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OXIC(DJMAX)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HGxKHVxOK9k)] || ||<-2> {{{-1 '''Extended Ver.'''}}} || ||<-2><nopad> [youtube(zb_0xMwJ6B8)] || ||<-2> {{{-1 '''BG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K-Pop}}} || || {{{-1 '''BPM'''}}} ||{{{-1 142}}} || || {{{-1 '''작사/작곡'''}}} ||{{{-1 [[INFX]] & MIIM}}} || || {{{-1 '''보컬'''}}} ||{{{-1 [[샤벨 토냐|Shabel Tonya]]}}} || || {{{-1 '''BGA'''}}} ||{{{-1 [[팥쥐(유튜버)|팥쥐]]}}}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Hey 조심해 난 좀 위험하니까 Watch me now yeah (eh-oh eh-oh) Never come (eh-oh eh-oh) Don't falling down 너를 사로잡을 내가 될 테니까 받아들여 이 모습을 like poison yeah (Woh-oh----) 나약한 모습은 Get out 새로운 내가 될 테니까 넘어져도 일어나 또다시 일어나 yeah yeah 이런 내 모습은 TOXIC yeah– 빠져들어가 Down down down down down down down 스며들어 More more more more more more 내게로 Toxic yeah toxic 더 빠져들어 poison 벗어날 수 없게 날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woh- wo-oh wo-oh) 받아들여 (woh- wo-oh wo-oh) 빠져들어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woh- wo-oh wo-oh) 받아들여 (woh- wo-oh wo-oh) 빠져들어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yeah ''yeah yeah'' ''자신 없던 모습은 far, 약한 모습은 burn it burn it'' ''back it off back it back it off yeah 태워내버려 pa-st'' ''남 한마디에 신경 쓰지 않아 더 yeah'' ''바보처럼 멈추지 않아 yeah 쓰러진대도'' ''날 받아들여 이 모습을'' ''(Woh-oh----)'' ''나약한 모습은 Get out 새로운 내가 될 테니까'' ''넘어져도 일어나 또다시 일어나 yeah yeah'' ''이런 내 모습은 TOXIC yeah–'' ''빠져들어가'' ''Down down down down down down down 스며들어'' ''More more more more more more 내게로'' ''Toxic yeah toxic 더 빠져들어 poison'' ''벗어날 수 없게 날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yeah'' 빈틈없이 마음을 메꿔놔 날 헤어 나오지 못하게 I wanna be the toxic like a shadow yeah 자신 없던 모습은 far, 약한 모습은 burn it burn it back it off back it back it off yeah 태워내버려 pa-st 퍼져가 너의 온몸에 퍼져가 I wanna be a toxic yeah- (woh- wo-oh wo-oh) 받아들여 (woh- wo-oh wo-oh) 빠져들어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woh- wo-oh wo-oh) 받아들여 (woh- wo-oh wo-oh) 빠져들어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yeah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yeah 벗어날 수 없어 take me now toxic on your side yeah [br]}}} || == 개요 == [[INFX]]와 MII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Shining Light]], [[Final Round]]를 투고하며 큰 인기를 얻은 두 작곡가의 3연속 참전작으로, 이번 작품에는 Shining Light의 보컬을 맡았던 [[샤벨 토냐]]가 다시 보컬로 참여한 것은 물론, 디제이맥스 시리즈에 참여할 때마다 늘 큰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팥쥐(유튜버)|팥쥐]]가 BGA 제작자로 의기투합했다. [[QWER]]을 연상케 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주제가 스타일로 쓰인 [[팝 록]] 장르였던 전작들과는 달리, 이번에는 K-POP 걸그룹 스타일의 댄스곡을 들고 나왔다. BGA는 팥쥐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랏쿄]]와 [[캐비아(팥쥐 시리즈)|캐비아]]를 공동 주연으로 하였으며, 나머지 캐릭터들도 조단역으로 등장한다. [[Attack(DJMAX)|Attack]]처럼 첫 소절인 Hey 조심해 난 좀 위험하니까가 밈화되었다. DJMAX MIRACLE:64514 행사에서 TOXIC 파트에서 떼창이 나오자 이걸 본 보컬의 샤라웃이 올라왔다.[[https://x.com/ShabelTonya/status/1958314072824574248|#]]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TOXIC_1.webp|width=100%]] ||<-4><#79d916>{{{#!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TOXIC}}} {{{-1 (feat. Shabel Tonya)}}}'''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4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9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05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7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2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5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5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7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3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7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27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9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2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br] {{{-5 1300}}} || ||<-5><bgcolor=#79d916,#79d916> {{{#06054b,#06054b 특수 패턴}}} || || {{{-1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V LIBERTY#s-4.2.2|II Divisions]]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4B SC, 6B SC의 경우 낯선 사이드 노트와 롱노트 배치, 중간중간 등장하는 고속 트릴 및 계단 견제 등으로 난이도에 비해 꽤나 어렵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반대로 8B SC는 표기 난이도에 비해 꽤나 쉽다는 평. === 4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DlkxpyLbI6Y)] ||<nopad> [youtube(JY9fR8yFMBw)]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dlhNqiU_1IU)] ||<nopad> [youtube(QYoUGRN9jhk)] || 4B SC는 --우에오에오~-- 후렴구에서 [[MADNESS(DJMAX)|사이드+롱노트 청기백기 패턴]]이 등장한다. 패턴에 익숙하지 않다면 스코어링이 힘들어질 수 있으니 주의. === 5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CxL1r1eiB4E)] ||<nopad> [youtube(rBagJQ-gnmU)]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oZ4XZOSUqYM)] ||<nopad> [youtube(h-qR-qHxIL4)] || 5B SC는 후반부 연타 처리에 난이도가 집중된 패턴. 135 동시치기 연타가 가장 까다롭지만 32비트 2,4번 트릴 또한 연타나 다름없어 모든 손가락의 연타지력을 요구한다. === 6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XhYZ5q_0ghU)] ||<nopad> [youtube(e7mxL7qH0sY)]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RHh0FhKy6gA)] ||<nopad> [youtube(4YFI5mdqQ-8)] || 6B SC는 후렴구에서 [[Showdown(EZ2AC)|Showdown]]의 겹계단 롱노트가 순한 맛으로 나온다. 이 구간 하나만으로 10레벨 중위권으로 평가받는 불렙 패턴이고 후반부에는 사이드까지 끼어들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 8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F1_0V0pOKgA)] ||<nopad> [youtube(v_7fKNUdo9s)]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WwWEOIZWUb4)] ||<nopad> [youtube(ZuXsqlIkPuU)] || 8B SC는 우에오에오 구간의 뇌지컬을 요구하는 롱노트 패턴과 중후반 드랍 구간에 기습적으로 나오는 양 트리거-25 연타만 조심하면 무난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TOXIC(DJMAX), version=50, uuid=f7c89a51-7fc7-4c03-b6b9-5a770c4a893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