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achine Boy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POWER ANDRE 99]][[분류:2023년 음반]][[분류:한국의 록 음반]][[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분류:Dolby Atmos 지원 음반]] [include(틀:실리카겔(밴드))] ||<-2><tablebordercolor=#808080><tablewidth=400><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right><colbgcolor=#808080><colcolor=#fff> '''{{{+2 Machine Boy}}}[br]3rd EP''' || ||<-2><nopad> [[파일:silicagel Machine Boy.jpg|width=100%]] || ||<width=25%> '''발매일''' || [[2023년]] [[4월 25일]] ||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포스트 록]], [[익스페리멘탈 록]] || || '''재생 시간''' || 26:24 || || '''곡 수''' || 6곡 || || '''기획사''' || [[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 || '''유통사'''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4월 25일]] 발매한 실리카겔의 미니 3집 앨범 == 소개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1c1d1f><bgcolor=#808080><color=#fff> [[파일:Machine Boy 로고.svg|height=20]][br]'''The 3rd EP Albu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bgcolor=#fff,#1c1d1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000,#e5e5e5 {{{-1 점점 위로 상승하고 있는 줄 알았는데 돌연 새로운 출발 좌표를 찍는 밴드. 실리카겔은 이쪽을 향하고 있나 싶으면 어느덧 굴곡의 방향을 튼다. [Machine Boy]는 실리카겔의 새로운 출발점이자 변곡점과 같은 EP다. 그간 7장의 싱글을 통해 실리카겔이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 그 조각 조각을 맛볼 수 있었다면, [Machine Boy]를 통해 이들이 만들어 갈 세상을 마음껏 들여다보고 또 매혹되보자. 지나온 시간에 대한 축약본이라기보다는 앞으로 펼쳐질 대장정의 오프너에 가깝다.[br][br]실리카겔의 음악은 차갑게 쓰여서 뜨겁게 연주되는 것 같다. [Machine Boy]에선 차가움과 뜨거움, 빛과 어두움, 이별과 출발 같은 반대되는 속성 간의 역학 관계가 느껴진다. 그중에서도 유일하게 이름을 가진 인물이 등장하는 트랙 ‘Machineboy空’엔 빛과 어두움의 대비를 보여주는 캐릭터 머신보이가 등장한다. 스스로를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고 여기는 그는 자신을 캄캄한 지하실에 유폐한다. 그러나 문득 자신도 누군가와 연결된 존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자 빛이 있는 밖으로 한발을 내딛는 인물이다. 이번 작품엔 유독 자신에게 박한 캐릭터들이 등장해 목소리의 온도를 낮춘다. 그러나 네 멤버들의 감정과 생각, 에너지가 결합하여 한 자리에서 연주될 때 서사를 압도하는 뜨거움이 쏟아져나온다. 기계의 차가움과 소년의 뜨거움이 공존하는 머신보이처럼. [br][br][Machine Boy] 속 세계는 실험적이고, 혼합적이며 긴장이 감돈다. 새로운 소리는 실험성을, 여러 장르의 교차는 혼합성을, 결핍이 있는 인물은 현실과의 긴장을 담당한다. ‘Budland’는 선두에 서서 진보적인 소리를 선보이는 역할을 맡는다. 록이 전자 음악을 품은 걸까, 전자음악이 록을 품은 걸까. 답을 맞혀보는 와중에 ‘Machineboy空’에서 흘러나오는 피아노 독주는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 선택지를 추가하게 한다. 실리카겔은 이번 EP에서 밴드의 앙상블에 초점을 맞췄다. 멤버들은 각자 멜로디를 쓰고 모두 모여 함께 연주하며 음악으로 만들었다. 그러니 장르의 혼합은 의도된 게 아니다. 누군가의 곡이 우리의 곡이 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현상일 뿐. [br][br]6년이란 시간 동안 실리카겔의 곁엔 함께 밴드의 미래를 도모하고 준비해주는 동료들이 생겼다. 이번 EP는 팀 실리카겔, 모두의 결정이 한데 모여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더 많은 사랑과 함께 향하는 실리카겔의 여정이 우리를 어디로 이끌지 기대된다. 이 여정을 즐기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글자 하나하나를 해체하고 해독할 필요도 없다. 그저 이들의 세계와 나의 세계가 만나는 그곳에서 자유롭게 노닐어보자. 마음대로 상상하기도, 때론 머신보이와 닮아있는 나의 결핍을 발견하기도, 그리고 결국엔 따뜻한 해결책을 손에 쥐고 나오면 좋겠다. 자신하건대, 듣고 나면 전과 같지 않은 자신을 자각(realize)하게 될 것이다.}}} ---- {{{-2 신샘이}}} }}}}}} ||}}}}}}}}} || == 수록곡 == ||<-3><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width=500><rowbgcolor=#80808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1c1d1f> '''EP <Machine Boy>''' || ||<-3> 2023. 04. 25. (화) 발매 || ||<rowbgcolor=#808080><rowcolor=#fff><width=5%> '''트랙''' ||<width=30%> '''곡명''' ||<width=15%> '''작곡자''' || || {{{-2 '''01'''}}} || {{{-1 Budland}}} ||<|6> {{{-1 실리카겔}}} || || {{{-2 '''02'''}}} || {{{-1 Mercurial[br]{{{-4 {{{#!html <b><span style="background: #D7d7d7;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color: #000; ">선공개}}}}}}}}} || || {{{-2 '''03'''}}} || {{{-1 '''Realize'''[br]{{{-4 {{{#!html <b><span style="background: #d7d7d7;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color: #000; ">TITLE}}}}}}}}} || || {{{-2 '''04'''}}} || {{{-1 Machineboy空}}} || || {{{-2 '''05'''}}} || {{{-1 T }}} || || {{{-2 '''06'''}}} || {{{-1 NO PAIN (Fire-Toolz Remix)}}} || === Budland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youtube(R2hzvmnjC8E)] || ||<#808080> {{{#fff '''<Budland>'''}}} || || {{{#!folding [ 가사 보기 ] ---- 당신은 겁이 나서 낮에도 깨 - 눕지 못해 - 천 개의 혼 앞에서 웃지 못해 - 숨지 못해 -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가족의 꿈 앞에서 사랑 따위 없대 - 그딴 것 없대 - 꼭 수호해야 한다는 규칙 이제 그만해 - 제발 그만해 -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please don't worry about me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야바히바라히요 [br] ---- }}} || ==== M/V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color=#fff> '''실리카겔 (Silica Gel) - Budland [MV]''' || ||<nopad> [youtube(9s_G8Dv25uI,width=640,height=360)] || === [[Mercurial]] === ||<-2><#adb1ba> [[파일:Mercurial 로고.svg|width=200]] || ||<nopad> [youtube(WvIaKOaolxg)] || ||<tablebordercolor=#adb1ba><bgcolor=#adb1ba><tablewidth=500px><tablealign=center> {{{#000 '''<Mercurial>'''}}} || ||<#fff,#191919> {{{#!folding [ 가사 보기 ] ---- 나보다 못난 건 없어 비겁한 모습만 있어 엽기적인 생각들과 수치심만 느꼈어 역겨운 사람과 싸움을 했어 애석하겠지만 승자는 없어 내 귀에 네가 낳은 알이 있어 내 맘속엔 항상 세상엔 아름답지 않은 사건들만 알려지고 있다고 내 맘엔 그런 빌어먹을 바이러스들이 잠시 One million and Power supply For babyface and Peace makers said 'We can't fly' Flame (Woo) We can't fly (Woo) This is the fake life Life is not wonderful (Woo) 역겨운 사람과 싸움을 했어 애석하겠지만 승자는 없어 내 귀에 네가 낳은 알이 있어 내 맘속엔 항상 세상엔 아름답지 않은 사건들만 알려지고 있다고 내 맘엔 그런 빌어먹을 바이러스들이 잠시 [br]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ercurial)] === Realize === ||<#808080> [[파일:Realize 로고.png|width=1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youtube(jZyKcwGoQpM)] || ||<#808080> {{{#fff '''<Realize>'''}}} || || {{{#!folding [ 가사 보기 ] ---- 지금 널 잊어줄게 혼자 무섭지만 이런 것쯤 견뎌볼게 나지막이 걸을 때 들킬 듯 말 듯 지켜보고 선 사람들 웃음을 참게 돼 눈물이 멎게 돼 부끄러운 모습들만 이렇게 이렇게 Please Release 다시 돌아갈 순 없을 거라고 난 생각해 So Please Realize 이제 더는 앞서갈 필요도 없지 눈물을 참게 돼 기억을 잃게 돼 부끄러운 모습들만 이렇게 이렇게 지금 널 잊어줄게 혼자 무섭지만 이런 것쯤 견뎌볼게 나지막이 걸을 때 들킬 듯 말 듯 지켜보고 선 사람들 고백을 하게 돼 리듬을 잃게 돼 부끄러운 모습들만 이렇게 이렇게 Please Release 다시 돌아갈 순 없을 거라고 난 생각해 So Please Realize 이제 더는 앞서갈 필요도 없지 [br] ---- }}} || 멤버 [[최웅희]]의 개인 유튜브채널인 채 웅희최 널에 녹음 비하인드가 올라왔다. [[https://youtu.be/RcdTIPn2sVk|SILICAGEL AWESOME MOMENTS 6-2]] ==== M/V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color=#fff> '''실리카겔 (Silica Gel) - Realize [MV]''' || ||<nopad> [youtube(0CZJZDPyAZY,width=640,height=360)] ||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Mercurial]]과 이어진다. 몇몇 장면은 두 M/V에 모두 등장하며, 이번 M/V의 주인공은 Mercurial의 M/V에서의 [[김한주(실리카겔)|김한주]]가 들고 있던 그 머리의 주인이다. 김춘추가 연기했고 보컬도 김춘추가 맡았다. === Machineboy空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youtube(CIC6Z49SSTQ)] || ||<#808080> {{{#fff '''<Machineboy[[空|{{{#fff 空}}}]]>'''}}} || || {{{#!folding [ 가사 보기 ] ---- 자각할 새도 없이 감금 상태에서 벗어났다. 내 꿈은 무엇인가? 생존에 바빠 잊었다. 바람이 통한다는 게 꽤나 간지럽지만 익숙해지지 않으면 다시 지하에서 날 쫓을 것 같아. 천 년도 더 전에 모든 것을 잊었지만 이런 나도 사랑의 중요함을 알 수 있을까? 이런 나도 사랑의 행진에 합류할 수 있을까? 이런 나도 [br] ---- }}} || 해당 가사는 [[POWER ANDRE 99]]의 타이틀곡인 [[Ryudejakeiru]] 뮤직비디오에서 중간중간에 등장하며, Ryudejakeiru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이자 [[김한주(실리카겔)|김한주]]가 연기하는 인물이 바로 Machine Boy임을 암시하게 된다. 김한주의 피아노 독주가 4분가량 이어지는데 라이브에서는 [[Seven Nation Army]], [[아리랑]], [[마라탕후루]]등 팬들이 다 알만한 노래로 분위기를 환기하는 역할을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hUdSihL8zA8|2분 30초 즈음부터 보면 된다]]. 심지어 [[2024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서는 알람시계를 이용한 퍼포먼스까지 보여준다. === T === ||<#808080> [[파일:T 로고.svg|width=35]]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youtube(M3-0lgSTmZc)] || ||<#808080> {{{#fff '''<T>'''}}} || || {{{#!folding [ 가사 보기 ] ---- Don't listen to anybody's advice, just do your own, try to. [br] ---- }}} || [[https://youtu.be/oW4ss8L8dqo?t=2&si=5odhcKIqVW7iWqiF|본 영상]](영화감독 [[요나스 메카스]] 인터뷰)의 0:02~0:12 부분이 나레이션으로 샘플링되었다. 해당 곡은 [[Tik Tak Tok]]과 이어지며 Tik Tak Tok 싱글 앨범의 1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s://youtu.be/DIPxnt5vnhU?si=tfhQuUK5Mob_siuy|M/V]]에서는 아예 같이 나온다.] 그러나 T에서 Tik Tak Tok으로 넘어갈 때 약간 딜레이가 있다는 반응이 있었다. 해당 딜레이는 [[POWER ANDRE 99]]에서 매끄럽게 재생되도록 수정되어 발매되었다. 래퍼 [[염따]]가 발매한 정규 앨범 [[살아숨셔 4]]의 [[살아숨셔 4#s-2.4|IE러니]]라는 곡에 해당 음원이 샘플로 사용되었다. === NO PAIN (Fire-Toolz Remix)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youtube(ULJzPOnOeU0)] || ||<#808080> {{{#fff '''<NO PAIN (Fire-Toolz Remix)>'''}}} || || {{{#!folding [ 가사 보기 ] ---- 내가 만든 집에서 모두 함께 노래를 합시다 소외됐던 사람들 모두 함께 노래를 합시다 내가 만든 집에서 모두 함께 노래를 합시다 소외됐던 사람들 모두 함께 노래를 합시다 우리만의 따뜻한 불 영원한 꿈, 영혼과 삶 난 오늘 떠날 거라 생각을 했어 날 미워하지 마 No pain, no fail 음악 없는 세상 Nowhere, no fear 바다 같은 색깔 No cap, no cry 이미 죽은 사람 아냐, 사실 No pain, no fail 음악 없는 세상 Nowhere, no fear 바다 같은 색깔 No pain, no fail, no fail 음악 없는 세상 Nowhere, no fear 바다 같은 색깔 (아냐) Nowhere, no fear (사실) 이미 죽은 사람 (아냐) No cap, no cry (사실) 이미 죽은 사람 (아냐) (사실) 사실 아냐, 사실 아냐, 사실 아냐, 사실 [br] ---- }}} || 2022년 발매된 <[[NO PAIN]]>의 [[리믹스]] 버전. == 수상 및 평가 ==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4 최우수 모던록 음반)]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0d0d><tablebgcolor=#fff,#191919><bgcolor=#0d0d0d>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bgcolor=#0d0d0d> '''{{{#e5d85c 최우수 모던록 음반}}}''' || ||<width=30%> [[검정치마]] [br] <[[TEEN TROUBLES]]> [br] (2023년) || {{{+1 →}}} ||<width=30%><bgcolor=#ffffa1,#5d5e00>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 [br] <Machine Boy>''' [br] (2024년) || {{{+1 →}}} ||<width=30%> 단편선 순간들 [br] <음악만세> [br] (2025년) || ||<tablebordercolor=#0d0d0d><bgcolor=#0d0d0d>||<tablealign=left><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차가운 용암이다. 뜨겁도록 차갑다. 전기적 록과 전자적 팝의 이중전공, 또는 융합학부. 이 낯선 캠퍼스 위를 마음껏 뛰노는 건 익숙하되 새로운 경험이다. 리프와 리듬은 풍요롭게 굽이치고 그 푸른 잔디 위로는 벨벳의 멜로디 카펫이 팔방으로 뻗어간다. '모던록'이 모던과 록의 합성어라면, 이것은 2023년 모던록의 가장 뾰족한 마터호른일 수밖에 없다. 첫 곡 ‘Budland’에서부터 이상한 진풍경이 펼쳐진다. 흡사 본 이베어(Bon Iver)를 연상시키는, 액체 금속 로봇 T-1000처럼 흐물흐물 갈래지어 흘러내리는 보컬 하모나이저가 튀어나온다. 기타의 불길하도록 발랄한 연속 발현(撥絃), 톰톰(tom-tom) 드럼의 편집증적인 박동은 잔혹동화 속 방향 잃은 깨금발 앙감질처럼 천연덕스럽게 악곡을 몰고 가고, 마침내 분출하는 후렴은 은서(隱棲) 부족 방언인 듯 불가해한 ‘야바히바라히요’의 찬트다. 쉬이 들리나 쉽게 휘발되지 않는 선율들, 실험적 악곡에 대중성의 허브(herb)를 뿌려대는 보컬 멜로디는 시종 본작의 절경이다. 전기기타 사운드도 특기할 만하다. 이 전자적이며 유기적인 이율배반의 질감은 보컬과 함께 ‘머신 보이’라는 가상 인공 유기체를 청각적으로 조형해 낸다. 이어지는 ‘Mercurial’ ‘Realize’까지…. 록의 타격감이 팝의 유연성을 포용하고, 분출하는 기승전결의 음악적 드라마로까지 나아간다.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추상적이며 현대적인 시어, 또는 가사는 이 음악적 흐름에 의해 멱살 잡혀 ‘하드캐리’ 된다. 앞의 세 곡이 새로운 ‘팝-록’ 공식을 천명했다면 후반부를 점한 9분 21초짜리 대곡 ‘Machineboy空’은 곡 단위의 이해 기반을, 그 X축과 Y축을 과감히 옮겨 버린다. 결과는 본작이 사실 사이키델릭 록이자 프로그레시브 록이며 곧 콘셉트 앨범임을 과시하는 것이다. 중반부의 피아노 솔로는 꿈과 꿈, 또는 꿈과 현실을 잇는 기이한 현수교다. 고전 음악인 척 굴다 불협음으로 앙탈 부리며 끝내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처음의 반복구로 시나브로 연결돼 버린다. 학자연하는 이뿐 아니라 문외한, 삼척동자의 이목도 단숨에 삼켜버리는 쾌작들이 있다. 르네 마그리트나 살바도르 달리의 회화처럼 말이다. [Machine Boy]가 그러하다. 본작은 인공지능 시대, 발랄한 팝의 동산에 전시된 기괴하고 아름다운 조각품이다.}}}}}} ---- {{{#!wiki style="margin:4px" {{{-2 선정위원 임희윤 }}}}}} || ||<tablebordercolor=#0d0d0d><bgcolor=#0d0d0d>||<tablealign=left><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록이 지닌 장르 간의 방대한 교감과 사운드의 다채로운 시도가 함께하는 작품이다. 여전히 남다른 감각에 실린 풍미 가득한 실리카겔 음악의 정수마저 느껴진다. 풍파를 이겨낸 밴드를 연상하게 만들 정도의 단단한 겹으로 완성된 이 음반은 EP 이상의 정규작에 가까운 결과물로 채워졌다. 9분대의 대곡 ‘Machineboy空’과 ‘Realize’는 탄탄한 연주의 결과 매혹적인 보컬, 사운드의 질감이 돋보인다. ‘머신보이’를 찾아 나선 여정을 담고 있는 이 앨범은 2024년을 빛낼 두 번째 정규작 [POWER ANDRE 99]로 귀결되고 있다.}}}}}} ---- {{{#!wiki style="margin:4px" {{{-2 선정위원 고종석 }}}}}} || == 여담 == * 하입비스트와 뉴스토마토에서 발매 기념 인터뷰를 진행했다. * [[https://hypebeast.kr/2023/4/silica-gel-ep-machine-boy-interview|하입비스트 인터뷰]] *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88281|뉴스토마토 인터뷰]] == 둘러보기 == [include(틀:POWER ANDRE 99)]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Machine Boy, version=102, uuid=78a77093-0dd0-4df7-a541-694082b152a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