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Love, Epilogue
(r6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UfMMskPWNc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3 (2025)}}} || || {{{-1 '''장르'''}}} ||{{{-1 Big Band Pop}}} || || {{{-1 '''BPM'''}}} ||{{{-1 236}}} || || {{{-1 '''작곡'''}}} ||{{{-1 [[seibin]]}}} || || {{{-1 '''작사'''}}} ||{{{-1 [[u32]]}}} || || {{{-1 '''보컬'''}}} ||{{{-1 [[mill]]}}} || || {{{-1 '''BGA'''}}} ||{{{-1 nonnon(원화) / LUMINA(모션)}}} || |||| {{{#!folding [ 가사 보기 ] What if the world had no perfect boundaries 만일 세상에 완전한 경계가 없고 And there was no need to hide a dream 꿈을 숨길 필요가 없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The deep velvet of the curtains are the only ones that hide 당신 안의 빛나는 아름다움을 숨길 수 있는 건 Radiating beauty inside 커튼의 깊은 벨벳 뿐 As my mind endures all the symphony 피부 밑에서 춤 추는 교향곡을 That’s forever dancing under my skin 마음이 견뎌내고 있는 동안 Wish I could hide, but oh, how I wish for an embrace 숨길 수 있으면 좋으련만, 하지만 포옹할 수 있으면 좋으련만 Only the scent of your hair flows by 당신의 머리카락 향기만이 스치네 I know, destiny may be cruel 알아요, 운명은 잔혹하기도 하죠 It’s tailored to break the most delicate heart 가장 섬세한 마음을 부수도록 설계되어 있죠 As long as there’s proof we once held hands 우리가 손을 잡았다는 증거가 남는 한 I cannot hope for more 그 이상은 바랄 수 없어요 Overture (A) new stage starts to breath 새 무대에 숨이 깃들고 I wish you were with me 당신이 나와 함께였으면 좋겠어 Reenacting all the lines 모든 대사를 함께 재연하면서 말야 All the confetti, the blessing 모든 꽃가루, 축복 You know why they’re not for us 우리를 위한 게 아닌 이유를 알잖아요 Loomed destruction 얼핏 보이는 파멸이지만 that I can follow with no regrets 난 후회 없이 따를 수 있어요 Amour amer 씁쓸한 사랑이여 As fate does us part 운명이 우리를 가를 때 You recite your last line 당신은 마지막 대사를 읊는다 The curtains fall, we’re done 커튼은 내려가고, 우리의 역할은 끝난다 Our secret performance 우리만의 비밀스러운 연극 We’ll never live it out again 다시는 살아갈 수 없겠죠 But that’s how romance ends 하지만 로맨스는 그렇게 끝나잖아요? La mort! 죽음이여! As fate does us part 운명이 우리를 가를 때 I recite my last line 나는 마지막 대사를 읊는다 The curtains fall, it’s gone 커튼은 내려가고, 이제 영영 사라진다 Our secret performance 우리만의 비밀스러운 연극 We’ll never live it out again 다시는 살아갈 수 없어 But that’s how I know you’re safe… 하지만 당신을 지킬 수 있다면… }}} || == 개요 == V EXTENSION 5의 [[ECiLA]] 이후로 오랜만에 참전한 [[seibin]]의 [[DJMAX RESPECT V]] 신곡. 보컬은 [[J-POP]] 커버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는 [[mill]]이 담당했다. 특이점이라면 BGA와 곡의 스토리텔링이 동일하다. 뮤지컬 배우[* BGA 중후반에 등장하는 신문 기사를 보면 'Singer'라고 표현되지만, 작곡가인 [[seibin]]이 여배우를 사랑한 코디네이터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직접 밝혔고, BGA 내에서 샬롯이 공연을 펼치는 모습을 보면 가수, 배우 모두 해당되는 직업인 뮤지컬 배우로 추정된다.] '샬롯'과 그녀를 사랑한 여성 코디네이터 '클라라'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u32]]가 작사한 가사 또한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고 [[동성애]]에 대한 은유적 표현도 섬세하게 묘사되었기 때문에 가사와 함께 BGA를 감상하면 더욱 곡의 스토리텔링이 잘 전해진다. BGA의 결말이 매우 비극적인데, [[보디가드(영화)|샬롯의 스캔들에 분노한 남자가 그녀를 향해 총을 쏘고, 그것을 클라라가 대신 맞아 죽는다는 내용]]과 함께 이후 샬롯 또한 클라라의 마음을 깨닫고 그녀를 그리워한다는 내용으로 마무리된다. 공교롭게도 클라라를 상징하는 꽃이 [[민들레]]인데, 해당 꽃의 꽃말이 '행복, 감사, 이별'이라는 걸 감안하고 보는 것도 하나의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3)]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cd3658,#cd3658><bgcolor=#97253f,#97253f><nopad> [[파일:Love, Epilogu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cd3658 0% 45%, transparent 45% 49%, #cd3658 49% 59%, transparent 59% 65%, #fe6c7a 65% 76%, transparent 76% 82%, #ff8391 82% 93%, transparent 93%), linear-gradient(-154deg, transparent 0% 10%, #e6455c 10% 20%, transparent 20% 26%, #b12d47 26% 36%, transparent 36% 42%, #97253f 42% 52%, transparent 52% 56%, #97253f 56% 64%, transparent 64% 73%); color:#fff" '''{{{#fff,#fff V LIBERTY 3}}}'''}}} || ||<-4>'''{{{+5 Love, Epilogue}}} {{{-1 (feat. mill)}}}''' || ||<rowbgcolor=#fe6c7a,#fe6c7a><rowcolor=#3f2546,#3f2546><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d3658><colcolor=#fcbcc3>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7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8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7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7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0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6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8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2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9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0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2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3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9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46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ff8391 0% 7%, #cd3658 7% 12%, #fe6c7a 12% 20%, #cd3658 20% 100%)" {{{-3 {{{#fff,#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쉬어가는 곡이라는 예측과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생각보다 난이도가 높은 채보가 나왔으며, 특히 6B의 경우는 최후반에 나오는 불규칙한 박자의 롱잡 트릴이 퍼펙트 플레이를 가로막는 변수로 작용한다. 또한 러닝타임이 2분 40초에 육박하는 긴 곡이기 때문에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 4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W3NkGZqFqQ0)] ||<nopad> [youtube(gvRUe1A9ikU)]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Jkl2qk5L0bs)] ||<nopad> [youtube(2ZjJr-lqkmo)] || === 5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OA2xvUU48cQ)] ||<nopad> [youtube(_iBRu-7w-LU)]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M3jY5yDw5Us)] ||<nopad> [youtube(_8NJg2N8-vE)] || === 6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QXE6ya-DPEw)] ||<nopad> [youtube(soq2UOqK4Jg)]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VIbJg3ZZTKc)] ||<nopad> [youtube(f7S51Oamgd8)] || === 8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js1kCm-qnAY)] ||<nopad> [youtube(IAi7YlZBDnw)]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Sdr7yF6XJMw)] ||<nopad> [youtube(X5csyjYCrCw)] ||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Love\, Epilogue, version=44, uuid=44d8fcc0-ccc2-4824-a532-7684197330b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