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Outcast
(r6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Clearfix]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jrpd5sTwbHU)]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Newjack Swing[* 표기 자체는 이렇게 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뉴 잭 스윙]]의 형태는 전혀 아니고, 스윙 리듬을 차용한 일렉트로 팝 곡이다.]}}} || || {{{-1 '''BPM'''}}} ||{{{-1 128}}} || || {{{-1 '''작곡'''}}} ||{{{-1 SOPHI / BIRA}}} || || {{{-1 '''작사'''}}} ||{{{-1 BIRA}}} || || {{{-1 '''보컬'''}}} ||{{{-1 SOPHI / BIRA}}} || || {{{-1 '''BGA'''}}} ||{{{-1 koopa(원화) / MoDEKU(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I know you remember me 바로 알 수 있었지 But I wonder what you'd say (I wonder what you'd say) 보내지 못했던 text 유일한 비밀 we shared Still got 'em locked away (Still got 'em locked away) Those days not so gray 천장의 야광 별을 세다 잠들어 again Can we start over be more than just 'remember when' Futures and pasts Lives moving too fast We were meant to last Now I'm an outcast Futures and pasts Lives moving too fast We were meant to last Now I'm an outcast 넌 아직 여전하지 변하지 않는 게 있니? [[Bestie(DJMAX)|평생 영원할 줄만 알았던 bestie]] Me, I'm counting cobwebs feeling slightly strange Those days not so gray 천장의 야광 별을 세다 잠들어 again Can we start over be more than just 'remember when' Futures and pasts Lives moving too fast We were meant to last Now I'm an outcast Futures and pasts (Futures, pasts) Lives moving too fast (Lives, fast) We were meant to last (Meant, last) Now I'm (Now, outcast) Futures, pasts Lives, fast Meant, last Now (outcast) Futures, pasts Lives, fast Meant, last Now (outcast) [br]}}} || == 개요 == SOPHI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NEXON 콜라보로 데뷔하여 V EXTENSION 2 때부터 V 시리즈 개근 중인 작곡가 SOPHI의 8번째 투고곡으로, 피처링으로 보컬 BIRA가 참여하였다. 곡 제목은 '버림받은 자', '외톨이', 속어로는 '왕따'를 뜻한다. [[컴필레이션 앨범]] <[[DRIVE(DJMAX)|DRIVE]]> 및 V LIBERTY DLC의 수록곡인 [[Bestie(DJMAX)|Bestie]]와 같은 조합으로 만들어진 정식 후속곡으로, 곡의 중간에 Bestie의 소절을 따온 부분이 있는 것은 물론 가사 역시 Bestie의 화자에게 보내는 답가처럼 느껴지는 것으로 보아, 마치 Bestie의 어두운 버전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곡의 분위기는 Bestie와 같은 서정적인 분위기로 흘러가다가 드럼 비트로 긴장감을 주더니, 최후반 드랍 구간에는 '''하드 덥스텝 사운드'''가 등장하며 강렬하게 마무리된다. NEXON 콜라보 때부터 V EXTENSION 시리즈 내내 깜찍하고 말랑말랑한 분위기의 악곡을 써오던 SOPHI가 '''드디어 거친 분위기의 곡을 들고 참전했다'''는 점이 이 곡의 특기할 점이다. 특히 가장 거친 구간인 덥스텝 구간이 프리뷰 때 공개되어 많은 유저들이 충격을 받았는데, 이미 DJMAX MIRACLE: DRIVE를 통해 하드 덥스텝 DJ로서의 본인을 선보인 바, 이번 V LIBERTY 2에 와서야 마침내 본인의 주력 카드를 슬슬 꺼낼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린 셈이다. 이에 대해 SOPHI는 '아직 본업은 시작도 안했다'고 코멘트했다.[[https://x.com/SOPHIPLANET/status/1866850213383803017|#]] BGA는 직전 투고작인 Bestie의 BGA를 담당한 koopa가 원화를 담당했으며, 스토리도 Bestie에서 이어지는 좀비 멀티버스 4화를 다루고 있다. 좀비버스 페일이 리룰르의 거울을 마주하고 사라진 후, 좀비버스 클리어가 좀비 떼와 사투를 벌인 후, 그녀 역시 거울 속으로 사라지며 끝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Outcast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Outcast}}} {{{+1 (feat. BIRA)}}}'''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3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6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0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27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1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7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40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1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6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4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22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0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8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8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10}}} || ||<-5><bgcolor=#79d916,#79d916> {{{#06054b,#06054b 특수 패턴}}} || || {{{-1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V LIBERTY#s-4.2.2|II Divisions]] || || {{{-1 5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LIBERTY#s-4.2.3|Pull The Trigger]]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4B와 6B는 무난한 중난이도대의 패턴으로 등장했지만 5B와 8B는 하드 덥스텝 구간에 특이한 롱노트 패턴을 집어넣어 5B와 8B에 난이도가 높게 배정되었다. 이러한 레벨 분배 기조가 [[ADDICT!ON]], [[Set Me Free(DJMAX)|Set Me Free]]를 연상시키는 부분. 다만 4B를 제외한 다른 버튼의 난이도 표기가 맞지 않는데, 6B는 불렙, 8B는 물렙으로 취급받고 있고 5B 역시 표기 난이도에 비해 초견살만 심할 뿐 익숙해지면 하위권까지 내려간다는 평. === 4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g3VtNVc_hY4)] ||<nopad> [youtube(pJfTYxMMFuQ)]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J7COoNQJcjE)] ||<nopad> [youtube(c-6Np_CDfgw)] || === 5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loBu77bQJ8A)] ||<nopad> [youtube(lRVVhobxXAI)]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EdFkiapaiCU)] ||<nopad> [youtube(cpXaX99_nf4)] || 상술했듯 5B SC는 초반의 양손 연타와 후반의 사이드+롱노트에 잡노트가 섞여들어가는 복합 패턴으로 난이도를 올렸는데, 한 가지 더 주의할 점은 [[Weird Wave]]와 비슷한 드르륵에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손배치가 꼬이기 쉽다. 다만 양손 연타나 드르륵을 제외하면 11레벨에 맞는 뭔가가 전혀 없기 때문에 11레벨 내에선 하위권으로 평가받는다. === 6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9SEvGqlMwmw)] ||<nopad> [youtube(qDnbNGPwL10)]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iCSH--xpeaw)] ||<nopad> [youtube(ctz2m80Zy2s)] || === 8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y_OURWSLNkA)] ||<nopad> [youtube(a0tlAK2M4Uc)]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sJ7uDIIbjVY)] ||<nopad> [youtube(PaCr371HyOQ)] || 8B SC는 2차례 등장하는 양손 연타와 후반부의 롱노트 장난이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당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10레벨이라고 볼 여지가 없는 물렙이다. === 특수 패턴 === ||<tablecolor=#79d916> TB SP || 5B FX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u3r8n8l14gs)] ||<nopad> [youtube(dfXf6MayFzQ)] || 5B FX는 [[The Four Seasons : Summer 2017]] 5B FX처럼 일반 노트는 3번 라인 밖에 나오지 않고, 트리거와 사이드만이 혼합된 패턴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Outcast, version=67, uuid=aaad8581-34bc-4b98-9bf2-c3ca624f599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