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ise Up(DJMAX)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rm4e1b-dOlQ)]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3 (2025)}}} || || {{{-1 '''장르'''}}} ||{{{-1 Metal Core}}} || || {{{-1 '''BPM'''}}} ||{{{-1 215}}} || || {{{-1 '''작곡'''}}} ||{{{-1 [[Pierre Blanche|Wicked Frontier]]}}} || || {{{-1 '''BGA'''}}} ||{{{-1 Ongoo(원화) / 52:RA(모션)}}} || == 개요 == Wicked Frontier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The Universe]]와 비슷하게 스피드 메탈 장르에 가까운 곡이다. DJMAX RESPECT V에서는 처음으로 공개된 명의인데, 공식 방송 코멘터리에 의하면 이전에도 이미 DJMAX에 곡을 제공한 적이 있는 아티스트의 명의라고 한다. 이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으나, [[davotab]] 레코즈의 앨범에 [[https://www.youtube.com/watch?v=lQTRkx3KTHE|같은 명의로 제공한 곡]]이 있는 점, 그리고 결정적으로 해당 곡의 크레딧에 [[Pierre Blanche]] 멤버의 실명이 적혀 있는 점, [[https://www.youtube.com/live/RTya4G77pP4?si=4iqeoX81zXRSo8O7&t=9423|DJMAX MIRACLE 공연]]에서 Pierre Blanche가 대놓고 "'''지금까지 Wicked Frontier였습니다!'''"라고 멘트를 한 점 등으로 인해 Pierre Blanche의 부명의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BGA는 [[Emerge]], [[Weaponize]], [[Critical Point]]를 작업했던 일러스트레이터 '옹구'가 최초로 평행세계 흥망이 시리즈 이외의 BGA 작업을 맡았다. 스토리 라인은 마족 소녀와 드래곤 소년, 그리고 경찰이 살인 사건의 범인인 뱀파이어를 체포한다는 내용이다. 도넛으로 뱀파이어를 제압하는 씬이 컬트적 인기를 얻어 개그 BGA로 인식하는 유저들도 있는 편. 중후반부 공사장이라고 불리는 32비트 스네어 패턴이 나와 [[KICK IT]]처럼 매우 어려운 채보가 나왔으리라는 우려 섞인 반응이 있었으나 전 패턴 공통 16비트 트릴로 완화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3)]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cd3658,#cd3658><bgcolor=#97253f,#97253f><nopad> [[파일:Rise Up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cd3658 0% 45%, transparent 45% 49%, #cd3658 49% 59%, transparent 59% 65%, #fe6c7a 65% 76%, transparent 76% 82%, #ff8391 82% 93%, transparent 93%), linear-gradient(-154deg, transparent 0% 10%, #e6455c 10% 20%, transparent 20% 26%, #b12d47 26% 36%, transparent 36% 42%, #97253f 42% 52%, transparent 52% 56%, #97253f 56% 64%, transparent 64% 73%); color:#fff" '''{{{#fff,#fff V LIBERTY 3}}}'''}}} || ||<-4>'''{{{+5 Rise Up}}}''' || ||<rowbgcolor=#fe6c7a,#fe6c7a><rowcolor=#3f2546,#3f2546><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d3658><colcolor=#fcbcc3>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35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0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6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168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2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67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01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582}}}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0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5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185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7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173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ff8391 0% 7%, #cd3658 7% 12%, #fe6c7a 12% 20%, #cd3658 20% 100%)" {{{-3 {{{#fff,#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5B를 제외한 모든 버튼에서 '''SC 15레벨'''을 들고 나오면서 V LIBERTY 3 DLC의 보스곡이 되었다. SC 패턴 공통으로 [[3:33]]을 연상케 하는 축연타 패턴이 한번 등장하고, 패턴의 복잡성은 동 레벨보다 덜한 대신 극한의 '''체력'''을 강조한, 마치 [[사운드 볼텍스]]의 [[Blastix Riotz]]와 유사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트릴로 우직하게 밀고 나가는 체력곡이다. === 4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4B TUNES)]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TRKFDO__3Kc)] ||<nopad> [youtube(6eobsgWno38)]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cX3akzAvwf0)] ||<nopad> [youtube(rEfjMK8fKWg)] || 4B SC는 '''속도의 폭력'''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패턴이 SC 15레벨 치고 매우 단순한 대신 보고도 못 칠 수준의 초고속 계단과 트릴로만 우직하게 몰아붙이며, 체력에 따른 개인차가 상당히 큰 편이다. 퍼펙트 방지 구간 없이 정직하게 밀도로 몰아붙이는 대신 복잡한 구간이 없어 고티어 유저들에게는 다른 15레벨 패턴들에 비해 쉽게 느껴지거나 15레벨 입문 또는 14레벨급 물렙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밑에서 올라오는 저티어 유저들에게는 처리력 부족으로 [[1!2!3!4!ただいま配信CHU!]]와 [[LIMBO(EZ2ON)|LIMBO]] 뿐만 아니라 [[DIE IN]]보다도 어렵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역대급으로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패턴이다. === 5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n0imJRYCShI)] ||<nopad> [youtube(pf2WpcMd5WQ)]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d1VeGBn_wEI)] ||<nopad> [youtube(cJWCVYi0AW0)] || === 6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6B TUNES)]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ymJwTWrMZw0)] ||<nopad> [youtube(crcCGdhpuOU)]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9VqSrE_HH3A)] ||<nopad> [youtube(IzOg6ZI_RD4)] || 6B SC의 경우 초살이 상당히 압박적이나 초살 말고는 SC 15레벨에 걸맞는 무언가가 없어 [[Diomedes]]와 함께 SC 15레벨 입문곡 포지션을 맡고 있다. === 8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8B TUNES)]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Iftl1FGSCXE)] ||<nopad> [youtube(QxdUbUeW6Yk)]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fwGmFErlX0w)] ||<nopad> [youtube(Br4GV1_MBao)] || 8B MX가 상당히 특이한 채보를 들고 나왔다. 후반부 드르륵 구간부터 [[!!New Game Start!!]] 8B MX에 나왔던 [[Lift You Up|2-5 롱노트를 잡고 트리거를 처리해야 하는 구간]]에 트리거 트릴이 쏟아지기 시작하는데 !!New Game Start!!보다도 BPM이 빠르고 더 자주 나오기 때문에 패드 패턴임에도 SC 12레벨과 맞먹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Rise Up(DJMAX), version=46, uuid=df14bd09-d29e-4ccc-9fbe-d792ca2ad72f)]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