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STOP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일시정지 표지판, 문서명1=일시정지)] [목차] == [[3rd Coast]]의 곡 ==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45spKAHmoWM)] || ||<-2> {{{-1 '''Full Ver.'''}}} || ||<-2><nopad> [youtube(MqZe0ier420)] || ||<-2> {{{-1 '''BGA'''}}}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Trilogy]]}}} {{{-3 (2008)}}} || || {{{-1 '''장르'''}}} ||{{{-1 Bigband House}}} || || {{{-1 '''BPM'''}}} ||{{{-1 90 ~ 162}}} || || {{{-1 '''작곡'''}}} ||{{{-1 [[3rd Coast]]}}} || || {{{-1 '''작사'''}}} ||{{{-1 JC}}} || || {{{-1 '''보컬'''}}} ||{{{-1 So Fly(보컬) / JC(랩)}}} || || {{{-1 '''BGA'''}}} ||{{{-1 [[TARI]], ETER(Trilogy) / zaktan, 79c(Metro Project)}}} || ||<-2> {{{#!folding [ 가사 보기 ] yo straight devour the beat as i unswallow a flow my max 11's my lips u87's my dro with my crew 3rd coast perform alchemy lace 'em up fool here comes the strategy so so smooth baby oh oh move make it so so smooth baby oh oh cool take it make sure nobody knows come on and take a dose i know you're getting close move and groove and lose your body (x2) make you high baby now won't you fly with me no matter where u at just go crazy your soul's in me cause i know baby it's over when you kiss the sky stop, no gravity no matter (x3) stop stop stop stop stop stop yo cosign the plaque i be buggin' out attack raps i spit vocab no verbal epidemic, nitro flow genetic haunt you let a brother taunt you with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everybody trying to shoot but the boss coming back don't matter what i missed still flow bust a gat somebody trying to move but get the boom clap 162 is bpm, i rip ypur dreams our like requiem no remorse to the game stay true and invent spark architecture jc now do it again with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everybody trying to shoot but the boss coming back don't matter what i missed still flow bust a gat somebody trying to move but get the boom clap so so smooth baby oh oh move make it so so smooth baby oh oh cool take it make sure nobody knows come on and take a dose i know you're getting close move and groove and lose your body (x2) STOP}}} || === 개요 === [[DJMAX 시리즈]] 초창기부터 꾸준히 오리지널 곡을 제공해주고 있는 대중가요 그룹 [[3rd Coast]]의 곡. 빅밴드 사운드를 활용한 활기넘치는 분위기의 하우스 곡이다. 본래 [[My Jealousy]]와 함께 [[DJMAX Trilogy]]에만 들어갈 두 곡 중 하나였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두 곡 모두 메트로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 [[BGA]]가 두 버전이 서로 다른 것은 이 때문이라고. BGA간의 호불호는 갈리는 편이다. [[Forte Escape]]가 이 곡을 편곡한 Vapor Trail Twisted Mix[[https://youtu.be/UZbpD25L4aU|#]]는 트릴로지 OST에만 수록되어 있는데, Twisted Mix는 증기기관차(Vapor Trail) 고유의 소음을 느낄 수 있는 웨스턴(카우보이)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다. === BGA === [[DJMAX Trilogy]]판의 BGA는 [[StarFish]]의 후속작인데, 스타피쉬의 BGA에 등장한 'Tari♡Eter 1000일' 이라는 문구가 이 곡에서 2000일로 바뀌어 또다시 등장한다. 실제로 두 제작자는 현재 부부 관계. 또 [[https://www.youtube.com/watch?v=TEZirLoqepI|DJMAX Trilogy 당시의 BGA]] 에서는 7초에 바스트모핑 클로즈 업 및 50초 부분의 엉덩이 노출 등이 검열되어 있었는데, 이후 [[DJMAX RESPECT]]에서 검열되지 않은 BGA로 바뀌었다. [youtube(ugUyXdO26lU)] Metro Project 버전. 해당 BGA는 DJMAX Portable 시리즈 및 [[DJMAX TECHNIKA 시리즈]]에서 사용되었다. [[DJMAX RESPECT]]에서는 히든 BGA로 사용되었다. === [[DJMAX Trilogy]] === === [[DJMAX TECHNIKA 시리즈]]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스크롤 || 비고 || ||<bgcolor=#ffb0b0> Star || || || || || || ||<bgcolor=#ffff00> Normal || D || 100 Max || 5 || 8박, 4박 || || ||<bgcolor=#0000ff> {{{#white Hard}}} || C || 150 Max || 6 || 8박, 4박 || [[HeartBeat Set]] 셀렉곡, [[Ragnarok(DJMAX)|미션 - 고행]] 수록 || ||<bgcolor=#ff0000> Maximum || B || 200 Max || 7 || 8박, 4박 || || ||<bgcolor=#b400ff> {{{#white Extra}}} || ? || ? || ? || 8박, 4박 || [[Summer Special Mission (DJMAX)|Summer Special 미션 - Summer Special NORMAL]] 수록 || [youtube(E6w6eIKkI9w)] MX 패턴 영상 테크니카1에서의 난이도는 PP 5, TP 6, SP 8[* 실제 게임상에서는 직접 알 수 없다. 주간 미션 등장시 획득하는 맥스포인트량을 통해 계산되었음.] 이후 테크니카2로 각 패턴이 노멀,하드,MX로 내려오면서 MX의 난이도만 7로 1 하향되었다. 5레벨의 노멀 패턴은 테크니카1 시절 1스테이지에 등장하였는데, 당시에는 표기 난이도에 비해 꽤 어려운 편이었고, 변속과 빠른 스크롤, 롱놋+일반 놋의 조합을 잘 보여주었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그냥 아무 생각 없이 골랐다가 폭사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6레벨의 하드 패턴은 노멀 패턴에 살을 덧댄 형태인데 사실상 노멀 패턴과 큰 차이는 없는 편. 7레벨의 맥시멈 패턴은 테크니카1 11월 스페셜의 SP패턴으로 첫 공개되었으며, 노멀/하드와는 약간 다른 키음에 전체적으로 노트밀도도 높아진 편. [youtube(eYdZ-FKPoyQ)] (EX 패턴 영상) 테크니카 2, 3에서 그런저런 비인기곡으로 남다가, 2012년 7월 10일 [[Summer Special Mission (DJMAX)|여름 스페셜 미션]]을 통해, [[In my Dream]]과 함께 구곡 중에서는 최초로 엑스트라 패턴이 공개되었다. 전체적으로 노멀 ~ MX와는 달리 포터블이랑 트릴로지에 사용된 키음 위주로 키음이 배분된 것이 특징. 난이도는 맥시멈 패턴보다 조금 더 어렵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20 수록곡 || || [[Supersonic 2011]] || '''STOP''' || [[Desperado#s-4]] || [[별빛정원]] || ||<-4><table bgcolor=#fff><bgcolor=#000>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bgcolor=#000> {{{#7df12a '''라인/난이도'''}}} ||<bgcolor=#fff344> '''NM''' ||<bgcolor=#058cf4> '''{{{#white HD}}}''' ||<bgcolor=#e64119> '''{{{#white EX}}}''' || ||<bgcolor=#555> {{{#7df12a '''2 LINE'''}}} || 2 || 4 || 7 || ||<bgcolor=#555> {{{#7df12a '''3 LINE'''}}} || 3 || 5 || 7 || === [[TAP SONIC]] === [[TAP SONIC]]에도 수록되었는데, BS 버전이나 트릴로지 버전과는 '''또 다른''' 커팅이다. ~~같은 곡인데 커팅만 3개~~ 참고로 2012년 4월 30일에 패턴이 수정되어 그전까지 9레벨 5대 최약체[* 나머지 4개는 [[Light House]], [[SIN(DJMAX)|SIN]], [[SON OF SUN]], [[White Blue]]. 이 중 Light House는 패턴의 변화는 없으나 8레벨로 강등되었으며, Light House를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패턴이 교체되면서 난이도가 대폭 상승했다.]였다가 폭타 구간이 더 무서워졌지만, 마지막 구간을 전보다 더 쉽게 바꾸는 바람에 지금도 8레벨 중후반 정도로 대접받고 있다. 그럼에도 6라인 레전드에서는 9레벨로 책정되어있다. (4/5라인 레전드에서는 8레벨)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TRILOGY)]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3940af><bgcolor=#2b61b2><nopad> [[파일:STOP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949ff, #547cfd, #5fadfb, #67d3f9)" '''{{{#white TRILOGY}}}'''}}} || ||<-4>'''{{{+5 STOP}}}''' || ||<rowbgcolor=#7289ff><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2b61b2><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54}}}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25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8 → 9로 조정.] [br] {{{-5 844}}}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1111}}}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17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5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04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2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7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5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115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412}}}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9de3, #98b0eb, #8de6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메인 BGA는 트릴로지 버전으로, 메트로 프로젝트에 쓰인 BGA는 히든 BGA로 수록되었다.[* 이 BGA를 시청하면 "나올수도 있고 안나올수도 있습니다" 트로피를 획득한다.] 트릴로지의 초반 변속이 그대로 등장해 BPM 낙폭이 굉장히 큰 편이고, 배속 조절할 타이밍을 안 준다고 봐도 무방하니 배속 조절에 유의하자. 1.08 업데이트 이후 BGA가 무삭제 버전으로 바뀌었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5B SC 패턴의 난이도가 8에서 6으로 조정되었고, 시즌 15 업데이트로 나머지 모드들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2b61b2><table bordercolor=#2b61b2><table bgcolor=#7289ff><nopad> [youtube(hrClS98vyRo)] ||<nopad> [youtube(1gEWmIopszQ)] || || {{{#white '''SC'''}}} || || ||<rowbgcolor=#2b61b2><nopad> [youtube(GHXJHx5vDsY)]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rowbgcolor=#2b61b2><table bordercolor=#2b61b2><table bgcolor=#7289ff><nopad> [youtube(54UWwRiJnqY)] ||<nopad> [youtube(rOIGjL5oUvQ)] || || {{{#white '''SC'''}}} || || ||<rowbgcolor=#2b61b2><nopad> [youtube(nN_KBKfEWCo)] || || 5버튼 NM의 경우 노멀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노트 수가 844개로 타 버튼의 HD 패턴과 비스무리한 수준. 거기에 레이저나 3번 축 동시치기까지 나와 표기 레벨에 비해 매우 까다롭다. 5버튼 MX는 13레벨 지뢰. 레이저가 수시로 나오는 것도 모자라 끝에 동시치기까지 붙어 있고, 3번 축 동시치기가 자주 나오는 등 매우 어렵다. 후술할 SC보다 어렵다는 평이 다수. V로 오면서 5버튼에만 SC가 수록됐는데, 기존 MX에 있던 레이저와 축 동시치기가 다 잘리고 좌우 가변으로 쉽게 칠 수 있는 변형 트릴, 평범한 동시치기로 바뀌면서 다소 심심해졌다. 8레벨 하위권에 위치하며, 물렙까진 아니지만 같은 버튼의 MX가 너무 어려워 그대로 묻혔다. 다만 DLC 미션인 2nd Impression의 3번째 스테이지에서 나올 때는 하드판정+랜덤으로 인해 난이도가 확 오르는데다 마지막 스테이지는 정형화된 패턴이 단 하나도 없는 [[NB Girls]] 5B SC가 나오기 때문에 자체 난이도도 높은데 위닝런까지 만들어야 해서 여러모로 까다롭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2b61b2><table bordercolor=#2b61b2><table bgcolor=#7289ff><nopad> [youtube(p1Avji-Uh3s)] ||<nopad> [youtube(owoJPosT5x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6c4010><nopad> [youtube(28GSEGYsIh0)] ||<nopad> [youtube(A4LlW_lPn2Y)]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2b61b2><table bordercolor=#2b61b2><table bgcolor=#7289ff><nopad> [youtube(PWJgcZnFbPY)] ||<nopad> [youtube(hYmrwoNPvb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6c4010><nopad> [youtube(mT-Y-6zgHY8)] ||<nopad> [youtube(gfvQajgnfpg)] || === [[TAPSONIC WORLD CHAMPION]] === ||<-5> Lovely Guilty Mind || || [[Lovely hands|Lovely Hands]] || [[Sweet Dream(DJMAX)|Sweet Dream]] || [[Mind Control(DJMAX)|Mind Control]] || '''STOP''' || [[The Guilty]]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bgcolor=#86eb8d> BASIC || 5 || ||<bgcolor=#f33e67> PRO || 7 || ||<bgcolor=#ad5cf7> LEGEND || 9 || 로봇이 노래를 부르는 구간에서 헷갈리는 노트가 많으니 주의, 심벌즈 노트만 잘 익힌다면 9렙이라도 쉽게 플레이할 수 있다. === [[TAPSONIC TOP]] === ||<-6><table 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f6bf1a><rowcolor=#373a3c> '''TAPSONIC TOP''' || ||<colbgcolor=#f6bf1a> '''속성''' ||<bgcolor=red><-5> {{{#white '''DANCER'''}}} || ||<|2> '''난이도''' ||<width=85><bgcolor=#0f0> '''EASY''' ||<width=85><bgcolor=#fff344> '''NORMAL''' ||<width=85><bgcolor=#058cf4> '''{{{#white HARD}}}''' ||<width=85><bgcolor=#e64119> '''{{{#white EXPERT}}}''' ||<width=85><bgcolor=BLACK> '''{{{#white ??????}}}''' || || 3 || 5 || 8 || '''10''' || 없음 || || '''수록일''' ||<-5> 2019/04/17 || || '''해금조건''' ||<-5> SHOP 구매 - 140 SP || [youtube(-2ZogfCs20U)] EXPERT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ZW4F7aJr4dc)] HARD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50csByoy81Y)] NORMAL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2zrwQ8hhUek)] EASY 퍼펙트 플레이 영상. == SAINT MILLER의 곡 ==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2><nopad> [youtube(Mzi4rZC6IRk)]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V]]}}} {{{-3 (2025)}}} || || {{{-1 '''장르'''}}} ||{{{-1 Electronic}}} || || {{{-1 '''BPM'''}}} ||{{{-1 100~132}}} || || {{{-1 '''작곡'''}}} ||{{{-1 SAINT MILLER}}} || === 개요 === [[DJMAX 엔터테인먼트]]의 두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64514]]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Violent]]에서 피처링으로 참여하며 처음 모습을 보였던 SAINT MILLER.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 V/PLI 2025)]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white,#191919><#343434><nopad> ||<-4><color=#cfcfcf><nopad>{{{#!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3434, #5e5e5e)" '''PLI : 2025'''}}} || ||<-4>{{{+5 '''STOP'''}}} || ||<rowbgcolor=#5e5e5e><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343434><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br]{{{-5 20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br]{{{-5 43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br]{{{-5 63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br]{{{-5 997}}}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br]{{{-5 23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br]{{{-5 37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br]{{{-5 84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br]{{{-5 103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br]{{{-5 141}}}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br]{{{-5 3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br]{{{-5 67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br]{{{-5 103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br]{{{-5 23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br]{{{-5 4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br]{{{-5 72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br]{{{-5 1100}}} || ||<-5><nopad> {{{#!wiki style="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5050, #656565)"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전 패턴에서 공통적으로, 곡의 중반부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변속이 발생한다. ==== 4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d8tBg7R0qUE)] ||<nopad> [youtube(2sAGibvZKjQ)] || || MX || '''SC''' || ||<nopad> [youtube(k0nOJBOQMRQ)] ||<nopad> [youtube(HYaZ8MKsPDI)] || ==== 5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AZSA-iOSlJw)] ||<nopad> [youtube(-UfS5qd7BpM)] || || MX || '''SC''' || ||<nopad> [youtube(LC8pyz6wxns)] ||<nopad> [youtube(XKnzPO7dALk)] || ==== 6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VVQbCJZ2ZFo)] ||<nopad> [youtube(UZ6O-9qNRe8)] || || MX || '''SC''' || ||<nopad> [youtube(dHsZjXL7zfU)] ||<nopad> [youtube(Pj5e7u300oQ)] || ==== 8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BjN2RgeqzUo)] ||<nopad> [youtube(eMQB5ycRG8o)] || || MX || '''SC''' || ||<nopad> [youtube(Gl18KC3UPko)] ||<nopad> [youtube(WUWyCXLbf5o)] || 8B SC는 도입부의 키파트 롱노트+트리거 파트와 최후반의 L246+135R에 상당한 난이도가 집중되어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TAPSONIC 시리즈의 수록곡]]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STOP, version=111, uuid=31bffd92-7b4b-48e6-a1df-e8f18a0e73a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