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ight Time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youtube(3vKBbSeMCE8)] == 개요 == [[SM엔터테인먼트]] 산하에 있는 일렉트로닉 뮤직 레이블인 [[ScreaM Records]] 소속 아티스트 Faver와 Haz Haus의 곡. 2023년 4월 28일 발매된 ScreaM Records의 첫 [[컴필레이션 앨범]] <SCREAM! ep.1 : Journey of Emotions>의 수록곡이다. == [[DJMAX]] 시리즈 수록 ==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Ql7xt70JSCU)]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Electronic}}} || || {{{-1 '''BPM'''}}} ||{{{-1 123}}} || || {{{-1 '''작곡'''}}} ||{{{-1 Faver / Haz Haus}}} || || {{{-1 '''BGA'''}}} ||{{{-1 SOHI}}} || ||<-2> {{{#!folding [ 가사 보기 ] In another lifetime 다른 생에선 I’ll find you at a right time 제때 당신을 찾을게요 (And) maybe we will enjoy all this in right mind 마땅한 마음으로 이 모든 것을 즐길 수 있을 거예요 We’ll be out in the wild 우린 야생으로 나아갈 거예요 With no one chasing behind 누구도 따라오지 않는 곳으로요 And my love, at last all will feel just right 내 사랑, 결국 모두 다 괜찮아질 거예요 I’ll find you at the In another lifetime 다른 생에선 I’ll find you at a right time 제때 당신을 찾을게요 (And) maybe we will enjoy all this in right mind 마땅한 마음으로 이 모든 것을 즐길 수 있을 거예요 We’ll be out in the wild 우린 야생으로 나아갈 거예요 With no one chasing behind 누구도 따라오지 않는 곳으로요 And my love, at last all will feel just right 내 사랑, 결국 모두 다 괜찮아질 거예요}}} || [[DJMAX RESPECT V]]의 V EXTENSION 5 DLC에 라이센스 수록되었다. [[BEXTER]]에 의하면 ScreaM Records[* V EXTENSION DLC에 [[Lost Temple(DJMAX)|Lost Temple]], [[Move Yourself]]로 참여하였던 [[IMLAY]] 또한 해당 레이블에 소속된 아티스트이다.] 측에서 DJMAX에 관심을 표함으로써 작업이 성사되었다고 한다. BGA는 이전 V EXTENSION 시리즈에서 [[STEP(DJMAX)|STEP]]과 [[Don't Cry(DJMAX)|Don't Cry]]에 참여하여 자신만의 독특하고 감성적인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는 SOHI의 작품이다. BEXTER가 라이브 방송에서 '패턴 팀에서 가장 사랑하는 곡'이라고 밝혔었는데, 이후 [[7 Sequence]]가 밝힌 바에 따르면 '패턴을 완성하고 나니 웃음 밖에 안 나와서' 였다고..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Right Tim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Right Time }}}{{{-1 [ScreaM Records]}}}'''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5}}}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8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4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02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5}}}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1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1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83}}}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6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0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28}}}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5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7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9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68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반복적인 키음이 등장하고, 끊어쳐야 판정이 유지되는 120BPM대의 악곡이기 때문에 꽤나 까다로울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유저들의 우려가 그대로 적중하여 전 버튼 SC 패턴 공통적으로 무한 끊어치기를 요구하는 패턴으로 등장하였다. 이전 V EX3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유저들을 괴롭게 했던 [[STEP(DJMAX)|STEP]]의 상위 호환이라는 평가.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9 → 6, 5B 12 → 9, 6B 11 → 9, 8B 12 → 11)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E0nINbJKg_8)] ||<nopad> [youtube(2PhKNAN7pPM)]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Yd0rI1KwXQo)] ||<nopad> [youtube(gWkkPAinMl0)] || 4B NM은 도전과제를 위해 클리어해야 하는 미션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8.2.6|B O n u S]]'에 등장하는 패턴으로, 숙지해두면 좋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ap91fBD1uU)] ||<nopad> [youtube(RkQgRsj7dAw)]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Sot-JS1KvsQ)] ||<nopad> [youtube(1XkmlFN0gC0)] || 5B SC는 [[STEP(DJMAX)|STEP]]과 동일한 12레벨에 배정되었으나, 가변이 반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롱잡 및 레이저 등 까다로운 패턴이 즐비한 STEP과는 달리 무난한 패턴만 등장한다. 3700콤보 부근부터 등장하는 35-4-35와 같은 한손 데님 패턴이 그나마 까다로운 구간이라 볼 수 있는데, 손을 바꿔서 처리해도 되고 끊어치기 역시 가능한지라 이 구간 역시 12레벨 값을 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BPM이 애매해 스코어링 난이도가 높아 스코어링 난이도만 고려하면 레벨 값을 한다고 볼 수 있고, 끊어치기 능력에 따라 개인차는 갈리지만, 대체적으로 풀콤보 이하에서는 11레벨 중위권에서 하위권 정도의 [[물렙곡|물렙]]곡으로 평가받는다. 2.0 업데이트에서 9레벨로 조정되었다. 9레벨 내에서는 하위권에 위치하지만, 스코어링 및 퍼펙트 난이도의 경우 어지간한 10~11레벨과 비견될 정도로 까다롭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Hc9mGWgj3jg)] ||<nopad> [youtube(CjSwu5HnJL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W2qRY8HT3Kg)] ||<nopad> [youtube(QTFnt4gBcGo)] || 6B SC는 영상 기준 1:40초부터 등장하는 '''8연 겹계단''' 구간이 난점. 이후에도 4연 겹계단이 등장하며 한 줄 겹계단이 총 12번이나 등장한다. 해당 구간을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당락이 갈리는 패턴. 하프 랜덤을 거는 경우 대부분의 패턴이 쉬워지는 배치가 있으나, 중반부 24비트나 32비트 꺾인 계단은 정타로 처리하기 상당히 곤란한 배치로 떨어지기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를 목표로 할 경우, 정배/미러가 권장된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N2vNmAxA4lU)] ||<nopad> [youtube(mJPeCWDBoi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nEGW1NCoIn8)] ||<nopad> [youtube(Dngp1Ah13eo)]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Right Time, version=40, uuid=1c3125b4-05f2-4b2d-8c54-1ecd833c11ad)]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