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emember Me(DJMA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MJn35gLFZrY)]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Rock}}} || || {{{-1 '''BPM'''}}} ||{{{-1 180}}} || || {{{-1 '''작사/작곡'''}}} ||{{{-1 [[NieN]]}}} || || {{{-1 '''보컬'''}}} ||{{{-1 [[DyoN Joo]]}}} || || {{{-1 '''BGA'''}}} ||{{{-1 lavew(원화), [[SMIN]](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기억 속에 내 모습이 흐릿해지고 어딘가로 흩날려져 닿지 않는데 멈춰버린 이 곳의 나는 어느새 모습조차 희미해지고 끝없이 멀리 사라져 가 *어둠이 물든 이곳에서 언제나 날 기억해줘 닿지 않는 공간 속에서도 다 이뤄질 것만 같던 그날의 꿈처럼 그렇게 날 Remember Me (remember me remember me) 그대라는 빛이 되길 지금 이 순간 *repeat}}} || == 개요 == [[DJMAX RESPECT V]]의 V 익스텐션 팩에 추가된 신곡으로, [[DJMAX 시리즈]]마다 꾸준히 곡을 제공하던 NieN의 락 스타일 곡이며, DMR&V의 메인 테마곡인 [[glory day]], [[Boom!]]과 엔딩 테마곡인 [[Dream it]]을 부른 [[DyoN Joo]]가 보컬을 맡았다. [[DJMAX 온라인]] 시절 곡인 [[Chrono Breakers]]와 유사하게 전개되는 곡으로, 동일하게 한 편의 애니메이션 OP를 연상시키는 곡 구조와 BGA가 특징. [[BEXTER]]의 언급에 따르면 [[NieN]]이 '''이 곡은 무조건 된다!''' 하면서 강력히 주장해 수록한 곡이라고 한다. 다만 이러한 제작진의 기대, 그리고 힘을 주고 만든 티가 나는 곡 퀄리티와 BGA 퀄리티에 비해 실제 곡의 인기도는 저조한 편으로, V EXTENSION 신곡중에서는 비인기곡에 속하며, 심지어는 전체 곡 대상으로 해도 딱히 인기곡 반열에도 있지 않다. "곡과 BGA가 퀄리티는 좋으나 식상하다" 라는 의견도 적지 않은 편이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4, 6버튼에 비해 유저 수가 적은 5, 8버튼에만 SC 난이도가 있다는 것과 3분에 가까운 지나치게 긴 컷팅으로 인하여 플레이 시 피로도가 너무 높다는 것. 곡과 BGA의 평가는 상당히 좋은 만큼 4, 6버튼 중 한 쪽이라도 SC 패턴이 있었거나, 커팅 역시 적절하게 2분 20~30초 내외로 짧았다면 지금보다 많이 플레이되었을거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BGA는 정체불명의 괴한에게 납치당한 히로인을 구출하는 내용이다. 각 등장인물의 이름은 카이(남성 검사), 사라(붙잡힌 히로인), NODE: NINE(총잡이 여성), 실비아(엔지니어 소녀)인데, 일행 셋이 납치된 히로인을 구출하러 가는 것이 [[EZ2AC 시리즈|옆동네]]의 [[Legend|어떤 곡]]을 연상시킨다.[* 다만 Legend는 '''The Legend'''의 중간 서사라 [[Dement -After Legend-|후속곡]]으로 스토리가 더 이어진다.] 중간 BGA에 나오는 햄버거는 [[맘스터치]]의 패러디.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6f1b><bgcolor=#ff6f1b><nopad> [[파일:Remember M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7b14, #ff7b14, #ff7b14, #bba198, #249ded, #249ded)" '''{{{#2E3A42 V EXTENSION}}}'''}}} || ||<-4>'''{{{+5 Remember Me}}}''' || ||<rowbgcolor=#ff6f1b><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974312><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6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3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16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17}}}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6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4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27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6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0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20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76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6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0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37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365}}} || ||<bgcolor=#ff6f1b><-5> 특수 패턴 || || DPC ||<-4> [[DJMAX RESPECT V/DPC#s-2.3.1.1|DPC 2024 Final Patterns]][br]{{{-2 (6B)}}}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노래 길이가 2분 50초로, 일부 라이센스 곡과 Extended Mix들을 제외하면 가장 긴 편에 속한데다가 롱잡+폭타 위주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어 롱노트 틱이 너프된 V에서 콤보 쌓기가 용이한 곡 중 하나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고, (5B 10 → 7, 8B 9 → 7) 시즌 13 업데이트로 4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이 중 4B SC는 등장 당시 9레벨이었으나 2025년 3월 27일 시즌 15 업데이트를 통해 8레벨로 하향 조정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wjPMSeiseVs)] ||<nopad> [youtube(kVDepIdjfU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ZPC03QceFY8)] ||<nopad> [youtube(clgY6sVi4fs)] || 4B SC는 9레벨치고는 무난한 동시치기와 롱잡 폭타 위주의 패턴이지만, 3번 단노트와 사이드가 바로 연달아 나오는 구간이 세 번 (후렴 돌입 직전 한 번, 두 차례 등장하는 '그날의 꿈처럼~' 가사 이후의 구간에서 두 번) 있어 처리에 주의해야 한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ewa7GNEHMng)] ||<nopad> [youtube(sVCISN4_91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HQ-btGxB3e0)] ||<nopad> [youtube(jv2pi-oI9J0)] || 5B SC는 이렇다 할 어려운 구간이 없어 10레벨 최하위권을 담당하고 있다. 어렵지 않은데다 5B 패턴 중에서 풀피버 풀콤보 시 콤보 수 10000을 넘길 수 있는 몇 안되는 패턴 중 하나여서 콤보 불리기용으로 아주 좋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WjZrhbfzhEg)] ||<nopad> [youtube(b-XTo2HSyD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IDs7vvETQ4w)] ||<nopad> [youtube(StzAIShcHWg)]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hy8aD7nGjXY)] ||<nopad> [youtube(4U7oVzhovAw)]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T6P0w827MWk)] ||<nopad> [youtube(uNgh6wzJnvY)] || 8B SC의 경우 트리거 + 동시치기 계단이나 1-3/4-6 한손 트릴, 1번과 6번을 낀 겹계단 견제가 좀 까다롭다. 다만 정박 위주의 패턴이고 트리거가 어렵게 나오는 건 아니기에 당시 8버튼 15레벨 SC 패턴 중에서는 [[FIGHT NIGHT]]와 함께 물렙 취급 받는 곡이었고, 두 패턴 모두 14레벨 패턴들이 주로 배정받는 SC 9레벨로 배정되었다. 롱 노트때문에 콤보수가 꽤 많은 편이다. 덕분에 풀 피버를 기록할 경우 콤보수가 12000개를 넘는 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Remember Me(DJMAX), version=67, uuid=b40c0f77-1e07-4dfc-9edf-219209c6cfb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