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ove Yourself
(r4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YLO9rE6JnJ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Progressive House}}} || || {{{-1 '''BPM'''}}} ||{{{-1 125}}} || || {{{-1 '''작곡'''}}} ||{{{-1 [[IMLAY]] / [[예서(가수)|YESEO]]}}} || || {{{-1 '''작사/보컬'''}}} ||{{{-1 YESEO}}} || || {{{-1 '''BGA'''}}} ||{{{-1 [[SARA]](원화) / [[SB_ENGINEER]](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Catching fire 불이 붙고 있어요 You can make it if you want 원하면, 해낼 수 있어요 Nothing's matter 아무 문제 없어요 Every desire 모든 열망도 You can get it if you want 원하면, 가질 수 있어요 Nothing bothers 신경 쓰지 마요 Baby, let's over this 다 잊어버려요 I'll make your head burn 당신을 타오르게 만들게요 Let you on freedom 당신을 자유롭게 해줄게요 In this moment (moment) 이 순간 속에서 And move like this 이렇게 움직여봐요, Just spread your head up 머리를 흔들고 Then put your hands up 손을 들어봐요 In this moment (moment) 이 순간 속에서 And you can love baby now if you want (if you want) 원하면, 사랑할 수 있어요 And you can dance baby now if you burn (if you burn) 타오른다면, 춤출 수 있어요 And baby so what brings you back in here? 무엇이 당신을 여기 돌아오게 만들었나요? *And baby if you can't move yourself 당신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면, Then I'll let you move 내가 움직이게 해줄게요 If you can't move yourself 당신 스스로 춤출 수 없다면, Then I'll let you move 내가 춤추게 해줄게요 What is it makes you fire? 무엇이 당신을 불붙게 만드나요? Just scream my name more louder 그냥 내 이름을 크게 소리쳐요 If you can't move yourself 당신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면, Then I'll let you move(x2)* 내가 움직이게 해줄게요 Move Move Move Move *반복}}}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 [[Lost Temple(DJMAX)|Lost Temple]]을 제공한 [[SM엔터테인먼트]]의 일렉트로니카 뮤지션 [[IMLAY]]와,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부문에서 2년 연속 수상한 경력이 있는 뮤지션인 [[예서(가수)|YESEO]](예서)의 합작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gGXgLKuFAs|DJMAX RESPECT V 트레일러]]의 BGM으로 쓰였을 때부터 많은 유저들을 사로잡았으며, '''듣는 음악'''으로서는 V Extension에서 최고봉이라고 꼽는 유저들이 많다. 다만 대체적으로 중저레벨의 패턴을 배정받아[* 리듬게임이 거의 하는 사람만 하는 게임이기도 하고 그만큼 소위 말하는 고인물이 많기 때문에 곡 퀄리티나 비주얼에 상관없이 고렙패턴이 있기만 하면 인기곡 반열에 들수 있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 반대로 곡과 비주얼이 뛰어난 작품이라도 고레벨의 패턴을 배정받지 못하면 반짝 인기를 누린 뒤 금방 묻힐 수밖에 없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선곡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래도 시즌 6 패치를 통해 '''모든 키에 SC 패턴이 추가'''됨에 따라 이 문제는 해결될 듯 하다. 그리고 패턴과는 별개로 2:25초라는 어중간한 러닝타임 때문인지 Extended Mix가 따로 존재하지 않아 이 부분을 아쉬워하는 유저들이 지금도 다수 있다. BGA는 [[메트로 프로젝트]]부터 꾸준히 DJMAX BGA들의 일러스트를 담당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인 [[SARA]]가 원화를 담당했는데, SARA 특유의 화풍이 약간은 과장되게 그려진 면이 있어 약간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6f1b><bgcolor=#ff6f1b><nopad> [[파일:Move Yourself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7b14, #ff7b14, #ff7b14, #bba198, #249ded, #249ded)" '''{{{#2E3A42 V EXTENSION}}}'''}}} || ||<-4>'''{{{+5 Move Yourself}}}''' || ||<rowbgcolor=#ff6f1b><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974312><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6}}}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8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70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02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43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63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904}}}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301}}}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6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51}}}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2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8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52}}}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11}}} || ||<bgcolor=#ff6f1b><-5> 특수 패턴 || || DPC ||<-4> [[DJMAX RESPECT V/DPC#s-2.3.1.1|DPC 2024 Final Patterns]][br]{{{-2 (6B)}}}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상술했던 대로, 시즌 6 업데이트에서 전 버튼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전 버튼 SC 난이도 공통으로 고속 계단과 고속 트릴이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6 → 5, 5B 유지, 6B 8 → '''9''', 8B 유지[* 2.0 업데이트 당시에는 8레벨이었으나 시즌 16에서 9레벨로 상향.])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pAMJHvDKAl0)] ||<nopad> [youtube(BMdVYTshEb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Xgy6COwYmDw)] ||<nopad> [youtube(zbS5CysLdiw)] || 4B SC의 경우 빠르게 쏟아지는 고속 계단이 특징적이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Pe3nGjxb2y0)] ||<nopad> [youtube(_H5-cw81QN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Q-kQ3_C4spA)] ||<nopad> [youtube(BR8yPWAU6ps)] || 5B SC의 경우 6버튼과 비슷한 형태를 공유하지만 5버튼 특유의 배치를 응용한 구간이 찔끔찔끔 등장한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R44yNZqMLEA)] ||<nopad> [youtube(Bsgtv--i0T8)]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ABPRuLzP0ko)] ||<nopad> [youtube(SSTb6TAWM-g)] || 6B SC의 경우 빠르게 쏟아지는 고속 트릴이 특징적. 이때문에 퍼펙트 난이도가 상당히 증가하며, 고속 트릴 구간을 제외한 동치 구간도 마냥 쉽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5버튼과 6버튼 공통적으로 트릴이 오른쪽 손가락을 시작으로 해서 왼쪽 손가락에서 마무리되기 때문에, 어느쪽 손의 지력이 더 좋은지에 따라 미러 이펙터를 활용하면 개인에 따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974312><table bordercolor=#974312><table bgcolor=#ff6f1b><nopad> [youtube(cnR_eGhdIlw)] ||<nopad> [youtube(TdkS3CAexi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974312><nopad> [youtube(LhmZuj7z75c)] ||<nopad> [youtube(Ty0Z-cfVfOs)] || 8B SC는 앞서 서술한 SC 패턴들에 비해 고속 계단이나 트릴이 치기 불편한 배치로 나오지는 않고 5/6버튼 SC에 비해 노트 수도 많지 않아 중후반까지의 난이도는 그닥 높지 않으나, 문제는 후반. 영상 기준 2:05초부터 사이드-123-트리거 롱노트를 활용한 '''청기백기 구간'''이 등장하는데, 기존의 대표적인 청기백기 곡인 [[So Happy]] 8B SC보다도 헷갈리는 배치로 등장했다. 노트 자체가 So Happy보다 빨리 떨어지는 편인데다가, 롱노트뿐만 아니라 단노트 역시 123/트리거 배치로 등장하여 지속적으로 뇌를 방해해 8버튼에 웬만큼 통달한 유저가 아니라면 초견으로 잘 처리하기가 매우 힘들다. 후반에 모든 집중력을 쏟고, 사이드 경고문을 보고 사이드가 나오는 타이밍을 예상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Move Yourself, version=52, uuid=75511dfd-4680-43cd-a230-510d2b74479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