방 등 다른 합방에서 같이 노는 모습은 찾아볼 수 있다. 2024년을 기점으로 벨즈와 칼리가 일본으로 이주하고도 외부에 노출되는 유의미한 콜라보는 보이지 않는다. * '''CHADR''' + [[코세키 비쥬]] * '''엘프구미 (エルフ組)''' [[아키 로젠탈]], [[시라누이 후레아]], [[유키하나 라미]] 캐릭터의 모티브가 전부 엘프다. 정작 순혈은 없고 다들 하프인 건 함정. * --'''스타텐도 (Startend)'''--[*B 졸업(아쿠아)] [[토코야미 토와]], [[호시마치 스이세이]], --[[미나토 아쿠아]]-- 에이펙스 대회용 기획 유닛. 아쿠아가 낯가림이 심하고 곧 졸업하는 관계로 이번이 처음(Start)이자 마지막(end)으로 참가하는 대회 팀이라서 이렇게 지어졌다. 이 조합으로 [[https://youtu.be/XpgSrULHibg|커버곡]]도 여러 번 냈으며 페스에서도 함께 무대에 서는 등 반쯤 공식화된 유닛이 되었다. 스이세이와 토와의 인싸력에 아쿠아도 특유의 아싸 무브가 적어도 이 조합에서는 크게 줄어들었고 원래 친했던 아쿠스이, 스이토와 외에 아쿠토와까지 매우 친밀한 관계가 되었다. * '''BLT''' [[시시로 보탄]], [[타카네 루이]], [[토코야미 토와]] 3명의 이름 앞 이니셜을 따왔으며 모티브는 당연히 [[BLT]]. FPS가 특기인 토와와 보탄인 만큼 FPS를 하며 노는 일이 많다. * '''BLTS''' + [[호시마치 스이세이]](샌드) * '''야마다 루이 54세 (山田ルイ54世)''' [[라플라스 다크니스]], [[타카네 루이]], [[하쿠이 코요리]] * '''모모스즈 가''' [[모모스즈 네네]], [[사쿠라 미코]], ? PON셋이서 서로 장녀 자리를 먹겠다고 티격태격하는 셋. 멜의 계약해지 이후 네네미코 조합만으로는 더블치즈(だぶちーず) 유닛명이 존재하나 쓰이지 않았고, 2인만 남았으나 모모스즈 가 명의를 계속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네네가 새로운 금발 PON으로 카나데에 눈독을 들이고 모모스즈 가 막내로 영입하려 하고 있다. 다만 한 명 영입해도 그 세 명이서 모모스즈 가 타이틀을 계속 쓸 지는 미정이다. * 이전 멤버 --[[요조라 멜]]--[*A 계약 해지(멜)] * '''다이아몬드 독스(Diamond Dogs)''' [[코세키 비쥬]], [[후와와 어비스가드]], [[모코코 어비스가드]] ([[후와모코]]) * '''사운드하운즈(Soundhounds)'''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후와와 어비스가드]], [[모코코 어비스가드]] ([[후와모코]]) * '''후와모코요(FUWAMOKOYO)''' [[후와와 어비스가드]], [[모코코 어비스가드]] ([[후와모코]]), [[하쿠이 코요리]] * --'''카나켄'''-- [[아마네 카나타]], --[[사카마타 클로에]]--, [[AZKi]] 각종 스파이짓을 하다 나온 카나타가 직접 차린 마인크래프트 건설사. 시라켄마냥 마인크래프트 외에서도 잘 놀고 있으며 함께 로케이션을 다녀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셋 다 뛰어난 노래 실력과 음악성을 갖춘 멤버들인데 결국 2024년 연말 '''카나켄 단독 3D 라이브'''를 사비를 들여가면서까지 개최하게 되었다.[* 홀로라이브 3D 라이브 정책의 대대적 변경 이후로는 처음으로 특정 유닛이 주최하는 라이브이기도 하다.] [[사카마타 클로에]]가 2025년 1월 26일부로 방송 활동 종료를 하게 되므로 이것이 최초이자 최후의 카나켄 라이브가 되었다. * '''AHO3''' [[히오도시 아오]], [[토도로키 하지메]], [[오토노세 카나데]] Hiodoshi '''A'''o, Todoroki '''H'''ajime, '''O'''tonose Kanade. 리글로스에서 [[이치조 리리카|지니어스]]와 [[주우후테이 라덴|상식인]]을 빼자 바보 셋이 남았다. * '''오토히바나(オトヒバナ)''' [[오토노세 카나데]], [[히오도시 아오]], [[이치죠 리리카]] 리글로스의 1일차 데뷔한 3인. 그냥 유닛명으로 엮으면 뭐가 좋을까 고민하다 나온 이름이다. * '''BIG3''' [[시로가네 노엘]], [[유키하나 라미]], [[오오조라 스바루]] 무언가 큰 셋을 엮었다. 노엘과 라미는 홀로라이브의 대표 거유이지만 스바루는 홀로라이브의 대표 '''큰목소리'''라 Big3이다. * '''양손에 가키(両手にガキ)''' [[오토노세 카나데]], [[이치죠 리리카]], [[토도로키 하지메]] * '''변태 젠틀맨(変態ジェントルマン)''' [[이사키 리오나]], [[코가네이 니코]], [[린도 치하야]] 후로그로의 변태 3인방의 조합. * '''마마즈(ママ―ズ)''' [[호쇼 마린]], [[시로가네 노엘]]. [[오오조라 스바루]] 카나데의 공인된 엄마 셋. [[Liar's Bar]] 콜라보에서 나온 해시태그이자 조합.[* 다만 방송 당시에 이 조합명이 정해진 건 아니고 방종 당시 '''오츠마마즈'''라 한 것이 이 조합의 명칭 유래가 되었다. 나중에 노엘이 후기 방송 및 2025년 신년 방송에서 해당 조합명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엄마가 된 순서는 마린 → 노엘 → 스바루로, 자신이 직접 엄마가 되어달라고 한 마린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자신이 먼저 카나데를 딸로 받아들이면서 성립됐다.[* 다만 스바루가 공인 엄마가 되기까지는 상당히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카나데는 스바루에 대해 친한 동네 언니 정도의 인식은 있어도 엄마로는 인식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스바루는 계속 일방적으로 자신이 카나데의 엄마임을 주장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홀로 GTA를 통해 카나데와 스바루가 기막힌 궁합을 보여주고 이 시점에서 카나데가 스바루를 완전히 자신의 엄마라고 인정하게 되었다.] 마린은 '''원초의 엄마'''[* 가장 먼저 엄마가 된 것이 마린이며, 엄마 중에서 유일하게 카나데가 먼저 딸로 삼아달라고 요청했기에 자칭한 별명이다.], 노엘은 '''최애의 엄마'''[* 홀로 ARK, 오프라인에서의 샤브샤브 사주기 등 접점이 크게 늘어나면서 노엘 쪽에서 모성을 느끼게 되었고 카나데 또한 노엘을 상당히 좋아하게 되면서 전긍정 엄마와 전긍정 딸 조합이 탄생하게 되었다.], 스바루는 '''키워준 엄마'''[* 홀로 GTA에서 카나데가 사고뭉치 폐급 경찰 RP를 내세우고 스바루가 서장으로서 카나데를 타박하면서도 자기 딸이라며 챙겨주는 환상의 케미를 보이면서 스바루가 카나데를 키운 엄마라는 걸 리스너들에게 강하게 각인시켰다.]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셋이서 각자 자기가 진정한 카나데의 엄마라며 신경전을 펼치는 것이 백미. 일단 카나데는 이들 중에서 노엘을 가장 좋아하지만 현실 엄마 같은 느낌은 스바루에게서 받는다고 한다. 참고로 이 외에도 카나데에게 모성애를 느끼는 멤버들이 상당히 많아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 비공식 추가 멤버[* 비공식인 것은 카나데가 완전히 엄마로 인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AZKi]] 이쪽은 홀로라이브 New 마인크래프트 서버에서 추가되었다. 특이점이라면 카나데를 '''아들'''로 인식한다는 것.[* 아즈이로 창고 공사를 하던 도중 난입한 엔더맨을 카나데가 처치하자 AZKi가 "듬직하네, '''우리 아들'''"이라는 대사를 친 게 그대로 굳어졌다.] 사실 따지고 보면, DEV_IS 데뷔 이전 방송에서 카나데를 가리켜 "제 딸입니다"라고 한 것은 AZKi가 최초이다. 이게 여지껏 묻혀있다가 2025년이 2월이 되어서야 떡밥 회수가 된 것. [[호시마치 스이세이]] 스이세이의 경우 이전부터 카나데의 고민 상담을 많이 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인지 스이세이가 카나데를 이것저것 챙겨주다 보니 단순히 음악 관련뿐만 아니라 생활 부문에도 신경을 쓰기 시작했고, 2025년 5월 휴식을 마친 뒤의 복귀 방송에서 한 리스너가 '카나데의 멘탈 케어는 어떻게 되고 있어?'라고 질문하자 너무 많다 보니 콕 하나 집어 말하긴 힘들다며 사실상 자신이 엄마라고 인정했다. 카나데가 식사를 부순 생라면으로 때운다는 걸 알게 되자 식생활 관련으로 폭풍 잔소리를 했고, 밥까지 사주었다고. * '''전라이브(ゼンライブ)''' [[오오조라 스바루]], [[라플라스 다크니스]], [[오토노세 카나데]] 2025년 2월 13일, 셋이서 라지콘 기획을 하면서 스바루와 라플라스가 의식의 흐름대로 대화하다[* 카나데는 말을 할 수 없는 라지콘 역이라 어떤 경우에도 목소리를 내는 것이 불가능.] 다들 방송할 때는 전라로 방송한다며 나온 유닛명(...). * '''눈눈마츠타케샤브샤브(ぬんぬんまつたけしゃぶしゃぶ)''' [[토키노 소라]], [[주우후테이 라덴]], [[오토노세 카나데]] 소라덴에 카나데가 추가된 조합. 이 태그명은 이전부터 소라덴이 자주 별칭으로 사용하던 눈눈마츠타케에 카나데가 환장하는 음식인 샤브샤브까지 추가된 것이며, 2025년 3월 16일 셋이서 전에 요코하마에 다녀온 썰을 푸는 잡담 방송[* 시기는 6th fes. 개최 전으로, 원래는 카나데와 소라 둘이서 놀러가기로 했다가 카나데가 라덴을 초대해서 같이 가게 된 것이라고 한다. 사실 하지메도 부르려 했으나, 일정 문제로 참여가 불가능했다고.]에서 즉석으로 정해졌다. 나데라데 / 소라덴은 물론 카나데 또한 근래에 사적으로 소라와 친하게 지내기에 모두가 매우 친밀한 조합. 한편으로는 최초의 홀로라이브 멤버이자 대선배와 까마득한 후배 2명이라는 기묘한 조합이기도 하다. * '''홀로551(ホロ551)''' [[오마루 폴카]], [[하쿠이 코요리]], [[이치조 리리카]] 미식가 조합. 명칭은 일본의 중화요리 전문점 [[551 호라이]]에서 유래했으며, 551 호라이의 만두가 먹고 싶다며 붙인 조합명이다. * '''KoZMy''' [[하쿠이 코요리]], [[AZKi]], [[유키하나 라미]] 순수하게 코요리의 사심으로 모인 조합. ==== 4인 ==== * '''네포라보 (ねぽらぼ)''' [[모모스즈 네네]], [[오마루 폴카]], [[유키하나 라미]], [[시시로 보탄]] 마노 알로에를 제외한 5기생 전원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그룹. 현 5기생을 지칭하는 말로 더 자주 쓰인다. 주로 예능 프로그램 포멧을 따온다. * '''OKFAMS'''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시라카미 후부키]],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오오조라 스바루]] 게이머즈를 코어로 하는 조합식. 잘 뭉쳐지지않는 6인이라 완전체가 되는일은 시간이지나며 줄었고 나름 뭉치기 쉬운 파생형으로 FAMS, SMOK, 常MOS이 나온다. 하지만 그나마도 4인을 못 모아 3인, 땜빵조합으로 굴리는일이 허다하다. * '''FAMS''' [[시라카미 후부키]],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오오조라 스바루]] '''F'''ubuki Shirakami, '''A'''yame Nakiri, '''M'''io Ookami, '''S'''ubaru Oozora * '''OKBR'''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시시로 보탄]], [[유키하나 라미]] '''O'''kayu Nekomata, '''K'''orone Inugami, '''B'''otan Shishiro, '''R'''amy Yukihana 정작 라미는 항목에서도 볼 수 있지만 '''L'''amy다. 결성 초기부터(정확히는 L4D2 vs. FAMS 방송에서) "그런데 L 아니야?" 발언 등으로 멤버들도 이상하게 여겼지만 이 조합으로 뭉치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L4D2 이외에 Devour, Pico Park 두 개가 전부) 그런지 잊혀져가는 추세다. * '''SMOK'''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S'''ubaru Oozora, '''M'''io Ookami, '''O'''kayu Nekomata, '''K'''orone Inugami 스바루만 후부키로 바꾸면 딱 게이머즈 조합이지만 완전체 게이머즈 조합보다는 이 조합으로 합방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스목이라고 부르는일도 있지만 [[SM]] OK라고 해석하는일도 있어 곤란하다. 아래 츠네모스와 함께 스바루 학대(?) 최적화 조합으로도 유명하다. * '''츠네모스(常MOS)'''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토코야미 토와]] SMOK 조합에서 코로네가 토와로 바뀌었다. * ~~'''SNOT'''~~ ~~[[가우르 구라]], [[세레스 파우나]], [[나나시 무메이]],~~ [[오로 크로니]] '''S'''hark, '''N'''ature, '''O'''wl, '''T'''ime. JP의 SMOK와 비슷한 EN 게임 친목회. 넷 다 거주지가 북미이기 때문에 시간약속을 잡기 좋았다. 특별히 정해진 건 아니지만, 보통 공포/스릴러 계통의 협동 게임을 주로 같이 했었다. 크로메이의 꽁냥질, 크로니의 GWAK 비명, 부추기는 파우나, 구라의 초딩 무브 등 볼거리가 많았다. 구라와 무메이의 목소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도 있었다. 영어 snot은 콧물이라는 뜻인데, 의도하고 지은 것이다. * '''야카마시 무스메 (やかましい娘)''' [[호쇼 마린]], [[이누가미 코로네]], [[시로가네 노엘]], [[유키하나 라미]] 호쇼 마린을 주축으로 하는 주정뱅이 주접 수다회. 가끔 오프 음주기획을 연다. * '''은령의 불꽃 ( [ruby(銀嶺, ruby=ぎんれい)]の[ruby(花火, ruby=はなび)] )''' [[시로가네 노엘|白'''銀''' ノエル]], [[타카네 루이|高'''嶺''' ルイ]], ~~[[사카마타 클로에|沙'''花'''又 クロヱ]]~~, [[시라누이 후레아|不知'''火''' フレア]] 유닛명에서 불꽃만 훈독으로 읽는다. * '''스타 플라워 (Star Flower)''' [[호시마치 스이세이]], [[AZKi]], [[무나 호시노바]], [[IRyS]] 홀로라이브 2차 PV의 곡을 부른 유닛. Star는 스이세이와 무나 각각 혜성과 달인것에서 따왔다고 여겨지지만 왜 Flower인지는 팬들도 의아해하고 있다. [[팥|아즈키]], [[붓꽃|아이리스]] 모두 식물 이름을 변형한 이름이라 flower일 거라 추측할 수 있다. * ~~'''스웨티 게이머즈 (Sweaty Gamers)'''~~ ~~[[세레스 파우나]],~~ [[하코스 벨즈]], [[코세키 비쥬]], [[카엘라 코발스키아]] 조합명의 뜻은 빡겜하는 게이머들이라는 뜻이다. 홀로라이브 EN과 ID에서 게이머로 유명한 멤버들과 열정적인 견습 게이머 벨즈가 모인 조합이다. * '''NICE'''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IRyS]], [[모리 칼리오페]],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N'''erissa, '''I'''RyS, '''C'''alli, '''E'''lizabeth. 홀로라이브 EN에서의 가창 하나로 극찬한 멤버들로 이루어진 조합. * '''홀로갬블러즈 (ホロギャンブラーズ)''' [[시라카미 후부키]], [[오마루 폴카]], [[이치조 리리카]], [[오토노세 카나데]] 대형 합방 기획 [[홀로라이브 GTA]]를 통해 엮이게 된 멤버들. 이 넷은 틈만 나면 카지노에 들어가서 도박을 해대던 멤버들이며, 특히 카나데는 후부키와 함께 상습적으로 도박장에 출입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조합명은 [[Buckshot Roulette]] 콜라보를 통해 지어졌으며, 합방 컨텐츠에서 도박 요소가 보이면 서로 반응을 한다. ==== 5인 이상 ==== * '''[[UMISEA]]''' --[[미나토 아쿠아]],--[*B 졸업(아쿠아)] [[호쇼 마린]], ~~[[가우르 구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사카마타 클로에]]-- * '''우사다 건설''' [[우사다 페코라]], [[무나 호시노바]], [[타카나시 키아라]], [[토코야미 토와]], [[시시로 보탄]], --[[아마네 카나타]],--[* 카나켄이라는 그룹을 만들면서 독립했다.] --[[우루하 루시아]],--[*E 계약 해지(루시아)] --[[키류 코코]]--[*C 졸업(코코)] 통칭 우사켄. 과거 마인크래프트 홀로섭을 주름잡던 대형 건설사. 몰려서 무언가를 하는 다른 건설사들과는 페코라 사장님이 큰 그림만 그려놓으면 각자도생하는 스타일. 페코라가 오시인 무나와 키아라가 둘다 마크 실력이 출중하여 페코라 무나 키아라가 각자 지어놓고 대충 우사켄 간판만 붙여놓는 식이었다. 페코랜드 같은 대형 프로젝트도 척척 해내는 건설사로 구 서버의 난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나 산업스파이 카나타가 독립해 나가서 카나켄을 건립, 코코의 졸업, 루시아의 해고 등으로 인해 인원도 줄고 마인크래프트 붐도 시들해진데다 무나는 ID멤버들 끼리끼리 노는일이 잦아지고 JP멤버들도 PEBOT으로 하다보니 자연히 세력이 쇠해서 사실상 와해상태다. 남아있는 키즈나라고 한다면 무나가 페코라를 꼬박꼬박 사쵸라고 불러주는 수준. * '''[[시라누이 건설]] (통칭 시라켄, 혹은 호구치라이브)''' [[시라누이 후레아]], [[오마루 폴카]],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시로가네 노엘]] * '''홀로토리 (HOLOTORI)'''[* 정식 콜라보 전에는 영어인 홀로버드와 일본어인 홀로토리가 섞여서 쓰였는데 이후 키아라 주도로 로고까지 만들어지면서 홀로토리로 정착되었다.] [[타카나시 키아라]], [[오오조라 스바루]], [[파볼리아 레이네]], ~~[[나나시 무메이]],~~ [[타카네 루이]] ||<table bordercolor=#2a4b6f><tablebgcolor=#2a4b6f><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BcO9bZavHRg)] || ||<color=#fff> '''【MV】HOLOTORI Dance!【HOLOTORI Original Song】''' || [[새|조류]]와 관련있는 설정이 붙은 멤버들을 모아놓은 유닛. 홀로토리가 정식 유닛이 된 이후로 이 이상 멤버가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에 좁게는 위의 다섯명으로 이루어진 정식 유닛을 가리키지만, 넓게는 새와 관련된 설정이 있거나 관련된 밈이 있는 홀로라이브 멤버 전반을 의미하기도 한다.[[https://youtu.be/nYzXNVFzDtE|#]] 반드시 캐릭터의 모티프가 새여야 할 필요는 없으며, 팬들 사이에서 농담삼아 새 취급받는 멤버도 포함될 수 있다. 예시로 유일하게 [[오오조라 스바루]]는 설정상 [[새|조류]]가 아닌 인간 운동부 매니저지만, 자타공인 [[오리]]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혀있어 아무도 이 유닛에 껴있는걸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소속 브랜치도 제각각이고 거주지역이 유럽, 북미, 인도네시아, 일본 등 뿔뿔히 흩어져 있어 콜라보가 쉽지는 않지만 5인 전체가 아니라도 서로의 기념 방송에 자주 얼굴을 비치며 가깝게 지낸다. 원래는 키아라와 스바루가 농담삼아 만든 조합이었지만, 소속 멤버들이 모두 노래에 일가견이 있고 캐릭터 디자인과 목소리까지 모두 잘 어우러져 의도적으로 기획되기라도 한 듯 그럴싸한 아이돌 그룹이 완성되었다.[[https://youtu.be/SGaO-n75JcE|#]] 2023년 타카네 루이의 생일 기념 3D 라이브 방송에서 처음으로 5명이 함께 무대에 올라 공연을 선보였으며,[[https://youtu.be/4LLS_nWntyI|#]] 홀로라이브 섬머에서 공식적인 유닛으로 발전하였다.[[https://twitter.com/hololivetv/status/1691011784029646848|#]] * '''도둑 건설''' [[네코마타 오카유]], [[오오카미 미오]]. [[시라카미 후부키]], [[타카네 루이]], [[라플라스 다크니스]], [[이누가미 코로네]] 통칭 도로켄. 23년 3~4월 홀로 마인크래프트 신서버 추가로 마인크래프트 붐이 다시 불때 입문한 오카유가 마크에 뒤늦게 재미를 붙여 결성한 마크 건설사다. 도둑인 오카유와 '''도둑질 대상'''인 루이가 초기 멤버고, 이후 미오와 [[시라카미 후부키|나조나조 가면]]이 합류하였다. 시라켄이 마인크래프트 밖에서 유닛으로 공식활동을 늘리느라 생긴 공백을 틈타 마크붐이 시들해진 신 마크섭을 점령하였다. 이후 뭐 재밌는거 없나 놀러온 라플라스에게 오카유가 네더라이트 괭이를 하사하니 이에 농업대신으로 들어와 5인에 이른다. 조합을 보면 평소에도 완전체로 모이는 일이 적은 게이머즈의 숙명이 여기서도 발현되어 코로네가 빠지고 루이가 들어온 모양새다. 여기에 개이모즈로 불릴정도로 마마미가 가득한 3인과 사실상 라플라스의 보호자 상태인 루이가 더해져 4인의 엄마가 라플라스를 오구구 둥기둥기 해주는 그림도 보인다. 늦게배운 마크재미에 푹빠진 멤버들이 열심히 건축을 하고있으며 라플라스는 건축은 약해도 각종 자원채굴역할을 톡톡히 하고있다. 이후로 여름 축제의 경마장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사업영역을 [[사채|네코네코 파이냥스]]라는 영역으로 확장하거나 2023년 여름축제 준비를 위해 놀러온 코로네를 오카유가 도로켄으로 꼬시고 코로네는 도로켄의 캐릭터성을 내가 망치는게 아닐까 싶었는데 오카유가 괜찮다고 하니 나 들어갈래! 식으로 말했다. 그렇게 여름축제가 끝나고 무수히 발생한 채무자들의 징수역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면접을 통해 영입하니[* 압박면접을 경험해본적이 없다고 오카유가 프리패스 시켜줄려는데도 기어코 면접을 받았다. 그와중에도 떨어지려고 기행을 벌이는걸 애써 전긍정 해주었다.], 기어코 게이머즈 완전체가 모이는 건설사가 되었다. 그 외에는 커버곡 死んだ[[https://youtu.be/IKPeENn9C_Y?si=rnRgNH_5wigVpxae|#]]를 부르기도 하고 도로켄 보이스를 출시하기도 하는등 공식 유닛으로서 유의미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스타 애니멀 (Star Animal)''' [[오오조라 스바루]], [[토키노 소라]], [[호시마치 스이세이]], [[오마루 폴카]],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2022년 홀로라이브 골든위크 게임쇼를 위해 결성된 팀이다. 본디 그냥 스바루를 팀장으로 하는 스바루팀이었으나 별이 둘, 짐승이 --넷--셋이어서 [* 스바루는 이름에 하늘이 들어가서 별이고, 오리라서 짐승이니 별과 짐승의 가교를 자처한다.] 별과 짐승들이라고 스타 애니멀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골든위크가 끝난 뒤에도 유의미한 활동을 보인 유일한 팀으로 이 유닛으로 갈틱폰, [[https://www.youtube.com/watch?v=YFnkzhUyz18|괴물 커버곡]]을 냈으나 23년 이후로는 유의미한 활동이 없다. * '''호시마틱 프로젝트''' [[토키노 소라]], [[호시마치 스이세이]], [[아키 로젠탈]], [[나츠이로 마츠리]], [[오오조라 스바루]], [[토코야미 토와]], [[모모스즈 네네]],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카자마 이로하]] 23년 말경부터 하고있는 프로젝트. 10명이나 되는 대인원을 데리고 이리저리 군무로 무대공연을 하려는 기획이다. 인원이 워낙 많아서 A, B 두팀으로 나누어 춤연습을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며 전용의 3D 연습복까지 맞춰줄 정도의 기대받는 대기획이다. 24년은 커버곡 하나를 끝으로 잊혀지는가 했으나 스이세이의 라이브 투어 첫날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SSA]]에서 전원 합동 무대를 펼칠 예정이라는 소식이 발표되었다. 이 무대를 위한 신곡까지 제작되었다. * '''트와일라잇 걸즈 (Twilight Girls)''' ~~[[세레스 파우나]], [[나나시 무메이]],~~ [[시오리 노벨라]],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코세키 비쥬]],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트와일라잇]] 영화 동시시청을 통해 고스, 이모(emo), 중2병 감성을 공유하는 사이로 발전한 그룹. 그 이후로는 이들의 합방이 드문데다 파우나와 무메이의 졸업으로 발전이 어렵고 그룹을 부각시킬 활동이 없다. * ~~'''Kirin Co.'''~~ ~~[[세레스 파우나]]~~, [[시오리 노벨라]], [[코세키 비쥬]], [[후와모코]],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모리 칼리오페]], [[세실리아 이머그린]], [[지지 무린]],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원래 파우나가 마인크래프트에서 단독으로 세계수를 건설을 하다 놀러온 두 후배를 잡아다 건설사라고 자칭하고 있다. 작업현장이 고소라서 추락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위험한 회사다. 마인크래프트가 시들해지고는 유의미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졸업이 확정된 이후 직전에 멤버의 추가로 건설 속도가 붙으며 세계수가 완공되어 자연스레 해산되었다. * '''[[마법소녀 홀로위치!]] (HoloWitches)''' [[사쿠라 미코]], ~~[[무라사키 시온]],~~ [[호쇼 마린]], [[아마네 카나타]], [[히메모리 루나]], ~~[[사카마타 클로에]],~~ [[시라카미 후부키]], [[유키하나 라미]] * '''홀로 트윈테일조''' [[아키 로젠탈]], [[호쇼 마린]], [[우사다 페코라]], [[토코야미 토와]], [[키키라라 비비]] 기본 헤어스타일이 [[트윈테일]]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조합. 명칭은 '''あつまれ!おえかきの森''' 콜라보의 해시태그에서 유래했다. 콜라보 제안 자체는 비비가 했다고 한다. == [[HOLOSTAR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STARS)] === 데뷔 및 활동종료 연표 === ||<-2> '''2019년''' || || 6월 8일 || [[하나사키 미야비]] 데뷔 || || 6월 9일 || [[카가미 키라]] 데뷔 || || 6월 22일 || [[카나데 이즈루]] 데뷔 || || 9월 7일 || [[야쿠시지 스자쿠]] 데뷔 || || 9월 8일 || [[아르란디스]] 데뷔 || || 10월 20일 || [[릿카(HOLOSTARS)|릿카]] 데뷔 || || 12월 7일 || [[아스텔 레다]] 데뷔 || || 12월 14일 || [[키시도 텐마]] 데뷔 || || 12월 24일 || [[유코쿠 로베루]] 데뷔 || ||<-2> '''2020년''' || || 3월 6일 || [[야쿠시지 스자쿠]] 활동 종료 || || 4월 29일 || [[츠키시타 카오루]] 데뷔 || || 4월 30일 || [[카게야마 시엔]] 데뷔 || || 5월 1일 || [[아라가미 오가]] 데뷔 || || 7월 28일 || [[츠키시타 카오루]] 계약 종료 || || 11월 30일 || [[카가미 키라]] 졸업 || ||<-2> '''2022년'''[* 2021년에는 새로 데뷔하거나 졸업한 멤버가 없었다.] || || 3월 29일 || [[야토가미 후마]], [[우츠기 우유]] 데뷔 || || 3월 30일 || [[히자키 감마]], [[미나세 리오]] 데뷔 || || 7월 22일 || [[리지스 알테어]], [[매그니 데즈몬드]], [[악셀 시리오스]], [[누아르 베스퍼]] 데뷔 || ||<-2> '''2023년''' || || 1월 8일 || [[가비스 베텔]], [[마키나 X 플레온]], [[반조인 핫카]], [[조스이지 신리]] 데뷔 || || 8월 31일 || [[매그니 데즈몬드]], [[누아르 베스퍼]] 졸업 || || 11월 18일 || [[쥐라르드 T 렉스포드]], [[골드불릿]] 데뷔 || || 11월 19일 ||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 [[크림즌 루즈]] 데뷔 || ||<-2> '''2024년''' || || 7월 17일[* 공지가 올라온 날짜는 7월 19일. ] || [[히자키 감마]] 계약 해지 || === HOLOSTARS JP === ==== 1기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하나사키 미야비|{{{#fff [ruby(花咲, ruby=はなさき)]みやび}}}]]''' ||<bgcolor=#848484> '''[[카가미 키라|{{{#fff [ruby(鏡見, ruby=かがみ)]キラ}}}]]''' || '''[[카나데 이즈루|{{{#fff [ruby(奏手, ruby=かなで)]イヅル}}}]]''' ||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히나사카하야비.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카가미키라.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카나데이즈루.png|width=100%]] || || [[https://youtube.com/@HanasakiMiyab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iyabihanasaki, 크기=24)] || [[https://youtube.com/@KagamiKi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gamikirach, 크기=24)] || [[https://youtube.com/@CeresFau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nadeizuru, 크기=24)] || ||<bgcolor=#848484> '''[[야쿠시지 스자쿠|{{{#fff [ruby(薬師寺, ruby=やくしじ)] [ruby(朱雀, ruby=すざく)]}}}]]''' ||<rowbgcolor=#46c2f2> '''[[아르란디스|{{{#fff アルランディス}}}]]''' || '''[[릿카(HOLOSTARS)|{{{#fff [ruby(律可, ruby=りっか)]}}}]]''' ||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야쿠시지스자쿠.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아르란디스_신규.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릿카_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YakushijiSuzak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akushijisuzaku, 크기=24)] || [[https://youtube.com/@Arurandeis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rurandeisu, 크기=24)] || [[https://youtube.com/@rik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ikkaroid, 크기=24)] || 2019년 6월부터 데뷔하였다. 2020년 3월 6일자로 야쿠시지 스자쿠가 활동을 종료했다. 2020년 11월 30일자로 카가미 키라가 졸업했다. 홀로스타즈 선행조 멤버들로서 어떻게보면 홀로스타즈 내 대선배들이나 다름 없는 위치이긴 하지만 2,3기생들이 데뷔 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다보니 데뷔 텀이 길고 선배, 후배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UPROAR!!와 홀로스타즈 EN 멤버들을 제외하고는 딱히 1기생을 선배라고 칭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1기생 멤버들도 2,3기 멤버들을 후배로 대하지 않는다. 참고로 같은 선행조임에도 불구하고 후배들에게 받는 대우가 극명하게 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하나사키 미야비]]의 경우 홀로스타즈 멤버들의 오시이자 요정님으로 대우를 받지만 [[아르란디스]]의 경우 홀로스타즈의 동네북 취급을 받곤 한다. =====# 카가미 키라[anchor(카가미 키라)]◆ #===== ||<-4><tablewidth=3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848484><color=#fff> '''{{{+2 [ruby(鏡見, ruby=かがみ)]キラ}}}''' || ||<-4><nopad> [[파일:홀로스타즈_카가미키라.png|width=100%]] || ||<|2><width=75> [[https://youtube.com/@KagamiKi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br]^^7.61만^^[*기준] ||<|2><width=75>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gamikirach, 크기=24)][br]^^4.5만^^ ||<width=80><bgcolor=#848484><color=#fff> '''3D 모델''' ||<width=75><bgcolor=#848484><color=#fff> '''상태''' || || × || 졸업[* 20.11.30 ] || >아이돌을 향한 열정이 넘치는 [[오카마|남자]]. 남들보다 돋보이고 싶어하고 남들에게 지는 걸 싫어한다. 어렸을 때부터 게임을 무척 좋아했고 특히 멀티게임을 잘한다. >---- >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 데뷔일은 2019년 6월 9일, 생일은 10/26, 키는 156cm(굽 포함 160cm). 캐릭터 디자이너는 [[https://twitter.com/TsubaTako|野崎つばた]][* 이후 [[니지산지]] 소속 [[시키나기 아키라]], [[네오포르테]] 소속 히이라기 츠루기의 디자인을 맡았다.]. [[양성류]]로, [[https://youtu.be/RT1ZdtyvUro|목소리를 낮추지 않으면 여성과 구별하기 어렵다.]] 정신건강을 포함한 건강상의 문제로 2020년 11월 30일 졸업했다. 기존에는 졸업 멤버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서 [[마노 알로에]]처럼 기존 홀로스타즈 멤버도 언급을 자제하는 상황이었으나, 2021년 12월 29일 홀로스타즈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해 [[키류 코코]]처럼 졸업 멤버로써 대우가 승격했다. 즉, 멤버들의 키라에 대한 언급이 자유자재로 가능해졌다. =====# 야쿠시지 스자쿠[anchor(야쿠시지 스자쿠)]◆ #===== ||<-4><tablewidth=3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848484><color=#fff> '''{{{+2 [ruby(薬師寺, ruby=やくしじ)] [ruby(朱雀, ruby=すざく)]}}}''' || ||<-4><nopad> [[파일:홀로스타즈_야쿠시지스자쿠.png|width=100%]] || ||<|2><width=75> [[https://youtube.com/@YakushijiSuzak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br]^^1.03만^^[*기준] ||<|2><width=75>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akushijisuzaku, 크기=24)][br]^^1.4만^^ ||<width=80><bgcolor=#848484><color=#fff> '''3D 모델''' ||<width=75><bgcolor=#848484><color=#fff> '''상태''' || || × || 활동종료[* 20.03.06 ] || >어린 시절부터 할머니 손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본식인 것을 좋아한다. 야쿠시지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기모노를 걸치고, 칼을 부적으로 항상 지니고 다닌다.기본적으로 대략적이다.외로움을 많이 타지만, 번화한 장소를 싫어한다. 게임에는 끝까지 빠져드는 타입. >---- >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 데뷔일은 2019년 9월 7일, 생일은 3/24, 키는 180cm. 캐릭터 디자이너는 [[https://twitter.com/fuji_mitsuya|藤 未都也]]. 2020년 3월 6일부로 활동 종료. 전체로 치면 최초로 활동 종료한 멤버이다. 홀로스타즈 초창기에 활동했던 멤버이나 활동 종료 이후 유튜브에 남아있는 영상도 다른 멤버들이 초창기 시절 진행한 콜라보 뿐인 데다가 트위터도 계정만 남아있을 뿐 어떠한 글도 없기에 홀로스타즈의 극초창기 시절부터 지켜봐온 팬들 외에는 스자쿠가 누구이며 무엇을 했는지 아는 사람이 없다. ==== 2기생 - SunTempo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아스텔 레다|{{{#fff アステル・レダ}}}]]''' || '''[[키시도 텐마|{{{#fff [ruby(岸堂, ruby=きしどう)][ruby(天真, ruby=てんま)]}}}]]''' || '''[[유코쿠 로베루|{{{#fff [ruby(夕刻, ruby=ゆうこく)]ロベル}}}]]''' ||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아스텔레다_r.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키시도텐마_r.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유코쿠로벨_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AstelLe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stelleda, 크기=24)] || [[https://youtube.com/@KishidoTem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ishidotemma, 크기=24)] || [[https://youtube.com/@YukokuRobe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ukokuroberu, 크기=24)] || 2019년 12월에 데뷔하였다. 홀로스타즈 유닛 중 가장 개인플레이 성향이 강한 유닛이다. 그래서 홀로엑스포와 같은 공식 이벤트가 따로 있거나 홀로스타즈 전원 콜라보 방송이 있지 않는 이상은 각자 개인 방송에 집중하며 유닛 콜라보를 잘 안한다. 팬들 사이에서 제발 콜라보 좀 해달라는 말이 나올 정도. ==== 3기생 - MaFia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848484> '''[[츠키시타 카오루|{{{#fff [ruby(月下, ruby=つきした)]カオル}}}]]''' ||<rowbgcolor=#46c2f2> '''[[카게야마 시엔|{{{#fff [ruby(影山, ruby=かげやま)]シエン}}}]]''' || '''[[아라가미 오가|{{{#fff [ruby(荒咬, ruby=あらがみ)]オウガ}}}]]''' ||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츠키시타카오루_r.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홀로스타즈_카게야마시엔_r.png|width=100%]] ||<width=33%><nopad> [[파일:Aragami Oga_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TsukishitaKao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sukishitakaoru, 크기=24)] || [[https://youtube.com/@KageyamaShi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kageyamashien, 크기=24)] || [[https://youtube.com/@AragamiOg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ragamioga, 크기=24)] || 2020년 4월 말에 데뷔하였다. 유닛명인 MaFia는 본래 TriNero였으나 카오루가 계약 종료되고 난 후인 2020년 8월 중순부로 변경된 것이다. 일본어로는 魔フィア라고 표기한다. 각자의 스케줄이 정해져 있다보니 앞에서 콜라보 방송을 하기보다는 사석에서 교류하는 경우가 많은 유닛이다. 물론 그럼에도 홀로엑스포나 [[AGF]]와 같은 공식 행사가 있을 때는 둘이 같이 참여하곤 한다. =====# 츠키시타 카오루[anchor(츠키시타 카오루)]◇ #===== ||<-4><tablewidth=3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848484><color=#fff> '''{{{+2 [ruby(月下, ruby=つきした)]カオル}}}''' || ||<-4><nopad> [[파일:홀로스타즈_츠키시타카오루_r.png|width=100%]] || ||<|2><width=75> [[https://youtube.com/@TsukishitaKao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br]^^3.81만^^[*기준] ||<|2><width=75> [include(틀:X(SNS) 로고, 링크=tsukishitakaoru, 크기=24)][br]^^5만^^ ||<width=80><bgcolor=#848484><color=#fff> '''3D 모델''' ||<width=75><bgcolor=#848484><color=#fff> '''상태''' || || × || {{{-2 계약 종료}}} || >신생 메이크업 아티스트고 화장을 좋아한다. 남자긴 하지만 귀여운 걸 좋아하며, 자신도 그렇게 하고 싶다며 아름다운 모습으로 꾸미고 있다. 실수로 홀로라이브 오디션장에 가서 곤란해하던 차에, 남자로 판명되어 시노부에게 안내되었다. >---- >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 데뷔일은 2020년 4월 29일, 생일은 8/29, 키는 174cm. 캐릭터 디자이너는 [[https://twitter.com/omu001|むっしゅ]].[* 이후 DEV_IS 소속 ReGLOSS의 [[히오도시 아오]]를 디자인 했다.] [[오카마]]지만 엄청 예쁘게 생긴 외모로 홀로스타즈 역사상 처음으로 단기간에 구독자 1만을 달성했으며, 2020년 5월 21일에 '''베이블레이드를 조립하면서 ASMR 방송'''을 했고 심지어 '''바이노럴 마이크 앞에서 고 슛'''까지 했다. 목소리를 낮추지 않으면 여자와 거의 구별되지 않는 키라와는 달리 성대가 또렷한 남자 목소리라 처음 보았을 때 목소리와 그래픽 사이의 괴리감이 크다. 이렇게 왕성히 활동을 계속하던 도중, 2020년 7월 28일, 커버 주식회사 및 홀로스타즈 공식 측에서 츠키시타 카오루 본인의 개인적인 사정[* 사생활에 매우 불미스러운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때 [[불륜]]이라는 설이 있었지만 계약 종료 후 안의 사람의 아내가 간접적으로 '''9할 거짓말'''이라며 부정했다.]으로 인해 더 이상 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츠키시타 카오루의 '''계약 종료'''를 발표하였다.[[https://twitter.com/cover_corp/status/1287946514975739905|공식 발표]] 갑작스런 소식에 홀로스타즈 팬들은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정식 졸업 방송도 하지 못했고 츠키시타 카오루 유튜브 채널의 모든 동영상은 비공개 처리되었지만 채널 정보에 「この3ヶ月間、私にとって本当に幸せで夢みたいな時間でした。みんなありがとう。(지난 3개월, 저에게는 정말로 행복하고 꿈같은 시간이었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라고 짧게 감사 인사를 남겨 놓았다. [[https://twitter.com/ayunda_risu/status/1270430134781177858|데뷔 날짜가 비슷한 홀로라이브 ID 1기생 멤버들과 가깝게 지냈다. ]] [[아윤다 리스]]는 2020년 6월 7일에 카오루가 함께 그려진 일러스트로 트위터 헤더 이미지를 변경했는데, 츠키시타 카오루가 홀로라이브를 떠난 이후에도 한동안 일러스트를 변경하지 않았었다. === UPROAR!!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야토가미 후마|{{{#fff [ruby(夜十神, ruby=やとがみ)][ruby(封魔, ruby=ふうま)]}}}]]''' || '''[[우츠기 우유|{{{#fff [ruby(羽継, ruby=うつぎ)][ruby(烏有, ruby=うゆ)]}}}]]''' ||<bgcolor=#848484> '''[[히자키 감마|{{{#fff [ruby(緋崎, ruby=ひざき)]ガンマ}}}]]''' || '''[[미나세 리오|{{{#fff [ruby(水無世, ruby=みなせ)][ruby(燐央, ruby=りお)]}}}]]''' || ||<v|1><width=25%><nopad> [[파일:홀로스타즈_야토가미후마_r.png|width=100%]] ||<v|1><width=25%><nopad> [[파일:홀로스타즈_우츠기우유_r.png|width=100%]] ||<v|1><width=25%><nopad> [[파일:홀로스타즈_히자키간마_r.png|width=100%]] ||<v|1><width=25%><nopad> [[파일:홀로스타즈_미나세리오_r.png|width=100%]] || || [[https://youtube.com/@YatogamiFu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yatogamifuma, 크기=24)] || [[https://youtube.com/@UtsugiUy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utsugiuyu, 크기=24)] || [[https://youtube.com/@HizakiGam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izakigamma, 크기=24)] || [[https://youtube.com/@MinaseR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inaserioch, 크기=24)] || 2022년 3월 말에 데뷔하였다. 한국어로는 업로어!!라고 읽으며, 일본어로는 앗푸로-!!(アップロ-!!)라고 부른다. 팬들 사이에서 애칭처럼 불리는 명칭은 아뿌로. 공식적으로 4기생이 아닌 HOLOSTARS 소속의 별개 그룹이지만 이전 멤버들과 활동 내용에 별다른 차이는 없으며 UPROAR 멤버들도 홀로스타즈 1~3기 멤버들을 선배로 대한다. 멤버 4명 모두가 각자 주력인 분야가 다른데, [[야토가미 후마]]는 닌텐도 게임과 FPS류 게임을 주력으로 하며, [[우츠기 우유]]의 경우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나 [[DEAD BY DAYLIGHT]]와 같은 다인 멀티 게임, [[히자키 감마]]는 그림, [[미나세 리오]]는 노래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또한 4명 다 주력인 분야는 다르더라도 FPS 게임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정말 친하게 지내고 있다보니 그룹 단위 행동이 많은 편이다. [[https://youtu.be/yMWNlg2r9dM|점프 업로어!!]]와 같은 기수 단체 공식 기획 방송이나 [[https://www.youtube.com/live/Do85IkEgZhs|1주년 기념 오프콜라보 노래 방송]]을 하기도 하며 이외에도 4인용 게임을 들고 와서 업로어 단체 콜라보를 진행하거나 굳이 4인용 게임이 아니더라도 게임 내에서 누가 더 높은 점수를 내나 도전하는 식으로 대결하는 방송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넷이서 버추얼 유튜버들이 여는 FPS 게임 커스텀 대회에 한 팀으로 출전하는 등 게임 합방도 자주 한다. 또한 홀로스타즈 EN이나 홀로라이브 ID 같은 타 브랜치와도 교류가 잦은데 이때도 단체 행동을 자주 한다. 2023년 3월 18일, 곧 다가오는 1주년을 기념하여 업로어 단체 오리지널 곡 [[https://youtu.be/BtiJzEhS-ME|Prologue]]를 공개했다. 3월 31일 업로어 1주년 라이브를 진행했고, 중간에 업로어 전용 3D 신의상을 공개했다. 참고로 이 의상은 1주년 기념 오리지널 곡 Prologue에 나오는 그 의상이다. 12월 20일 [[https://x.com/holostarstv/status/1736325365839393001?s=20|방과후 업로어 테마 신의상 릴레이]]를 진행했다. 2024년 2월 29일, [[https://x.com/holostarstv/status/1763172272766894504?s=20|업로어의 데뷔 2주년 기념 3D 라이브]]가 공지 되었다. 오는 3월 31일 오후 8시 홀로스타즈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그리고 2주년 기념 라이브 공지와 함께 업로어의 두번째 오리지널 곡인 [[https://youtu.be/81SXAE2JlGk|JACK THE WORLD]]도 공개되었다. 7월 17일 [[히자키 감마]]가 커버와의 의견 차이로 계약 해지되었다. === HOLOSTARS ENGLISH === ||<tablebordercolor=#343442><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colbgcolor=#343442><nopad> [youtube(BW86Wt7B0rA)] || ||<color=#fff> '''Server Reboot Sequence: Engage|#holoTEMPUS''' || 2022년 7월 15일에 처음 공개됐다. 처음에는 홀로스타즈 이름을 밝히지 않고 새로운 유닛 "TEMPUS"의 티저를 공개했다. 공개 당시엔 TEMPUS의 소속이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알리지 않았으나 이후 유튜브 채널 이름을 HOLOSTARS ENGLISH로 바꾸면서 HOLOSTARS에도 EN 그룹이 발족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렸다.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에서는 처음으로 영어권 남성 멤버들이 합류하게 된 것인만큼 데뷔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기존 홀로스타즈 멤버들이나 홀로라이브 EN 멤버들과 함께 어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지 순수하게 기대하는 팬들도 있는 반면, [[https://youtu.be/6QAiX-iIKpk|남성 멤버가 EN에 합류하는 것 자체에 거부감을 보이거나 ]] 이들을 [[https://youtu.be/UzflYD0iWU8|기존 홀로라이브 여성 멤버들과 억지로 엮으려고 하는 등]] 다소 잘못된 방향으로 팬심을 표출하는 팬들도 나타나 우려를 사기도 했다. 이렇듯 남성 멤버들로 구성되어있다 보니 홀로라이브 멤버들이 남성 방송인과 같이 방송하는 것을 [[유니콘|싫어하는 시청자]]들이 홀로라이브 멤버들을 공격하는 문제를 낳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크로니는 슈퍼챗으로까지 악성 시청자들의 테러를 당했고, 아메는 템퍼스 데뷔 전부터 으름장을 놓는 몰지각한 시청자들에게 시달려야만 했다. 벨즈 역시 오시인 로베루와 합방을 한 이후 스타즈와 합방을 하지 말라고 요구하는 유니콘들에게 시달렸고 이미 릿카와 여러 차례 듀엣곡을 부른 적이 있는 칼리는 선수를 쳐서 "나는 쟤들의 아버지가 될 것이니 이상한걸로 엮지 말라"고 못을 박아야만 했다. 결국 EN 공식 트위터에서 크로니의 스케줄 업로드와 같은 타이밍에 [[https://twitter.com/hololivepro_EN/status/1571745933754503168|소속 탤런트들의 활동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탤런트들을 공격하지 말 것을 당부하는 공지]]를 올렸다. 당시 크로니가 공격을 가장 심하게 받고 있었고 다음 주에 템퍼스의 베스퍼와 콜라보를 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크로니의 공지와 맞춰 운영측도 공지를 한 것. 크로니 역시 트윗으로 당부의 말을 남겼으며 이전에 오메가알파가 '홀로라이브와 홀로스타즈 전부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소속이다'라고 남긴 짧은 트윗이 회자되기도 했다. 소속 멤버들과 커버 주식회사의 적극적인 대처 덕분에 초창기와는 달리 이들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은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으며, 오히려 홀로라이브 멤버들과 홀로스타즈 멤버 사이의 콜라보를 기대하는 시청자들이 많아졌다. 동시에 그동안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홀로라이브 팬덤 내부 [[유니콘]] 시청자들의 행각이 많은 영미권 시청자들 앞에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언어적으로 보면 같은 영어 팀인 홀로라이브 EN에 전반적으로 일본어가 가능한 멤버가 많은 것과 달리, 일본어가 능숙한 멤버는 악셀 한명 뿐이지만 한국어가 능숙한 알테어와 스페인어가 능숙한 핫카가 있고, 이렇게 영어 외의 다른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멤버들은 사용 가능한 언어를 방송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알테어는 평소 슈퍼챗 감사인사에 "감사합니다"를 꼭 붙이는 등 적극적으로 한국어를 사용하고[* 한국어를 자주 쓰는 것과는 별개로 방송 시간은 미 동부 기준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보기 좋지는 않은 시간이다.], 악셀과 핫카는 아예 별도로 일본/라틴아메리카 시청자들을 위한 해당 언어 토크 방송을 따로 하고 있다. 또한 홀로스타즈 EN 멤버들의 경우 친한 성향임을 은근히 어필하는데, 템퍼스의 경우 베텔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한국어 단어를 조금은 알고 있거나,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리지스 알테어]]는 아예 방송에서 한국어를 쓰고, [[매그니 데즈몬드]]는 한국 온라인 게임이나 한식, KPOP 등 한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즐김을 여러 차례 드러냈다. [[악셀 시리오스]]와 [[조스이지 신리]]는 노래 방송에서 KPOP을 부르거나 한국어로 간단하게 한두마디 해주기도 하며, [[누아르 베스퍼]]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방송에서 종종 언급하기도 했고, [[마키나 X 플레온]]은 한국 게임에 흥미를 가지고 방송에서 직접 플레이했다. 3기생인 아미스에서는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가 KPOP에 대한 관심을 열렬히 어필하는 등, 전반적으로 친한 성향을 띄고 있다. 또한 특별히 친한 성향 어필이 두드러지지 않는 [[반조인 핫카]] 역시 한국어를 배운 적이 있으며 해외 문화 전반에 관심이 많아서 해외팬들을 전반적으로 잘 챙겨준다. 그렇다보니 실시간으로 챙겨보기 힘든 방송 시간대를 제외하면 한국 팬들에게 진입장벽이 그리 높지는 않은 편이다. 시간대 역시 한국 기준으로 새벽 2-3시가 고정인 [[누아르 베스퍼]]와 아침 6시가 고정인 [[가비스 베텔]], 일부 방송을 새벽 4시에 하는 [[크림즌 루즈]]를 제외한 대부분은 아침 8시-11시, 또는 낮 12시와 밤 10-11시에 방송을 켜고 있으며, 호주 시간대인 [[악셀 시리오스]]의 일부 방송과, 아시아 친화적 시간대인 [[쥐라르드 T 렉스포드]]와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의 방송은 일반적으로 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저녁 시간대에 해당한다. 그리고 템퍼스의 내구 담당인 [[조스이지 신리]] 및 아미스의 게이머 담당인 [[골드불릿]]과 [[크림즌 루즈]], 지치지 않는 강철 체력 소유자인 [[쥐라르드 T 렉스포드]]를 제외한 대부분 짧으면 1시간, 길면 3-4시간 이내로 방송을 끝내기 때문에 실시간을 놓치더라도 부담 없이 Vod를 돌려보기가 가능하다. 일본식 아이돌의 태생적 한계 때문에 JP 멤버들은 홀로스타즈와 콜라보를 하는 것을 여전히 어려워하지만, 예전부터 그런 시선에서 자유로웠던 ID 멤버들이나 템퍼스의 데뷔를 기점으로 정면돌파를 택한 EN 멤버들은 모두 홀로스타즈와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조합과 컨텐츠를 만들어내고 있다. 홀로템퍼스 전체와 올리, 알테어와 코보, 매그니와 칼리, 악셀과 제타, 악셀과 아메, 베스퍼와 크로니 같은 조합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알테어와 코보는 현실남매, 매그니와 칼리는 아들과 아빠, 악셀과 제타 조합은 츤데레 라이벌/커플링, 악셀과 아메는 아들과 엄마, 베스퍼와 크로니는 앙숙 라이벌 관계, 그리고 템퍼스와 올리는 사촌동생들과 사촌누나 관계로 인기가 많아져 남녀 멤버 조합의 거부감을 없애는 데에서도 역할을 하고 있다.][* 심지어 남녀 콜라보에 자유롭지 않은 JP 멤버들인 [[토키노 소라|소라]], [[시라카미 후부키|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마츠리]], [[아키로제]], [[토코야미 토와|토와]], [[아카이 하아토|하쨔마]], 그리고 [[호시마치 스이세이|스이세이]] 등 과도 서로 소통하고 콜라보도 하였다. 이에 대한 영향으로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내에서의 남녀 콜라보에 대한 거부감이 줄고 JP멤버들과 스타즈 멤버들의 콜라보를 더 원하는 모습을 보이는 팬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홀로스타즈 EN 이외의 멤버와 함께 할 때는 같은 남성진인 홀로스타즈 JP보다 오히려 여성진인 홀로라이브 EN, ID 쪽과의 교류가 더 많은 편이다[* 단 템퍼스 VG는 홀로스타즈 JP와 더 교류가 많은데 이는 스타즈EN 정착후 데뷔한 후발조여서기도 하고, 마키나와 핫카가 홀로스타즈 팬 출신이고 베텔과 신리는 템퍼스 외부 콜라보에 비교적 소극적인 편이기 때문이다.]. 홀로스타즈 EN은 기존 홀로라이브 EN과 같이 사내 관리를 받고 있는데다, 이성 탤런트간의 콜라보 문제에도 EN쪽이 훨씬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고, 언어 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EN 내에서 이성간 콜라보를 하지 않은 인원들은 본인의 상황이나 성향 때문이지 EN 전체가 콜라보를 조심한다거나 하는 상황은 아니다.[* 홀로라이브 EN에서 같이 소통을 안 하는 멤버들은 팬들이 가장 많은 만큼 유니콘들도 많은 [[가우르 구라|구라]]나 남녀 콜라보를 안 하는 [[IRyS]]밖에 없다. [[타카나시 키아라|키아라]], [[나나시 무메이|무메이]]와 [[세레스 파우나|파우나]]는 TEMPUS에 대한 언급도 하고 아직 같이 할 콘텐츠가 생각나지 않아서 콜라보를 안 하는 것임을 밝혔으며, 트위터에서 TEMPUS와 소통도 하고 있다. 심지어 무메이는 악셀이 자신의 팬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 그리고 [[니노마에 이나니스|이나]]는 알테어가 자신의 팬이라는 사실을 방송에서 언급한 적도 있다. 이나가 같이 콜라보를 안 한 것은 긴 휴가 때문이며, 홀로라이브 EN에서 [[칼리오페 모리|칼리]], [[오로 크로니|크로니]]와 함께 TEMPUS와 콜라보 하여 커버곡을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모리 칼리오페|칼리]], [[왓슨 아멜리아|아메]], [[오로 크로니|크로니]]와 [[하코스 벨즈|베이]]는 아예 같은 홀로라이브 수준으로 콜라보를 많이 하고 있으며 친하다.] 이러다보니 비록 명칭상은 홀로라이브와 홀로스타즈로 나뉘어 있어도, 둘을 나눠 보는 시각이 큰 JP 보다는 '홀로 EN'으로 묶어서 보는 시각이 많은 편이다. 추가 멤버들인 TEMPUS VG의 데뷔 이후에는 홀로스타즈 JP와의 교류에도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JP 측에서도 다양한 기획을 통해 언어장벽에도 불구하고 EN과 적극적으로 교류를 넓혀 나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키시도 텐마]]의 러스트 서버 기획이나 [[미나세 리오]]의 1주년 듀엣 노래방송 기획, [[아르란디스]]의 홀로스타즈 일본어&영어 전언게임 기획.]. 이를 계기로 원래 홀로라이브 외에는 큰 관심이 없던 시청자들이 홀로스타즈의 새로운 시청자로 유입되는 등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전체의 관점에서 터닝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외에도, 알테어는 [[니지산지]]의 [[알반 녹스]]와 콜라보를 성사시키면서 니지산지와 홀로 EN의 멤버들이 서로 어울릴 수 있게 길을 만들어주었다. [[타카나시 키아라|키아라]]와 [[포무 레인퍼프|포무]]가 오랜 기다림 끝에 정식으로 콜라보 방송을 열 수 있었던 것도 알테어와 알반 덕분이라는 의견이 많다. ==== TEMPUS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파일:tempus_logo.png|width=100]] || ||<rowbgcolor=#46c2f2> '''[[리지스 알테어|{{{#fff Regis Altare}}}]]''' ||<bgcolor=#848484> '''[[매그니 데즈몬드|{{{#fff Magni Dezmond}}}]]''' || '''[[악셀 시리오스|{{{#fff Axel Syrios}}}]]''' ||<bgcolor=#848484> '''[[누아르 베스퍼|{{{#fff Noir Vesper}}}]]''' ||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리지스알테아.png|width=100%]]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매그니데즈몬드.png|width=100%]]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악셀시리오스.png|width=100%]] ||<nopad> [[파일:Noir_Vesper_new.webp|width=100%]] || || [[https://youtube.com/@RegisAlta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regisaltare, 크기=24)] || [[https://youtube.com/@MagniDezmon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agnidezmond, 크기=24)] || [[https://youtube.com/@AxelSyri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xelsyrios, 크기=24)] || [[https://youtube.com/@NoirVesp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oirvesper_en, 크기=24)] || ||<rowbgcolor=#46c2f2> '''[[가비스 베텔|{{{#fff Gavis Bettel}}}]]''' || '''[[마키나 X 플레온|{{{#fff Machina X Flayon}}}]]''' || '''[[반조인 핫카|{{{#fff Banzoin Hakka}}}]]''' || '''[[조스이지 신리|{{{#fff Josuiji Shinri}}}]]''' ||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가비스베텔.png|width=100%]]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마키나엑스플레이온.png|width=100%]]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반조인핫카.png|width=100%]] ||<nopad> [[파일:홀로스타즈EN_조스이지신리.png|width=100%]] || || [[https://youtube.com/@GavisBett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gavisbettel, 크기=24)] || [[https://youtube.com/@MachinaXFlay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achinaXFlayon, 크기=24)] || [[https://youtube.com/@BanzoinHak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banzoinhakka, 크기=24)] || [[https://youtube.com/@JosuijiShin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josuijishinri, 크기=24)] || 홀로스타즈 EN의 첫번째 그룹. 설정상 '엘리시움(Elysium)'이라는 가상의 [[이세계]]가 있고, [[리지스 알테어]]가 거기서 세운 모험가 길드의 이름이 템퍼스이다. 멤버들은 모두 길드원이며 각자의 역할이 있다. 이 엘리시움 세계관은 홀로스타즈 EN 2기생이자 템퍼스의 후발 데뷔조인 템퍼스 VG, 그리고 별도의 그룹으로 데뷔한 3기생 아미스의 캐릭터 설정에서도 공유되며, [[악셀 시리오스]]의 고향인 북부 엘리시움, [[반조인 핫카]]와 [[조스이지 신리]]의 출신지 제노쿠니, 아미스의 주요 활동지역인 남부 엘리시움 등 세부적인 지역 설정도 있다. 팬덤명은 [[덴푸라|템푸라]]로 원래는 템퍼스와 새우튀김을 뜻하는 단어가 비슷해서 비공식적으로 쓰이던 명칭이었으나 공식으로 역수입되었다. 템퍼스 표기에 맞추어 모두 대문자로 이루어진 'TEMPURA'로 부르고 있고, 오시마크로 새우튀김 이모지(🍤)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캐릭터 디자인이 공개된 후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꽤 많았는데[* 알테어와 악셀은 호평이 많았지만, 매그니와 베스퍼의 경우 특히 얼굴 표정에 관해서 혹평이 압도적이었다. 이에 따라 매그니는 부분적인 디자인 수정이 있었고 베스퍼는 아예 전면 리뉴얼되었다.] 남성 멤버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며 경계하던 악성 팬들조차도 '''뭔가 좀 아닌 것 같다'''며 동정심을 표할 정도. 데뷔 이후의 평가는 '''청초는 처음부터 내다 버린''' 광기의 게닌 그룹. 데뷔 때부터 약빠는 시늉을 하고 각종 기행과 매운맛 입담을 선보인 매그니는 물론이고, 베스퍼는 취향과 인생경험이 독특한 연식 많은 아재고, 컨셉부터 주인공 용사이자 리더인 리지스 알테어는 용사가 아니라 마왕이 아니냐고 할 정도로 맵고 악랄한 행적을 보여주고 있다. 매그니 말마따나 멤버 중에 그나마 가장 순수하다고 보여지는 멤버는 악셀 정도밖에 없다고 여겨졌지만 그마저도 막나가는 발언수위와 망가지는 모습으로 빠르게 청초 이미지를 버렸다. 개성 넘치는 모습과 더불어 똘끼 넘치는 동네 바보형들을 보는 듯한 친근감 덕에 평가가 긍정적이다. 특이사항으로 템퍼스 HQ는 게임 실력 평균은 높지만 공포 내성 평균이 낮은 반면, 템퍼스 VG는 게임 실력 평균은 낮은데 공포 내성 평균이 높다. 특히 HQ에는 홀로EN 통틀어서 [[리지스 알테어|게임 실력 최상위]]와 [[매그니 데즈몬드|공포 내성 최하위]][* 매그니 졸업 후에도 악셀이 공포게임을 잘 안 해서 그렇지 만만치 않은 겁쟁이로 밝혀지면서 HQ가 공포 내성 최하위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VG에는 EN의 [[조스이지 신리|공포 내성 최상위]]와 [[반조인 핫카|게임 실력 최하위]]가 다 있다. 2023년 1월 5일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877.000030268.html|추가 멤버 4명의 데뷔를 발표]]하면서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전체를 통틀어 2023년 첫 데뷔를 맞이하게 되었다. 템퍼스의 리더인 리지스는 방송중에 발표 영상을 같이 봤으며, "후배나 신규 기수가 아니고 템퍼스가 8인인 것"이라고 밝혔다. 추가적으로 템퍼스에 대한 설정을 더 풀었는데, 원래 템퍼스는 6인인데 2명은 잠시 헤드헌팅을 위해 자리를 비웠던 것이고, 신규 공개된 지역 '제노쿠니'에서 2명의 길드원을 더 구해온 것이라고 했다. 구분이 필요할 때는 첫 4명을 TEMPUS HQ(headquarter), 신입 4명은 TEMPUS VG(vanguard)로 구분한다. 6개월이라는 빠른 데뷔 텀이나, 다소 생뚱맞게 끼어들어간 일본색 강한 설정 등으로 인해 데뷔 소식이 공개되었을 때는 실속은 챙기지 않고 무리하게 홀로스타즈 EN의 인원만 늘리는 게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으나, 여러 실험적인 시도들과 늘어난 인원수를 활용한 홀로스타즈 EN 내부 합방을 통해 이목을 끌면서 홀로스타즈 EN으로서 정착할 수 있었다. 게이머 성향이 강한 HQ에 비하면 게임 외적인 컨텐츠에 집중하는 성향이 강한 기수인데[* 이 때문인지 평균 게임 실력이 높은 홀로스타즈에서는 이례적으로 평균 게임 실력이 낮은 기수로 꼽힌다.], 청초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는 행보와 똘끼는 어디 가지 않는데다가 인원 자체의 증가로 인해 TEMPUS 내부의 광기 넘치는 교류가 더 많아지면서 명실상부 광기 집단으로 TEMPUS의 이미지를 굳히게 되었다. 1월 22일에 오피셜 애니메이션 에피소드가 공개되었는데 제목은 “야고의 꿈”이다. 게다가 썸네일로는 고통받는 야고의 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시작부터 TEMPUS VANGUARD가 [[로켓단]]의 등장멘트를 패러디하며 등장하고 알테어는 불타는 피자배달 짤을 패러디하며 등장한다. 그 후에는 베스퍼가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나오는 고고고고고고 이펙트를 사용하며 등장하며 매그니는 [[야가미 라이토]]의 “계획대로”를 패러디하고, 악셀은 무표정으로 핫카의 락노래에 박수 친다. 심지어 이후 베텔이 마키나에게 [[이카리 겐도|"로봇에 타라"]]를 시전하는 것을 보여주며 아주 광기와 청초함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는 영상으로 끝이 났다. 웃긴 것은 이게 팬메이드가 아니라 공식측에서 만들었다는 점. 4월 1일 EN 공식 트위터 계정과 홀로스타즈 EN 유튜브 계정을 통해 [[https://youtu.be/H7CUHEjfkaM|템퍼스 HQ 멤버들의 만우절 이벤트를 예고하는 티저 영상]]이 올라왔는데, 만우절 이벤트 치고는 심상치가 않다. 만우절 이벤트로 HQ 멤버들이 모두 새로운 모델을 갖게 되었는데, 베스퍼는 바퀴벌레, 악셀은 고릴라, 매그니는 켄타우로스, 알테어는 지렁이여서 팬들이 저게 뭐냐며 당황스러워 했으며 심지어는 홀로라이브와 홀로스타즈의 스태프를 맡고있는 친구A마저 [[https://twitter.com/achan_UGA/status/1642112224406933505?s=20|전혀 모르겠다는 듯한 반응을 보였다.]] 4월 2일 오전 10시 베스퍼를 시작으로 데뷔 역순으로 만우절 기념 이벤트 방송을 진행했다. 이번 방송을 통해 이 이벤트를 기획한 사람은 [[매그니 데즈몬드]]임이 밝혀졌으며, 만우절 기념 새로운 굿즈도 출시되었는데 다름 아닌 [[https://twitter.com/hololivepro_EN/status/1642338558609334273?s=20|템퍼스 멤버 8명을 이미지화해 디자인한 템판츠[* 템퍼스(TEMPUS)+팬츠(Pants)] ]]여서 많은 팬들이 경악했다. 7개월 전 JP스타즈와의 벌칙내기 합방에서, 결국 트위터에 양자가 사이좋게 자기들 팬티를 깐 사건에서 비롯된 굿즈다.[* 이때 당시 JP스타즈 멤버들이 내기에서 승리했음에도 자기들 팬티를 만천하에 공개한 후배들만 수치스럽게 할 수 없다면서 자기들도 훈훈하게(?) 팬티를 까서 홀로 소속 멤버들도 스태프들도 모두가 경악했다.] 이 굿즈가 공개된 이후 멤버들이 언급한 바에 따르면 굿즈 디자인은 본인들이 직접 한 것이라고 한다. 5월 28일 "알테어의 청소"라는 제목의 또 다른 오피셜 애니메이션이 공개되었다. 처음에는 알테어가 멤버들에게 역할을 분담해 청소할 것을 제안하는 평범한 내용으로 시작했는데, 뒤로 가면서 알테어랑 매그니가 함께 카드를 정리하다가 매그니가 옷장에 쌓여있던 많은 양의 카드에 파묻혀서 비명을 지르고, 악셀과 플레온이 매그니 방에 숨어있던 쥐를 잡다가 쥐가 애처로운 표정을 짓자 너무 귀엽다며 쥐 잡는 걸 포기하는데 그 순간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매그마이트가 쥐를 먹어버리고, 베스퍼와 핫카가 도서관을 청소하다가 핫카가 멋있어보이는 책을 발견해 펼치는데, 그 책에서 불이 나와 핫카가 타버리는 등 평범하지 않은 청소가 이어진다.. 심지어 나중에는 알테어와 매그니는 카드 리셀러 일을 하다 사기죄로 감옥에 가고, 베스퍼는 노벨 상을 타며, 핫카는 좋은 둥지를 짓고, 악셀과 플레온은 회계사를 운영하다 망하고, 베텔과 신리는 평범한 사람인 척 연기하고 있다는 황당한 내용으로 끝이 난다. 놀라운 점은 이런 심상치 않은 내용의 공식 애니메이션이 각각 다른 애니메이터들의 화풍으로 2편이나 더 준비되어 있다는 것. 이후로도 짧은 애니메이션들을 홀로스타즈 EN 공식 계정에서 꾸준히 공개하고 있다. 7월 10일 홀로EN 공식 계정을 통해 [[https://twitter.com/hololive_En/status/1678333533650325506?s=20|매그니와 베스퍼가 당분간 활동을 중단할 것임을 알리는 공지]]가 올라왔다. 심지어 원래는 무슨 이유든 명확히 표기를 해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이유도 없이 중단한다는 공지만 올라온 탓에 많은 팬들은 그저 둘이 별일 없이 무사히 돌아오기만 바라고 있는 중이다. 7월 19일 매그니와 베스퍼가 활동 중단을 선언한 이후, 1주년까지 얼마 안 남은 시점에서 둘을 제외하고 1주년을 맞이하기 살짝 무리라고 판단되었는지 결국 홀로EN 공식 계정을 통해 [[https://twitter.com/hololive_En/status/1681574599392108544?s=20|1주년 기념 방송이 연기되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이로 인해 1주년 기념 방송은 매그니와 베스퍼가 복귀하게 되면 진행하게 될 것으로 보였으나... 8월 24일 [[https://cover-corp.com/en/news/detail/20230824|매그니와 베스퍼가 8월 31일부로 졸업방송조차 없이 졸업한다는 공지]]가 발표되면서 템퍼스의 1주년 기념 방송 역시 불투명해지는 듯 싶었는데, 두 멤버의 졸업 바로 다음 주에 템퍼스 1주년 기념 방송을 HQ, VG 통합으로 일주일간 하겠다는 공지가 떴다. 떠나는 두 멤버를 추억하는 요소 없이 남은 6명이서 1주년 기념 방송을 치른다는 점에 씁쓸함을 느끼는 팬들이 많으면서도, 아예 1주년을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은 아닌 게 어디냐고 타협하는 분위기. 9월 5일부터 템퍼스 1주년 기념 기획인 템퍼스 위크를 진행했다. 리더인 [[리지스 알테어]]를 시작으로 한명씩 돌아가며 이벤트의 진행을 맡았으며, 1주년 기념 굿즈와 오리지널 곡 3곡도 공개했다. 이때 중간에 두번째 오리지널 곡인 [[https://youtu.be/RBagwiUOkgY|DEAD WORLD]]를 공개하는 과정에서 홀로스타즈와 홀로EN 공식 계정이 실수로 유튜브 링크는 DEAD WORLD로 걸어놓고 정작 소개글과 영상은 [[https://youtu.be/4ArbrTvHxEY|FLEX]]로 올려놔서 FLEX 공개 이틀 전 노래 제목과 하이라이트 부분이 유출되는 사고가 있었다. 11월 14일부터 템퍼스 멤버 6명의 평행세계 모습을 바탕으로 하는 [[https://x.com/hololive_En/status/1724271453166870580?s=20|비주얼 노벨 게임 '''Doppelganger'''의 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이 게임을 통해 [[https://x.com/minjastars/status/1724291262910447714?s=20|템퍼스를 관리하고 있는 매니저들은 총 '''6명'''임이 공개되었는데]] 이 매니저들의 명칭은 아기새(BabyBirdMane), 치와와(ChihuahuaMane), 네코(NekoMane), 토키(TokiMane), 시카(ShikaMane) 그리고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고릴라 매니저(GoriMane)이다. 여기서 멤버들이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치와와 매니저는 마키나와 신리를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 참고로 고릴라 매니저의 경우 예전에 악셀이 한번 "그 매니저는 승진해서 더 이상 매니저 일을 맡지 않는다."고 언급한 적이 있는데, 나중에 매니저 일만 안할 뿐 템퍼스 관련 업무들도 맡아서 처리해주고 있다고 덧붙였던 걸 생각하면 치와와 매니저처럼 멤버 개개인을 관리하는 게 아니라 템퍼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해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2024년 2월 1일 템퍼스 HQ 멤버들의 [[https://x.com/hololive_En/status/1752874492593066079?s=20|3D 쇼케이스 공지]]가 올라왔다. [[악셀 시리오스]]가 2월 4일, [[리지스 알테어]]가 2월 11일에 각각 본인들의 3D를 선보일 예정이며 그 다음주인 2월 18일에는 HQ 멤버들의 3D 콜라보가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5월 27일 템퍼스 VG 멤버들의 [[https://x.com/hololive_En/status/1794911537544765673|3D 쇼케이스 공지]]가 올라왔다. [[가비스 베텔]]이 6월 2일, [[마키나 X 플레온]]이 6월 9일, [[반조인 핫카]]가 6월 10일, [[조스이지 신리]]가 6월 16일에 각각 본인들의 3D를 선보일 예정이며 신리의 3D 공개까지 끝난 다음날인 6월 17일에는 VG 멤버들의 3D 콜라보가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7월 23일 템퍼스 데뷔 2주년을 맞이하여 오리지널 곡 [[https://x.com/hololive_En/status/1815590245850648894|UNCHAINED]]와 로어 보이스팩 [[https://youtu.be/AOwRx3R7ONw?si=MzZeiBO1rJ9FaRhD|MISSION REPORT: Count on me]], 템퍼스 멤버들의 일본여행을 다룬 기획방송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QyVu-ND5eM94EAIgYMQO6KdbbH5fQhKD&si=PYNf8vsdVjMeUwC8|Tempus in Japan]] 시리즈 및 [[https://x.com/holostarstv/status/1817402098939474044?t=1_biuwZVT1EtFYYRMvJ_vQ&s=19|2주년 기념 굿즈]]를 공개했다. 2025년 1월 8일부터 템퍼스 VG 멤버들의 데뷔 2주년을 기념하여 VG 멤버 개개인의 데뷔 2주년 기념 굿즈 판매를 시작했다. [[https://x.com/hololive_En/status/1876790925587865927|마키나]], [[https://x.com/hololive_En/status/1877163379648762233|신리]], [[https://x.com/hololive_En/status/1877188558043156779|핫카]][* [[히프노시스 마이크]] 담당 일러스트레이터가 작업했다. ] ==== ARMIS ==== ||<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쥬라드 T 렉스포드|{{{#fff Jurard T Rexford}}}]]''' || '''[[골드불릿|{{{#fff Goldbullet}}}]]''' || '''[[옥타비오(HOLOSTARS)|{{{#fff Octavio}}}]]''' || '''[[크림즌 루즈|{{{#fff Crimzon Ruze}}}]]''' || ||<nopad> [[파일:Jurard-T-Rexford_.png|width=100%]] ||<nopad> [[파일:Goldbullet_.png|width=100%]] ||<v|1><nopad> [[파일:Octavio.png|width=100%]] ||<nopad> [[파일:Crimzon-Ruze_.png|width=100%]] || || [[https://youtube.com/@jurardtrexfor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jurardtrexford, 크기=24)] || [[https://youtube.com/@Goldbulletc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goldbullet_en, 크기=24)] || [[https://youtube.com/@Octavio_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octavio_holo, 크기=24)] || [[https://youtube.com/@CrimzonRuz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crimzonruze, 크기=24)] || ||<tablebordercolor=#343442><tablealign=center><colbgcolor=#343442><nopad> [youtube(gDBKJzo69E0)] || ||<color=#fff> '''- ARMIS- HOLOSTARS EN【Debut PV】''' || 홀로스타즈 EN의 두번째 그룹. 엘리시움의 6명의 영웅들과 별개로 활동하는 4명의 현상금 사냥꾼이며 이들은 용사, 검투사, 광대, 파일럿 등 일반적인 직책을 기반으로 한 템퍼스와 달리 티라노 사우르스, 독수리, 바바리안, 마리오네트를 기반으로 한 멤버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설정상으로는 정의로운 용사 길드인 템퍼스와 달리 이익을 추구하며, 세계관의 적으로 등장하는 커럽션 비스트들에 대해서도 엘리시움의 침식을 막고 되돌릴 방법 또한 찾는 것을 우선시하는 템퍼스와는 달리 아미스는 보는 즉시 죽여버리는 등, 이래저래 세계관 내에서 템퍼스의 라이벌 포지션으로 의도된 면이 캐릭터 설정에서 많이 드러난다. 단 설정상 악당은 아니고 단지 템퍼스와 추구하는 바가 다른, [[안티히어로|또 하나의 영웅]] 포지션이라고 한다. 또한 현장에 직접 뛰어가는 현상금 사냥꾼답게 네명 모두 피지컬도 좋은편이다. 그룹 이름은 "아미스"라고 읽는다. 그러나 중간에 R이 들어가있는 점 때문인지 한국 팬덤 내에서는 "아르미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팬덤명은 아르마다(Armada)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오시마크로 알통(💪)을 사용한다. 참고로 아미스 멤버들은 홀로스타즈 EN 2기생이 아닌 '''3기생'''이다. 그래서 데뷔 PV를 보면 영상의 맨 윗부분 또는 맨 밑 부분 가운데에 2nd Generation이 아닌 '''3rd Generation'''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 회사 측에서는 템퍼스 멤버들을 따로 1기생과 2기생으로 구분 안하고 모두 1기생으로 묶으려고 시도해오긴 하였으나, 아무래도 6개월이라는 텀이 꽤 길다보니 평소 방송에서는 템퍼스 멤버 전원을 1기생으로 묶어서 가는 것으로 하고 공식적으로 기수제 표기를 할 때는 1기생, 2기생, 3기생으로 분류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tablebordercolor=#343442><tablealign=center><colbgcolor=#343442><nopad> [youtube(ID5xGWGoVWM)] || ||<color=#fff> ''' WARNING! - HOLOSTARS EN【Manga PV】''' || 첫인상만 놓고 보면 '''[[홀로스타즈]]에서 가장 시끄러운 팀'''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선배인 템퍼스는 멤버들 서로의 텐션에 맞추어가면서 방송을 이끄는 편이라면 ARMIS는 일단 시끄럽게 오디오를 채우고 보는 편이라 오디오가 빵빵하다. 특히 리더인 [[쥐라르드 T 렉스포드]]의 텐션 높은 성격 때문에 나머지 3명도 시끄럽게 나간다. 마침 컨셉이 현상금 사냥꾼 집단이라 그런지 큰 한탕을 보낸 뒤 술집에서 술잔을 크게 부딪치고 왁자지껄 노는 느낌이 든다. 자칭 프로페셔널, 피도 눈물도 없는 현상금 사냥꾼 집단을 표방하지만 텐션이 올라가면 워낙에 바보짓을 하다가 게임에서 각개격파당하기도 하고 그러면서도 선배인 템퍼스 멤버들에게는 깍듯하거나 쩔쩔매는 모습도 보이다보니, [[용사 파티]]를 표방하지만 광기 집단으로 인식되는 템퍼스가 그랬듯 선배들에게나 팬들에게나 바보 집단 취급을 받고 있다. 직전 기수인 템퍼스 VG와는 대비되게 게임 관련 컨텐츠의 비중이 높으며 기수 콜라보 방송 역시 게임 합방 위주라서, 게이밍 컨텐츠의 비중이 높고 평균 게임 실력 수준이 높았던 초기 템퍼스 HQ의 분위기를 연상시킨다는 평도 있다. 이에 비해 게임 실력은 [[골드불릿]]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두각을 드러내는 편은 아니다. [[크림즌 루즈]]는 [[DEAD BY DAYLIGHT]]와 같은 PVP 게임이 아닌 이상 웬만한 멀티플레이 게임에서는 멤버들을 보좌하는 역할을 주로 맡다보니 본인의 실력을 크게 드러내지는 않는 편이며,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와 [[쥐라르드 T 렉스포드]]는 게임을 플레이 해본 경험이 많지 않을 뿐더러 주력으로 미는 게임 장르가 콜라보에서 접할 수 있는 게임들과는 거리가 있는 탓에 서투른 실력으로 주로 당하는 역할이 되기 일쑤이다. 또한 합방이 아닌 개별 컨텐츠에서는 오히려 루즈를 제외하면 게이머 성향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편.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홀로스타즈 en과 같은 서버를 쓰고 있지만 남쪽 엘리시움에서 왔다는 설정에 맞춰 사막지역에서 거주지를 마련하였다. 선배인 템퍼스 멤버들이 길드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후배인 아미스 멤버들은 [[https://twitter.com/puking_rabbit/status/1726090484530167874|헌터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여담이지만 특이하게도 멤버의 절반이 필리핀어를 쓸 줄 안다. 또한 쥐라르드와 옥타비오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시간대에 친화적인 오후 방송 시간을 보여주고, 골드불릿은 이전에 [[누아르 베스퍼]]의 주요 시간대였던 한국 기준 이른 새벽 시간대, 루즈는 [[타카나시 키아라]] 이후로 오랜만의 유럽 시간대 담당이 되면서 기존 EN 멤버들이 잘 담당하지 않는 시간대를 맡고 있다. 2024년 5월 19일 ARMIS 데뷔 반주년을 기념하여 [[https://twitter.com/hololive_En/status/1792027402106966161?t=1f-HKTHOdevEAsi9g5ki8Q&s=19|데뷔 반주년 기념 굿즈]]와 로어 보이스팩 [[https://youtu.be/qenWrUxg9c4|ARMIS Field log: I'm here for you~]]를 공개하였다. 11월 18일 1주년을 맞아 [[https://youtu.be/2xpyp_PyyE4?si=Kn7jp5jIGNn03Ryr|보이스 드라마]]와 [[https://youtu.be/cKJG1b93LjA?si=tpJCzq2u-zjznWnC|마스코트 인형 홍보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곡 [[https://youtu.be/FJeU1qdVIDQ?si=daoSWwBf6cT3gedZ|Take'em down]]을 공개하였다. 2025년 1월 6일 새해를 맞이하여 [[https://youtu.be/ZT3dsUILcXg?si=WplQm-LmxWud_zy5|Take'em down【JP Version】]]과 [[https://shop.hololivepro.com/en/products/holostarsen_modern_japanesestyle|신년 기념 굿즈]]를 발매했다. 1월 20일 아미스 [[https://x.com/hololive_En/status/1881174817119801724|신의상 공개]]가 확정되었다. 1월 23일에는 [[크림즌 루즈]], 1월 24일에는 [[골드불릿]], 1월 25일에는 [[쥐라르드 T 렉스포드]], 1월 26일에는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가 각자의 채널에서 본인들의 신의상을 선보일 예정이다. 3월 1일 아미스 멤버들의 [[https://x.com/hololive_En/status/1895685426104713333|3D 쇼케이스 공지]]가 올라왔다. 3월 10일부터 [[크림즌 루즈]]를 시작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3월 17일 [[골드불릿]], 3월 24일 [[쥐라르드 T 렉스포드]], 3월 29일 [[옥타비오(HOLOSTARS)|옥타비오]]가 3D 쇼케이스를 선보일 예정이며 4월 6일에는 아미스 3D 콜라보가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 holoAN == 약칭 홀로아나. 2025년 5월 7일 새로 개설된 홀로라이브 산하 유튜브 채널로, hololive+[[아나운서|announcer]]라는 뜻이다. 홀로라이브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창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소속 아나운서는 [[하루사키 노도카]] 1명이다. === [[하루사키 노도카]] === ||<tablewidth=325><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하루사키 노도카|{{{#fff 하루사키 노도카}}}[br]{{{#fff [ruby(春先, ruby=はるさき)]のどか}}}]]''' || ||<nopad> [[파일:하루사키 노도카.png|width=100%]] || || [[https://www.youtube.com/@holoANro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arusakinodoka, 크기=2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루사키 노도카)] == [[hololive 프로덕션/스태프|스태프]] == ===# [[친구A]] ◆ #=== ||<tablewidth=325><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46c2f2> '''[[친구A|{{{#fff 친구A}}}[br]{{{#fff [ruby(友人, ruby=ゆうじん)]A}}}]]''' || ||<nopad> [[파일:holoachan.png|width=100%]] ||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chan_UGA, 크기=2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친구A)]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ololive 프로덕션, version=1366, uuid=39d20a5d-7511-4918-a6ef-d28984bfc012, paragraph=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