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YPE-MOON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TYPE-MOON]][[분류:에로게 메이커]][[분류:전연령 미소녀 게임 메이커]][[분류:게임 브랜드]][[분류:1999년 설립]] [include(틀:다른 뜻, 넘어옴1=타입문, 설명1=월희 시리즈의 등장인물인 Type : Moon, 문서명1=붉은 달의 브륜스터드)] ||<-2><table align=right><table width=450><bgcolor=#0843a3><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ffffff {{{+1 '''TYPE-MOON'''}}}}}} || ||<-2><height=100><bgcolor=#ffffff> [[파일:타입문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타입문 로고 다크모드.svg|width=70%&theme=dark]] || ||<|3><colbgcolor=#ffc81f><colcolor=#000> '''상표명''' ||'''정식''': TYPE-MOON || ||'''일본어''': タイプムーン || ||'''한국어''': 타입문 || || '''설립''' ||[[1999년]] {{{-2 (동인서클)}}} || || '''데뷔일''' ||[[2000년]] [[12월 29일]] {{{-2 ([[월희]])}}} || || '''소재지''' ||[[도쿄도]] [[다이토구]] 아사쿠사바시 4-1-1 || || '''모회사''' ||유한회사 노츠 || || '''대표''' ||[[타케우치 타카시]][* 유한회사 노츠 대표이사.] || || '''관련 사이트''' ||[[https://typemo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2SPttwqD13PoROoLR_NKU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www.typemoon.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동인서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종합 콘텐츠 기업 유한회사 노츠([include(틀:ja, text=有限会社ノーツ)])의 브랜드. 초기에는 게임 제작이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TYPE-MOON BOOKS]] 등 다방면에 손을 걸치고 있다. 타입문의 IP를 이용하여 다른 회사와 협업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도 많다. 직접 제작 외 [[지적재산권|IP]]관리도 주업무. 흔히 기업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업 노츠의 브랜드명이다. 타입문의 이름의 유래는 세계관 내의 [[붉은 달의 브륜스터드|한 캐릭터]]의 이명인 '타입문'. 엄밀히는 월희쪽이 아니라 [[강철의 대지]]의 뒷내용에 등장하는 캐릭터 '타입 문'이다. '참격황제 기사단'이라는 후보도 있었는데 본인들도 안 해서 다행이라고 한다. == 역사 == 원래는 [[동인서클]]로 시작했지만 2003년 정식 회사로 발돋움했다. 이때 정식 등록된 회사명은 '''유한회사 노츠'''다. [[마도물어 시리즈|마도물어]], [[뿌요뿌요 시리즈]]로 유명한 [[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 출신 인물들이 많았는데 [[타케우치 타카시]]가 컴파일에서 근무한 적이 있고 그때의 동료들을 불러모아 서클을 결성해서 그렇다. === 동인 시절 === [[파일:typemoonlogo.jpg]] 위 로고는 생긴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출시되었던 월희 데모판에 딱 한번만 쓰였던 로고. 타입문은 [[1999년]] 컴파일 출신인 타케우치 타카시가 중학교 시절부터 친구인 나스 키노코, 컴파일 시절 동료 직원인 프로그래머 키요베(清兵衛), 음악 담당인 Kate를 영입하여 결성되었다. 본래는 첫 작품인 [[월희]]를 통하여 관심을 끌어, [[타케보우키]]에서의 창작 활동을 뒷받침하려는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제58회 [[코믹마켓]] (이하 C58)에 참가하여 체험판인 [[월희]] 반월판을 판매하였으며 C59에 완전판 월희를 발매하였다. 당초 계획대로 타입문은 월희 발매 후 해산할 예정이었으나, 당시 월희의 반응이 워낙 폭발적이었고, 핵심 구성원이었던 나스 키노코와 타케우치 타카시가 게임 제작 자체가 재밌다고 느껴 서클을 존속하기로 한다. 그 뒤 [[2001년]] [[1월 21일]]에 개최된 제10회 [[선샤인 크리에이션]]에서 판매된 완전판 월희의 구입특전으로 PLUS-DISC가 첨부되었고 C60에서 월희의 팬디스크인 [[가월십야]](歌月十夜)가 발매되었다. C63에는 과거 [[퀸 오브 하트 시리즈]]를 제작했던 [[프랑스빵|와타나베 제작소]]와 공동으로 제작한 [[대전 격투 게임]] [[MELTY BLOOD]][* 후에 [[에콜]]에 의해 MELTY BLOOD Act Cadenza라는 이름으로 아케이드버전이 발매되었고 06, 07, 08년 투극종목중 하나로 선정되었다.]를 발매하였으며, [[2003년]] [[4월 29일]] 개최된 코믹 레볼루션33에서 월희[* 작중 나오는 브금들을 전부 어레인지 버전으로 교채한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PLUS+DISC, 가월십야 3가지를 수록한 월상(月箱)의 판매를 마지막으로 동인서클로서의 활동을 종료. 이후 [[동인(문화)|동인]]이 아닌 상업계의 게임회사로서 활동하게 된다.[* 동인게임 제작서클과 게임회사가 무슨차이가 있는가는 간단히 법적인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로 구분할 수 있다. 타입문은 2003년 유한회사 노츠(ノーツ)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며, 법인화 이후 코믹마켓 등의 동인 이벤트에서 기업 부스로 가야만 찾을 수 있다.] === 상업 이후 === 정식 회사로서의 첫 작품은 2004년 1월 30일 발매한 [[Fate/stay night]]로, 현재 타입문을 있게 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당연히 대히트하여 [[PS2]]판, [[Fate/stay night/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으로까지 제작되었다. 2005년 10월 28일 페이트의 팬 디스크인 [[Fate/hollow ataraxia]]를 발매하였으며, 이후 5년 넘게 잠잠하다가 2012년에 [[마법사의 밤]]이 출시되었다. 현재는 월희 리메이크를 비롯한 자사 타이틀을 조금씩 진행중이다. 할로우 아타락시아 이후로는 더이상 에로게를 만들지 않는다. [[TYPE-MOON BOOKS]]는 C71에서 같은 상업계 게임회사인 [[니트로플러스]]와 연계하여 [[라이트 노벨]]인 [[Fate/Zero]] 제1권을 발행 판매하였다. 2008년 8월 16일에는 [[공의 경계|공의 경계 미래복음]]을 발매,[* 참고로 같은 날에 [[극장판 공의 경계]] 5장 '모순나선'도 개봉하였다.] 이후로는 [[Fate/Apocrypha]]와 [[Fate/Prototype]] Animation material, [[Fate/EXTRA]] material 등도 판매했다. 게임이나 서적 외에도 코믹마켓에서 기업 부스로 참여하여 테피스트리 등 캐릭터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모바일 사이트 스핀오프 작품인 [[마법사의 상자]]도 진행된 바 있다. 2010년대 들어 [[Fate/Zero]]의 애니메이션 성공에 힘입어 [[Fate 시리즈]]를 중심으로 활동이 활발해지며 전성기를 달리고 있다. 덕분에 2014년부터 매년마다 Fate Project라는 타이틀을 걸고 작품들을 대대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다만 게임 회사로서의 타입문 본사 활동은 적고 서적이나 타사 협력 프로젝트, 미디어믹스 위주로 활동하고 있다. 게임도 개발 여건이 안 되다보니 타입문이 게임을 직접 개발하는 게 아니라 다른 회사와 협력해서 게임을 개발한다. [[이미지에폭]] 및 [[마벨러스(기업)|마벨러스]]와 협력한 [[Fate/EXTRA]] 시리즈, [[DELiGHTWORKS]]와 협력한 [[Fate/Grand Order]], 타케나시 에리의 Type-moon 엔솔로지 코믹인 Take-moon을 원작으로 하여 만든 [[카니발 판타즘]] 등. 점점 회사 규모가 커지기 시작하면서 마블이나 DC처럼 한 세계관 내에서 여러명의 작가들이 시나리오를 쓰는 형태가 되고 있다. 2019년 8월 30일, 게임 전문 스튜디오인 [[TYPE-MOON studio BB]]의 신설을 발표하였다. 여태까지 비주얼 노벨이 아닌 타입문의 게임들은 타입문이 아닌 다른 회사들이 개발을 담당해왔지만 앞으로는 타입문이 스스로 개발하는 게임도 추가하겠다는 게 설립 취지. 3D 게임은 기존처럼 다른 개발사들과 협력해서 개발하는 형태를 취하지만 2D 게임은 다른 회사의 도움 없이 스튜디오 BB(타입문)가 스스로 개발할 기획이라고. 스튜디오 대표로는 [[Fate/EXTRA]]의 프로듀서였던 [[니노 카즈야]]가 취임하였다.[* 니노 카즈야는 [[드래곤 퀘스트 빌더즈]] 시리즈의 디렉터로도 유명했는데, 마침 일주일 전에 [[스퀘어에닉스]]를 퇴사하고 스튜디오 BB로 이적하였다.] 다음 해인 2020년 7월에는 Fate/EXTRA 출시 10주년을 기념하여 '''[[Fate/EXTRA Record]]'''의 개발이 진행중임을 [[https://youtu.be/p652XatNyjw|트레일러]]와 함께 공개하였다. 2022년 코믹 마켓 100회를 기념하여 무려 '''14년만에''' [[타케보우키]] 명의로 월희 리메이크를 가지고 전시했고, [[와다 아루코]]를 비롯한 타입문 계열 작품에 참여한 인물들이 총출동한다. == [[TYPE-MOON/세계관|세계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YPE-MOON/세계관)] == 여담 == * 2007년 니트로플러스와 관계를 가져서인지 07년 발매한 니트로플러스의 대전액션게임인 [[니트로로얄 히로인즈 듀얼]]에 Fate/Zero의 [[세이버(4차)|세이버]]가 등장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TYPE-MOON/b0.jpg]] * Fate 시리즈의 인기를 통해서 여러 유명회사([[캡콤]]이라든가, 동인 게임회사 등)와 합작 게임을 만드는 등 끊임없이 프랜차이즈의 확장을 하고 있다. * 타입문 공식 홈페이지에 가면 작품 소개란이 있는데, 누락되어 있는 작품들이 있다. 동인시절 작품인 월희 시리즈, 페스나 코믹스와 2006년 애니등 타입문 2000년대 초중반 작품의 상당수가 누락되고 없다. 동인시절 작품은 그렇다 하더라도 나머지는 이유불명. * 2012년 7월 7~8일 동안에 퍼시픽 요코하마 컨벤션 센터에서 [[TYPE-MOON Fes.-10TH ANNIVERSARY EVENT-]]라는 이름으로 10주년 기념 행사를 열었다. 이 때 발표된 '''올 캐릭터 인기투표'''가 화제가 되었는데, 순위는 해당 문서 참고. * 동인에서 벗어난 이후로 성공작은 [[마성의 브금]]에, 최악의 흑역사이자 망작인 [[진월담 월희]]는 [[OST는 좋았다]]에 언급될 정도로 사운드트랙은 작품의 다른 요소들과 상관없이 평균 이상이다. * [[킹 레코드]] 레이블에 현재 소속되어있거나 과거에 소속된 여성 성우들이 타입문 미디어믹스 작품들에 섭외되는 경우는 과거에는 드문 드문편이었다. [[타무라 유카리]] 같은 경우에는 [[공의 경계]] 드라마 CD판에서는 [[코쿠토 아자카]]와 PS2판 [[Fate/stay night Realta Nua]]에서 [[루비아젤리타 에델펠트]] 역을 맡았지만 아자카는 극장판에서 [[후지무라 아유미]]로 교체되었고, 루비아는 [[이토 시즈카]]로 교체 되었다. 그 외 [[우에사카 스미레]],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과거에 소속된 [[키타무라 에리]], [[이시하라 카오리]]는 배역을 맡은적이 없다. 반면 타입문 작품에서 배역을 맡은 성우들로는 [[공의 경계]]에서 [[오우지 미사야]] 역할을 맡은 [[미즈키 나나]], [[Fate/EXTRA CCC]]에서 [[패션립]]을 맡은 [[오구라 유이]],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에서 [[안젤리카(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안젤리카]]를 맡은 [[시라이시 료코]], [[Fate/EXTRA]]의 [[앨리스(Fate/EXTRA)|앨리스]]에 캐스팅된 이후 여러 Fate 작품들에 꾸준히 출연하는 [[노나카 아이]],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의 [[카츠라 미미]] 역할을 맡은 [[사토 사토미]], [[Fate/Grand Order]]의 메인 히로인인 [[마슈 키리에라이트]]의 2대 성우를 맡은 [[타카하시 리에]] [* 타카하시가 마슈를 맡은 것이 킹레코드에서 아티스트 데뷔하게 된 것보다 먼저이긴 하다], [[Fate/Grand Order]]에서 [[현장삼장]] 역할을 맡은 [[코마츠 미카코]] 등이 있다. 이후 2018년에는 [[호리에 유이]]가 [[Fate/Grand Order/이벤트/구다구다 제도성배기담|구다구다 제도성배기담]]의 메인 키 캐릭터인 [[라이더(제도성배기담)]]를 따라다니는 영령인 '오료'역과 2019년에서는 [[샤를로트 코르데(Fate 시리즈)|샤를로트 코르데]]을 맡으면서 최초로 타입문 계열 작품의 캐릭터를 맡게 되었으며 [[미나세 이노리]]도 [[라이네스 엘멜로이 아치조르테]]와 [[사마의(Fate 시리즈)|사마의]]를 맡게 되었다. 이후 타무라 유카리도 [[히미코(Fate 시리즈)|히미코]] 역을 맡게 되었다. * 역대 타입문 인기투표 * 월희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1/rank.html|1차 결과]] /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2/rank2-0.html|2차]]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2/rank2.html|결과]] /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3/rank3.html|3차]]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3/index.html|결과]] * 타입문 통합 [[http://www.typemoon.org/etc/rank/index.htm|4차]] [[http://www.typemoon.org/etc/rank/rank4/51-100.htm|결과]] * 페이트 [[http://www.typemoon.com/rank/fate_1st/index.htm|1차]] [[http://www.typemoon.com/rank/fate_1st/31-55.htm|결과]] / [[https://www.typemoon.com/users/vote/fate2nd.html|2차]] [[https://www.typemoon.com/users/vote/41-78.htm|결과]] * 2015년부터 [[Fate/Grand Order]]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페그오의 흥행의 이후 자사의 인력도 투입되어 본격적으로 협업을 하게되었다. 시나리오 감수만 하던 나스 키노코도 직접 집필 하게 되었고, 페그오 1부 6장 개발부터 페그오의 노벨 파트 개발에 타입문 직원들이 협력하고 있다. 이전부터 캐릭터 디자인 감수 및 일러스트를 담당한 타케우치나 음악을 담당하는 하가 케이타 등 사실상 전인력이 페그오 개발 협력에 투입되어있기에 자사 게임 개발은 무기한 정지된 상황이다. 특히 기획만 있던 [[마법사의 밤]]의 후속작과 달리 업계인들로 부터 개발이 일정부분 진행되었다고 공언된[* 가장 최근 정보가 우로부치 겐 인터뷰에 의해 플레이 가능한 루트가 하나 완성되었다는 알려진바 있다.] [[월희]] 리메이크가 기약없이 개발 연기되었다. 2021년 9월자 패미통 인터뷰에 의하면 신생 월희는 2013년 기준 시나리오와 스탠딩 CG의 작업이 거진 다 끝나서 FGO 개발과 함께 남은 작업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으나 FGO 의 작업량이 상상이상으로 많아 이쯤에 일단 월희 작업을 멈췄다고 한다. 그리고 FGO가 어느 정도 자리 잡은 2017년부터 다시 개발을 재개했고 2020년엔 FGO 시나리오 감수에도 손을 떼고 마무리 작업에 열중해 2021년 8월 26일에 신생 월희를 공개하게 된다. --그 해 스토리가 유독 개판이었던 이유가 있었다-- * 2019년 [[Fate 시리즈]] 15주년 기념으로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스파 24시]] 내구 레이스에 참가하는 [[굿스마일 레이싱]] 네이밍 스폰서를 맡았다. 따라서 팀명은 GOODSMILE RACING & TYPE-MOON RACING이 되었고, 굿스마 차량은 페이트 15주년 리버리를[* [[하츠네 미쿠]]는 블랙 팔콘 6호차가 사용했다.] 붙이고 참가했다. * 대한민국에서도 상당한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게임사지만, 정발된 타이틀은 [[Fate/EXTELLA]], [[Fate/EXTELLA LINK]], [[Fate/Grand Order]], [[MELTY BLOOD: TYPE LUMINA]], [[Fate/Samurai Remnant]] 5개로 매우 적다. 특히 비주얼 노벨 쪽은 정식 수입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2007년에 '산왕'이라는 닉네임을 쓰는 유저가 일본에서 [[나스 키노코]]를 만나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한국의 (18금 게임) 게이머들은 어떻게 게임을 구해서 하는가? 일본 게임이 정식으로 유통되지 않는 걸로 아는데?"라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http://sanwang78.egloos.com/1509286|관련글]] 사실 한국에서 월희나 페스나 원작을 해본 게이머 대부분은 인터넷상에 불법 업로드된 파일을 이용했는데, 이걸 그대로 이야기했다간 큰 실례이기에 '일본에 여행가는 사람들이 지인들 부탁받고 사다줘서 유통된 것.'이라고 그럴싸하게 거짓말을 했다고.][* 2020년 대에 [[Steam]]으로 [[마법사의 밤]]과 [[Fate/stay night [Réalta Nua] ]] 리마스터가 출시되긴 했는데 정식으로 한국어 지원은 하지 않는다.][* 이에 관해서는 일단 수익성 모호하기 때문이다. 첫째로 유통하는 과정에서 이윤분배율 문제도 있으며 비주얼노벨을 즐기는 사람들은 국내에서도 소수에 가깝다. 최근에는 서브컬쳐 수요율이 높아져서 국산 비주얼노벨도 나오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서브컬쳐 오픈월드 게임들에 비하면 극소수다.] == 관련 스태프 == 2015년 기준으로 상주 스태프는 15명 정도라고 하며, 10년에는 그 절반 정도였다고 한다. * [[나스 키노코]] * [[타케우치 타카시]] * [[코야마 히로카즈]] * [[호시조라 메테오]] * [[니노 카즈야]] * 츠쿠리모노지 Fate/Stay night 작업을 위해 영입한 스크립터다. 유명한 건 할아의 아처 vs 세이버. [[마법사의 밤]]의 스크립트이기도 하며 거의 모든 작업을 혼자서 했다고. 만화가이기도 해서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미니극장과 페이트 할로우 아타락시아에서 나오는 특유의 데포르메 캐릭터를 그리기도 했다. FGO 프로젝트 이후로는 스태프롤에서 이름이 보이지 않고 월희 리메이크의 개발에도 여전히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퇴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 하가 케이타(芳賀敬太) 작사, 작곡가. 통칭 KATE로, Fate 시리즈 주요 명곡인 "[[EMIYA|에미야]]" 등을 작곡했으며 이후 수많은 타입문 제작 작품들의 음악을 담당한다. 타케우치 타카시처럼 [[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 출신으로 월희 부터 함께한 원조 멤버. 컴파일 시절에는 [[마도물어]], [[마도물어 마도사의 탑]] 등에 이름을 올렸다. * 제임스 해리스 보조작곡가로 스튜딘 시절 애니메이션의 OST를 담당하거나 편곡하기도 했으며, 그 외에 기타 효과음을 만드는 등의 활동을 했다. [[가월십야]]에서 부터 케이트와의 유닛인 넘버 201로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 * OKSG 홈페이지 관리, 통판 배송 등의 잡무담당. 이후 [[마법사의 상자]] 기획을 맡게 된다. 웹연재판 [[공의 경계|공의 경계식]]을 보고 타입문과 친분을 쌓았다. [[마법사의 밤]] 소설판과 '얼음의 꽃' 단행본을 보유. [[월희]] 반월판 판매 당시 히스이 코스프레를 하고 판매 담당을 했다고 한다. * BLACK 그래픽, 시스템, 배경 담당. [[마법사의 밤]]에서는 시스템 디자인을 맡았으며, [[캡슐 서번트]]에서는 마스터 캐릭터 디자인, 마스터 유닛 작화를 맡았다. 타케우치의 채색도 맡으며, 주로 일러스트집의 채색을 맡는다. FGO에서는 [[이아손(Fate 시리즈)|이아손]], [[헥토르(Fate 시리즈)|헥토르]] 등의 그림을 담당. 월희 리메이크 시리즈에서는 스크립트를 담당하기도 했다. * [[아오츠키 타카오]] * 시모코시(下越) 그래픽 스태프. 전 닉네임은 simo氏. 캐릭터 마테리얼의 채색을 맡아주며 인연이 생기고 레아르타 누아부터 타입문에 입사 후 활동 중. FGO에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Fate 시리즈)|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을 그렸다. * 츠카다 코야(塚田耕野) [[TYPE-MOON studio BB]]의 시나리오 라이터. [[드래곤 퀘스트 빌더즈]] 시리즈의 시나리오 라이터였으며, 2019년 8월 [[니노 카즈야]]와 함께 타입문으로 이적하였다. 그의 대표작인 드퀘 빌더즈 시리즈의 경우 원작이자 프리퀄인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본가의 설정을 상당히 세세한 부분까지 파고들어 본가의 팬들도 만족시킬 수 있는 훌륭한 시나리오를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기에 [[설정오류]]나 [[고증]]면에 관해서는 충분히 검증된 시나리오 라이터라고 할 수 있지만 유독 타입문에서 활동하는 시나리오 라이터들은 적응을 잘 못하고 스스로의 장점도 잘 살리지 못한 경우가 많기에 과연 타입문에서도 기존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AZ-UME- 프로그래머. Kiyobee (清 兵衛? )-프로그래머. Azanashi (ア ザ ナ シ? )-프로그래머. 참고로 페그오 밸런스 담당이기도 하다. Sunadorineko -3D 모델러. Shimaudon- 그래픽 아티스트. MORIYA- 그래픽 아티스트.[* 퇴사] Nokitsu (の き つ? )-저작권 관리 및 이벤트 관리. Nori (徳? )-영업 대변인. === 협력 스태프 === * [[우로부치 겐]] [[공의 경계]]의 드라마 CD화 당시 북클릿에서 대담형식으로 초빙되어 나스와 처음으로 만났다고 한다. 그자리에서 의기투합하여 다음날 아침까지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떠들정도로 영화도 같이보고 서로 앞다퉈 감상을 얘기할정도로 잘맞았다고 한다. 그후로 꾸준히 친분을 맺고 있으며 [[Fate/hollow ataraxia]]에서 과거편으로 4차 성배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짤막하게 써보는 게 어떻겠냐는 제안에 타입문과 협업을 하게 된다. 4차에 대한 이야기를 우로부치 겐이 좋은 의미로 폭주해서 [[Fate/Zero]]로 분리 되었다. * [[히가시데 유이치로]] 우로부치 겐과 하가네야 진의 소개로 아직 상업 데뷔하기 전인 나스와 만났다고 한다. 만날 기회가 되면 마작같은 걸 했다고 한다. [[Fate/Apocrypha]]의 [[잭 더 리퍼(Fate 시리즈)|잭 더 리퍼]]의 설정을 담당했으며 소설화로 노선이 바뀐 아포크리파를 집필했다. * [[사쿠라이 히카루]] 타입문 관련으로 인터뷰, 기사를 쓰던 모리세 료우를 2007년에 만나 알게되었는데 이전에 카니발 판타즘 특전으로 실린 페이트 프로토타입의 PV를 보고 "이거 좋다"라고 생각했다. 모리세와 함께 10주년 이벤트에 참가하면서 본격적으로 써보고 싶다고 희망했고 모리세의 소개로 타입문과 연결되어 정식으로 [[Fate/Prototype 창은의 프래그먼츠]]가 작품화 되었다. 1권의 나스의 후기에서 자신의 기억 밑바닥에 잠긴 프로토타입을 PV만 보고 해보고 싶다고 찾아와서 매우 놀랐다고 한다. 거기에 그 작가가 자신에게 큰 충격을 준 혁염의 인가노크의 작가라는 걸 알고 더욱 놀랐다고. * [[나리타 료고]] 나스와는 서로의 작품인 [[공의 경계]]와 [[바카노]]를 읽어본 것이 계기가 되어 만났다고 한다. 만우절용으로 Fake/states night을 집필했다. 이후 Fake/states night 의 설정을 다듬은 [[Fate/strange Fake]]를 정식으로 집필중이다. * [[산다 마코토]] 렌탈 마법사의 고증을 맡은 미요 키요미네가 페스나의 게일어 고증을 맡으면서 나스와도 안면을 트게 된다. 작품으로는 월희를 먼저 접했고 그 다음에 접한 공의 경계에 빠져들었다고 한다. 그 작품들을 보면서 나랑 같은 고향(작품정서적)을 느꼈고 미요의 소개로 만나서 서로 의기투합해서 오타쿠 토크를 나눴다고 한다. 그후 그연으로 마술 고증과 관련해서 도움을 많이 줬고 [[로드 엘멜로이 2세의 사건부]]를 집필중이기도 하다. 나스로부터 타입문 설정과 연표를 받아 설정비서(?)로 있는 중. * [[후카사와 히데유키]] 타입문과 작업할 때 유독 좋은 곡을 많이 주었다.[* 대표적으로 UBW 극장판에 수록된 운명의 밤이나 타입문 10주년 콘서트 오프닝곡인 Wings가 있다.] 특히 [[마법사의 밤]]의 배경음악을 담당하면서 이름을 많이 알리게 되었다. * 마도이 반 2016년 회식에서 [[Fate/Zero]]의 코미컬라이즈를 맡던 신지로의 소개를 통해 [[나스 키노코]]와 만났다고 한다. 나스는 자기들 같은 진성 오타쿠밖에 모이지 않은 세기말에 자리에 왜 있냐고 놀란 모양인데 [[Fate/Grand Order]]의 플레이어이며 [[미나모토노 라이코(Fate 시리즈)|미나모토노 라이코]]의 팬이라서 왔다고. 이에 대한 나스의 대답은 요캇타! 이후 2018년 [[미스터리]] [[판타지]]인 [[허월관 살인사건]]을 집필했다. * [[타치바나 코우시]] 2018년 [[Fate/Grand Order]] 2부의 공개와 함께 시나리오 라이터에 합류했다고 한다. [[후지마루 리츠카]]의 성우인 [[시마자키 노부나가]]는 [[타치바나 코우시]]의 대표작 [[데이트 어 라이브]]의 주인공 [[이츠카 시도]] 역이며, [[토키사키 쿠루미]] 외전을 [[히가시데 유이치로]]가 쓴 인연이 있었다. 공식적으로 FGO에서 담당한 스토리에 대해서는 발표된 바 없다. * [[경험치(만화가)|경험치]] 타입문 관련 개그물을 그리는 만화가. 대표작은 [[제도성배기담]]. * 히로야마 히로시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의 작가. FGO에서는 몇몇 예장과 프리즈마 이리야 콜라보 서번트를 담당했다. * 미나세 하즈키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애니메이션|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애니메이션]]의 각본가. 페그오에서도 보조 시나리오 라이터로 참가하였다. * [[야마구치 유지]] [[스튜디오 딘]]판 [[Fate/stay night]] TV판, 극장판 애니메이션 감독. * [[아오키 에이]] [[공의 경계/애니메이션|공의 경계]], [[Fate/Zero/애니메이션|Fate/Zero]] 감독. * [[미우라 타카히로]]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 감독. * [[스도 토모노리]]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 감독. 타입문 작화 전문. * [[키시 세이지]] [[카니발 판타즘]] 시리즈 감독. * [[오오누마 신]]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애니메이션|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시리즈 감독 * [[호소이 미에코]] [[Fate/Grand Order]]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 [[에노키도 슌]] [[Fate/Grand Order]] CM 애니메이션 전문 감독 == TYPE-MOON 관련 작품 == [include(틀:타입문 게임 프랜차이즈)] === 공식 작품 === * [[Fate 시리즈]] * [[Fate/stay night]] * [[Fate/hollow ataraxia]] * [[Fate/stay night [Réalta Nua] ]] *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 *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 * [[극장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1장 프레시지 플라워]] * [[극장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2장 로스트 버터플라이]] * [[극장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3장 스프링 송]] * [[로드 엘멜로이 2세의 사건부]][* 공식적으로 세계관이 연동되는 소설이다.] * [[로드 엘멜로이 2세의 모험]][* 사건부의 후속편으로 2020년 12월에 일본에서 발매] * [[Fate/Zero]] * [[Fate/strange Fake]] * [[Fate/EXTRA]] * [[Fate/EXTRA CCC]] * [[Fate/EXTELLA]] * [[Fate/EXTELLA LINK]] * [[Fate/EXTRA Last Encore]] * [[Fate/EXTRA Record]] * [[Fate/unlimited codes]] * [[Fate/Apocrypha]] * [[Fate/Prototype]] * [[Fate/Prototype 창은의 프래그먼츠]] * [[Fate/Grand Order]] * [[Fate/Grand Order -Cosmos in the Lostbelt-]] * [[히무로의 천지 Fate/school life]] * [[Fate/Requiem]] * [[Fate/Samurai Remnant]] * 월희 시리즈 * (구)[[월희]] * 테일[* 애니메이션 진월담 월희의 프롤로그 DVD에 포함된 부록으로 나스 키노코의 단편 소설,월희 독본 Plus Period에도 실렸다.][* 목차 1. Red Moon / 가이아의 억지력과 붉은 달의 브룬스터드, 진조의 창조에 관련된 일화 2.Castle Inthe Air / 진조들의 이야기 3.Kaleidoscope/유년기의 알퀘이드와 젤리치의 만남 4. I Dol/ 알퀘이드의 이야기 5.Crimson Air/공백, 일러스트만 있다. 6. Castle In The Air. Silvernight Cradle/진조들이 몰살한 이후의 알퀘이드 이야기 7.Blue Blue Grassmoon/ 토오노 시키와 아오자키 아오코의 만남] * 한화월희 * 환시동맹 * [[가월십야]] * [[진월담 월희]] * [[MELTY BLOOD]] * [[2015년의 시계탑]][* 2015년의 시계탑이 월희-마밤 세계선에서 이어지는 세계라고 한다.] * 신생 월희 *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 * [[월희 -The other side of red garden-]] * [[MELTY BLOOD: TYPE LUMINA]][* 멜티블러드 시리즈의 리부트작으로 2021년 내에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월희 리메이크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며 리메이크 이전의 프리퀄인지라 타타리도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도 안 나온다. 제작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프랑스빵, 배급은 딜라이트웍스.][* 월희 리메이크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시리즈의 전 캐릭터를 출연시키지는 않아, 캐릭터 수는 전작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종래 주인공이었던 시온이 나오지 않거나, 타타리편의 스토리가 진행되지 않은 등의 근본적인 부분이 다르다. 팬 분들께는 양해를 구한다. 기존의 Melty Blood 스토리는 후일담 같은 위치였기 때문에 월희 리메이크의 전개를 고려하면 아직 시기가 이르다는 판단 때문이다. 타입문 에이스 vol.13 인터뷰(2021년 3월)] * [[마법사의 밤]] * [[2015년의 시계탑]][*16 2015년의 시계탑이 월희-마밤 세계선에서 이어지는 세계라고 한다.] * [[공의 경계]] * [[강철의 대지]] / [[Notes]] * [[달의 산호]] === 개그성 / 스핀오프 작품 === * 월희 시리즈 * [[꽃의 미야코!]] * [[Fate 시리즈]]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 [[전차남 A True Tank Story]] * [[에미야 씨네 오늘의 밥상]] * [[Fate/Grand Carnival]] * 코하 에이스 * 코하 에이스 플러스 * 코하 에이스 EX * 코하 에이스 XP * 코하 에이스 GO * [[제도성배기담]] * [[제도성배기담 Fate/type Redline]] * [[쇼와전국두루마리]] * [[시리즈 통합 작품]] * [[카니발 판타즘]] * [[아넨엘베의 하루]] * [[마법사의 상자]] * [[치비츄키]] === 세계관 미편입 작품 === * 얼음의 꽃 * [[428 ~봉쇄된 시부야에서~]] -보너스 시나리오 카난 편- * [[CANAAN]] * [[4월 마녀의 방]] * [[Girls' Work]] * Fire girl * [[D.D.D]] == 관련 문서 == * [[TYPE-MOON Fes.-10TH ANNIVERSARY EVENT-]] * [[TYPE-MOON/만우절 이벤트]] * [[TYPE-MOON/세계관]] * [[달빠]] * [[달갤]] * [[타입문의 궤적]] * [[타입문넷]] * [[타케보우키]] * [[ufotable]] - 'TYPE-MOON × ufotable 프로젝트'[* [[애니플렉스]], 유한회사 노츠, ufotable 3사가 참여한다.]로 타입문이랑 밀접한 관계를 맺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이다.[* 일단 출세작부터가 [[극장판 공의 경계]]였고, 극장판 공의 경계에 감명받은 나스 키노코가 저술한 후일담격인 미래복음도 극장판으로 만들었으며, [[Fate 시리즈]] 계열 애니메이션은 무려 '''4종'''이나 만들었다.([[Fate/Zero/애니메이션|Fate/Zero]],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HF 극장판 3부작]], [[에미야 가의 오늘의 밥상/애니메이션|에미야 가의 오늘의 밥상]]) 거기에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의 알퀘이드,시엘 루트의 오프닝도 제작한 데다가, 심지어 [[마법사의 밤]] 극장판도 만들 예정이기 때문에 [[ufotable]]을 사실상 타입문 전속회사나 타입문 자회사로 취급하는 팬들도 많다.] === TYPE-MOON/패러디 === * [[러키☆스타]] - 6권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 슈센드르 * [[블레이블루]] - [[Es]] * [[배틀문 워즈 시로가네]] * [[쓰르라미 울 적에]] - [[치에 루미코]] * [[저, 능력은 평균치로 해달라고 말했잖아요!]] - [[저, 능력은 평균치로 해달라고 말했잖아요!/패러디#s-2.4|약속된 사냥터의검]] * [[천연*만화]] * [[하이스쿨 D×D]] - [[세이크리드 기어]]등 * [[내 뇌 속의 선택지가 학원 러브 코미디를 전력으로 방해하고 있다]] - [[내 뇌 속의 선택지가 학원 러브 코미디를 전력으로 방해하고 있다#하코니와 유라기|Unlimited '''Brother''' Works]](...) vs. [[내 뇌 속의 선택지가 학원 러브 코미디를 전력으로 방해하고 있다#레이카도 아야메|게이트 오브 꿀꿀]](...) * [[경녀!!!!!!!!]] - [[경녀!!!!!!!!#아오바 카자네|힙 오브 바빌론]](...) * [[16bit 센세이션 ANOTHER LAYER]] == 둘러보기 == [include(틀:겟츄 미소녀게임 대상 기타)]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