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WONDER $LOT 777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vimeo(584542868)]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Casino Core}}} || || {{{-1 '''BPM'''}}} ||{{{-1 155}}} || || {{{-1 '''작곡'''}}} ||{{{-1 [[MYUKKE.]]}}} || || {{{-1 '''BGA'''}}} ||{{{-1 [[SB_ENGINEER]]}}}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Arcaea]], [[Muse Dash]] 등의 인기 리듬 게임에 곡을 주면서 이름을 서서히 알리고 있는 작곡가인 [[MYUKKE.]]의 곡으로, 공모전을 통해 당선되고 [[DJMAX RESPECT V]]에 수록되었다. [[https://youtu.be/EYu5pNGp_dk|#공모전 당선 프리뷰]] DJMAX에서는 처음으로 수록되는 하이테크 장르의 곡. 슬롯게임의 긴장감과 행복을 상상하며 만든 노래라는 작곡가의 코멘트가 있으며, SB_ENGINEER가 일러스트와 그래픽 모션까지 모두 단독으로 작업한 BGA도 슬롯머신을 표현하면서 곡의 분위기를 잘 살려냈다.[* 한편으로는 [[캐피탈리즘 호]]가 연상된다거나 [[라스베이거스]]의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슬롯머신을 깔아서 카지노를 만든 슬픈 이야기라는 의견도 있다(...)] 여러모로 SB_ENGINEER의 능력을 엿볼 수 있는 BGA.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6f1b><bgcolor=#ff6f1b><nopad> [[파일:WONDER $LOT 777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7b14, #ff7b14, #ff7b14, #bba198, #249ded, #249ded)" '''{{{#2E3A42 V EXTENSION}}}'''}}} || ||<-4>'''{{{+5 WONDER $LOT 777}}}''' || ||<rowbgcolor=#ff6f1b><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974312><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3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8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21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3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0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0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0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1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7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8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2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0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05}}} || ||<-5><bgcolor=#ff6f1b> 특수 패턴 || ||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4.2.5|Multipolar Neuron]] || || DPC ||<-4> [[DJMAX RESPECT V/DPC#s-2.3.1.1|DPC 2024 Final Patterns]][br]{{{-2 (4B / 6B)}}}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의도된 것인지 알 수 없으나 곡 제목에 맞춰서 5B, 6B, 8B NM의 레벨이 777이다. 이후 시즌 6 업데이트로 4B와 8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고,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2 → 10, 5B 11 → 8, 6B 12 → 10, 8B 12 → 9)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wjJqRMrIyqw)] ||<nopad> [youtube(GWbvYQTPUWg)]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3oc_0PZrq6c)] ||<nopad> [youtube(rqylOaoY2lk)] || 4B MX는 곡에 맞춰 32비트 트릴이 간혹 끼지만 패턴 구성이 단순하다. 14레벨 입문곡 중 하나. 4B SC는 중반의 드럼 비트를 메인으로 짧은 고속 트릴과 계단이 등장하는 구간이 까다로운데 뭉개도 이어지기 때문에 클리어에 큰 지장은 없다. 12레벨 중에서는 그다지 어렵지 않아 11레벨로 내려도 되겠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한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O10M34vy734)] ||<nopad> [youtube(eEmPKllCTO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FNqLV5ksA4o)] ||<nopad> [youtube(gxfzS4Ys_KA)] || 5B SC는 [[welcome to the space]] SC와 유사한 사이사이에 끼는 32비트 트릴 처리가 고비로, 32비트 트릴은 가변을 써서 처리하는 게 훨씬 편하지만 이외 구간의 폭타는 왼손/오른손 중 피지컬이 더 강한 쪽 위주의 손배치로 몰아주는 게 편하다. 좌우 가변능력과 한손 깡피지컬 처리를 동시에 요구하지만 아주 어려운 건 아니기 때문에 5버튼 연습용으로는 나쁘지 않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8ORFWtRyMmk)] ||<nopad> [youtube(-8pKxn1kLu0)]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OEaEQ3k6WhQ)] ||<nopad> [youtube(7_A0_2ko4FY)] || 6B MX는 짤막한 계단이 다수 섞이는 폭타가 주가 된다. 같은 DLC 안의 [[BLACK GOLD]], [[Kensei]], [[Never Die]] 등 비슷한 패턴이 존재하며, 상대적 난이도도 셋 다 비슷하다. 6B SC는 겹계단, 즈레가 기습적으로 끼는 동시치기, 초고속 계단, 정배 기준 오른쪽으로 쏠려 있는 중후반부 계단 폭타 등 퍼펙트로 정확하게 치기 어려운 패턴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특히나 가장 걸림돌이 되는 부분은 극초반과 극후반에 두 번 등장하는 6번 노트를 축으로 한 계단+연타 패턴으로, 웬만큼 숙련이 되지 않는 한 정확하게 치기 힘들다. 이 때문에 퍼펙트 난이도는 12레벨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편. 높지도 낮지도 않은 애매한 BPM과 맞물려 저주 걸리기 쉬운 패턴 중 하나로, 곡의 인기가 높은 편에 속해 공방에서 자주 나오는 곡이지만 초보자가 무작정 골라 박치기부터 하면 저주 걸리기 쉽다. 어느 정도 실력이 갖춰진 후 플레이하는 걸 추천한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WF7svELWVgg)] ||<nopad> [youtube(i2Pd-4mDUPc)]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rnvrl3ISXWI)] ||<nopad> [youtube(K_9w3ngTWu4)] || 8B SC는 이렇다 할 어려운 구간이 없어 12레벨 최하위권을 담당하고 있다. == 기타 == 트위치 스트리머 [[아구(인터넷 방송인)|아구]]의 주력 컨텐츠인 합성물 페스티벌[* 아구 시청자들이 합성물을 만드는 일종의 공모전 비슷하게 진행되는 시청자 참여 컨텐츠다.]에서 [[붕탁]] 소스를 주제로 페스티벌을 개최했는데, 작곡가 [[yomoha]][* [[Sixtar Gate: STARTRAIL]]에 다수의 곡을 투고했다.]가 이 곡을 붕탁 소스로 리믹스한 "W♂NDER $L♂T ♂♂♂"라는 작품을 올렸다. 그런데 이게 원작을 압도하는 중독성으로 페스티벌 우승을 하여 화제가 되었고, WONDER $LOT 777의 BGA 제작자인 SB_ENGINEER, 심지어 '''DJMAX 공식 유튜브 계정까지''' 해당 시청자의 작품에 나타나 댓글을 달았다.[*내용 SB ENGINEER:대.... 대단합니다..........[br] DJMAX Official:아니 선생님..] 이후 DJMAX 미션 플레이를 컨텐츠로 하고 있는 [[REMILIA]]에게 [[https://youtu.be/atSzzgk3R_4?t=102|이 작품이 미션으로 등장하는 등]] 적잖은 후폭풍이 있었다. 현재 yomoha가 붕탁 소스에서 손을 뗌에 따라 원본은 비공개된 상태.[*백업본 한 외국인 붕탁유저가 저장해둔 백업본이 존재한다. [[https://youtu.be/7NBjF6-5eYc|보러가기]]]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제목이 특수 문자인 문서]][[분류:리듬게임/음악]]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WONDER $LOT 777, version=87, uuid=48ea38b1-3b6d-46c6-b878-973356f9048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