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Winners(DJMA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kJOBUmLyiuE)]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3 (2022)}}} || || {{{-1 '''장르'''}}} ||{{{-1 Pop Rock}}} || || {{{-1 '''BPM'''}}} ||{{{-1 190}}} || || {{{-1 '''작사/작곡'''}}} ||{{{-1 CHUCK}}} || || {{{-1 '''보컬'''}}} ||{{{-1 [[CielA]]}}} || || {{{-1 '''BGA'''}}} ||{{{-1 [[https://twitter.com/001_31_|31]](원화) / MoDEKU(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가챠 boy 손을 놓지마 던질 주사위는 많아 너의 마음이 가는 대로 본능적으로 Click now 무기를 들고 어둠을 맞이해 승자들의 방식 It serves you right Showdown! Top Secret! 물어 뜯는 세상 속에 난 보여줄 뿐야 평행 공간 속 저 빛을 따라 우리 함께 간다면 어두웠던 결말을 비춰 너를 찾아가 나를 찾아서 Find the way 가짜 속임수에 기죽지 마 갈 길은 아직도 많아 너의 마음이 가는 대로 결말은 이루어질 뿐 밤은 꿈꿀 때 다가와 But 꿈을 갖고 저 결말을 맞아 시답잖은 고민 따윈 자기 위로일 뿐 무관심한 세상 속 어둠을 비춰 내려가 비로소 더는 누구도 상처받지 않게 평행 공간 속 저 빛을 따라 우리 함께 간다면 어두웠던 결말을 비춰 너를 찾아가 나를 찾아서 Find the way FLY!}}} || == 개요 == 지난 V EXTENSION 시리즈 DLC에서 [[Fancy Night]]과 [[Imaginary dance]]를 작곡했던 CHUCK의 신곡. 지난번 Imaginary dance에 이어서 이번 곡 역시 상당히 높은 퀄리티로 완성되어 유저들을 놀라게 하면서 커뮤니티에서는 '''"믿고 듣는 CHUCK"'''이라는 반응이 많다. 프리뷰가 상당히 어두운 분위기로 등장해 꽤나 다크한 악곡을 기대한 사람이 많았으나, 어두운 분위기의 벌스와 희망적인 분위기의 후렴이 공존하는 상당히 신나고 색다른 분위기의 악곡으로 등장하였다. 풀 버전을 듣고 상당한 [[반전]]이라며 놀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음악들 중 반전곡으로 평가받고, 반응이 매우 좋아 공식에서 같은 날에 동시 공개된 곡들 중에서 [[Tic! Tac! Toe!]]를 제외한 가장 많은 조회수를 받았으며[* Every Day ~ Every Night의 경우는 재업로드라 조회수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제외한다.], 플레이 카운트 순위에서도 VE3 카테고리 곡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VE3 곡 중에서 인기가 많은 곡이다.[* [[KICK IT]]이나 [[Tic! Tac! Toe!]]가 너무 강력하다는 점과, 고난이도에는 [[Zero-Break]], [[Fundamental]]이 있으며, 그 외에도 NB Ranger, 밤비까지 있는데 V EXTENSION 3 카테고리에서 3등을 차지할 정도면 대단한 업적이나 다름없다.] == BGA == BGA의 경우 [[FALLING IN LOVE(DJMAX)|FALLING IN LOVE]]를 담당했던 [[https://twitter.com/001_31_|31]]이 원화를 담당했는데, 프리뷰에 공개된 부분은 FALLING IN LOVE와는 상당히 다른 분위기였기에 놀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상반된 분위기의 곡인 [[Voyage(DJMAX)#s-2|Voyage]]와 [[Red Eyes(DJMAX)|Red Eyes]]를 동시에 담당했던 VIVINOS를 보는 것 같다는 평이 존재했었다. BGA 역시 곡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병에 걸린 주인공 소년이 게임을 클리어하면서 희망을 품고 병을 극복해내는 [[해피 엔딩]] BGA로 완성되었다. 여담으로 최근 DJMAX 시리즈에서는 잘 찾아볼 수 없는 미소년 캐릭터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등지에서 이 캐릭터에 대한 인기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 편이다. 다만 디제이맥스 커뮤니티의 주요 이용자층이 [[남초]]이기 때문에 [[게이|좋지 않은]] [[암컷타락|드립]]과 엮이기도 한다.(..) 캐릭터의 공식적인 이름이 공개된 바는 없으나, 어느 한 유저가 곡명인 'Winners(위너스)'를 비틀어 부른 '임현수'라는 이름을 붙인 뒤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https://m.dcinside.com/board/djmaxrespect/435510|팬아트]]도 종종 올라온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3)]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9237ff><bgcolor=#430d7e><nopad> [[파일:Winners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237ff 0%, #9237ff 15%, #7527ec 15%, #7527ec 29%, #9237ff 29%, #9237ff 38%, #7527ec 38%, #7527ec 52%, #9237ff 52%, #9237ff 61%, #7527ec 61%, #7527ec 75%, #9237ff 75%, #9237ff 100%)" '''{{{#040008 V EXTENSION 3}}}'''}}} || ||<-4>'''{{{+5 Winners}}}''' || ||<rowbgcolor=#7425dd><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430d7e><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6 → 5로 조정.] [br] {{{-5 36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12 → 11로 조정.] [br] {{{-5 78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5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24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3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0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46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4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8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5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3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9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9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662}}} || ||<-5><bgcolor=#7425dd> 특수 패턴 || || {{{-1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5.2.6|Liminal Space]]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91f7b, #3b27b6)"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2 → 10, 5B 13 → 11, 6B 12 → 10, 8B 14 → 12)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30d7e><table bordercolor=#430d7e><table bgcolor=#7425dd><nopad> [youtube(uoUbIOCPsxQ)] ||<nopad> [youtube(Clk9xJwAqvE)]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30d7e><nopad> [youtube(l7Dq0RMsOJ4)] ||<nopad> [youtube(lgcIB8uJFm0)]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30d7e><table bordercolor=#430d7e><table bgcolor=#7425dd><nopad> [youtube(MR22xEo02nw)] ||<nopad> [youtube(2IDO6GP7C_0)]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30d7e><nopad> [youtube(vSRkVgNdzIY)] ||<nopad> [youtube(tPWfAIfNse0)] || 5B SC는 빠른 계단을 필두로 폭타, 연타, 동치와 같은 종합적 요소들로 난이도를 높였다. 후반부까지는 딱히 어려운 계단 파트가 없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겹계단이 섞이고 배치 또한 복잡한 계단+폭타 패턴이 꽤 길게 떨어지기 때문에 순식간에 밀릴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다만 계단보다는 오히려 초반이나 후반에 드문드문 끼어서 나오는 동시치기 연타 패턴이 더더욱 난점일 수 있다. 특히 영상 기준 21초 부근의 방패 모양 노트 아트 패턴은 조심. 랜덤을 걸면 방패 노트아트 패턴이 2-3으로 완벽하게 분할되고 계단 폭타 역시 칠 만한 배치로 나오는 배치가 존재하나, 이 배치를 뽑을시 중간중간 동시치기의 배치가 꼬인다. 다만 계단을 못 친다면 랜덤 완전분할 배치 역시 하나의 선택.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30d7e><table bordercolor=#430d7e><table bgcolor=#7425dd><nopad> [youtube(bqHblDScWK0)] ||<nopad> [youtube(ubrpv69tKsE)]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30d7e><nopad> [youtube(Ws7KuAuekRU)] ||<nopad> [youtube(ZCY0hKrPMoY)] || 6B SC는 [[Daydream(DJMAX)|Daydream]]과 유사하게 계단과 폭타로 난이도를 높였다. 주의해야 할 구간은 '시덥잖은-'과 함께 시작되는 231/546 반복 패턴과 1:45초 부분에서 떨어지는 겹계단 폭타. 폭타로 난이도를 높인 것 치고는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패턴으로, 패턴 자체는 정직하게 어렵지만 계단과 폭타의 밀도가 꽤 높은 편이고 노트 배치 또한 약간 무규칙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리딩 능력과 기본기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느껴질 수 있는 패턴이다. 12 상위~13 이상 러너들이라면 12 내에서도 하위권, 더하면 물렙까지도 취급 가능한 패턴이지만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유저들의 경우 꽤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30d7e><table bordercolor=#430d7e><table bgcolor=#7425dd><nopad> [youtube(d2IhDJnrljs)] ||<nopad> [youtube(KSHnTPzRS68)]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30d7e><nopad> [youtube(1SYlG3Afz2E)] ||<nopad> [youtube(SnFwFUojSrA)] || 8B SC는 [[물렙곡|레벨값을 못 한다]]는 평이 많다. 온갖 괴악한 패턴이 많은 13레벨 SC 패턴에 비해 차별점이 없고 패턴 자체만 놓고 봐도 BPM이 매우 높다는 것 외에는 딱히 어렵다고 할 만한 구간이 없다. 다만 '상처받지 않게' 가사와 함께 나오는 트리거가 드문드문 끼어있는 트릴 파트와 건반 파트의 밀도가 높아지는 후살은 명백히 주의해주어야 할 구간. 난이도와는 별개로,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무리수를 쓴 구간이 없고, 연주감 측면에서 치는 맛을 잘 살려 재밌다고 호평받은 패턴이 었고, 이후 구 13레벨 상위~14레벨 하위권이 배치되는 SC 12레벨에 배정되었으며 12레벨 내에선 하~중하위권에 속한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Winners(DJMAX), version=77, uuid=c2c716b1-2015-47cd-88d9-94bd81acc74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