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evenger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일반적인 의미의 Revenger, 문서명1=리벤저)]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9567gr6suVw)]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Old School Hardcore}}} || || {{{-1 '''BPM'''}}} ||{{{-1 192}}} || || {{{-1 '''작곡'''}}} ||{{{-1 [[사소 아야코|Sampling Masters AYA]]}}} || || {{{-1 '''BGA'''}}} ||{{{-1 [[초티지|Simi Cho]]}}} || == 개요 == [[사소 아야코|Sampling Masters AYA]]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작곡가 Sampling Masters AYA는 바로 [[사소 아야코]]로, 낯설지 않은 명의에서 알 수 있듯이 DJMAX 시리즈에서 [[SON OF SUN]], [[Mulch]] 등으로 팬들에게 친숙한 [[호소에 신지|호소에 신지]]의 동료이다. 해당 곡 역시 호소에 신지를 연상케 하는 특유의 키치하고 유머러스한 사파 스타일의 개버 곡이며, [[Mulch]]와 [[CHUNITHM]] 콜라보로 수록된 [[The wheel to the right]] 이후로 오랜만에 등장하는 곡이다. [[BEXTER]] 피셜로, 이 곡을 처음 들었을 때 [[태권부리]]인 줄 알았다고. 하지만 이런 스타일의 곡이 들어온 지 너무 오래되었기 때문에 이 곡을 신곡으로 들여오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반가웠다고 한다. BGA는 국내에서는 [[라스트오리진]]의 공식 만화로 유명한 [[초티지]]가 담당했다. [[엘 클리어|클리어]]와 [[엘 페일|페일]], [[레나(DJMAX)|레나]]가 등장하는 DJMAX 외전 스타일의 BGA인데, 3인방이 한 [[호텔]]에서 묵으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그린다. 내용을 요약하면 페일이 치는 장난에 된통 당하던 클리어[* 볼일을 보고 있는데 계속 불을 껐다 켰다 해서 폰을 변기에 빠뜨린다던가, 카드 키를 가지고 튄다던가, 피자를 꼬투리만 남기고 다 먹어버린다던가, 딸기시럽인 척 [[캡사이신]]을 왕창 뿌린 빙수를 먹는다던가(...). BGA를 보다 보면 클리어가 불쌍할 지경이다.]가 참다 못해 호텔 방에서 싸우게 되는데, 자다 깬 레나가 웃으면서 싸움을 말리다 클리어와 페일이 싸우다 날아온 소화기를 얼굴에 맞아버리고(..), 이에 단단히 폭발한 레나가 둘 모두를 참교육하면서 엔딩. DJMAX 시리즈에서 [[메트로 프로젝트]] 이후 제작된 BGA 중에 흔치 않은 60 프레임 사양도 주목할 부분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Revenger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Revenger}}}'''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4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4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71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2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4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44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993}}}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5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44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206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0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54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217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5B와 8B에 최고 난이도인 SC 15레벨을 배정받았다. 192라는 빠른 BPM에 쉬는 구간이 거의 없는 곡의 구성과 그에 알맞는 고밀도의 패턴까지 합쳐져 체력을 크게 소모시키는 것이 특징이지만, 패턴 자체는 정직한 폭타 위주이기 때문에 체력과 처리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한 유저는 무리 없이 스코어링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8버튼을 제외한 모든 SC 패턴들이 [[물렙곡|물렙]]으로 평가받고 있었고, 이후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4 → 13, 5B 15 → 13, 6B 14 → 12, 8B 15 → 14)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o0TTrRj0j0c)] ||<nopad> [youtube(sBJIGF1HZt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sBymY0bfCoc)] ||<nopad> [youtube(Bsv0MFnLz6I)] || 4B SC는 적당한 수준의 동시치기와 짧은 트릴과 계단이 포함된 고밀도 폭타로 정직하게 난이도를 올린 패턴이다. 밀도 높은 패턴에 약하다면 고전할 수 있지만, 초반 한손 트릴이 짧게 등장하는 것 빼곤 딱히 불편한 배치도 없고, 후반의 롱잡 트릴 정도를 제외하면 특별한 맥스 콤보 방지 구간도 없기 때문에 여러 괴상한 패턴들이 산재되어 있는 4B SC 13레벨 중에서는 쉬운 편이라고 평가받는다. 기존 4B 최상위 레벨 패턴들이 대부분 특정 구간에서의 연타 위주로 난이도를 올린 패턴이 많기 때문에, 13레벨 내에서 어느 정도 입문곡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밀도 패턴을 연습하기에도 좋은 패턴이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_CXVAZqkdCg)] ||<nopad> [youtube(Ehf3tJGz2o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KEasWCIFrXs)] ||<nopad> [youtube(FEij6EgqNYY)] || 5B SC도 적당한 수준의 동시치기에 짤막한 16비트가 섞인 정작한 패턴으로 등장했다. 전반적으로 무난하지만, 중반부의 청기백기 구간은 실수하기 좋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최고 레벨인 15레벨을 배정받았지만 곡 전체적으로 분포한 체력 소모 및 동시치기 수준은 [[Cthugha]]나 [[Mulch]]같은 14레벨보다 높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나마 초중반부의 청기백기나 간혹 나오는 데님, [[Over Me]]에서 나온 사이드 빅장-롱노트 빅장 연계구간, 중반부 롱잡 구간과 같이 어려운 구간들도 있지만, 해당 구간의 길이도 짧고 그마저도 [[Nihilism]] 같이 더 어려운 14레벨 패턴들도 있는 상황이라 15레벨로 보기 어려운 상황. 이 곡이 출시되기 이전에 SC 15레벨 내에서 가장 쉽다고 여겨지던 [[Fundamental]]과 [[Nightmare(DJMAX)|Nightmare]]보다 쉽다는 의견도 심심찮게 나오는 중. 결국 2.0 업데이트 때 타 15레벨 패턴들이 14~15레벨로 조정되는 와중 13레벨까지 떨어졌다. 13레벨 내에서는 상위권으로 평가받는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ua0vuPP1Vkw)] ||<nopad> [youtube(l3n6Rp2liL8)]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clGGAvjkbWE)] ||<nopad> [youtube(n61ajS8pi2w)] || 6B SC는 전체적으로 동시치기와 폭타로 구성되어 있다. 마치 [[OBLIVION ~Rockin' Night Style~|오블락]] 트릴을 연상케 하는 2-5 트릴에 56 동시치기가 붙어 나오는 트릴 패턴에서 판정이 새기 쉽고, 최후반부 6동시치기는 집중해서 잘 처리하지 않으면 BREAK가 나기 쉬우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해당 패턴도 4B SC, 5B SC와 마찬가지로 물렙이란 평가가 많이 나오고 있다. 노트 수가 2천개가 넘어가는 고밀도 패턴이긴 해도 14레벨 치고는 데님이나 겹계단처럼 까다로운 패턴은 나오지 않고, 단순 231-546과 같은 패턴으로만 밀어붙이기 때문에 체력만 받쳐준다면 처리는 쉬운 편인데다가, 클라이맥스인 6동치 최후살 역시 리딩이나 처리 면에서 특별한 능력을 요구하기보다는 헷갈리지 않게 처리하는 능력이 중요한 파트이기 때문에 딱히 어렵지 않기 때문. 5B SC와 마찬가지로 동레벨대 최하위에 위치한 패턴으로 평가받으며, 기존 6B 14레벨 최약체로 꼽혔던 [[!!New Game Start!!]]와 [[Vertical Eclipse]]보다 쉽다는 평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 패턴도 !!New Game Start!!의 하위호환으로 나왔기 때문. 결국 2.0 업데이트 때 !!New Game Start!!, Vertical Eclipse와 함께 12레벨로 조정되었다. 다른 두 패턴은 12레벨 내에서 상위권으로 평가받는 것과 다르게, 패턴은 무난한 12레벨로 평가받는 중.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9aJJcHPI4Gs)] ||<nopad> [youtube(8nJwkg0R6X0)]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JFhjMeipsUM)] ||<nopad> [youtube(5bHmqrZUwHI)] || 8B SC의 경우 구성 자체는 5B SC와 흡사한 구성을 보이지만, 동시치기가 [[SON OF SUN]] SC와 비교해도 확연히 차이가 날 정도로 복잡한 데다가 따닥이와 계단을 섞어 갖가지 변형을 만들어낸다. 노트 수가 2175개에 이르는데 저 구성이 시작하자마자 곧바로 시작되며, 그 와중에 쉬는 시간은 '''고작 10초 남짓'''이라 체력적으로도 굉장히 힘들다. 이 때문에 출시 당시 다른 SC 패턴들이 물렙 소리를 들을 때에도 8B SC만큼은 레벨 값은 당연히 한다는 평을 들었다. 오히려 동치곡 특성상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가 하위권일지언정, 통상 난이도는 [[Carrot Carrot]]과 [[Rhapsody for The VEndetta]]를 능가하는 VEX5의 8버튼 보스곡이라는 고평가를 받았던 패턴. 2.0 업데이트에서는 14레벨에 할당되었다. 그러나 이 패턴의 상위호환인 [[Bamboo on Bamboo]]가 15레벨에 있기에 내려갔을 뿐 14레벨 중에서도 기본기 요구치가 높아 개인차를 감안해도 14레벨 최상위권에 위치한다는 평을 들으며, 심하면 15레벨 수준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Diomedes]]와 함께 14레벨 졸업곡 포지션에 있다는 평을 듣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Revenger, version=96, uuid=b04ec577-184a-4f71-92d3-6a5d859d718a)]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