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use Dash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Muse Dash]][[분류:리듬 게임]][[분류:중국 게임]][[분류:2018년 모바일 게임]][[분류:2019년 Windows 게임]][[분류:2019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2019년 macOS 게임]][[분류:유니티 엔진 게임]][include(틀:넘어옴, 넘어옴1=뮤즈 대쉬\, 뮤즈 대시,)] [include(틀:Muse Dash)] ||<-2><tablewidth=500><tablealign=right><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BCE5FF> {{{#!wiki style=""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50%><nopad> {{{#!wiki style="padding: 6px 10% 6px 0" [[파일:Muse Dash 로고.svg|height=50]]}}}||{{{#!wiki style="padding-left: 5%" {{{#000,#fff {{{+1 '''뮤즈 대쉬'''}}}[br] Muse Dash}}}}}} ||}}} || ||<-2><nopad> [[파일:뮤대 일러 절주대사 콜라보.png|width=100%]] || ||<width=24%><colbgcolor=#BCE5FF> '''개발''' ||PeroPeroGames || || '''유통'''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hasuhasu[* PeroPeroGames의 자회사.][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X.D. Global]] || || '''플랫폼''' ||[[iOS]] | [[iPadOS]] | [[Android]] | [[Microsoft Windows|Windows]] |[br][[macOS]] | [[Steam Deck]]^^완벽 호환^^ | [[Nintendo Switch]] || || '''ESD''' ||[[App Store]] | [[Google Play]] | [[Steam]]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횡스크롤]] [[리듬 게임]] || || '''출시''' ||'''iOS / Android'''[br]2018년 6월 15일[* 공식적인 릴리스 날짜는 6월 15일이지만 실제로는 iOS가 예정보다 하루 일찍 출시되었다. 예약 기능때문에 릴리스가 하루 일찍되버렸다고. [[https://x.com/MuseDashtheGame/status/1007094846090121216?t=yNztaALhahwrx-emMqV1CQ&s=19|관련 트윗]]] '''PC / NS[br]'''2019년 6월 20일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 || || '''한국어 지원''' ||UI 지원 || || '''심의 등급''' ||'''한국'''[br][[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12세 이용가]][br][include(틀:App Store 연령 등급, 연령=17)] ---- '''해외'''[br][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ESRB_T=, )]{{{-3 (13세 이용가)}}}[br][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PEGI_12=, )][br][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CERO_B=, )]{{{-3 (12세 이상)}}} [[국제등급분류연합|[[파일:IARC 12+ 로고.svg|width=16]]]] [[국제등급분류연합|IARC]] 12+ [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GSRR_PG_12=, )] [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CADPA_12=, )] || ||<|2> '''관련 사이트''' ||[[https://musedash.peropero.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채널=@peroperogames1520, 크기=22)]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MuseDash_KR, 크기=21)] | [[https://discord.com/invite/musedash|[[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2]]]] | [[https://space.bilibili.com/269396974|[[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weibo.com/peroperogame|[[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1]]]] | [[https://www.xiaohongshu.com/user/profile/66594010000000001e003988?xsec_token=YBmekUNYzX0GoOJBQGUy9xIaFw7NDNNGmz82zupD_hXRo%3D&xsec_source=app_share&xhsshare=CopyLink&appuid=686f5b1d000000000d02e44d&apptime=1752128364&share_id=d0993bfa7550416ab59457486e9231b4&share_channel=copy_link|{{{#!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19px" [[파일:샤오홍슈 아이콘.svg|width=20]]}}}]] | [[https://m.dcinside.com/board/musedash|[[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1]]]] || ||[[https://apps.apple.com/kr/app/muse-dash/id1361473095|[[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2]]]]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prpr.musedash|[[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19]]]]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774171/Muse_Dash/|[[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1]]]] | [[https://store.nintendo.co.kr/70010000014535|[[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width=21]]]]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bgcolor=#fff,#2d2f34><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OavM6Pj-Ho8)] || || '''2025년 7월 업데이트 PV'''[br]{{{-2 【 [[Muse Dash/음악 팩#s-9.13|Muse Dash × Rhythm Master 콜라보레이션]] 】}}} || {{{#!wiki style="width: 100%; max-width: 430px;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ccc dashed; border-left: 5px solid #FEAFC2; background: #fff" dark-style="border-color: #383b40; border-left: 5px solid #656C76; background: #2d2f34"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깜찍한 미소녀 캐릭터를 좋아하세요? 리듬감 넘치는 음악은 어때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해 드릴 수 있는 곳이 존재한다면-- 바로 열혈 파쿠르와 전통 리듬게임이 조화를 이룬 세계 —— "Muse Dash" 입니다!!||}}} [[중국]]의 개발사 PeroPeroGames에서 개발하는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횡스크롤]] 액션 [[리듬 게임]]. 2018년 6월 15일 모바일로 첫 출시되었고 1년뒤인 2019년 6월 20일 [[Steam]]과 [[닌텐도 스위치]] 플랫폼에도 출시되었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transparent><rowbgcolor=#dddddd,#2d2f34><rowcolor=#000000,#e0e0e0>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bgcolor=#ddd,#2d2f34>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운영체제''' ||Windows 7 64bit || || || '''프로세서''' ||Intel Core™ Duo || || || '''메모리''' ||2 GB || || || '''그래픽 카드''' ||DirectX® 9 Compatible[br]Graphics Card || || || '''저장 공간''' ||2 GB || || ||<-3><bgcolor=#dddddd,#2d2f34>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운영체제''' ||OS X Lion 10.7 ||OS X Lion 10.7 || || '''프로세서''' ||Intel Mac ||Intel Mac || || '''메모리''' ||2 GB ||4 GB || || '''그래픽 카드''' ||Intel® HD Graphics ||Intel® HD Graphics || || '''저장 공간''' ||2 GB ||1 GB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tablewidth=100%><width=50%><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373a3c,#dddddd><rowbgcolor=#ddd,#2d2f34> [[Android|[[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블랙.svg|height=16&theme=light]][[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iOS|[[파일:iOS 워드마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iOS 워드마크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Android 6.0 이상 || iOS 11.0 이상 ||}}} || 고주사율을 지원한다. Windows에서는 60FPS, 120FPS, 240FPS, 수직동기화, 제한 없음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 특징 == 일반적인 건반 리듬 게임과 달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다가오는 적을 맞추고 장애물을 피해야 하는 횡스크롤 형식으로, 플레이 방식의 경우 [[태고의 달인 시리즈|태고의 달인]]과 유사하며[* 노트의 색도 분홍색, 푸른색인 것도 유사하다.] 연출은 [[라디오해머]]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질주하는 리듬 게임이라는 점에서 [[알투비트]]와 국내에서는 [[쿠키런]]이 생각난다는 반응도 꽤나 보인다.[* 터치하는 적들을 젤리라고 생각하면 얼추 드러맞는다.] 레인이 두 개 뿐이라 입문하기에는 쉬운 편이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적과 장애물이 함께 나오는 특성상 패턴이 읽기 힘들어지고 노트 밀도가 높아지는 등 도전적인 요소로 탈바꿈한다. 그래픽은 전반적으로 귀여운 편이다. 등장 인물은 전부 [[미소녀]]이고, 노트는 일반적인 리듬게임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도형이 아닌 캐주얼한 RPG 게임의 적처럼 생겼다. 또한 [[키음]]은 없으나 노트별로 타격음이 있다. ||<-10><tablewidth=500><rowbgcolor=#e7e7ed,#2d2f34> '''아이콘 및 로고''' || ||<width=120> [[Lights of Muse|[[파일:뮤대 Lights of Muse.png|width=100%&border-radius=16px]]]]||<width=200> [[파일:뮤즈대시로고.png|width=100%]] ||<width=200>{{{#!wiki style="padding: 10%" [[파일:뮤즈대쉬로고5.png|width=100%]]}}} || || 아이콘 ||<-10> 로고 || 아이콘은 [[Muse Dash/캐릭터#삐에로|삐에로 부로]]가 그려진 오리지널 곡 [[Lights of Muse]]의 커버 아트이기도 하며 로고는 사진의 두 로고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 [[/시스템|시스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시스템)] 노트 판정, 스테이지, 난이도, 업적 등 게임의 시스템을 정리한 문서. * [[/스테이지|스테이지]] * [[/시스템#난이도|난이도]] * [[/난이도 표기 문제|난이도 표기 문제]] * [[/업적|업적]] == [[/음악 팩|음악 팩(DLC)]] == ||<tablewidth=650><tablebgcolor=transparent><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음악 팩|[[파일:뮤대 일러 2주년.png|width=100%&border-radius=8p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음악 팩)] 음악 팩(DLC), 콜라보의 업데이트 및 내용을 정리한 문서. == [[/수록곡|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수록곡)] 전체 수록곡을 리스트한 문서. == [[/캐릭터|캐릭터]] == ||<tablewidth=650><tablebgcolor=transparent><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캐릭터|[[파일:뮤대 일러 만우절.png|width=100%&border-radius=8p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캐릭터)] == [[/일러스트|일러스트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일러스트)] == 이벤트 == === [[Cosmic Radio]] === ||<tablewidth=650><tablebgcolor=transparent><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Cosmic Radio|[[파일:코스믹라디오2024.png|width=100%&border-radius=8p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osmic Radio)] Muse Dash의 개발사 PeroPeroGames에서 개최하는 리듬 게임 악곡 공모전에 대한 내용. === 동인 작품 모집 === [[https://musedash.peropero.net/#/special/events/7th|홈페이지 링크]][* EVENTS를 누르면 전의 이벤트도 확인할 수 있다.] 2021년부터 매년마다 2차 창작 작품의 수상작을 선정하는 이벤트 <동인 작품 모집> 콘테스트가 개최되고 있다.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입상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 4주년 동인 모집 * 5주년 동인 모집 * 6주년 동인 모집 * 기계 무희 동인 모집 * 7주년 동인 모집 == [[/패치노트|패치노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use Dash/패치노트)]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게임), date=2024-10-13, title=muse-dash, critic=73, user=6.9)]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date=2024-03-11, code=7902, title=muse-dash, average=76, recommend=67, player=-)] [include(틀:평가/Steam, date=2022-10-09, code=774171, rating=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96, count=62\,874, rating2=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2=96, count2=1\,583)] === 장점 === 몇 안되는 [[횡스크롤]] [[리듬 게임]]이다. [[태고의 달인]]과 비슷하게 수평으로 다가오는 노트들을 처리하는 것이 게임의 플레이 방식으로, 이는 다른 건반 리듬게임에 비해 독특하게 다가올 수 있는 부분이다. 타점이 2개이기 때문에 리듬 게임 입문자에게 추천할 만 하고, 일부 고난도 채보를 제외하면 동시타가 2개 이하이므로 이론적으로는 엄지 손가락만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쉬워 보이는 게임 방식과 다르게, 노트의 속도와 노트가 등장하는 위치가 다양해서 난이도가 높아질 수록 체감 난이도는 더 급격히 상승하게 되므로 헤비 유저도 도전해볼 가치가 충분하다. 또한 키배치를 어떻게 하는지, 피버 타이밍을 언제 잡는지 등에 따라 점수를 갱신할 수 있는 요소가 무궁무진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깊게 파고드는 컨텐츠로 다가오기 때문에 헤비 유저에겐 상당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뮤즈 대쉬만의 IP 및 다양한 일러스트는 리듬게임의 한정적인 컨텐츠에 보는 맛과 즐길 거리를 더해준다. 플레이 화면이나 일러스트 등 아트워크의 전체적인 퀄리티가 매우 높으며 수록곡의 커버 아트를 뮤즈 대쉬에 맞춰서 새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관련하여 동인 작품 모집 콘테스트를 개최하기도 하며 캐릭터 관련 굿즈도 꾸준히 발매하고 있다. 게임 플레이의 경우 스테이지에 보스가 있는가하면 노트가 단순한 모양이 아니라 RPG 게임의 적처럼 생겼기 때문에 잡몹들과 보스몹을 잡으면서 모험을 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노트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호불호가 갈릴 수 있지만, 파스텔 톤의 색상으로 동화 같은 분위기를 살린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Muse Dash/음악 팩#Muse plus|뮤즈 플러스]] 통합팩 구매 만으로 게임 내 모든 곡을 즐길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뮤즈 플러스를 구매하면 '''현재 출시된 곡과 앞으로 업데이트될 곡'''을 모두 추가 결제 없이 얻는다.(대형 음악팩 DLC 제외) 심지어 할인 이벤트가 적용되면 3만원 이하로 뮤즈 대쉬의 업데이트되는 대부분의 컨텐츠를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상업용 리듬게임 내에선 가성비가 최강으로 뽑히는 수준이다.[* 현재 스팀 내에서 상업용 리듬게임 중 제일 성공한 축에 속하는 [[DJMAX RESPECT V]]의 경우 정가가 거의 5만원이다. DLC를 모두 구매한다 치면 80% 할인을 받아도 10만원이 넘게 필요하고, DLC가 출시되면 별도 구매를 해야 한다. [[EZ2ON REBOOT : R]]의 경우 정가가 4만원에 DLC를 별도 구매해야 한다. 가성비로만 생각을 하면 뮤즈 대시가 압도적으로 혜자인 셈이다.] 본편의 할인은 한 술 더 떠서 1,000원 아래로 내려갈 때도 많기 때문에 입문자 입장에서도 가볍게 시작해보기 좋다. 리듬 게임중에서 드물게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기 때문에 PC·모바일·닌텐도 스위치 모두 플레이 가능하며 구글, 페이스북 계정의 세이브 데이터(플레이어 레벨, 플레이 기록 등)가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도 공유되는 점도 장점이다. === 단점 === 4~8키가 기본인 정통파 리듬게임들과 달리 버튼 두 개만 타이밍 맞춰 누르면 되는 간단하고 캐주얼한 게임이지만, 반대로 두 개뿐인 라인에 고인물들을 위한 밀도로 노트를 쏟아낼 경우 가시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높은 난이도의 곡일 경우 특정 패턴으로 인해 곡마다 키 배치를 바꾸는 경우도 있고 기본적으로 6키나 8키(보조키 사용)를 사용할수 밖에 없게 된다. 다양한 외형과 속도의 노트 역시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박자의 파악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노트와 잘 어울리는 배경 그래픽은 보기에 좋지만 배경에 따라 보호색이 되는 경우도 있어 설정으로 배경의 밝기를 낮추게 되기도한다. 비슷하게 라인의 개수를 줄이고 연출을 더한 [[태고의 달인]]과 [[A Dance of Fire and Ice|얼불춤]]과 어느 정도 공유되는 장단점. 특히 태고의 달인과는 횡스크롤이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시스템적 장단점을 공유한다. 때문에 태고의 달인, 얼불춤과 비슷하게 초견 플레이가 불가능하진 않더라도 매우 어렵고, 고난이도에서는 오토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박자를 파악한 후 이를 암기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손배치를 완료하고 4~8개의 손가락에 노트를 나누어 배치하면 실제 밀도는 정통파 리듬게임보다 훨씬 낮기에 이런 과정을 통해 빠르게 숙련도를 올리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곡을 암기해야 한다는 것은 호불호를 굉장히 많이 타는 영역인지라 이를 불합리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난이도 8정도까진 엄지 손가락만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나, 난이도 9 이상부턴 16비트, 24비트 박자에 맞춰 노트가 출현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엄지플이 어렵다. 또한 [[NightTheater]]의 11레벨과 같은 경우 한 타점에 긴 도보(롱 노트)와 노트가 같이 나와 동시에 3곳을 누르게 되어 엄지플이 불가능하다. 다른 리듬게임들과 마찬가지로 게임이 오래 지속됨에 따라 난이도 인플레이션을 피해가지 못하고 있다. 출시 초기와 비교해서 전반적으로 0.5레벨 정도는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특히 2022년 이후 [[https://youtu.be/qaU_daNwph0?si=LuS_DQy_KMPAaihJ&t=14|Queen Aluett]]나 [[https://youtu.be/8GI1J1gl3W0?si=PeB3cUpyJvI598IM&t=4|Reminiscence]], [[https://youtu.be/zAS_pxRXA34?si=TzqiXDw3rePTKaVl&t=5|Daring Dance]] 등 표기는 9레벨이지만 웬만한 10레벨보다 어렵다고 평가되는 곡들이 종종 등장하고 있다. --스위치판은 타 플랫폼보다 업데이트가 심각할 정도로 매우 느리다. 짧으면 2주 길면 한 달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가 다반사라, 스위치로 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은 다른 플랫폼에서 플레이하는 것이 낫다. 실제로 커뮤니티 유저들도 스위치판을 사지 말라고 할 정도.-- 2024년 중순부터 pc/모바일판과 동시 업데이트되기 시작하여 해결된 문제점. 일부 기종에서 업데이트 될 때마다 싱크가 어긋나서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초 접속시의 싱크가 타 리겜에 비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데, 홈페이지에 기종별로 맞는 수치를 기재해놨으니 참고하자.[* 물론 모바일만 해당한다.] == 사건사고 == === [[hololive 프로덕션|hololive]] 스트리밍 금지령 === 2020년 9월 경, 홀로라이브 소속 유명 버츄얼 유튜버들이 타 게임에서 국가들을 읽다가 [[대만]]을 언급했다는 이유로 뜬금없이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중국인들에게 반발이 있던 적이 있었는데, 2020년 11월 4일에 뮤즈 대시의 퍼블리셔인 [[X.D. Global]]에서 그 사건으로 인해 hololive 소속 버츄얼 유튜버의 뮤즈 대시 스트리밍을 금지하는 공지를 올리는 것도 모자라서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관련 단어만 나오면 밴을 먹이게 되었다. PeroPeroGames(뮤즈 대시 제작진)측은 본 공지와 관련해 이는 뮤즈 대시를 퍼블리싱하는 X.D. Global에서 독단적으로 결정한 것이며, 우리는 정치적 문제와 선을 긋고 싶고 게임만 만들고 유저들과 같이 즐기면서 노느라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에 대해서 알지도 못했는데 이런 일이 일어나서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뮤즈 대시에 대한 스팀 평가가 순식간에 비추로 곤두박질쳤으며 X.D.Global에 대한 불신이 중국 이외의 국가 팬들에게 뿌리 깊게 박힌 상황이다. 이에 대한 리뷰 테러도 벌어졌으나, 스팀의 리뷰 테러 보호 장치로 인해서 평가에 반영되지는 못했다. 정작 hololive 대만 언급 관련으로 홀로라이브 측으로 우르르 몰려가 소동을 일으킨 장본인인 해당 중국인들 중 일부는 X.D. Global에서 중국어로만 공지하고 영어로 공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대외적으로만 이미지 관리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뚤어진 애국심]]으로 사적으로 [[괘씸죄]]를 적용해 [[아몰랑]]을 시전하고 있다. 이 여파 때문인지는 불명이지만, 2021년부터 일본 서버를 제외한 글로벌 유통사가 X.D. Global에서 PeroPeroGames의 자회사인 hasuhasu로 이전했다. 다만 일본 유통사는 여전히 X.D. Global이 맡기 때문에 일본 국가 한정으로 이 정책은 여전히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계획대로 판매 중단 === [include(틀:다른 뜻, 설명1=통합팩 '계획대로'의 판매 중단 발표, 문서명1=Muse Dash/음악 팩, 앵커1=계획대로 판매 중단)] == 기타 == *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뮤즈 대시'가 맞는 표기이나 공식 카페 등지에서 '뮤즈 대[[쉬#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을 때 종종 나타나는 사례]]'로 표기하고 있다. 중국어 간체 표기는 '喵斯快跑'이다. * '''음악 팩은 플랫폼마다 구입해야 한다.''' 세이브 데이터는 공유되기 때문에 음악 팩은 안 샀는데 [[계획대로]] 일러스트가 있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한다. PC면 [[할인마]] 활동시기에 구매하도록 하자. * 회사명인 peropero와 퍼블리셔명인 hasuhasu를 합치면 '핥짝핥짝 하악하악'이다(…) 너무 귀여워서 모두가 화면을 핥고 싶어하는 게임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회사는 광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다. * 2018년 7월 13일 공식 한글패치가 추가되었다. [[https://x.com/PeroPeroGuys/status/1011811326744715265?t=7jrsc_Xi-Cj5NU1ojIt9BA&s=19|#]] 그러나 배급사가 [[X.D. Global]]인 탓에 정말 개판스러운 번역을 자랑했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여러 오타와 오역들이 대거 수정되며 현재는 정상화되었다. * 2018년 한국의 인디게임 페스티벌인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에서도 출품을 했다. 근데 회사 이름이 이름이다보니 수상을 위해서 회사이름을 읽다가 사회자가 피식하기도. 그리고 그해 올해의 최우수 사운드 상을 수상했다. * 만우절에 다음과 같이 바뀌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시스템 시간을 4월 1일로 바꿔도 볼 수 있다. * 튜토리얼이 바뀐다. 체감 난이도는 8 ~ 9. * 일부 노트가 비둘기로 바뀐다. * 처음 화면에서 로고가 EROEROGAMES로 바뀐다. * 2021년 만우절에는 회사가 파산처리 했다는 언급과 메뉴화면을 괴상하게 바꿔두는 기행을 벌였다. DLC가 워낙 혜자스러움을 회사도 인지했는지 그에 대한 언급도 같이 해놓아서 진짜로 문닫았냐는 반응이 다수였다. 하지만 4월 2일 공식 디스코드에 만우절 농담이라는 공지를 올려 결국 장난임이 밝혀졌다.[* [[파일:Muse Dash April Fools` day joke.png]]] * 이후 2022년 만우절에서는 [[Muse Dash/음악 팩#냥냥 유니버스!|냥냥 유니버스!]] 음악 팩 추가와 함께 메인 캐릭터 3인의 의상을 대충 낙서한 듯한 외형의 고양이로 바꾸는 기행을 보였다. 대사도 모두 Meow~로 바뀌었다. (다만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고 조금씩 다르다) * 2025년 만우절 이벤트는 무려 신작 Muse Dash: Legend를 출시했다...는 실상은 각종 중국산 저질 [[양산형 게임]]들 패러디이다. [[https://x.com/MuseDashtheGame/status/1905545410392838472|#]] 심지어 한국어판에서는 리니지Muse(...)라며 리니지라이크까지 풍자하고 있다. * 클리어 시 나오는 노래는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16600/QP_Shooting__Dangerous/|QP Shooting - Dangerous!!]]의 [[https://www.youtube.com/watch?v=oUUVPe-qKJ0|Stage Complete]]이다. * 2021년 12월 15일부로 퍼블리셔가 [[X.D. Global]]에서 PeroPeroGames의 자회사인 hasuhasu로 바뀌었다.[* 일본 한정으로는 현재도 [[X.D. Global]]에서 퍼블리싱한다.] 이를 계기로 2022년부터 XD 한국 트위터에서 뮤즈대쉬 한국 공식 트위터로 뮤즈대쉬 소식통이 바뀌었다. * 2022년 4월 피드백 사이트가 개설되었다.[[https://service.peropero.net/#/report|피드백 사이트]]{{{#!wiki style="padding-top: 5px; padding-bottom: 10px" [[파일:뮤대 피드백 사이트 기념.png|width=350&border-radius=8px]]}}} * 2022년 6월 새로운 공식 홈페이지 사이트가 생겼다.[[https://musedash.peropero.net/|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padding-top: 5px; padding-bottom: 10px" [[파일:뮤대 공식 홈페이지 기념.png|width=350&border-radius=8px]]}}} * 놀랍게도 2024년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단 하루, 24시간 한정으로 안드로이드 및 앱스토어에서 본작을 무료배포 했다. 특히 구글스토어에서 배포된 게임 중에서는 상당히 이례적으로 평가가 좋은 최신게임을 배포한 것. 이에 국내 커뮤니티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은 편이다. * 2024년 6월, 중국의 음향기기 브랜드 [[수월우]]와의 단방향 콜라보를 공개했다. 뮤즈대쉬 컬러링을 적용한 쿽스2 이어폰 및 아크릴 굿즈를 판매 중이다. [[https://e.tb.cn/h.6wratCwPCVcnTsl?tk=w7EWVmrBbEH|Taobao - hasuhasugoods]] 사진 속 린 옆 캐릭터는 수월우의 마스코트인 KATO 이어폰의 커버 캐릭터. {{{#!wiki style="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8px" [[파일:뮤즈대쉬 수월우 콜라보.png|width=500]]{{{#!wiki style="padding-top: 10px" [[파일:뮤즈대쉬 수월우 콜라보 실사진.jpg|width=500]]}}}}}} * 25년 6월 26일 업데이트로 일부 곡들의 랭킹이 초기화되는 오류가 있었으나 이후 복구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usedash/38066?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B%9E%AD%ED%82%B9|#]] [[https://m.dcinside.com/board/musedash/38098|#]] * [[지오메트리 대시]]에 [[https://youtube.com/@pugmaster7066?si=XRXstSBg4dbTKQUW|@pugmaster706]] 이름의 맵 제작자가 만든 'Muse Rush' 커스텀 맵이 있다. 두 게임의 이름과 플레이 방식의 유사점에서 착안하여 10개월 440시간 동안 두 게임을 매시업하며 스프라이트 및 아트워크를 직접 그려 제작하였다고 한다. {{{#!wiki style="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8px" [youtube(h_G0gKz8jf4?si=)]}}} * 유니티 기반의 다른 게임들처럼 MelonLoader를 기반의 커스텀 모드가 존재한다. 캐릭터 외형, 피버 효과, 타격음 변경 등 편의성 모드에 더불어 커스텀 맵을 만들고 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모드도 존재한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모딩이 아니며 별도의 디스코드를 통해 공유되고 있고, 게임 클라이언트를 무단으로 변조한 약관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수 년째 공공연하게 모드가 배포되고 랭커도 거리낌없이 커스텀 영상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도[[https://youtu.be/2ho7M6FGkOQ?si=A5S_GUD-wCXcT2V1|#]] 아무런 제재 사례가 없어, 현재까지는 그냥 방조하기로 결정한 것처럼 보인다. 커스텀 맵의 경우 사용된 음원에 따라 페로페로게임즈의 정책에 무관하게 저작권 법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 유저들이 있는 커뮤니티에서는 커스텀 맵을 플레이하는 것을 터부시하기 때문에 관련 언급은 자제하는 편이 좋다.[* 커스텀 레벨은 [[osu!/비판|osu!]]나 [[A Dance of Fire and Ice/문제점 및 사건 사고#s.3|과거의 얼불춤]]처럼 저작권 관련으로 리겜 유저들 사이에서 인식이 매우 안좋기 때문에 당연한 처사다.] === 개발 비화 === 리듬 게임 "Muse Dash"의 초기 형태는 회사 창립자 큐리오시티(Curiosity, Haqi)가 몇 년 전 플레이했던 iOS용 Mad Acorn[* 여담으로 한국 게임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Mad_Acorn]]]이라는 미니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광저우 미술학원 재학 시절 졸업 작품으로 만든 것이었다. PeroPeroGames의 초기 멤버 4명은 모두 광저우미술학원의 서로 다른 학번의 동문들이었으며, 졸업 후에는 각자 다른 게임 회사에서 일하다가 창의성이 결여된 게임 개발에 대한 염증을 느껴 직접 게임을 만들고자 결심하게 되었다. 또한 음악 리듬 게임이 대중 게임 시장에서 틈새 장르로 오히려 생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큐리오시티는 게임 개발 스튜디오를 설립하였고 몇 년 동안 작업하면서 저축한 돈을 스튜디오의 모든 비용을 충당하는 데 사용했다. 2016년 해당 게임을 발표하고 큐리오시티의 미술학원 졸업 작품을 기반으로 개발을 시작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1세대 아트팀의 허락을 받지않아 리소스를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https://ngabbs.com/read.php?tid=37613891&page=1&rand=515|관련글(중국어 원문)]] 해당 관련글은 MOCHIPU라는 닉네임의 Live2D 아티스트가 본인이 2세대 아트 담당자였다고 주장하며 [[레드노트]]에 올라온 글에 대해 설명한다. 레드노트에 올라온 글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다음 각주 참고)][* « Muse Dash는 광저우 미술학원 학생들의 졸업 프로젝트(현 뮤즈대쉬, 1세대)였고, 주요 디렉터 Curiosity는 주로 프로그래밍을 담당했다. 당시 1세대의 아트를 담당하던 학생들은 졸업 후엔 더 이상 1세대 프로젝트에 관여하지 않았다. 이후 Curiosity는 본격적으로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게임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광저우 학원에서 졸업 프로젝트 (2세대)를 모집하여 다음 기수 후배의 학생을 그들이 프로그래밍 및 식사를 제공하는 대신 아트를 작업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졸업 작품의 리소스 뿐만 아닌 (현 뮤즈대쉬)1세대의 리소스도 제작하게 하였고 학생들은 게임 출시 내용과 계획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뮤즈 대쉬가 스팀에 출시된 이후에도 법적으로 학생들의 미술 리소스를 사용할 권리가 없었음에도 묵인하여 사용하였고 사용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연락하지 않았다. 물론 출시 후의 정식 아티스트들에겐 정상적으로 페이를 지불하고 있다. » 라고 주장했다. 해당 주장이 사실이라면 초기 캐릭터 디자인의 출처 정보가 없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일 것으로 추정된다.] 2년간의 개발을 거치며 원래는 2017년 크리스마스에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중국 게임 심사 절차에 걸리며 출시가 불가피하게 연기되었고 개발자들은 사과의 뜻을 전했다.[* [[https://b23.tv/dwxm2Xl|여장 영상]] 여장까지 하며(??) 사과 영상을 올렸다.] 게임의 품질은 기다려온 플레이어를 설득하기에 충분하였다. ||<width=50%>[[파일:94eef65d-d357-49f9-951b-c49b1a028e37.webp|width=100%]]||<width=50%> [[파일:df1a6169908c375a0ea738cf201053d5.jpg|width=100%]] || || 캐릭터 배너 || [[타이베이 게임쇼|타이페이 국제 게임쇼]] || 개발팀은 중국 본토, 대만, 일본 등 여러 지역의 게임 전시회에 참가하였고, 많은 플레이어들로부터 호평과 추천을 받았다. 제작진은 유저들에게 게임 테스트를 요청하며 개선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 이 개발 초기에는 지금과는 방향성이 약간 달라 에로게에 더 가까웠던 듯하다. [[https://x.com/PeroPeroGuys/status/1031175097548075009?t=qEkM3B2Jd-6BPreDYxG0Eg&s=19|#]] [[https://youtu.be/vrgTB-nOpJI?si=ruh02cXVvkSG_UHx|초기 버전 플레이 영상]] 2년 이상의 개발을 거쳐 게임 "뮤즈 대쉬"가 2018년 6월 15일 모바일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이후 인기에 힘입어 Steam 플랫폼을 통해 PC 버전과 닌텐도 스위치 플랫폼에도 출시되었고 스팀 이용자 평가 압도적으로 긍정적을 유지하며 호평받았다. 내용 출처 : [[https://news.17173.com/content/06012018/151134420.shtml|#]][[https://zhuanlan.zhihu.com/p/28888353|#]][[https://gnn.gamer.com.tw/detail.php?sn=159783|#]][[https://baijiahao.baidu.com/s?id=1603757758084945018|#]][[https://www.sohu.com/a/190699468_483399|#]] == 외부 링크 == * [[https://twitter.com/PeroPeroGuys|PeroPeroGames 트위터]] * [[https://twitter.com/musedashthegame|뮤즈 대쉬 트위터(JP)]] * [[https://twitter.com/MuseDash_EN|뮤즈 대쉬 트위터(EN)]] * [[https://www.lofter.com/front/blog/home-page/museblog|lofter.com MuseBlog]] * [[https://peroperostore.com|peropero store]] - 뮤즈 대시 공식 굿즈 스토어 * [[https://e.tb.cn/h.h6VUZuCqNgNyW3F?tk=WerX4aoa9iX|hasuhasugoods]] - 타오바오 공식 굿즈 스토어[* 여담으로 캐릭터 굿즈 분야 인기 1위를 달성할 정도로 잘 팔리는 듯 하다.] * [[https://musedash.moe/|musedash.moe]] - 비공식 랭킹 집계 위키 * [[https://musedash.fandom.com/wiki/Muse_Dash|Fandom 공식 위키]] * [[https://wikiwiki.jp/musedash/|wikiwiki.jp(일본어)]] * [[https://zh.moegirl.org.cn/Muse_Dash|모에소녀위키(중국어)]] 유저 커뮤니티 * [[https://www.weibo.com/p/10080809c09d95a0f02fc619e63ed373827b3c|웨이보 커뮤니티]] * [[https://www.reddit.com/r/MuseDash/|r/MuseDash]] * [[https://m.dcinside.com/board/musedash|디시인사이드 뮤즈 대시 갤러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문서명=Muse Dash, version=1493, uuid=191d9637-41da-49a2-b312-85d1c28e19d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