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LoL e스포츠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대회]]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정보)] ||<-2><tablebordercolor=#0fe3f9,#0fe3f9><tablewidth=480><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right><bgcolor=#0fe3f9,#0fe3f9> {{{#!wiki style="margin: 15px" [[파일:LoL e스포츠 로고.svg|width=90%]]}}} || ||<width=25%><colbgcolor=#0fe3f9,#000><colcolor=#000,#0fe3f9> '''운영주체''' ||[[라이엇 게임즈]] || || '''총괄''' ||크리스 그릴리(Chris Greeley)[* [[https://www.riotgames.com/en/who-we-are/riot-games-leadership/chris-greeley|#]]] || || '''컬러''' ||{{{+5 {{{#0fe3f9,#0fe3f9 ■}}} {{{#000,#000 ■}}}}}} || || '''[[틀:LoL e스포츠 국제 대회|{{{#000,#0fe3f9 국제 대회}}}]]''' ||[[First Stand Tournament]][br][[Mid-Season Invitational]][br][[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 '''지역 리그''' ||'''[[틀:LoL e스포츠 지역 리그|5개 리그]]''' || ||<-2><bgcolor=#fff,#1c1d1f> [[https://watch.lolesports.com/|[[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width=16&theme=light]][[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 블루.svg|width=16&theme=dark]]]] [[https://www.youtube.com/channel/UCvqRdlKsE5Q8mf8YXbdIJL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lolespor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8]]]] [include(틀:X(SNS) 로고, 링크=lolesports, 크기=18)] [[https://www.instagram.com/lolespor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https://www.flickr.com/photos/lolesports/| [[파일:플리커 아이콘.svg|width=20]]]] [[https://dam.gettyimages.com/riotgames-esports/press|Getty Images]]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bordercolor=#0fe3f9><tablealign=center><nopad> [youtube(ctvf2AkdRbs, width=100%)] || ||<bgcolor=#0fe3f9> {{{+1 {{{#000 '''Welcome to LoL Esports'''}}}}}} || ||<bgcolor=#fff,#1c1d1f> ''' LoL e스포츠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br]전 세계 팬들을 열광시키는 국제적 수준의 플레이부터 월드 챔피언십에서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전설적인 장면까지, 모두 LoL e스포츠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리그 오브 레전드]]의 [[e스포츠]] 현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 역사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등장은 [[e스포츠]] 판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출시하기 전부터 관심도 많았던 게임이고, [[MOBA]] 장르 특성상 e스포츠에 대한 기대도 높았다. 출시 후 솟아오르는 인기와 더불어 [[온게임넷]]에서도 2012년 3월부터 총 상금 2억 원의 리그가 개최된 것을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201260100146310013132&servicedate=20120125|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을 기점으로 롤 대회는 대단히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적으로 대회도 많이 열리며, 국내에서도 다수의 게임단이 창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2013년 2월 28일에 열린 2012 한국 e스포츠 대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종목상을 수상하며, 사실상 e스포츠를 시작하게 만든 [[스타크래프트]]의 입지를 완벽하게 계승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는 웬만한 스포츠 리그와 겨뤄도 밀리지 않는 대형 리그로 성장했다. 시즌 3부터 [[라이엇 게임즈]]는 [[북아메리카|북미]]와 [[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최초의 정규리그인 LCS를 직접 개최하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의 승인으로 [[http://kotaku.com/pro-gamers-are-athletes-says-u-s-government-767901989|프로게이머들은 타 스포츠 선수들과 같은 종류의 비자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타 스포츠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미국 워킹 [[비자]]가 발급되기 때문에 선수들이 보다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대회에 참가하기 쉬워졌다. 라이엇의 꾸준한 로비와 홍보로 성사된 이번 일은 미국에서 e스포츠가 다른 기존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스포츠로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다. 2013년과 2014년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으며, [[League of Legends Champions]]와 LCS가 나름 꾸준히 흥행 중이다. 2015년엔 LMS가 신설되어서 GPL에서 대만/홍콩/마카오가 분리되었고, 남라틴과 북라틴의 리그가 분리되었다. 게다가 오세아니아도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이 만들어지면서 OPL이 개설되었다. 심지어는 일본에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이 만들어지면서 일본 게임사에도 족적을 남기게 되었다.[* 일본은 대회에 상금을 거는 게 관습으로 안걸었기 때문에 이 전까진 전업 프로게이머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 대회인 [[Mid-Season Invitational]]이 개설되었다. 일본 Esports판도 2016년 들어서 커질 준비를 하고 있다. [[http://www.redbull.com/us/en/esports/stories/1331775168360/detonation-gaming-japanese-esports|#]] 해당 영어 기사는 일본 게임단인 DetonatioN의 전 카스 프로게이머이자 현 롤팀 매니저에 대한 기사이며 간략하게 일본의 eSports판을 설명해준다. 이 사람에 의하면, 롤이 부흥하고 일본에까지 들어오는 이 시기에 맞춰가지 않으면 일본은 뒤처질 것이라고 한다. 2016년에는 러시아/CIS 지역이 [[LoL Continental League|LCL]]로 개편되었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와일드카드 최초 8강 진출이라는 큰 업적을 세웠다. 2017년에는 MSI와 월즈에서 플레이 인 예선을 도입하게 되면서 와일드카드 지역이 플레이 인 지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 대회인 [[Rift Rivals]]가 신설되었다. 2018년에는 GPL에서 큰 활약을 하던 베트남 리그 VCS가 분리되었다. [[마스터카드]]가 2018 월즈부터 첫 번째 글로벌 스폰서로 참여해 월즈 외 MSI, 올스타도 후원한다고 한다. 자세한 건 사이트 [[http://www.leagueoflegends.co.kr/?m=news&cate=notice&mod=view&schwrd=&page=1&idx=259861|참고]] 2019년에는 CLS과 LLN이 [[Latin America League|LLA]]로 통합되어서 진행될 예정이고 EU LCS는 [[LEC]]라는 명칭으로 리브랜딩하였다. [[Turkish Championship League|{{{#1a3d6b,#94b6e4 TCL}}}]]과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ed1b30,#ee201a LJL}}}]], [[Oceanic Pro League|{{{#8cd7f6 OPL}}}]],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00f6d7,#08ffe0 LCL}}}]]은 [[프랜차이즈제]]가 도입되었다. 2020년부터 LMS와 LST가 PCS로 통합되고 중동지역에 새로운 리그가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의 발발로 인해 중동에서 개최될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던 MSI가 취소되는 등 악재가 잇달아 라이엇 중동 리그 계획은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0년 7월 21일, LoL e스포츠 브랜드를 새롭게 바꿔 e스포츠가 의미 있고 장기적인 직업이 될 수 있다는 가치관을 담아 사이트 개편과 명확한 브랜드를 출범했다. 2020 월즈 진행 도중에 OPL이 해체되었으나, [[Electronic Sports League|ESL]]과 기네비어 캐피털이 합작하여 라이엇으로부터 3년간의 개최권을 부여받아 [[LCO]]로 2달여 만에 부활했다. 2021년에는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와 [[CBLOL]]에 프랜차이즈가 도입되었다. 또한, 스프링 직후 [[LCO]]가 미국의 배달앱 업체 'DoorDash'로부터 네이밍 스폰서십을 받아 '[[LCO|DoorDash LCO]]'로 리그명을 변경했다. 그리고 서머 중에 일본의 [[LJL]]에서 아카데미 리그를 창설했다. 2022 시즌을 앞두고 독립국가연합의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LCL]]이 사실상 프랜차이즈제를 폐지하고, 다시 승강제로 회귀했다. 코로나로 잠정 중단되었던 로컬 대회인 Open Cup을 다시 부활 및 개편시켜, 승강전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다만 LCL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큰 사건]]'''이 터지며 리그 자체가 중단되었다. 또한 [[LCO|DoorDash LCO]]가 스폰서십의 종료에 따라 다시 리그명을 'LCO'로 회귀시켰다. 2023년에는 마이너 리그의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되었다. LCO는 PCS와 국제 대회 진출권이 통합되었고 TCL과 LCL은 유럽 2부 리그인 ERL에 편입되었다.[* 다만 LCL은 전쟁의 여파로 2023 ERL 시드권 소개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리고 20년부터 간간히 말이 나왔던 중동 리그가 ERL에 편입되었다. 다만 ERL에는 국제 대회 시드권이 부여되지 않아서 TCL, LCL의 국제 대회 시드권이 해당 개편으로 인해 소멸된 상태가 되었는데 이로 인해 국제전 포맷 및 시드권 분배 변경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2024년 VCS에서 대규모 승부조작 사태가 터지면서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2024년 7월 30일, LoL e스포츠 나즈 알레타하 총괄이 라이엇 게임즈 퇴사 소식을 알렸다. 이번 가을에 회사를 완전히 떠날 예정이다.[[https://www.tg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215|#]] 크리스 그릴리(Chris Greeley)가 나즈 알레타하 뒤를 이어 새로운 총괄로 위임되었다.[[https://www.riotgames.com/en/who-we-are/riot-games-leadership/chris-greeley|#]] 2025년에는 기존 포맷을 완전히 뒤엎는 대격변이 일어났다. 요약하자면 피어리스 드래프트 정식 도입, '''5대 리그 정립 및 마이너 리그 통폐합'''[* 태평양 지역의 리그인 PCS, VCS, LJL을 통합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과 아메리카 지역의 리그인 LCS, LLA, CBLOL을 통합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새로운 국제 대회인 [[First Stand Tournament]] 출범, 세 번의 국제 대회와 월드 챔피언십 진출권을 위한 지역 리그에서의 세 개의 스플릿과 지역 챔피언십 운영 등이다. 또한 리그 공통으로 제 3 스플릿이 제 2 스플릿 결과에 종속되게 바뀌었다. LCK, LPL, LEC, LCP는 제 2 스플릿 순위에 따라 조가 나뉘며 한 술 더 떠 LCK는 제 2 스플릿 기간에 열린 1라운드-2라운드 승패를 그대로 들고 제 3 스플릿 기간 3라운드-5라운드에 돌입한다.[* [[스플릿 리그]] 시스템을 도입하기때문에 하위 스플릿(라이즈 그룹)에 속한 경우 정규 시즌에서는 5위 이상으로 올라갈 방법이 없으며 플레이오프에서만 뒤집을 수 있게 된다.] LTA는 제 2 스플릿 각 컨퍼런스 순위가 제 3 스플릿 첫 대진을 결정한다. === [[홀 오브 레전드]] === LoL e스포츠의 명예의 전당 성격으로 발촉한 전당이다. 자세한 내용은 [[홀 오브 레전드]] 참고. == 리그 및 대회 == 리그 오브 레전드는 e스포츠 대회 중 최고 시청자 수 기록이 높은 종목 중의 하나로, 특히 공식 통계(중국 제외) 기준으로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단 한 번도 왕좌를 내어준 적이 없다. 2021년 모바일 게임[* PC 인프라가 열악한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시청자 자체가 많이 모이는 특성이 있는데, 이들 지역의 인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인 [[Free Fire]]에 최고 시청자 수 기록을 내어주었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2023 월즈 결승전]] [[T1/리그 오브 레전드|T1]] vs [[WBG]] 경기에서 6,402,760명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전체 게임과 리그 오브 레전드 자신의 기록을 계속 갱신하고 있다. 연봉보다는 주로 상금 의존도가 높은 다른 e스포츠 종목과는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는 고정된 시청자층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제 등을 적극 도입하고, 최저 연봉 등의 제도를 신설하여 상금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선수들의 직업 안정성 면에서 타 게임 대비 안정성 보장이 잘 되도록 한 면이 돋보인다. 다만 연봉 지출에 대한 부담은 다시 반대급부로 리그의 재정적 생존성[* 북미 지역의 경우 비대한 자본 대비 리그 성패와 흥행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반대로 한국 지역의 경우 리그 흥행은 좋지만 연봉 지출 대비 자본이 작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기도 한다. 서드 파티가 주최하는 대회의 비중이 작지 않은 타 e스포츠와 달리 LoL e스포츠는 라이엇 게임즈의 각 지사가 엄격하게 대회 체계를 관리하고 있다. 각 시즌은 세 개의 스플릿 시즌으로 구분되고, 월드 챔피언십 직전에 스플릿 성적을 기반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러 당해의 우승 팀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규 스플릿 시즌은 각 지역 리그 단위로 치러지며, 스플릿 시즌 사이의 국제 대회인 FST, MSI와 스플릿 시즌이 끝난 뒤 국제 클럽 최강자전인 월드 챔피언십이 치러진다. === 시즌 포맷 === ||<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white,#1c1d1f><tablealign=center><rowbgcolor=#0fe3f9><rowcolor=black><width=65px> '''캘린더''' ||<width=50px> '''1월''' ||<width=50px> '''2월''' ||<width=50px> '''3월''' ||<width=50px> '''4월''' ||<width=50px> '''5월''' ||<width=50px> '''6월''' ||<-2><width=50px> '''7월''' ||<width=50px> '''8월''' ||<-2><width=100px> '''9월''' ||<width=55px> '''10월''' ||<width=55px> '''11월''' ||<width=65px> '''12월''' || || '''대회[br]분류''' ||<-2> 스플릿 1 ||<|6><bgcolor=#ebe5e7> [[First Stand Tournament|{{{#45002c '''FST'''}}}]] ||<-3> 스플릿 2 ||<|6><bgcolor=#222> [[Mid-Season Invitational|{{{#ddd '''MSI'''}}}]] ||<-3> 스플릿 3 || 지역리그[br]챔피언십 ||<-2><|6><bgcolor=#00032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fff '''Worlds'''}}}]] ||<|6> 비시즌 || ||<rowbgcolor=#1C192B> {{{#fff '''LCK'''}}} ||<-2> {{{#fff '''LCK컵'''}}} ||<-3> {{{#fff '''1-2라운드[br]Road to MSI'''}}} ||<-3> {{{#fff '''3-5라운드[br]플레이-인'''}}} || {{{#fff '''플레이오프'''}}} || ||<rowbgcolor=#f50909> {{{#fff '''LPL'''}}} ||<-2> {{{#fff '''스플릿 1'''}}} ||<-3> {{{#fff '''스플릿 2'''}}} ||<-3> {{{#fff '''스플릿 3'''}}} || {{{#fff '''시즌 플레이오프[br]Worlds 선발전'''}}} || ||<rowbgcolor=#B2A27E> {{{#fff '''LTA'''}}} ||<-2> {{{#fff '''스플릿 1'''}}} ||<-3> {{{#fff '''스플릿 2'''}}} ||<-3> {{{#fff '''스플릿 3'''}}} || {{{#fff '''챔피언십'''}}} || ||<rowbgcolor=#00e4be> {{{#000 '''LEC'''}}} ||<-2> {{{#000 '''윈터'''}}} ||<-3> {{{#000 '''스프링'''}}} ||<-3> {{{#000 '''서머[br](그룹 스테이지)[* 크로스 그룹 경기(Crossplay Decider) 포함]'''}}} || {{{#000 '''서머[br]플레이오프'''}}} || ||<rowbgcolor=#f68a48> {{{#000 '''LCP'''}}} ||<-2> {{{#000 '''시즌 킥오프'''}}} ||<-3> {{{#000 '''미드 시즌'''}}} ||<-3> {{{#000 '''시즌 파이널'''}}} || {{{#000 '''플레이오프'''}}} || 2025년에 [[First Stand Tournament]]가 신설되며 모든 메이저 리그가 위의 포맷을 공통으로 따르게 된다. 국제 대회로 두 개의 미드-시즌 대회와 시즌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챔피언십을 진행하며, 이 국제 대회의 출전권을 얻기 위해 각 지역 리그에서 세 번의 스플릿을 진행한다. 이러한 국제 대회 포맷은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를 통해 흥행성이 입증된 바 있다.[* 발로란트와 차이점을 꼽자면 발로란트는 MSI격의 대회인 [[발로란트 마스터스|마스터스]]가 두 번 열리는 반면, 리그 오브 레전드는 아예 별개의 국제 대회가 신설되었다.] === 국제 대회 === [include(틀: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First Stand Tournament]] 첫 번째 스플릿과 두 번째 스플릿 사이의 봄에 개최되는 단기 세계 대회. 각 리그별로 한 팀만 출전하기 때문에 클럽 단위보다는 리그 단위의 대항전이자 시즌의 포문을 열어 팬들의 흥미를 돋우는 대회이다. * [[Mid-Season Invitational]] 두 번째 스플릿과 세 번째 스플릿 사이의 여름에 개최되는 중간 결산 세계 대회. 각 리그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시기에 개최되는 국제 대회인데다, 2023년 시드 개편 이후 월드 챔피언십의 출전권과도 깊은 연관이 있어 일명 '우승 후보'들의 전력을 파악하는 '미리 보는 월즈'의 성격을 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지역 리그가 종료된 후 가을에 개최되는 시즌 결산 세계 대회. LoL e스포츠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이며, LoL 선수들에게 가장 큰 명예를 안겨주는 대회라고 할 수 있다. 그 시즌의 최고의 팀을 결정하는 무대인 만큼 상금, 흥행 양 면에서 기성 스포츠 포함 종목을 불문하고 최고 수준의 대회이다. 선수로서는 우승만 한다면 상금뿐만이 아니라 엄청난 인기와 명예, 그리고 연봉의 앞자리가 바뀐 계약서까지도 받아낼 수 있는 그야말로 기성 스포츠의 [[UEFA 챔피언스 리그]]와도[* 얼마나 위상이 크냐면 UEFA 챔피언스 리그 성적 하나로 한 시즌 최고의 선수상으로 불리는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할 수 있다.] 같은 상징적인 무대이다. === 지역 리그 및 대회 === [include(틀:LoL e스포츠 지역 리그)] LoL e스포츠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역마다 [[e스포츠]]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지역은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운영한다. 2016 시즌까지는 월즈 고정 시드를 가지고 있었던 4대 리그를(LEC, LCS, LCK, LPL) 서양권에서는 흔히 'Premier Region(프리미어 지역)', 한국에선 '메이저 지역'이라고 언급되었고, 그 외 라이엇에 의해 공인된 나머지 리그들을 '인터네셔널 와일드 카드 인비테이셔널' 대회를 거쳐서 국제 대회에 올라온다는 이유로 'Wild Card Region(와일드카드 지역)'으로, 한국에서는 '마이너 지역'이라고 언급되었다. 2017 시즌부터는 와일드 카드 제도 대신, 본선 확대를 위한 플레이-인 제도가 도입되며 'Play-In Region(플레이-인 지역)'으로 통칭되었지만, 아직도 해외에서는 4대 지역 외 리그를 자주 '와일드카드 지역(Wild Card Region)'이라고 언급했다. 본디 3장의 시드권을 가지고 있던 LMS(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까지 합쳐서 5대 지역으로 구분된 적도 있다. 하지만 리그 규모의 정체와 자본력 약화 등으로 전반적인 기량이 정체되더니 5대 지역 중에서 최약체 취급도 모자라 후술할 플레이-인 리그에게 따라 잡혔다는 여론이 생기게 되었다. 심지어 대만 내 [[승부조작]] 사태까지 겹치며 위상이 나락으로 추락하더니 끝끝내 리그가 동남아시아 지역과 통폐합되면서 4개 메이저 지역 체제로 재편되게 되었다.[* LMS의 이 자리를 MSI에서 충격적인 모습을 모여준 VCS가 계승해 2020 시즌부터는 LCK-LCS-LEC-LPL-VCS 이렇게 5대 메이저 리그로 진행될 것이라는 말도 나왔지만, VCS가 2019 월즈에서 부진하면서 결국 LMS가 빠진 4대 메이저 리그 체제로 가게 되었다.] 2025 시즌부터 기존의 LCK, LEC, LPL을 제외한 나머지 리그를 2개로 통합해 총 5개의 지역 리그로 진행될 예정이다. 기존의 LCS, LLA, CBLOL을 LTA로 통합하고 기존의 PCS, VCS, LJL, LCO를 LCP로 통합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fff,#1c1d1f><bgcolor=#0fe3f9> {{{#000 '''LoL e스포츠 지역 리그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시즌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연합,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출력= )] || [[독립국가연합|[[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width=26]]]] || [[북아메리카|[[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6]]]] || [[중앙아메리카|[[파일:중미 통합 체제 깃발.png|width=26]]]][* [[멕시코]]/[[코스타리카]]/[[콜롬비아]]] || [[남아메리카|[[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width=26]]]][* [[칠레]]/[[페루]]/[[아르헨티나]]]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 || [[동남아시아|[[파일:ASEAN 깃발.svg|width=26]]]][* [[태국]]/[[필리핀]]/[[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 )]/[include(틀:국기, 국명=홍콩, 출력= )]/[include(틀:국기, 국명=마카오, 출력= )] || [[오세아니아|[[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width=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2012 ||<|14><bgcolor=#1c192b>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fff LCK}}}]] || || || || || ||<|2> ||<|2> ||<|3><bgcolor=#3971ac>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fff RBCL}}}]] ||<-3><|3><bgcolor=#000> [[Garena Premier League|{{{#fff GPL}}}]] ||<|2> ||<|2> || || 2013 ||<|13><bgcolor=#f50909> [[League of Legends Pro League|{{{#fff LPL}}}]] ||<|6><bgcolor=#a31521>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Europe|{{{#fff LCS EU}}}]] ||<bgcolor=#0fe3f9> [[Turkish Championship League|{{{#000 RTT}}}]] ||<bgcolor=#0fe3f9> {{{#000 RCC}}} ||<|6><bgcolor=#1371b7>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fff LCS NA}}}]] || || 2014 ||<|9><bgcolor=#3f567c> [[Türkiye Championship League|{{{#fff TCL}}}]] ||<|2><bgcolor=#c84649> [[SLTV Challenger League|{{{#fff SLTV}}}]] ||<-2><bgcolor=#0fe3f9> {{{#000 RLAC}}} ||<bgcolor=#0fe3f9> {{{#000 ROT}}} ||<|10><bgcolor=#ed1b30>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fff LJL}}}]] || || 2015 ||<bgcolor=#0009b3> [[Liga Latinoamérica Norte|{{{#fff LAN}}}]] ||<bgcolor=#0009b3> [[Copa Latinoamérica Sur|{{{#fff LAS}}}]] ||<|10><bgcolor=#0b0718>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fff CBLOL}}}]] ||<-2><|3><bgcolor=#000> [[Garena Premier League|{{{#fff GPL}}}]] ||<|5><bgcolor=#1d92e2> [[League of Legends Master Series|{{{#fff LMS}}}]] ||<|6><bgcolor=#8cd7f6> [[Oceanic Pro League|{{{#fff OPL}}}]] || || 2016 ||<|7><bgcolor=#00f6d7>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000f11 LCL}}}]] ||<bgcolor=#000> [[Liga Latinoamérica Norte|{{{#fff CLN}}}]] ||<|3><bgcolor=#1C253A> [[Copa Latinoamérica Sur|{{{#fff CLS}}}]] || || 2017 ||<|2><bgcolor=#1c1d1f> [[Liga Latinoamérica Norte|{{{#fff LLN}}}]] || || 2018 ||<|7><bgcolor=#f0fea6> [[Vietnam Championship Series|{{{#000 VCS}}}]] ||<|2><bgcolor=#c9519f> [[League of Legends SEA Tour|{{{#fff LST}}}]] || || 2019 ||<|4><bgcolor=#00e4be>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000 LEC}}}]] ||<|6><bgcolor=#efece7>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000 LCS}}}]] ||<-2><|6><bgcolor=#ff6528> [[Latin America League|{{{#000 LLA}}}]] || || 2020 ||<-2><|3><bgcolor=#101725> [[Pacific Championship Series|{{{#fff PCS}}}]] || || 2021 ||<|2><bgcolor=#0f3341>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fff LCO}}}]] || || 2022 || || 2023 ||<|3><-3><bgcolor=#00e4be>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000 LEC}}}]] ||<-3><bgcolor=#101725> [[Pacific Championship Series|{{{#fff PCS}}}]] || || 2024 ||<-4><bgcolor=#101725> [[Pacific Championship Series|{{{#fff PCS}}}]] || || 2025 ||<-4><bgcolor=#b2a27e>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fff LTA}}}]] ||<-5><bgcolor=#f68a48>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000 LCP}}}]] ||}}}}}}}}} || 복수 국가 지역인 경우 다른 지역과 다르게 2부 리그가 단일 리그로 구성되지 않고 다수의 리그로 구성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fff,#1c1d1f><bgcolor=#0fe3f9> {{{#000 '''LoL e스포츠 EMEA 지역 하위 리그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시즌 || [[프랑스]] || [[독일]] || [[스페인]] || [[폴란드]] || [[발트 3국]] || [[영국]] || [[북유럽]] || [[이탈리아]] || [[그리스]] || [[포르투갈]] || [[발칸반도]] || [[체코]] || [[베네룩스]] || [[튀르키예]] || CIS || MENA || ||<colbgcolor=#fff,#1c1d1f><colcolor=#1c1d1f,#fff> 2015 || CF ||<|3><bgcolor=#fe642e> {{{#fff ESLM}}} ||<|3><bgcolor=#fe642e> {{{#fff LVP}}} ||<|3><bgcolor=#fe642e> {{{#fff ESL MP}}} ||<|3> || ESL PL || ||<|3> ||<|2> ||<|3> LPLOL || ||<|3> HM || ||<|8><bgcolor=#3f567c> [[Turkish Championship League|{{{#fff TCL[br][*TR 튀르키예 지역 리그]}}}]] ||<bgcolor=#c84649> [[SLTV Challenger League|{{{#fff SLTV[br][*CIS 독립국가연합 지역 리그]}}}]] ||<|5> || || 2016 ||<|2><bgcolor=#fe642e> {{{#fff CF}}} ||<|2><bgcolor=#fe642e> {{{#fff ESL PL}}} ||<|2><bgcolor=#fe642e> {{{#fff Ragnarök}}} || FCS ||<|2> ESL BNL ||<|7><bgcolor=#00f6d7>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000f11 LCL[br][*CIS 독립국가연합 지역 리그]}}}]] || || 2017 || LGC || EBL || || 2018 ||<rowbgcolor=#F60055><rowcolor=#fff> LFL Tour ||<|2> PRM Tour ||<|4> [[LVP SuperLiga|{{{#fff SL}}}]] ||<|4> UL || BEL || FoC ||<|2> NL ||<|4> PGN || LGC ||<|4> LPLOL ||<|4> EBL ||<|4> HM ||<|2> BPL || || 2019 ||<|3><rowbgcolor=#F60055><rowcolor=#fff> [[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fff LFL}}}]] ||<|3> BM || UKLC ||<|3> GLL || || 2020 ||<|2><rowbgcolor=#F60055><rowcolor=#fff> [[Prime League|{{{#fff PRM}}}]] ||<-2><|2> NLC ||<|2> BL&DL ||<|3><bgcolor=#0068b5> IAC[br][*MENA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리그] || || 2021 || || 2022 ||<|3><rowbgcolor=#9e00de><rowcolor=#fff><bgcolor=#bff549> [[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131A24 LFL}}}]] ||<|3><bgcolor=#bff549> [[Prime League|{{{#232323 PRM}}}]] ||<|3><bgcolor=#bff549> [[LVP SuperLiga|{{{#FF0060 SL}}}]] ||<-2><|2><bgcolor=#bff549> {{{#062530 UL}}} ||<-2><bgcolor=#bff549> {{{#3E0925 NLC}}} ||<|2> PGN ||<|3> GLL ||<|3> LPLOL ||<|3> EBL ||<|3> HM ||<|3> ESLOL || || 2023 ||<-2><|2><rowbgcolor=#9e00de><rowcolor=#fff> NLC ||<|2><bgcolor=#bff549> [[Türkiye Championship League|{{{#ec681e TCL}}}]] ||<|2> ||<|2> AL || || 2024 ||<-2><rowbgcolor=#9e00de><rowcolor=#fff> UL || LIT || ||<-18><bgcolor=#0fe3f9> {{{-2 {{{#fe642e 주황색}}}: EU CS 예선전 진출 | {{{#F60055 분홍색}}}: [[EMEA Masters|EM]] 참가 리그 | {{{#bff549 연두색}}}: [[League of Legends EMEA Regional Leagues|ERL]] 인증 리그 | {{{#9e00de 보라색}}}: [[League of Legends EMEA Regional Leagues|ERL]] 비인증 리그}}} ||}}}}}}}}} || ==== 5대 리그 ==== 5대 리그는 라이엇 공인 최상위급 리그들로 5개 지역으로 나뉜다. 이들 리그들을 기준으로 라이엇 공인 국제 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분배되는데, 각 리그마다 [[First Stand Tournament|FST]]에 1팀, [[Mid-Season Invitational|MSI]]에 2팀이 진출하며, MSI 성적에 따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에 각 리그마다 3팀 또는 4팀이 진출한다. ||<-5><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fe3f9><tablewidth=100%><bgcolor=#0fe3f9> {{{#000 {{{+1 '''5대 리그'''}}}}}} || ||<width=20%>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svg|width=100&theme=light]][[파일:LCK 심볼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width=20%>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파일:LTA 심볼.svg|width=100]]]] ||<width=20%>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파일:lec 심볼 민트.svg|height=90]]]] ||<width=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파일:LPL 심볼.svg|width=100]]]] ||<width=20%>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파일:LCP 심볼.svg|height=90]]]] || || '''대한민국'''[br][[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1C192B,#ddd LCK}}}]] || '''아메리카'''[br][[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B2A27E LTA}}}]] || '''유럽/중동/아프리카'''[br][[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00e4be LEC}}}]] || '''중국'''[br][[League of Legends Pro League|{{{#f50909 LPL}}}]] || '''아시아 태평양'''[br][[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f68a48 LCP}}}]]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 [[대한민국]]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LCK CUP) - 스플릿 1 기간에 열리는 컵 대회 * [[LCK Challengers League]](LCK CL) - 한국 2군 * [[LCK Academy Series]](LCK AS) - 한국 프로팀 아카데미 연습생 및 아마추어 선수들이 참가하는 정기 대회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LTA) - [[아메리카]]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North]](LTA North) - 아메리카 북부 * [[North American Challengers League]](NACL) - 2부 리그([[북아메리카]]) * Norte Regional Liga(NRL) - 2부 리그([[멕시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중남미]]·[[카리브해]])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South]](LTA South) - 아메리카 남부 * [[Circuito Desafiante]](CD) - 2부 리그([[브라질]]) * Liga Regional Sur(LRS) - 2부 리그([[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LEC) -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 [[League of Legends EMEA Regional Leagues]](ERL), [[EMEA Masters]](EM) - EMEA 2부 * 인증 리그 (Accredited ERLS) * [[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La Ligue Française]](LFL) - [[프랑스]] 리그 * Open Tour France - 프랑스 리그 최하위 2부 리그 승강전으로, 7단계의 토너먼트를 펼쳐 서킷 포인트 최상위 2팀이 LFL Div 2에 진출 * [[Türkiye Championship League]](TCL) - [[튀르키예]] 리그 * Türkiye Championship League Division 2(TCL2) - 튀르키예 2부 리그[* 2022년 이전 명칭은 Türkiye Academy League(TAL)] * [[LVP SuperLiga]](SL) - [[스페인]] 리그 * [[Prime League]](PL) -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리그 * 비인증 리그 (Non-Accredited ERLS) * Ultraliga(UL) -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조지아]]/[[이스라엘]] 리그 * Northern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NLC) - [[영국]]/[[아일랜드]]/노르딕 리그 * LoL Italian Tournament(LIT) - [[이탈리아]] 리그 * Esports Balkan League(EBL) - 발칸 리그 * LPLOL(LPLOL) - [[포르투갈]] 리그 * Greek Legends League(GLL) - [[그리스]]/[[키프로스]] 리그 * Elite Series(ESLOL) - [[베네룩스]] 리그 * Hitpoint Masters(HLM) - [[체코]]/[[슬로바키아]] 리그 * Arabian League(AL) - [[아랍]]/[[북아프리카]] 리그 * Circuito Tormenta - 라이엇 주관의 온-오프라인에 걸쳐 1년 동안 열리는 대회로, 스페인 지역의 아마추어 팀 및 아카데미 * 지위 미정 *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LCL) - [[독립국가연합]] * LCL Open Cup - 독립국가연합 승강전 컵 대회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LPL) - [[중국]] * [[LoL Development League]](LDL) - 중국 2부 리그 * [[Demacia Cup]] - 중국 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컵 대회 * National Electronic Sports Tournament(NEST) - 중국 컵 대회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LCP) - [[아시아-태평양 지역]] * [[Pacific Championship Series]](PCS) - [[태평양]] 연안 리그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LJL) - [[일본]] 리그 * [[Vietnam Championship Series]](VCS) - [[베트남]] 리그 * [[League of Legends Thailand Series]](LTS) - [[태국]] 리그 * [[Legends Ascend South Asia]](LASA) - [[남아시아]] 리그 * [[Liga Republika]](LR) - [[필리핀]] 리그 * [[League of Legends Nusantara Cup]](LNC) - [[인도네시아]] 리그 * [[League of Legends TITANS CUP]](LTC)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리그 * [[LCP Oceanic Promotion Qualifier]](OPQ) - [[오세아니아]] 리그 === 기타 리그 및 대회 === [include(틀: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 2013년 [[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대회]]부터 LoL e스포츠가 편입되었고, 당시 리그 대표로 kt 불리츠가 참가해 금메달을 수상했다. 이후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시범종목으로 편입되기도 했으며, 2020년 12월 16일 e스포츠가 정식 종목으로 지정되면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아시안 게임은 롤 이스포츠 정식 국가대항전이 되었다. 정식 종목 지정과 함께 한국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 획득 시, 병역 특례를 받을 수 있다는 국방부의 공식 반응도 이어졌다. * [[동남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 2020년 12월 16일 OCA에 의해 e스포츠가 정식 종목으로 지정되면서 [[아시안 게임]]뿐만 아니라 산하 아시아 지역 스포츠 이벤트인 동남아시안 게임 또한 e스포츠를 정식 종목화했다. 2021 31회 하노이 동남아시안 게임[* 코로나 사태로 1년 연기한 2022년 5월에 개최]부터 정식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을 개최한다. * [[한중일 e스포츠 대회]] - 한국e스포츠협회와 중국오락문화협회, 일본e스포츠연맹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e스포츠 대회로, 정부가 주도하는 첫 e스포츠 국가대항전 및 e스포츠 포럼이다. 아시안 게임에 이어 두 번째 정식 국가대항전이며, 대표로 선발되는 선수단은 주로 2군 선수들로 구성된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 스프링 직전에 열리는 대회. 올스타전을 대체하는 대회로 각 지역별로 개막 특별전을 진행한다. * [[Esports World Cup]](EWC) * ESWC Africa - Esports World Convention(ESWC)라는 프랑스의 e스포츠 단체에서 주관해서 북아프리카의 프랑코포니 국가들 중심으로 아프리카 지역에 최초로 개최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이다. MENA, 즉 북아프리카부터 중동까지 포함하는 아랍 지역과는 달리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들만 현재까지 참가한다. 기관 창립은 2003년의 전통 있는 기관으로, 유럽 지역에서부터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했다. 아프리카 지역의 대회는 2018년부터 열린 꽤 규모가 있는 e스포츠 대회로 알려져 있고, 리그 오브 레전드는 2019년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 League of Legends College Championship(CLOL) - 라이엇 공식 주관 하에 열리는 북미의 공식 대학 리그로 2015년 롤 e스포츠 초창기부터 개최되었다. 명칭을 수차례 변경한 끝에 지금의 포맷은 2018년부터 자리잡았으며, 넓은 미국 지역의 특성상 무려 10개 컨퍼런스로 나누어 리그를 진행, 상위 팀들이 플레이인 스테이지-챔피언십으로 단계적으로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지역별로 상금 규모도 천차만별로 최소 1만 달러에서 많은 곳은 4만 달러 이상의 지역 리그 우승 상금이 걸려있다. * LoL International College Cup(LICC) - 라이엇의 주관 하에 열리는 전 세계 국제 대학 리그의 챔피언들 간에 우열을 가리는 컵 대회로 2016년부터 개최되었다.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취소. * International e-Sports Festival(IEF) - IEF는 2012년부터 Tt esports라 불리는 사설 단체에서 주도하여 개최한 e스포츠 대회로, 초창기에 롤, 스타2, 워3 3종목을 기반으로 중국과 한국의 프로팀을 초청하는 형식으로 개최했다. 첫 대회명은 International e-Culture Festival로, 이후에 대회가 지속되긴 했으나, 라이엇의 주도로 이스포츠가 재편된 이후에는 프로 팀 공식 초청이 어려워지자, 대회 연맹을 한중 양국 정부의 협력하에 만들어 대학팀 혹은 국가대표 방식의 초청 대회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개최되고 있다. * Upsurge Premier League(UPL) - Upsurge Esports라는 북미의 사설 e스포츠 단체가 조직한 미국 대학 아마추어 리그로 2017년부터 개최되었다. 참가 가능 티어는 북미서버 그마 이상으로 사실상 준프로 수준을 위한 무대이며, 16개팀 씩 4조로 나누어 진행, 각 조별 상위 2팀부터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UPL외에 Upsurge Minor League(UML)[* 다이아 1~그랜드마스터], Upsurge Contenders League(UCL)[* 다이아 4~다이아 2], Upsurge Junior League(UJL)[* 플래티넘 4~플래티넘 1], Upsurge Gold League(UGL)[* 골드 4~골드 1]이라는 리그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 폐지된 리그 및 대회 === [include(틀:LoL e스포츠 폐지된 대회)] * [[IPL|IGN ProLeague]] - IGN Entertainment에서 주최했던 대회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개최되었다. 주로 스타2 대회로 명망이 깊었으나, [[IPL 5]]의 경우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를 주최하였고, 2012년 월즈보다 더 명망 있는 대회로 꼽히기도 했다. * [[DreamHack]] - 연간 20만 명이 방문하는 스웨덴의 LAN 디지털 행사로, 최초의 월즈가 드림핵 행사장에서 개최되었으나, 이후에 드림핵에서는 롤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 * [[Major League Gaming]] - MLG는 현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주관하고 있는 일종의 FPS 게임 대회이나, 과거 초창기 시절에는 블리자드 주관이 아니었고, 다양한 게임 대회가 개최되었다. 2011~2013년 사이 롤 대회가 개최된 바 있다. * [[World Cyber Games]] -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열렸던 국가대항전 형식의 다종목 국제 e스포츠 대회로 [[삼성전자]]의 후원으로 개최된 바 있다. 사실상 국가대항전의 성격을 띤 '사이버 올림픽'과 같은 형식이었고, WCG 2011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가 종목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WCG 2012에서는 다시 롤이 빠졌고, 마지막 대회인 WCG 2013에 다시 롤이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이후 대회가 폐지되었다. 현재 WCG 자체는 부활하였으나, 라이엇이 전체적으로 주관하는 롤의 종목 선정은 요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 World e-Sports Masters - World e-Sports Masters는 중국의 사설 e스포츠 주관 단체에서 개최한 일회성 대회로 2012년 유럽 1팀, 북미 1팀, 싱가포르 1팀, 한국 1팀과 중국 4팀의 8팀을 초청해 열렸다. 이후엔 개최된 바가 없다. * Battle of the Atlantic - 2013년 유럽과 북미 리그 간의 각 리그 1~5위 팀을 초청해 열린 라이엇 공식 주관 대회로, 리프트 라이벌스의 베이스가 되었다. * Riot Latin America Cup - 2014년 남미 지역에서 개최된 라이엇 주관의 최초 공식 롤 대회로, 이후 LLN과 CLS의 베이스가 되었다. * Circuit of Legends - 2014년 개최된 LAC의 하부 리그 격 대회로 주차별 챔피언 팀을 뽑아 월별 챔피언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LOL 인비테이셔널|League of Legends invitational]] - 차후 롤챔스로 변경. *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League of Legends Masters]] - 폐지. * [[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 - 2015 시즌부터 LoL Challengers Korea로 변경. * [[SLTV Challenger League]] - [[StarLadder]]에서 주관한 독립국가연합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로, 2016년 라이엇의 직영 전환으로 1부 리그 지위는 신설된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LCL]]에 내주고 2부 리그로 전환되었다. * [[IEM|Intel Extreme Masters]] - [[ESL]]이 주관하고 [[인텔]]이 후원하는 대회로서 대륙별로 팀을 모아서 1년에 한 번 월드 챔피언십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17년 5월에 발표된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개편안에 따라 폐지되었다. * North African Cyber League(NACL) -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로 2017년 일회성으로만 개최되었다. 알제리에서 개최되었고, 북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의 아마추어 팀들이 참가했다. * Riot Challengers Series(CS) - 북미의 2부 리그로, 2018 시즌 프랜차이즈화로 폐지 및 아카데미 리그로 재편. * League of Legends Semi Pro League(LSPL) - 2018 시즌부터 TGA와 통합되어 LoL Development League로 개편. * [[Garena Premier League]](GPL) - 2018 서머부터 SEA Tour로 변경. * Thailand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TLCS), Pro Gaming Series, Singapore Legends Series, The Legends Circuit, [[LoL Garuda Series]] - GPL이 SEA Tour로 변경되면서 국가별로 SEA Tour 예선으로 변경됨. * [[King of SEA]] - 2016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열렸던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벤트 롤 대회로 LST의 베이스가 되었다. * [[SLTV Challenger League|CIS Challenger League]](CISCL) - 독립국가연합 LCL의 2부 리그로, 프랜차이즈화로 인해 2018년을 마지막으로 폐지. * [[Liga Latinoamérica Norte]](LLN) - LLA로 통합. * Circuito de Leyendas Norte(CLN) * [[Copa Latinoamérica Sur]](CLS) - LLA로 통합. * Circuito Nacional(CN) * Turkish Challenger Series(TCS) - 터키 2부 리그로 2019년 프랜차이즈화와 함께 폐지 및 아카데미 리그로 재편. * LJL Challenger Series(LJLCS) - 일본 2부 리그로 2019년 프랜차이즈화와 함께 폐지. * Riot Leage Championship Series Europe(EU LCS) - 2019 시즌부터 LEC로 리브랜딩. * EU Challenger Series(ECS) - 2019 시즌부터 EM으로 리브랜딩. * [[League of Legends SEA Tour]](LST) - PCS로 통합. * LST Qualifier - 필리핀,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 태국 3개 쿼터로 나누어서 개별 국가별 시즌 진행 후, 서머 시즌에 최종 승강전 진행. * Liga Nacional Uruguay - LLA 산하 2부 리그 격인 LN의 지역 리그들 중 우루과이 국가 리그로 2019년 1년만 운영된 뒤 폐지됨. * SuperLiga ABCDE - 브라질 신설 리그. 브라질의 e스포츠 협회가 직접 운영하는 리그이다. 2전제 방식으로 A, B조 나눠서 그룹 스테이지를 하는데 평소 브라질과 다르게 2바퀴를 돈다. ABCDE 회원 팀만 참여할 수 있음. 2019년을 마지막으로 폐지. * Lenovo Legion of Champions Series - [[Lenovo]]의 주관으로 태국에서 2017~2019년 사이에 아마추어 팀들을 위해 열린 대회로, 2017~2018년 동안은 동남아시아만 참가하다, 2019년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전체에서 아마추어 팀들이 참여했다. 한국팀도 참가했는데 2019년 대회에서 Awe Star가 참가해서 우승을 차지했다. * [[League of Legends Master Series]](LMS) - PCS로 통합. * Elite Challenger Series(ECS) * Nordic Championship(NC) - LEC 2부 리그인 EM 산하의 북유럽 리그로, 2020년 영국 리그와 통합되어 NLC로 리브랜딩되었다. * LVP UK League Championship(UKLC) - LEC 2부 리그인 EM 산하의 영국 리그로, 2020년 북유럽 리그와 통합되어 NLC로 리브랜딩되었다. * Benelux Premier League(BPL) - LEC 2부 리그인 EM 산하의 베네룩스 리그로, 2020년 네덜란드/룩셈부르크의 DL과 벨기에의 BL로 분산되었다. * [[리프트 라이벌즈]] - 서머시즌 중간에 열리는 지역 대항전 성격의 단기 세계 대회. 2017년에 신설되었다가 2019년까지 개최했다. * MENA Championship - 중동 지역에 개최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로, 19000달러의 상금을 걸고 1회성 토너먼트로 개최되었다. UAE, 사우디, 이집트 3개 국가에서 각자 치러졌다. * [[2020 Mid-Season Cup]]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로 인해 취소된 MSI를 대신하여 개최된 일회성 대회. *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CK) - 2021 시즌부터 LCK 프랜차이즈 도입으로 폐지. * [[Oceanic Pro League]](OPL) - 2015년부터 개최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프로 리그. 2020년을 마지막으로 폐지가 발표되었으나, 2개월만에 [[Electronic Sports League|ESL]]과 기네비어 캐피털이라는 회사가 라이엇으로부터 3년간의 개최 운영권을 받아 다시 재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LCO로 리브랜딩되었다. * Oceanic Challenger Series - 오세아니아 2군. 다만 폐지 후 부활 과정에서 OCS의 운영 재개는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 African Esports League(AEL) - 튀니지의 AEL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연속 개최되며 해당 지역에서는 나름 큰 규모로 대회를 유지하고 있다. 첫 시즌에는 월별 토너먼트 형식으로 튀니지의 아마추어 팀들의 작은 토너먼트 대회였으나, 2020년에는 규모를 확대하여 사우디, UAE, 세르비아, 폴란드, 그리고 아프리카 대회라는 취지에 맞게 남아공의 아마추어 팀까지 초청하는 다국적 대회로 확장하여 개최되었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 발발 이후 대회 자체가 폐지되었다. * Belgian League(BL), Dutch League(DL) - 2022 시즌부터 베네룩스 지역 전체 통합 리그인 'Elite Series(ESLOL)'로 다시 개편되면서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세 국가의 각 국 리그는 산하의 2부 리그 LoL Benelux Circuit으로 변했다. * Intel Arabian Cup - [[인텔]]과 라이엇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중동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최초의 공식 롤 대회로 2020년부터 개최되었다. 각 중동 국가별 2시즌의 국가별 리그[* 알제리, 바레인,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모로코,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튀니지, UAE 등 총 13개 국가에서 참여.]를 펼쳐 리그별 우승팀들이 컵 대회를 통해 중동 전체 지역 챔피언을 가리는 형식이다. 현재는 [[League of Legends EMEA Regional Leagues|ERL]] 산하 Arabian League로 대체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 매년 겨울에 치러지는 올스타전 대회. 인플루언서 초청전, 칼바람 1대 1 대전, 축소된 리프트 라이벌즈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월즈 종료 후 스프링 개막 전까지 길게는 세 달 정도의 기간 동안 팬들의 적적함을 달래주곤 한다. 현재는 시즌 개막 특별전으로 대체.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LCS) - 2024년까지 존재했던 북미 1부 리그. 2025년 리그 통폐합으로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LTA]]로 통합되었다. *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CBLOL) - 2024년까지 존재했던 브라질 1부 리그. 2025년 리그 통폐합으로 LTA로 통합되었다. * [[Latin America League]](LLA) - 2024년까지 존재했던 라틴아메리카 1부 리그, 2025년 리그 통폐합으로 LTA로 통합되었다. == 프로게임단 == === 1군/1부 리그 === [include(틀:LCK 참가팀)] [include(틀:LCP 참가팀)] [include(틀:LTA 참가팀)] [include(틀:LEC 참가팀)] [include(틀:LPL 참가팀)] 2025 시즌 대격변 이후 총 '''60팀'''[* LCK 10팀, LPL 16팀, LEC 10팀, LTA 북부/남부 각각 8팀(총 16팀), LCP 8팀]이 참가 중이다. === 2군/2부 리그 === [include(틀:LCK CL 참가팀)] [include(틀:LDL 참가팀)] [include(틀:NACL 참가팀)] [include(틀:LRN 참가팀)] [include(틀:LRS 참가팀)] [include(틀:CD 참가팀)] [include(틀:EM 참가팀)] [include(틀:롤 ERL 참가팀)] [include(틀:PCS 참가팀)] [include(틀:LJL 참가팀)] [include(틀:VCS 참가팀)] [include(틀:LTS 참가팀)] === 해체 === [include(틀: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include(틀:해체된 EMEA LoL 프로게임단)] [include(틀:해체된 아메리카 LoL 프로게임단)] === 현존 프로게임단별 기록 === * ''' 지역별 가장 창단이 이른 팀''': [[OK저축은행 브리온]](LCK, 2012.02.14),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Team WE]](LPL, 2011.03.21), [[SK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K Gaming]](LEC, 2010.09.16, 1부 리그 최고령),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Team Liquid]](LTA 통합, 북부, 2011.08.28), [[pai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paiN Gaming]](LTA 남부, 2012.01.25),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DetonatioN FocusMe]](LCP, 2013.04.13) * '''지역별 가장 창단이 늦은 팀''': [[디플러스 기아/리그 오브 레전드|디플러스 기아]](LCK, 2017.05.03), [[Ultra Prime]](LPL, 2019.12.11),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Karmine Corp]](LEC, 2020.03.30), [[Shopify Rebellion/리그 오브 레전드|Shopify Rebellion]](LTA 통합, 북부, 2023.09.20, 1부 리그 최연소), [[Fluxo W7M]](LTA 남부, 2022.12.01), [[CTBC Flying Oyster]](LCP, 2022.01.27) * '''자국리그 최다 우승팀''': [[T1/리그 오브 레전드|T1]](LCK, 10회),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LPL, 6회),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LEC, 11회), [[Cloud9 Kia]](LCS, 6회)[* 해체된 팀을 포함할 경우 [[TSM/리그 오브 레전드|TSM]]의 7회가 최대이다.], [[LOUD/리그 오브 레전드|LOUD]], [[pai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paiN Gaming]](CBLOL, 4회)[* 해체된 팀을 포함할 경우 [[INTZ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INTZ]]의 5회가 최대이다.],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DetonatioN FocusMe]](LJL, 16회) * '''지역별 월드 챔피언십 최다 진출팀''': [[Gen.G/리그 오브 레전드|Gen.G]](LCK, 10회),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LPL, 7회)[* [[Royal Club]]의 역사를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e Give Up]]에 포함하면 8회로 RNG가 가장 많다.],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LEC, 11회, 1부 리그 최다), [[Cloud9 Kia]](LTA 통합, 북부, 10회), [[pai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paiN Gaming]], [[LOUD/리그 오브 레전드|LOUD]], [[Isurus Estral]](LTA 남부, 2회), [[GAM Esports]](LCP, 5회)[* 해체된 팀을 포함할 경우 [[ahq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ahq e-Sports Club]]와 타이 기록이다.] == 글로벌 파워 랭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PR)] [include(틀:LoL e스포츠 글로벌 파워 랭킹)] == 글로벌 파트너 == [include(틀:LoL e스포츠 글로벌 파트너)] == 관련 문서 == * [[LoL PARK]] - 라이엇 게임즈에서 만든 한국 내 LoL 전용 경기장. * [[골든 로드]]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LoL e스포츠, version=975, uuid=ffeacf17-00a8-4f1a-9ad6-951e73943acd)]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