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Y2K 퓨처리즘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에스테틱]] [include(틀:펑크 장르)] ||<-2><table width=4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bec2cb,#bec2cb><bgcolor=#bec2cb,#bec2cb><table bgcolor=#fff,#191919> {{{#4863a0 '''{{{+1 Y2K 퓨처리즘}}}'''[br]'''Y2K Futuris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trixcut.jpg|width=100%]]}}} || ||<-2>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매트릭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b.png|width=100%]]}}} || ||<-2> 영화 [[맨 인 블랙 실사영화 시리즈|맨 인 블랙]] || ||<width=25%><colbgcolor=#bec2cb,#bec2cb> '''{{{#4863a0,#4863a0 등장 시기}}}''' ||1990년대 말 || || '''{{{#4863a0,#4863a0 탄생 기원}}}''' ||[[사이버펑크]] || || '''{{{#4863a0,#4863a0 시대 기반}}}''' ||[[1997년]] ~ [[200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Y2K(동음이의어)|Y2K]] 퓨처리즘(Y2K Futurism)'''은 [[20세기]]와 [[21세기]]의 전환기인 1997년~2004년 사이에 유행한 특유의 미래지향적 디자인 사조를 지칭하는 용어다. == 상세 == 20세기 말에는 한 세기가 끝남과 동시에 새천년([[밀레니엄]])이 갱신된다는 특이성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졌으며, 당시 본격적으로 개인에 보급되기 시작한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인터넷 같이 IT, 전자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는 것을 일반인들도 체감하면서 [[사이버펑크]]나 [[사이버스페이스]] 등 가상현실과 관련한 SF적 요소들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당대에 제기된 [[Y2K 문제]]와 같은 컴퓨터 오류에 대한 두려움이 퍼져나가던 것 역시 그 일환으로, 이러한 [[세기말]] 특유의 분위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기반으로 하여 특유의 미래지향적 사조가 유행했다. 이후 세기말을 거치고 사람들이 21세기에 적응하면서 세기말에 대한 불안감이 사그라들며 자연스레 세기말 문화도 유행에서 벗어났다. 그러다 2020년대에 들어 복고 유행의 범위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 초까지 확장되면서 Y2K 문화가 다시 조명을 받게 되었고, 당대 특유의 문화적 사조를 [[레트로퓨처리즘]]의 관점에서 다시 재해석하고 명명한 개념이 'Y2K 퓨처리즘'이다. Y2K 퓨처리즘 에스테틱의 가장 큰 특징은 가상공간([[사이버스페이스]]) 지향성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당대의 관점에서 '현실화된 사이버스페이스'를 상상하여 광택질 은백색 위주의 금속빛이 가득한 분위기, 라텍스나 에나멜 같은 유광 소재를 입고 다니는 사이버 로봇같은 인상의 사람들, 곡선과 당대 스타일의 투박한 3D 컴퓨터 그래픽 등이 Y2K 퓨처리즘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공간의 경우 당대 유행한 대중문화([[트랜스]] 같은 당대의 최신 [[전자음악]], [[뉴 메탈]], 90년대 말 ~ 2000년대 초 스타일의 [[올드 스쿨|올드스쿨 힙합]], [[이모(음악)|이모 문화]], 일부 [[하이틴]] 문화,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에 만들어진 여러 작품들 등)나 일부 우주지향적 요소([[우주복]] 느낌을 주는 은색 광택 패션, [[외계인]], [[UFO]] 등)들이 Y2K의 요소로써 다루어지게 되는데, 이쪽은 시대적 연속성으로 인해 [[카세트 퓨처리즘]]의 요소가 일부 혼용되기도 한다. 시대적 연속성이나 일부 유사성으로 인해 [[프루티거 에어로]]를 Y2K 퓨처리즘으로 혼동할 수도 있는데, 프루티거 에어로는 Y2K 문화의 유행이 끝난 이후에 등장한 에스테틱이기 때문에 이 둘은 별개로 구분된다. 애초에 Y2K 퓨처리즘은 사이버스페이스 지향성을 지니고, 프루티거 에어로는 [[스큐어모피즘]]에 기반한 사실적 디자인과 쾌청한 자연 분위기를 지향하기에 디자인 방향성에서부터 차이가 난다. 2020년대 들어 한국 가요계에서 차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대표적으로 그룹으로는 [[aespa]]가 있고, KBS는 2022년 가요 시상식을 [[2022 KBS 가요대축제: Y2K|아예 해당 컨셉]]으로 진행하였다. == 구성요소 == [[파일:y2kfuturism.png]] Y2K 퓨처리즘의 예시 이미지. * [[밀레니엄 버그]](Y2K 문제): 특유의 [[세기말]] 분위기와 연계되어 [[2000년]]이 중요한 시기로 여겨진다. * [[사이버스페이스]]: 금속질 은백색의 유선형 건물들이 가득한 공간으로 묘사되며, 특유의 광택이 강조된다. 그래서 마치 [[북극]] 같이 극지에 도시를 세운 듯한 느낌을 준다. 얼핏 보면 유토피아 스타일의 도시처럼 보이기도 한다. * 블로비텍쳐(Blobitecture): 자연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에 영감을 얻어 곡선과 둥근 형태를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 양식. 유선형이 강조되다보니 마치 [[아메바]]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 [[은색]], [[백색]] 등 밝은 [[무채색]] 계통 색조: 물결이나 하늘을 표현하기 위해 약간의 [[청색]]이 섞이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의상에는 [[검은색]]도 잘 쓰인다. *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 스타일의 컴퓨터 그래픽: 극 초기의 스큐어모피즘의 영향으로 3D 기술이 적극적으로 쓰이지만 기술의 한계로 주변과 따로 노는 듯한 부자연스러운 느낌의 광택이 특징이다. * [[피쳐폰]] * [[MP3 플레이어]] * [[다마고치]] * [[라텍스]], [[PVC]], 유광 [[가죽]], [[에나멜]] 등 유광 소재 기반 의류 * [[이모 패션]] * 사이버고스 패션 * 힙합 패션 * [[그래피티]] * 2000년대 스타일의 [[카툰체]]: [[젯 셋 라디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투톤, 브릿지 등 부분[[염색]] * [[선글라스]] * 우주지향적 패션: 소위 '은갈치룩'으로 통칭되는 우주복을 모티브로 한 은광의 메탈릭 의상. * [[외계인]]과 [[UFO]] * 퍼스널 컴퓨터 * [[윈도우 98]] * [[윈도우 2000]] * [[윈도우 XP]] * [[인터넷]] * [[인터넷 익스플로러]] * 곡선, 광택이 강조된 전자제품 디자인 * 투명 [[플라스틱]] 소재 * 연관 음악 장르 * [[트랜스(음악)|트랜스]] * [[테크노]] * [[뉴 메탈]] * [[팝 펑크]] * [[올드 스쿨]] [[힙합]](1990년대 ~ 2000년대식) * [[이모(음악)|이모코어]] == 관련 작품 ==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에 만들어진 작품들은 상당수가 Y2K 퓨처리즘에 해당하는 속성들을 많이 갖고 있다. 한편, 비슷하게 에스테틱에서 시작하여 펑크 장르로 발전한 카세트 퓨처리즘과 달리 Y2K 퓨처리즘은 아직 장르로써의 본격적인 시도나 연구가 많이 미약하기 때문에 [[펑크(SF)|펑크]] 장르로 인식되지는 않고 있다. 그렇기에 현재로썬 'Y2K펑크'라 지칭하지는 않는다. * [[닥터후]] [[닥터후/뉴 시즌 1|뉴 시즌 1]] * '''[[매트릭스 시리즈|오리지널 매트릭스 트릴로지]]''': 20세기와 21세기의 전환기에 제작되었다보니 당대 특유의 세기말 분위기가 많이 녹아들어 있어서 자연스레 Y2K 퓨처리즘 사조에 많은 영향을 준 작품이 되었다. * [[스파이 키드 시리즈]]: 3편까지만 해당된다. 4편부터는 촬영과 개봉 연도 모두 2000년대가 완전히 지나 2010년대로 접어들었다. * [[맨 인 블랙 실사영화 시리즈]]: 다만 3편은 1960년대로 시간여행을 하여[* 특히 [[아폴로 계획]] 중 최초로 달에 도착한 1969년의 [[아폴로 11호]] 로켓 발사를 소재로 한다.] 진행되는 특성상 약간의 [[아톰펑크]]의 요소도 첨가되어 있다. * [[제5원소(영화)|제5원소]] * 영화 [[https://m.youtube.com/watch?v=P4f9gCTLhYs|Y2K]]: [[밀레니엄 버그]]를 소재로 한 SF 코미디 공포 영화. * [[젯 셋 라디오]], [[젯 셋 라디오 퓨처]] * [[Warframe]] - [[https://www.warframe.com/ko/1999|업데이트 1999]]로 도입된 관련 [[Warframe/퀘스트/메인 퀘스트#헥스|메인 퀘스트]]와 신디케이트 [[Warframe/신디케이트/헥스|헥스]]: 업데이트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2000년 문제|Y2K 문제]]를 주요 소재로 삼았다. 다만 Warframe의 스토리와 연계되는 콘텐츠라 해당 업데이트로 도입된 신디케이트인 헥스의 구성원과 진영인 [[Warframe/진영/테크병|테크병]]에 있어서는 [[바이오펑크]]의 영향이 짙다. * [[Hearts of Iron IV]]의 모드 [[Twilight of the Anthropocene]] * [[m-flo]] - [[m-flo/디스코그래피/스토리 앨범|스토리 앨범]], 그 중에서도 2003년 LISA의 탈퇴 전 TRIPOD 시기가 Y2K 퓨처리즘에 가장 부합한다. == 기타 == [[파일:15c6b8ea2f3d187e.jpg]] [[이 세상 커피가 아니다]]라는 사차원적인 표제로 유명한 당대의 [[레쓰비]] 광고다. Y2K식 디자인이 당대의 세기말 감성에 기반하여 여러모로 사차원적이고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질적인 분위기[* 당대의 [[스타리그]] 프로게이머들의 복장이나 [[레쓰비]], [[애니콜]], [[핑클빵]] 광고 등이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가 강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저세상 감성, 세기말 감성, 밀레니엄 감성 등 다양한 별칭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드림코어]]에서 파생된 [[노스탤지어코어]]와 어느정도 겹치는 요소들이 있다. 비슷한 시대의 복고 분위기를 다루다 보니 당시 웹유아이 등 요소를 차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SF적 요소는 없어서 분위기는 많이 다르다. == 연관문서 == * [[세기말]] * [[Y2K 문제]] * [[에스테틱]] * [[복고미래주의|레트로퓨처리즘]] * [[베이퍼웨이브]]: 80~90년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음악사조를 기반으로 하다 보니 일부 y2k적 요소가 겹치기도 한다. * [[프루티거 에어로]]: 2000년대 후반 당시 퓨처리즘을 테마로 한 에스테틱이고, 스큐어모피즘이 두 시기에 겹쳐서 유행했기에 겹치는 부분이 일부 존재한다. 다만 상술되었듯이 디자인 지향성에선 사이버스페이스 중심인 Y2K와 달리 자연 중점적인 지향성으로 차이가 있는 편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Y2K 퓨처리즘, version=48, uuid=41102b2b-3c96-42d7-9992-f1760de5c6b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