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Zero to the hunnit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hVssDWahKC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2359, #393c9a, #673a96)" {{{#c086cd {{{-1 '''Full Ver.'''}}}}}}}}} || ||<-2><nopad> [youtube(e4cULGHvpn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2359, #393c9a, #673a96)" {{{#c086cd {{{-1 '''BG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 (2022)}}} || || {{{-1 '''장르'''}}} ||{{{-1 Dubstep}}} || || {{{-1 '''BPM'''}}} ||{{{-1 168}}} || || {{{-1 '''작곡'''}}} ||{{{-1 SiNA}}} || || {{{-1 '''작사'''}}} ||{{{-1 SiNA / [[Yonge Jaundice]]}}} || || {{{-1 '''보컬'''}}} ||{{{-1 [[Yonge Jaundice]] feat. jam-jam(on Chorus)}}} || || {{{-1 '''BGA'''}}} ||{{{-1 prince}}}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Estoy harto de mi destino ^^내 운명이 지겨워^^ He estado frío toda mi solo ^^난 혼자인게 늘 추웠어^^ Ya conozco el peso de la soledad ^^외로움의 무게를 이미 알고 있어^^ ¿Pero a quién he estado esperando? ^^하지만 내가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었나?^^ Logging into profile Hit that propane Put the haters on my face I'm gone pass them 장애물 없이 getting money 내겐 노잼 몇 장 넘기다 나는 바로 back to front page I got no damage, I keep falling 한 발짝 뒤로 I'm back wit the saucing 눈앞에 보인 건 전부다 독배 I'm sipping Hit the bottom Now I'm way up 허용 안 해 너의 pay cut 자세는 같아 I be Lay up U be K.O I get papers *Zero to the hunnit I'ma make that building burnin Saucing on the hater Baby I'ma see u later 신발끈 묶어 I'm back with my racing I'm facing no chasing that cream I don't sip that drank I'ma head to bank* ''La vida es tan solo un momento'' ^^인생은 한 순간일 뿐이야^^ ''Por la cual cambiaré mi tiempo'' ^^나는 내 시간을 바꾸겠어^^ ''Apagando el temblor que no para dentro de mí'' ^^내 안에서 멈추지 않는 떨림을 멈추며^^ ''Voy a entrar en ese futuro inestable'' ^^나는 불안정한 미래 속으로 갈거야^^ ''I mix up on the come up'' ''차게두지 All my ices'' ''멀리 gone 너무 멀어'' ''눈은 멀어 U make me blinded'' ''Hit the sky I feel no limit 너네 실패'' ''I just seen it world is spinning'' ''Getting hot like phily'' ''I've been spending too much time on that street corner'' ''열기는 모여 now I'm blowing up like persona'' ''보석은 체온보다 낮지 burning like that sauna'' ''열매는 달지 혀끝에다 녹인 쓴맛 I just swallow'' ''*반복 '' Turn down for what I ain't going broke Started balling 공이 오면 바로 받아 stroke 여기에 걸었지 다 몽땅 I ain't got no joke 무대에 오를 땐 now I can see the slomo I ain't got no spoiler 말하는 대로 난 이뤄 보이지 [[Man in the Mirror]] 얽히고 얽힌 저 미로 다 뚫어 I'm back with that karma 찢긴 걸 담아 또 헐값에 팔았던 영혼을 값으로 팔아 찬반을 갈라도 날아 저 실패는 찰나 ''Zero to the hunnit I'ma make that building burnin'' ''Saucing on the hater Baby I'ma see u later'' 신발끈 묶어 I'm back with my racing I'm facing no chasing that cream I don't sip that drank I'ma head to bank ''Desde más alla del fin del mundo'' ^^세상의 저편에서^^ ''Escucho voces llamándome'' ^^나를 부르는 목소리가 들려^^}}}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 V EXTENSION 2 DLC 신곡으로 수록된 힙합 넘버 곡이다. jam-jam이 도입부의 스페인어 가사를 불렀고, [[Yonge Jaundice]]가 랩으로 참여하였다. 도입부 스페인어, 한국어, 영어 3개 국어로 가사가 이루어져 있는 특이한 구성으로, 곡 자체는 [[GOTH(작곡가)|GOTH]]가 작곡한 [[Dance of the Dead]], [[KILLER BEE]]를 합쳐놓은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특유의 장엄한 분위기와 [[Yonge Jaundice]]의 강렬한 랩, 치는 맛이 좋은 패턴까지 어우러져 출시 이래 꾸준히 유저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인기곡이다. 제목의 뜻은 '0에서 100'이며, hunnit이란 단어는 hundred를 변형한 힙합 용어다. 즉 힙합 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그만큼의 인정이 따르는 '바닥부터 정상까지'를 의미한다. 별칭은 제목에서 따온 '''[[제로투]]'''. 실제로 유저들은 [[제로투 댄스]]에서 본 문서의 곡 제목에 the를 빼고 hunnit의 발음을 붙혀 '''제로투 [[사토 마사오|훈이]]'''라는 별칭도 흔히 사용된다. 그 외로 도입부에 깔리는 보컬찹이 꼭 "강아지 귀엽지요 강아지"와 같이 들리는 [[몬더그린]]이 있어 '''강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CB1D40><bgcolor=#cb1d40><nopad> [[파일:Zero to the hunnit_1.webp|width=100%]] ||<-4><bgcolor=#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e18254 0%, #e18254 16%, #f1b260 16%, #f1b260 21%, #e18254 21%, #e18254 23%, #f5dc8e 23%, #f5dc8e 25.8%, #ffffff 25.8%, #ffffff 26.8%, #f1b260 26.8%, #f1b260 30.1%, #f5dc8e 30.1%, #f5dc8e 32.4%, #f1b260 32.4%, #f1b260 33.8%, #f5dc8e 33.8%, #f5dc8e 35.5%, #ffffff 35.5%, #ffffff 36.6%, #f1b260 36.6%, #f1b260 37.7%, #ffffff 37.7%, #ffffff 39.4%, #f5dc8e 39.4%, #f5dc8e 40%, #ffffff 40%, transparent 6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transparent 62%, #fac0bd 62%, #fac0bd 62.6%, #ffffff 62.6%, #ffffff 63.5%, #f06875 63.5%, #f06875 64.6%, #fac0bd 64.6%, #fac0bd 66%, #f2a6a2 66%, #f2a6a2 67.7%, #f06875 67.7%, #f06875 69.7%, #f2a6a2 69.7%, #f2a6a2 71.9%, #f06875 71.9%, #f06875 74.7%, #ffffff 74.7%, #ffffff 75.3%, #ba3955 75.3%, #ba3955 77.3%, #f06875 77.3%, #f06875 80%, #ba3955 80%, #ba3955 83.4%, #f06875 83.4%, #f06875 88%, #ba3955 88%)" '''{{{#3d3d3d V EXTENSION 2}}}'''}}}}}} || ||<-4>'''{{{+5 Zero to the hunnit}}}''' || ||<rowbgcolor=#ff6f29><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B1D40><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40}}}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2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17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93}}}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3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63}}}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0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5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3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71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71}}}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30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14}}} || ||<-5><bgcolor=#ff6f29> 특수 패턴 || ||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4.2.5|Multipolar Neuron]]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1b260, #f06875)"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고, (4B 12 → 11, 8B 13 → 11) 시즌 13 업데이트로 5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tablebordercolor=#CB1D40><tablebgcolor=#ff6f29> {{{#white NM}}} || {{{#white MX}}}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EPv8weBNFK4)] ||<nopad> [youtube(BPzSI4-k21o)]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1YoIYw8kaMo)] || || 4B SC는 초중반의 빌드업 이후 대놓고 '''234 동치-1번 단노트 트릴'''이 등장한다. 길이도 전혀 짧지 않아 234-1이 총 9번 반복되는데, 이후 방향을 바꿔 한번 더 등장하고, 이후 1212-3434를 계속 반복해야 하는 폭타가 나오고 난 뒤 중후반에선 피아노 음을 따라 엇박 폭타가 등장한다. 이후 마지막 드랍에서는 '''13-24 동치 트릴'''이 이전과 같은 유형으로 등장하면서 마무리. 4버튼의 1212-3434 트릴 자체가 박자가 밀리기도 쉽고 적응 자체도 힘든데, 심지어는 길이가 짧지도 않고 속도도 빨라 1212-3434를 잘 처리하지 못한다면 절대 잘 넘어갈 수 없는 패턴이며, 설령 잘 처리한다고 해도 빠른 트릴에 한 번 밀려버리면 답이 없다. 출시 초기에는 기존 체계 14레벨으로 책정되었는데, 등장하자마자 엄청난 '''불렙곡'''으로 논란이 되었다. 당시 4버튼 14레벨 보스곡으로 자리잡고 있던 [[카트라이더 Mashup ~Cosmograph Remix~]]보다 어렵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고, 상향 전 14레벨 보스곡이었던 [[Airwave(DJMAX)|Airwave]], [[Knowledge System]]과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결국 출시 약 2주만인 2022년 2월 8일 업데이트에 15레벨로 상향되었고, SC 난이도 개편과 함께 11레벨로 배정되었으나 11레벨 내에서도 불렙이 아니냐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는 수준이다. 이후 인터뷰에서 공개된 비하인드에 따르면, 당시 패턴 팀원 다섯 명 모두가 너무나도 수월하게 플레이해서 14레벨로 지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DLC 출시 이후 피드백을 받아보고 돌아보니 '''"우리 왜 이렇게 했지? 생각보다 어려운데?"'''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개발자도 초견 기록은 못 넘는다 카더라.~~ 이렇듯 정배로는 아주 어렵다고 평가받는 곡이지만 랜덤 배치로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하프 랜덤을 걸고 좌/우 라인 중 한 쪽만 바뀐다면 이중 트릴 배치가 좀 더 쉬워지고, 랜덤을 걸어 1324로 라인이 섞이는 배치를 뽑는다면 이중 트릴이 양손 교대 트릴로 바뀌기 때문에 아주 쉬워진다. 다만 깡랜은 사이드 사이 끼는 노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유저 성향에 따라 되려 어려워질 수도 있다. --아니면 [[사볼콘]]으로 가변 손배치를 써도 된다.-- --사볼콘은 아니지만 적절한 예시 [[https://youtube.com/shorts/5oMD2BWsRXQ?si=vpus9bqm4edw7g31|영상]]-- === 5B TUNES === ||<tablebordercolor=#CB1D40><tablebgcolor=#ff6f29> {{{#white NM}}} || {{{#white MX}}}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fpRYq9-sPfA)] ||<nopad> [youtube(pBtb2auJRCI)]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YF7zXavjoCc)] || || 5B SC는 한 손 데님이 섞인 후반부가 고비로, 체감 난이도는 10레벨 수준을 벗어난 불렙으로 평가받는다. === 6B TUNES === ||<tablebordercolor=#CB1D40><tablebgcolor=#ff6f29>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ec78PrTvQZs)] ||<nopad> [youtube(t5_T1rNWRM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F09l-NAIFuI)] ||<nopad> [youtube(9xn8hZDx1gk)] || 6B MX는 후반부에 [[OBLIVION ~Rockin' Night Style~|오블락]] 트릴이 그대로 나온다. 13레벨에 나와도 어려운 패턴을 12레벨에 끼워넣었으니 당연히 불렙 소리를 듣고 있다. 6B SC는 복합 트릴과 [[Your Own Miracle]]처럼 꺾인 겹계단 패턴을 활용했다. 다만 10레벨로 보기엔 상당히 어려운 불렙이다. === 8B TUNES === ||<tablebordercolor=#CB1D40><tablebgcolor=#ff6f29> {{{#white NM}}} || {{{#white MX}}}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LyqEC2lVoYA)] ||<nopad> [youtube(0VuliqVviDk)]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UidyImkhTBs)] || || 8B SC는 영상 기준 1:08~1:11초 / 1:48~1:51초에서 등장하는 트리거+동치/트릴 복합 파트가 가장 어렵다. 리딩 자체는 쉽지만 자칫 잘못하면 박자든 손이든 꼬여버리기 십상인 배치로 짜여져 웬만큼 8버튼에 숙련된 유저가 아니라면 정확히 처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다만 난이도가 해당 부분에 밀집되어있으므로 영상을 보고 손을 외우는 식으로 반복 학습을 하면 효과가 좋다. 그 외 구간은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 1:37초부터 피아노 음과 함께 등장하는 원핸드 구간도 킬링 파트이므로 주의해주자. 여담으로 해당 곡의 SC 패턴 중 유일하게 등장 직후 불렙 논란이 없는 패턴이기도 하다. == 기타 == 2023년 3분기 콜라보레이션 대상 '국내 IP' 예측 당시 대다수의 유저들이 유력 후보로 [[펌프 잇 업]]을 지목하고 있었는데, 의도치 않게 이 곡도 그 예측에 한 몫 보탠 바 있다. 왜냐, 신작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의 오프닝 영상이 선공개되었을 당시 '''누가 봐도 이 곡의 BGA라고밖에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똑같은 BGA 하나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진짜 펌프 콜라보로 이 곡이 수출된 거 아니냐는 반응이 꽤 많이 나왔으나 당일 그 문제의 BGA를 담당한 펌프 측의 비주얼레이터 FuseBox가 펌프 갤러리에 '단순 오마주'라 밝힘으로서 다시금 소강 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문제의 그 [[메이플스토리|'국내 IP']]의 정체가 밝혀진 지 8일 후, 피닉스 1.01 업데이트 때 그 오마주 BGA도 등장했다. 정체는, [[RiraN]]의 [[BOOOM!!]].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Zero to the hunnit, version=95, uuid=7b1b7919-0924-4aa9-8b62-48be0c76e52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