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Phoenix Virus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M2U]]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dNsZZqi88ss)]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Trance}}} || || {{{-1 '''BPM'''}}} ||{{{-1 140}}} || || {{{-1 '''작곡'''}}} ||{{{-1 [[M2U]]}}} || || {{{-1 '''BGA'''}}} ||{{{-1 [[KIMYS]]}}} || == 개요 == [[DJMAX 온라인]]에 수록된 M2U의 곡. 제목은 Virus Ti의 음색을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Seeker]]에 이은 M2U의 두 번째 트랜스 곡인데, Seeker에 이어서 'Love Is Eternity'와 비슷하다는 표절 의혹이 제기되었다. BGA는 KIMYS의 루핑 BGA인데, 이미 [[1st-Sync]], [[Extreme Z4]], [[Grid System]] 등 다른 곡에서 선보였던 것과 별다를 게 없어서 비판을 받았다. 이 곡과 [[Angelic Tears]]에 사용된 루핑 BGA의 일부는 [[DJMAX Portable 2]]의 메뉴별 배경과 X5 피버 발동 BGA[* 원본은 주황색이지만 여기서는 하늘색.]로 재사용되기도 하였다. BGA의 초반부에 나오는 문구 중에 Shutdown을 Shotdown이라고 써놓은 오타가 있었는데, 이후 MUCA 유튜브에 올라온 고화질 리마스터 BGA에서 수정되었다. 수정 작업은 [[juking]]이 맡았다고 한다. 여담으로 Extended 버전이 존재하는데, 아직까지도 공개가 되지 않았다는 설이 있다. == [[DJMAX 온라인]] == [youtube(WhDNHd9r6Dk)] 중국 서버에서 서비스되었던 MX 패턴. 해외서버에서는 국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MX 패턴이 서비스 되었는데, 중간 구간에 마치 [[White Blue]]를 연상케 하는 난감한 롱노트 패턴이 있었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BASIC 뮤직 팩 수록곡 || || [[EGG(DJMAX)|EGG]] || [[Angel(DJMAX)|Angel]] || [[Get On Top]] || '''Phoenix Virus''' || [[Daylight]]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5 || 챌린지 미션 4번 : 5500점 이상[br] '''엑스트라''' 챌린지 미션 4번 : Fade In 클리어 || ||<#0000FF> {{{#white HD}}} || 6 || || ||<#FF0000> MX || '''7''' || || [[파일:external/koukoupuffs.files.wordpress.com/phoenix.png|width=560]] 그렇게 묻히는가 했는데, 2012년 9월 25일 공개된 [[DJMAX RAY]] 플레이 영상에서 곡이 부활함을 알렸다. 게임 내에선 BASIC 뮤직 팩에 있다. [youtube(7tr6K3gIdok)] 한 손으로 정박을 치고, 다른 한 손으로는 계속 긁기를 해야 하는 패턴이 굉장히 압박적이다. 거기다가 최후반에는 정박을 치던 그 손마저 바쁘게 움직여야 되는 그야말로 누가 봐도 7레벨과는 거리가 먼 패턴이다. 체감 난이도는 8 레벨이 적당하다.[* 출시 초반에는 9레벨이래봤자 [[Daylight]]나 [[SigNalize]]가 전부라 9레벨 급이라고 추정되었으나, 현재는 [[Bamboo on Bamboo]], [[Ztar Trek_RE Edit]], [[Dark Prism]], [[Celestial Tears]], [[Dual Strikers]]등이 나온후론 8 레벨 중상급 정도.] 패턴 자체가 어려워서 판정 난이도는 녹록지 않으며, 올 콤보 난이도는 '''[[그냥 시체|그냥 어렵다]]'''. 아이패드가 아닌 기종으로 할 경우 이 점이 두드러지는데, 그건 바로 특유의 인식오류. 슬라이딩을 한 뒤에 손을 떼고 정박 노트를 치면 정박 노트가 BREAK를 내며 콤보를 끊는 경우가 빈번하다. 엑스트라 챌린지 미션 4번에서는 콤보 2000개 이상을 만들어 내야 하는데, 중간까지 콤보를 끊지 않고 계속 이어가면 무난하게 달성할 수 있으니 미션에 도전하기 전에 미리 연습해두는 것이 좋다. == [[R2Beat]] == 구 서비스 당시 수록되어있었다. == [[TAP SONIC]] == 여기서는 아예 처음부터 6라인 레전드 기준 9레벨로 등장했다. 패턴은 이 쪽이 DJMAX RAY 패턴보다 더 어렵다. 거기다가, 수록되자마자 [[SIN(DJMAX)|SIN]]을 끌어내고 '''9레벨 보스곡'''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니까 SIN도 이제 콩~~ 심지어 10레벨 곡인 [[Dual Strikers|Dual Strikers (Rock Planet Mix)]]보다도 어렵다는 의견까지 있을 정도다! == [[TAPSONIC WORLD CHAMPION]] == 기존 탭소닉 패턴을 거의 비슷하게 따왔으며, 전반적인 난이도는 전작과 동일하다. 심벌즈 노트를 어느 정도 활용하고, 롱노트와 슬라이드 비율이 줄어들고 단타 노트가 더 많아졌다는게 차이점. 난이도는 역시나 9레벨 최상위권으로 강림 중.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Phoenix Virus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 RESPECT/V}}}'''}}} || ||<-4>'''{{{+5 Phoenix Virus}}}'''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40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7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8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3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8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3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17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45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71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5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31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8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10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402}}}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5년 3월 27일, [[DJMAX RESPECT V]] 시즌 15 업데이트와 함께 RESPECT V 출시 5주년 기념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K4lMpelQoEI)] ||<nopad> [youtube(gHW6i_oD6RM)]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ApzmCsakgRc)] ||<nopad> [youtube(pfOIuLVdNjM)]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CZvb4NYMKfY)] ||<nopad> [youtube(pam9viaiaa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aC216G_y2NI)] ||<nopad> [youtube(E3d1rFDT4LE)]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a-9e2UyJ5Vw)] ||<nopad> [youtube(_HwsyxNSXN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Z10JrzY3FlE)] ||<nopad> [youtube(m5EvcFfhJZo)]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9cklyw8O1CQ)] ||<nopad> [youtube(P9V7Pe5tQmA)]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r2ijVc8I19g)] ||<nopad> [youtube(vhRMCC1RMDs)]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Phoenix Virus, version=92, uuid=a82eb21b-9c9b-4ee8-a754-1ff4eed0716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