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reak it down!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RFjVOBjcX2Y)]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Breakbeat}}} || || {{{-1 '''BPM'''}}} ||{{{-1 110}}} || || {{{-1 '''작곡'''}}} ||{{{-1 Ruxxi}}} || || {{{-1 '''BGA'''}}} ||{{{-1 [[https://x.com/frogi_8|개구락지]](원화) / 52:RA(모션) }}} || == 개요 == Ruxxi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이전 Milkoi와 콤비로 [[Secret(DJMAX)|Secret]], [[Gloxinia]]를 투고한 바 있지만, 단독 명의로는 이번 곡으로 첫 참전하게 되었다. 전작들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분위기의 곡으로, 기존 Ruxxi의 개인 곡들과 비슷한 성향의 다크하고 강렬한 느낌의 곡이다. BGA의 원화는 웹툰 [[강하다! 이서영]]의 작가 개구락지가 담당했으며, 스토리는 외계인 단체에게 의뢰를 받아 개구리 우주해적단을 소탕하는 분홍색의 전기톱 악마, 쌍포의 카피바라, 권총을 든 인간 3인조의 전투를 다루고 있다. 이 때문에 마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를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많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break it down!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break it down!}}}'''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4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7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5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3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0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4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1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5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1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6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0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2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30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표기 난이도가 가장 높은 4B SC를 제외한 5, 6, 8B SC 모두 해당 난이도에 비해 쉽다고 평가되며, 특히 8B SC는 [[Moonlit Wilderness]]의 아성을 위협한다(...)고 평가받는다. 시즌 15 업데이트로 8B SC의 난이도가 8 → 7로 하향되었다. === 4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Qlof5gDE_UY)] ||<nopad> [youtube(MviTuHutVf0)]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q1UQzJLd1PU)] ||<nopad> [youtube(xk5pbkqgo60)] || 4B SC는 110BPM의 지속 동시치기 사이에 220BPM 트릴이 끼어드는 패턴이 주된 난이도 요소로, 후반부로 갈수록 패턴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트릴 처리력, 체력뿐만 아니라 노트 리딩 능력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 5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J47uOWLXrWw)] ||<nopad> [youtube(CW0pCTDblzQ)]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NO6zsdmH0WE)] ||<nopad> [youtube(97kSkBf8IHI)] || 5B MX는 일부 12레벨보다도 쉬운 물렙으로, 중반부 2145 계단이 그나마 돋보이지만 BPM이 낮아 어렵지 않다. 5B SC는 [[Plasma Sphere]] SC와 유사한 저BPM 체력곡으로, 패턴 자체 난이도가 높지는 않아 10레벨 중에선 쉽다. === 6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xhjDsHzaT1U)] ||<nopad> [youtube(tNJHvOj7P7k)]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kSWlyhG4RBo)] ||<nopad> [youtube(aytr67c_JuU)] || === 8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w4bm9eUm6Jc)] ||<nopad> [youtube(Q8YM-0Vu2gU)]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V4IsOXbvMNk)] ||<nopad> [youtube(ZlEaCLSwLVY)] || 8B SC는 중간중간 32비트 트릴이나 16비트 동시치기 등이 까다로울 수 있지만, 8B 트리거 복합적인 난이도 자체는 동레벨 대비 매우 낮은지라 6B 숙련도만 어느 정도 갖춰진다면 레벨에 비해서 수월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 8레벨 치고는 너무 쉽고, 5 ~ 6레벨 정도로 체감된다는 의견이 많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break it down!, version=39, uuid=26ac29e5-a5bc-474e-91ee-33e4ba6ebed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