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e:BIRTH(DJMA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86QevpQy3F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CLEAR PASS S12 (2024)}}} || || {{{-1 '''장르'''}}} ||{{{-1 -}}} || || {{{-1 '''BPM'''}}} ||{{{-1 161}}} || || {{{-1 '''작곡'''}}} ||{{{-1 [[kanone]]}}} || || {{{-1 '''BGA'''}}} ||{{{-1 [[Lepusnette]]}}} || == 개요 == [[CO5M1C R4ILR0AD]]로 익히 알려진 일본의 작곡가 [[kanone]]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으로, 시즌 12의 CLEAR PASS+ 카테고리 악곡으로 등장하였으며, 해당 곡 역시 시즌 11의 [[SURVIVOR(DJMAX)|SURVIVOR]]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오리지널 신곡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Re:BIRTH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 RESPECT/V}}}'''}}} || ||<-4>'''{{{+5 Re:BIRTH}}}'''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3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4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8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25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0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3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2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5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7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7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0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SC 패턴 전부 레벨대에 비해 조금 어렵다는 말이 있었고, 시즌 13 업데이트로 6B SC의 난이도가 10 → 11로 상향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hYW9lIG4iaQ)] ||<nopad> [youtube(twJGG5AXol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Aby9w6nxkYQ)] ||<nopad> [youtube(T-haayS5wUQ)] || 4B SC는 24비트 계단, 알약 연타가 주가 되는 지력곡으로 11레벨 평균 수준의 노트 밀도, 패턴 구성이 어우러진 불렙이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oFvZUx4u_FA)] ||<nopad> [youtube(xQXolQUJGX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9eEXjLE7aMA)] ||<nopad> [youtube(JcKnNaF2n3U)] || 5B SC는 [[Celestial Tears]]처럼 손이 잘 안 가는 배치의 겹폭타를 주로 활용했다. BPM 자체도 높은데다 24비트 견제도 수시로 들어오고 배치까지 난감해 10레벨치곤 너무 어렵다는 평이 많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N5zWao1olt0)] ||<nopad> [youtube(J5rP_h6Wy9g)]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PrLa-H8iCxg)] ||<nopad> [youtube(ZXHwpQoxMDc)]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pvQSikfgTh0)] ||<nopad> [youtube(TCw0b_vNYg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yXD0FI7_liY)] ||<nopad> [youtube(jxOzq6q5zyI)] || 8B SC는 도입부, 드랍, 후렴구에 각각 살인구간이 배치된 전체살인형 채보인데, 도입부의 오른손에 애매한 트리거가 섞인 원핸드 폭타가 레이팅을 갉아먹고, 드랍 구간에서는 햄버거가 섞인 양손 상하왕복 및 짧은 복합트릴이 주 패턴이다. 이후 휴식구간을 지나고 나면 후살로 겹계단 2번이 섞인 복합 폭타가 나오는데 여기가 맥스 콤보 최대의 고비. 허나 4, 5B에 비해선 불렙끼가 조금 덜하기 때문에 비공식 난이도 기준으로 유일하게 10레벨대인 10.3에 위치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Re:BIRTH(DJMAX), version=21, uuid=6102783a-844f-4574-9e83-2a0b2208482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