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Vile Requiem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JsuJsTDAgQA)] || ||<-2> {{{-1 '''Full Ver.'''}}} || ||<-2><nopad> [youtube(DldfsEYfhA8)] || ||<-2> {{{-1 '''BG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Dubstep}}} || || {{{-1 '''BPM'''}}} ||{{{-1 75 ~ 150}}} || || {{{-1 '''작곡'''}}} ||{{{-1 [[GOTH(작곡가)|GOTH]]}}} || || {{{-1 '''BGA'''}}} ||{{{-1 Gunzo}}}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전작 [[DJMAX RESPECT]]에서 좋은 곡으로 호평을 받은 작곡가 [[GOTH(작곡가)|GOTH]]가 [[DJMAX RESPECT V]]에 신곡으로 제공하였다. 제목의 뜻은 '''사악한 진혼곡'''. [[The Obliterator]], [[Dance of the Dead]]를 잇는 덥스텝 악곡. 이전에 제공한 곡들보다도 더욱 강렬한 사운드로 무장했으며, 작곡가 특유의 고딕스러운 분위기도 곡 곳곳에 남아 있다. BPM은 150이지만, 마지막 부분에 75까지 서서히 감속하면서 마무리된다. BGA는 리스펙트부터 참가를 시작해 고퀄리티 3D BGA를 꾸준히 보여준 Gunzo가 제작했으며, [[Remains Of Doom]]에서 나왔던 염소 머리 악마가 재등장한다. 이후 GOTH가 2023년에 [[네오위즈]]를 퇴사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Studio LAY-BACK 소속으로는 마지막으로 DJMAX 시리즈에 투고한 곡이 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6f1b><bgcolor=#ff6f1b><nopad> [[파일:Vile Requiem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7b14, #ff7b14, #ff7b14, #bba198, #249ded, #249ded)" '''{{{#2E3A42 V EXTENSION}}}'''}}} || ||<-4>'''{{{+5 Vile Requiem}}}''' || ||<rowbgcolor=#ff6f1b><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974312><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2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23}}}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95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5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7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02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4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0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07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6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7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1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1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Gothpheus 시절 3S에 투고했던 [[Rosen Vampir]], 리스펙트에서의 [[Enter The Universe]]로 악명을 떨친 GOTH였기 때문에, 곡 제목에 힘입어 리스펙트 V 신곡 중 보스곡으로 예상되었던 곡이었으나, 출시 직후에는 보스는 커녕 SC 패턴조차도 없었다. 이후 2021년 5월 4일 시즌 2 업데이트로 6버튼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5, 6, 8B SC 패턴을 제외한 모든 패턴은 수동 피버로도 최후반부에서 피버가 끊긴다. 또한 마지막에 점차 느려지는 변속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DJMAX RESPECT V/DPC|DPC 2023]] 대상곡으로 지정되어 당선 패턴들이 추가되었다. 4B와 5B SC는 파이알제곱 (PiRSquared)이 제작하였고, 8B SC는 ValenBoA가 제작하였다. 이후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유지, 5B 12 → 10, 6B 12 → 10, 8B 11 → 9)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4DNmle_J70o)] ||<nopad> [youtube(pgbtY3Sxfrc)] || || {{{#white '''SC'''}}} ||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zHIWoKr4YjM)]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CfYiiH0N2aI)] ||<nopad> [youtube(fLOZ2lOWF6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qh9rYKoNE8)] ||<nopad> [youtube(GSCcgsWnOHA)] || 5B SC는 6B SC의 기조를 어느 정도 따라가는 패턴으로, [[Constant Moderato|3번 롱노트 낚시]] 패턴이 상당히 자주 나와 노트 암기가 요구된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45uhgni1Fxk)] ||<nopad> [youtube(iJSoSRDZry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eCSX-c2WNw0)] ||<nopad> [youtube(0PGbbW5kHU8)] || 6B SC는 지난 시즌 추가된 SC인 [[Space Challenger]]처럼 특이한 패턴으로 무장했는데, 백이면 백 비판만 받던 해당 곡과는 달리 개성있으면서도 퀄리티가 떨어지지 않는 패턴으로 호평받았다. 다만 순간 발광에서 빠른 계단이나 겹계단을 차용했기 때문에 해당 패턴에 약하면 난이도가 다소 오를 수 있고, 후반부 등장하는 46464646 고속 트릴 역시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이 때문에 단순 패턴 난이도보다 스코어링 난이도가 꽤나 있는 편이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0pYv2xT8b8Y)] ||<nopad> [youtube(7znZZRT5p_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Op3M_4Pg4yI)] ||<nopad> [youtube(1tMpiWqbBsA)] || 8B MX의 경우 사이드+트리거 청기백기 패턴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다른 패턴의 트리거 응용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지만 청기백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까다로운 패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Vile Requiem, version=69, uuid=e9c335a3-fe70-4d49-ad18-625c30babd2a)]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