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y Wonderland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DMRV 23FW)]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mNEO5mLD-34)]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Rock}}} || || {{{-1 '''BPM'''}}} ||{{{-1 192}}} || || {{{-1 '''작사/작곡'''}}} ||{{{-1 [[NieN]]}}} || || {{{-1 '''보컬'''}}} ||{{{-1 [[이지애(가수)|이지애]]}}} || || {{{-1 '''BGA'''}}} ||{{{-1 [[팥쥐(유튜버)|팥쥐]]}}} || ||<-2> {{{#!folding [ 가사 보기 ] 저 눈부신 하늘 위로 새로운 세상이 찾아와 무지개를 쏟은 것처럼 (Hey!) (I'll sing for you) 난 두근두근 설레는 이 시간을 건너 And now, 너에게 달려가는 이 순간 반짝이는 빛이 되어서 창문 틈 사이로 넌 웃으며 손짓하는 걸 불어오는 바람을 타고 너의 곁에 날아가고 싶었어 저 구름을 타고서 살며시 다가가 볼까 한 발 한 발 조심스럽게 (To you) 저 눈부신 하늘 위로 새로운 세상이 찾아와 무지개를 쏟은 것처럼 (Hey) (I'll Run to you) 난 두근두근 설레는 이 시간을 건너 And now, 너에게 달려가는 이 순간 아득히 멀기만 했던 이 찬란했던 꿈들 모두 다 너에게 닿을 수 있게 눈부신 기적들을 넘어서 너와 나 (There's My Wonderland)}}} || == 개요 == [[NieN]]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밴드 사운드와 함께 등장하는 밝은 멜로디와 귀여운 보컬이 발랄한 느낌을 주는 애니 락 곡으로, [[Hello Pinky]] 이후 상당히 오랜만에 선보이는 스타일의 곡이다. 보컬은 이미 여러 번[* [[Someday(DJMAX)|Someday]], [[Only for you]], [[FALLING IN LOVE(DJMAX)|FALLING IN LOVE]], [[별처럼 (Stella)|별처럼]]] NieN과의 호흡을 맞춰 이제는 정석 조합으로 정평이 나 있는 [[이지애(가수)|이지애]]와 다시 한 번 의기투합했다.[* 특히 여태까지 감성적인 노래들만 불러왔던 이지애가 고음을 시원하게 내지르는 모습에 놀란 반응이 많다.] 또한 NieN은 이번 곡을 출품함으로써 [[Pure 100%]]와 함께 현재까지의 모든 V EXTENSION 시리즈에 개근하게 되었다. BGA는 [[Secret(DJMAX)#s-2|Secret]]과 [[Hypernaid]]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애니메이션 [[유튜버]] [[팥쥐(유튜버)|팥쥐]]가 다시금 참여했는데, 팥쥐 유니버스의 [[민초딩]], [[샬롯(팥쥐 시리즈)|샬롯]], [[아람쥐]], [[랏쿄]], [[금쪽이(팥쥐 시리즈)|금쪽이]], [[캐비아(팥쥐 시리즈)|캐비아]]가 SD 캐릭터가 아닌 성장한 버전으로 등장한다. --민고딩-- 곡의 분위기에 알맞게 학교를 배경으로 한 마법소녀물 오프닝 스타일의 비주얼로 제작되었는데, 기존 애니메이션 오프닝들에서 자주 등장하는 [[클리셰]]들이 모두 들어가 있는 [[고증|디테일]]들[* 크레딧부터 시작해서, 캐릭터를 차례로 소개하는 인트로, 화면이 올라가며 등장하는 타이틀, 창밖을 바라보는 캐릭터, 빌런의 등장을 예고하는 떡밥, 갑자기 분위기가 어두워지며 슬퍼하는 주인공, 변신 장면과 후반에 등장하는 전투씬 등.]이 핵심인 비주얼로 호평받았다. 여러모로 과거 같은 작곡가가 만든 [[Chrono Breakers]]를 떠올리게 하는데, 이 곡 또한 뮤비의 컨셉이 애니메이션 오프닝인데다 기획/제작의 DJMAX RESPECT V를 제외하면 팥쥐 1명이 제작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My Wonderland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My Wonderland}}}'''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7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9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9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1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72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9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78}}}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9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2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8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88}}}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6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8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37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8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팥쥐(유튜버)|팥쥐]]가 BGA를 맡은 곡은 유독 물렙 패턴이 많아 이번에도 무난히 쉬운 패턴이 나올 것 같다는 반응이 꽤나 있었지만 예상외로 전 버튼에서 10레벨 이상의 고레벨 SC 패턴이 나왔다. 빠른 BPM의 락 스타일 곡이라 어찌 보면 당연한 일.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1 → 9, 5B 11 → 8, 6B 10 → 8, 8B 11 → 9)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75PjWCD6oX4)] ||<nopad> [youtube(TtYWJ51n6Dw)]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hGH5gUZYjhs)] ||<nopad> [youtube(UwPM1_wPjxw)] || 4B SC는 [[STALKER]] 5B SC처럼 트릴 시작점, 끝점 사이에 롱 노트가 끼어드는 패턴이 나온다. 연타는 아예 안 나오지만 BPM도 높은데다 노트 밀도도 상당히 높기 때문에 11레벨 중에서는 어렵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7oJ6BeHEm4g)] ||<nopad> [youtube(XgmuW4Q62Z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Zz559DSAW7I)] ||<nopad> [youtube(6IAnBXXBv3w)] || 5B SC는 무난한 10레벨 수준의 패턴만 나오는 물렙이다. 1+3+5 동시치기가 자주 나오기는 하나 8비트로만 나오고 3번 라인 응용 패턴도 전혀 없기 때문에 손 가는 대로 쳐도 쉽게 넘어갈 수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QtGb-t-o1kY)] ||<nopad> [youtube(bZdRJ_LjL3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zFUKoYNDcO8)] ||<nopad> [youtube(frGcCpimEAU)] || 6B SC는 무난한 동시치기곡이지만 중반부 2-1 트릴이 까다롭다. [[OBLIVION ~Rockin' Night Style~]] 등 기존 6B TUNES에서 나오던 2-1 트릴과 달리 34트릴에 6번이 끼어드는 구조로, [[Road Of Death]] 4B SC의 2-1 트릴과 처리법 자체는 같기 때문에 해당 패턴을 접해봤다면 쉬워지는 패턴.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7XjTn2gxOlM)] ||<nopad> [youtube(w2zHtWnGmRo)]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EhJWH4Um7gI)] ||<nopad> [youtube(GhrXJ-fn_pc)] || 8B SC는 동시치기로 난이도를 높였다. 코러스 부분에서 나오는 트리거-4버튼 동시치기 파트와, (영상 기준) 1:47초부터 나오는 트리거와 일반키를 번갈아가며 치는 트릴, 이후 등장하는 2345 동시치기 패턴을 주의해야 한다. 리딩 능력과 동시치기 처리력만 받쳐준다면 패턴 자체는 정직한 편이기 때문에 꽤나 무난한 편. == 여담 == * 이전까지의 NieN + 이지애 조합 곡들과 비교하면 꽤나 이질적이다. 같은 조합의 전작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BPM 120 ~ 130 전후의 느긋한 빠르기에 차분한 보컬의 곡이었다면, 본 곡은 BPM 192로 독보적으로 빠르면서 고음 처리까지 요구되는 곡이다. 또한 가사가 유일하게 사랑을 주제로 삼지 않았다. * BGA 제작자인 [[팥쥐(유튜버)|팥쥐]]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https://youtu.be/0BVnFEyUVHw|BGA 영상]] 썸네일에는 원본에 없던 곡명 일본어 독음이 붙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My Wonderland, version=74, uuid=7bb8323a-bace-4883-9464-09f0be7b498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