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include(틀: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1군 리그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역대 기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 역대 대회 ==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1c192b><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c192b,#1c192b><color=#fff,#fff> '''LCK 역대 로고 및 명칭''' || ||<width=20%> 대회 출범 ~ 2012 ||<width=20%> 2012 ~ 2014 ||<width=20%> 2015 ~ 2017 ||<width=20%> 2018 ~ 2020 ||<width=20%> 2021 ~ || ||<rowbgcolor=#fff,#000> [[파일:olglcklogo.png|width=120&theme=light]][[파일:OGN_The_Champions_silver_logo.png|width=120&theme=dark]] || [[파일:LoL Champions logo1.png|width=100&theme=light]][[파일:LoL Champions logo1_White.jpg|width=100&theme=dark]] || [[파일:LCK Old logo.png|width=100&theme=light]][[파일:LCK 로고 2018 화이트.jpg|width=100&theme=dark]] || [[파일:LCK_Logo_2018.png|width=100&theme=light]][[파일:LCK 2018 로고화이트.jpg|width=100&theme=dark]] || [[파일:LCK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LCK 로고 흰색.svg|width=80&theme=dark]] || ||<rowkeepall>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3>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include(틀:LCK 역대 대회)] === 캐치프레이즈 === * 2015 서머 결승전: OGN - '''KEEP OUR HONOR (명예를 지켜라)''' * 2016 스프링: OGN - '''THE GAME CONTINUES (게임은 계속된다)''' * 2016 서머: OGN - '''BE THE CHAMPION (승자가 되어라)''' / SPOTV - '''THIS IS OUR STORY (이것은 우리의 이야기)''' * 2017 스프링: OGN - '''REWIND REBOOT (다시 감고 다시 시작하라)''' * 2018 스프링: OGN - '''Beginning of the End (끝은 시작일 뿐)''' * 2018 서머: OGN - '''The Fantastic Run (환상적인 질주)''', '''The Legacy Continues (유산은 계속된다)''' / SPOTV - '''Reveal Yourself (너를 드러내라)''' * 2018 서머 결승전: OGN - '''End of an Era (시대의 끝)''' * 2019 스프링: '''REBUILD LEGENDS (재건된 전설)''' * 2019 스프링 결승전: '''PARADIGM SHIFT ([[패러다임 시프트]])''' * 2019 서머 결승전: '''BE THE LIGHT (빛이 되어라)''' * 2020 스프링 결승전: '''LCK MUST GO ON (LCK는 계속되어야 한다)''' * 2021 스프링: '''WE MAKE LEGENDS (전설을 만들어 갑니다)'''[* LCK 리브랜딩 이후 첫 캐치프레이즈이자, 현재까지 LCK의 메인 표어로 사용되고 있다.] * 2021 스프링 결승전: '''ORIGIN & FUTURE (기원 & 미래)''' * 2022 스프링: '''Through the Origin Towards the Future (미래를 향한 기원을 통해)''' * 2022 서머: '''Towards the Future (미래를 향하여)''' * 2023 스프링, 2023 서머: '''OR1GIN AGA1N (기원의 귀환)''' * 2024 스프링, 2024 서머: '''House of Legends (전설의 혈통)''' * 2025: '''For One Legacy (하나의 유산을 위해)''' === [[LCK 파이널|결승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CK 파이널, 문단=4)] ==== 결승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CK 파이널, 문단=4.1)] === [[LCK 스토브리그|역대 스토브리그]] === [include(틀:LCK 역대 스토브리그)] === 역대 LCK 참가 팀 === [include(틀:LCK 참가팀)] 기준은 '''2025 시작 후''' 시점으로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다. * 정렬 기준은 1) 참가 시즌 수→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 * 현재 참가하는 팀은 시즌 수에 '''볼드체'''로 표시한다. 2021 시즌부터 LCK는 승강전을 폐지하고 프랜차이즈제를 시행하기에 참가 팀들은 당분간 고정된다. * 해체를 공식 발표하지 않는 한 별개의 팀으로 취급한다. 해체하지 않고 멤버만 교체한 경우는 해당 팀의 커리어를 그대로 계승한다. * 해체된 팀은 마지막 팀명을 위주로 하고, 팀명 변경은 LCK에 있을 때만 표기한다. * 리그제 전환 이전에만 참가한 팀은 아래에 별개로 작성한다. ||<-6><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1c192b><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c192b,#1c192b>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로고 흰색.svg|height=25]]]] {{{#fff '''LCK 역대 참가팀'''}}} || ||<rowbgcolor=#1c192b,#1c192b><rowcolor=white,white><width=22%><colkeepall> '''팀''' ||<width=10%><colkeepall> '''시즌 수''' ||<colkeepall> '''첫 참가 시즌''' ||<colkeepall> '''연속 참가''' ||<colkeepall> '''최고 성적''' ||<colkeepall> '''승강전 참여''' || ||<|2><bgcolor=#1102a3,#1102a3> [[DRX/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DRX}}}''']] || '''28''' || 2012 서머 || 진행 중[br](2012 서머 ~ ) || '''우승'''[br](2회) || 2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DRX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Incredible Miracle : 2012 서머 ~ 2013 스프링[br]Incredible Miracle 1 : 2013 서머,[br]2014 스프링, 2014 서머 || Incredible Miracle 2 : 2013 서머 ~ 2014 서머 || ||<-2> 2015 스프링 시드 선발전 통과[* 직전 시즌인 2014 서머에도 참가했었지만 시즌 종료 후 리빌딩을 단행하게 되면서 시드를 포기하였고, 그 결과 발생한 시드선발전을 통과하여 명맥을 이어나가게 되었다.][br]Incredible Miracle(단일팀) : 2015 스프링[br]Longzhu IM : 2015 서머[br]Longzhu Gaming : 2016 스프링 ~ 2017 서머[br]KING-ZONE DragonX : 2018 스프링 ~ 2019 서머[br]DragonX : 2020 스프링[br]DRX : 2020 서머 ~ 현재 || }}}}}}}}} || ||<|2><bgcolor=black,black>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ff0a07,#ff0a07 kt Rolster}}}''']] || '''27''' || 2012-2013 윈터 || 진행 중[br](2012-2013 윈터 ~ ) || '''우승'''[br](2회) || 1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KT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kt Rolster A : 2012 - 2013 윈터[br]kt Rolster A → kt Rolster Arrows : 2013 스프링,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kt Rolster B : 2012 - 2013 윈터[br]kt Rolster B → kt Rolster Bullets : 2013 스프링 ~ 2014 서머 || ||<-2> kt Rolster(단일팀) : 2015 스프링 ~ 현재 || }}}}}}}}} || ||<|2><bgcolor=#e4002b,#e4002b> [[T1/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T1}}}''']] || '''26''' || 2013 스프링 || 진행 중[br](2013 스프링 ~ ) || '''우승'''[br](10회) || '''0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T1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SK telecom T1 #1 : 2013 스프링[br]SK telecom T1 #1 → SK telecom T1 S : 2013 - 2014 윈터 ~ 2014 서머 || SK telecom T1 #2 → SK telecom T1 : 2013 스프링 ~ 2013 서머[br]SK telecom T1 → SK telecom T1 K : 2013 - 2014 윈터 ~ 2014 서머 || ||<-2> SK telecom T1(단일팀) : 2015 스프링 ~ 2019 서머[br]T1 : 2020 스프링 ~ 현재 || }}}}}}}}} || ||<|2><bgcolor=black,black>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aa8a00,#aa8a00 Gen.G}}}''']] || '''24''' || 2013-2014 윈터 || 진행 중[br](2013-2014 윈터 ~ ) || '''우승'''[br](5회) || 1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GEN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Samsung Galaxy Blue : 2013 - 2014 윈터 ~ 2014 서머 || Samsung Galaxy Ozone : 2013 - 2014 윈터 ~ 2014 스프링[br]Samsung Galaxy Ozone → Samsung Galaxy White : 2014 서머 || ||<-2> Samsung Galaxy(단일팀) : 2015 스프링 ~ 2017 서머[br]KSV Esports : 2018 스프링[br]Gen.G : 2018 서머 ~ 현재 || }}}}}}}}} || ||<|2><bgcolor=#00492b,#00492b> [[OKSavingsBank BRION|'''{{{#white,#white OKSavingsBank BRION}}}''']] || '''2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2016 스프링[br]11회 연속 || '''우승'''[br](1회) || 5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BRO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NaJin e-mFire : 2012 스프링[br]NaJin Shield : 2012 서머 ~ 2013 스프링[br]NaJin White Shield : 2013 서머 ~ 2014 서머 || NaJin Sword : 2012 서머 ~ 2013 스프링[br]NaJin Black Sword : 2013 서머 ~ 2014 서머 || ||<-2> NaJin e-mFire(단일팀) : 2015 스프링 ~ 2015 서머[br]KONGDOO MONSTER :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br]{{{-1 2016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br]2017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br]2017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br]2018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br]2018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br]Fredit BRION : 2021 스프링 ~ 2022 서머[br]BRION : 2023 스프링[br]OKSavingsBank BRION : 2023 서머 ~ 현재[br]{{{-1 2021 스프링 프랜차이즈화로 복귀}}} || }}}}}}}}} || ||<|2><bgcolor=#ff6b01,#ff6b01>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Hanhwa Life Esports}}}''']] || '''21''' || 2015 스프링 || 진행 중[br](2015 스프링 ~ ) || '''우승'''[br](2회) || 1회 || ||<-5> {{{#!folding [ HLE 역사 ] 2015 스프링 시드 선발전 통과[br]GE Tigers : 2015 스프링[br]KOO Tigers : 2015 서머[br]ROX Tigers : 2016 스프링 ~ 2018 스프링[br]Hanwha Life Esports : 2018 서머 ~ 현재}}} || ||<|2><bgcolor=#0c50f1,#0c50f1> [[DN 프릭스/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DN FREECS}}}''']] || '''20''' || 2015 서머 || 진행 중[br](2015 서머 ~ ) || 준우승[br](1회) || 1회 || ||<-5> {{{#!folding [ DNF 역사 ] 2015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Rebels Anarchy : 2015 서머[br]Afreeca Freecs : 2016 스프링 ~ 2021 서머[br]KWANGDONG FREECS : 2022 스프링 ~ 2024 서머[br]DN FREECS : 2025 ~ 현재}}} || ||<|2><bgcolor=#14a73c,#14a73c>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Jin Air Greenwings}}}''']] || 15 || 2013 스프링 || 2013 스프링 ~ 2019 서머[br]15회 연속 || 4위[br](2회) || 3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JAG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ahq e-Sports Club Korea : 2013 스프링[br]Jin Air Greenwings Stealths : 2013 서머 ~ 2013 - 2014 윈터, 2014 서머 || Jin Air Greenwings Falcons : 2013 서머 ~ 2014 서머 || ||<-2> Jin Air Greenwings(단일팀) : 2015 스프링 ~ 2019 서머[br]2020년 LCK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 }}}}}}}}} || ||<|2><bgcolor=black,black>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Dplus KIA}}}''']] || '''13''' || 2019 스프링 || 진행 중[br](2019 스프링 ~ ) || '''우승'''[br](3회) || 2회 || ||<-5> {{{#!folding [ DK 역사 ]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br]DAMWON Gaming : 2019 스프링 ~ 2020 서머[br]DWG KIA : 2021 스프링 ~ 2022 서머[br]Dplus KIA : 2023 스프링 ~ 현재}}} || ||<|2><bgcolor=black,black> [[BNK FEARX/리그 오브 레전드|'''{{{#fbe400,#fbe400 BNK FEARX}}}''']] || '''13''' || 2019 스프링 || 진행 중[br]2019 스프링~ || 3위[br](1회) || 2회 || ||<-5> {{{#!folding [ BFX 역사 ]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br]SANDBOX Gaming : 2019 스프링 ~ 2020 서머[br]Liiv SANDBOX : 2021 스프링 ~ 2023 서머[br]FearX : 2024 스프링[br]BNK FearX : 2024 서머[br]BNK FEARX : 2025 ~ 현재}}} || ||<|2><bgcolor=#231f20,#231f20>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CJ Entus}}}''']] || 1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2016 서머[br]12회 연속 || '''우승'''[br](2회) || 3회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CJE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MiG Blaze : 2012 스프링[br]MiG Blaze → Azubu Blaze : 2012 서머 ~ 2012 - 2013 윈터[br]Azubu Blaze → CJ Entus Blaze : 2013 스프링 ~ 2014 서머 || MiG Frost : 2012 스프링[br]MiG Frost → Azubu Frost : 2012 서머 ~ 2012 - 2013 윈터[br]Azubu Frost → CJ Entus Frost : 2013 스프링 ~ 2014 서머 || ||<-2> CJ Entus(단일팀) : 2015 스프링 ~ 2016 서머[br]2017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br]2017년 겨울 팀 해체 || }}}}}}}}} || ||<|2><bgcolor=#de2027,#de2027>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NongShim REDFORCE}}}''']] || '''10''' || 2020 서머 || 진행 중[br](2020 서머 ~ ) || 4위[br](1회) || 1회 || ||<-5> {{{#!folding [ NS 역사 ] 2020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Team Dynamics : 2020 서머[br]Nongshim RedForce : 2021 스프링 ~ 현재}}} || ||<|2><bgcolor=#0c77ba,#0c77ba>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MVP}}}''']] || 5 || 2016 서머 || 2016 서머 ~ 2018 서머[br]5회 연속 || 4위[br](1회) || 3회 || ||<-5> {{{#!folding [ MVP 역사 ] 2016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br]2019년 겨울 팀 해체}}} || ||<|2><bgcolor=white,white> [[ESC Shane|'''{{{#black,#black ESC Shane}}}''']] || 5 || 2016 서머 || 2016 서머 ~ 2018 서머[br]5회 연속 || 8위[br](2회) || 6회 || ||<-5> {{{#!folding [ ESC 역사 ] 2016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ESC Ever : 2016 서머[br]bbq OLIVERS : 2017 스프링 ~ 2018 서머[br]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br]2020년 겨울 팀 해체}}} || ||<|2><bgcolor=#d7181f,#d7181f>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Griffin}}}''']] || 4 || 2018 서머 || 2018 서머 ~ 2020 스프링[br]4회 연속 || 준우승[br](3회) || 2회 || ||<-5> {{{#!folding [ GRF 역사 ] 2018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br]2021년 1월 팀 해체}}} || ||<|2><bgcolor=#040000,#040000> [[SBENU KOREA|'''{{{#white,#white SBENU Korea}}}''']] || 3 || 2014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br]2회 연속 || 9위[br](1회) || 4회 || ||<-5> {{{#!folding [ SBK 역사 ] Prime Optimus : 2014 스프링[br]2015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SBENU SonicBoom :[br]2015 서머 ~ 2016 스프링[br]2016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br]2016년 겨울 팀 해체}}} || ||<|2><bgcolor=#d74646,#d74646> [[설해원 Prince/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SeolHaeOne Prince}}}''']] || 2 || 2020 스프링 || 2020 스프링 ~ 2020 서머[br]2회 연속 || 7위[br](1회) || 1회 || ||<-5> {{{#!folding [ SP 역사 ]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br]APK Prince : 2020 스프링[br]2021 스프링 전 프렌차이즈 탈락}}} || ||<|2><bgcolor=#c90005,#c90005>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Winners}}}''']] || 1 || 2017 서머 || 2017 서머 || 10위 || 3회 || ||<-5> {{{#!folding [ WNS 역사 ] 2017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br]Ever8 Winners : 2017 서머[br]2018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br]2019년 팀 해체, 아마추어로 전환[* 아마추어 팀으로는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있다. 별개로 프랜차이즈 심사는 신청하지 않았기에 LCK에는 참가할 수 없다.]}}}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그제 이전 참가팀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131313,#131313><tablebgcolor=transparent>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height=25]]]] '''{{{#white,#white LCK 역대 참가팀 (리그제 이전 참가팀)}}}''' || ||<rowbgcolor=#131313,#131313><rowcolor=white,white><width=22%> '''팀''' ||<width=8%> '''시즌 수''' || '''첫 참가 시즌''' || '''연속 참가''' || '''최고 성적''' || ||<|2><bgcolor=black,black> [[Xenics(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ed1c24,#ed1c24 Xenics Modslook}}}''']] || 5 || 2012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br]3회 연속 진출 || 3위[br](1회)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XEN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Xenics Storm : 2012 스프링, 2012 서머, 2013 서머, 2013 - 2014 윈터 || Xenics Blast : 2013 서머 || ||<-2> Xenics Storm(단일팀) : 2014 스프링[br]2015 서머 승강전에서 탈락 후 팀 해체 || }}}}}}}}} || ||<|2><bgcolor=#0c77ba,#0c77ba>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2014 시즌 이전|'''{{{#white,#white (舊) MVP}}}''']][* 2015년 재창단된 위의 MVP와 별개의 팀.] || 4 || 2012 서머 || 2012 서머 ~ 2013 서머[br]4회 연속 진출 || '''우승'''[br](1회)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MVP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MVP Blue : 2012 서머 ~ 2013 서머 || MVP White : 2012 - 2013 윈터 ~ 2013 스프링[br]MVP Ozone : 2013 서머 || ||<-2> 2013년 월즈 직전 삼성에게 인수되며 팀 해체 || }}}}}}}}} || ||<|2><bgcolor=black,black> [[Counter Logic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NRG}}}''']] || 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2012 서머[br]2회 연속 진출 || 8강[br](2회) || ||<-4> {{{#!folding [ NRG 역사 ] 외국 초청팀(북미)[br]Counter Logic Gaming : 2012 스프링[br]Counter Logic Gaming Prime : 2012 서머[br]2023 스프링 종료 후 NRG로 변경}}} || ||<|2><bgcolor=black,black> [[Team OP|'''{{{#white,#white Team OP}}}''']] || 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2012 - 2013 윈터 || 4위[br](1회) || ||<-4> {{{#!folding [ OP 역사 ] 팀 해체}}} || ||<|2><bgcolor=#cc4e28,#cc4e28> [[StarTale/리그 오브 레전드|'''{{{#fef704,#fef704 StarTale}}}''']] || 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2012 서머[br]2회 연속 진출 || 8강[br](1회) || ||<-4> {{{#!folding [ ST 역사 ] 한국 최초의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br]2012년 8월 팀 해체}}} || ||<|2><bgcolor=#283951,#283951> [[MKZ(프로게임단)|'''{{{#white,#white MKZ}}}''']] || 2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2014 서머 || 8강[br](1회) || ||<-4> {{{#!folding [ MKZ 역사 ] 팀 해체}}} || ||<|2><bgcolor=#231f20,#231f20>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2012년|'''{{{#white,#white (舊) CJ Entus}}}''']] || 2 || 2012 서머 || 2012 서머 ~ 2012-2013 윈터[br]2회 연속 진출 || 16강[br](2회) || ||<-4> {{{#!folding [ CJE 역사 ] 위쪽의 CJ Entus 이전의 별개의 팀[br]구분을 위해 (舊)를 앞에 붙임[br]2013년 팀 해체 후 재창단}}} || ||<|2><bgcolor=white,white> [[RoMg#s-1.2|'''{{{#black,#black GSG}}}''']] || 2 || 2012 서머 || 2012 서머 ~ 2012 - 2013 윈터 || 12강[br](2회) || ||<-4> {{{#!folding [ GSG 역사 ] RoMg : 2012 서머[br]GSG : 2012-2013 윈터[br]2013년 팀 해체}}} || ||<|2><bgcolor=#ff5900,#ff5900>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Fnatic}}}''']]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8강 || ||<-4> {{{#!folding [ FNC 역사 ] 외국 초청팀(유럽)}}} || ||<|2><bgcolor=#B6ADAC,#B6ADAC> [[Team Hunters|'''{{{#white,#white Team Hunters}}}''']]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TH 역사 ] 팀 해체}}} || ||<|2><bgcolor=#28356B,#28356B> [[SuperStar/리그 오브 레전드|'''{{{#E14833,#E14833 SuperStar}}}''']]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SS 역사 ] 팀 해체}}} || ||<|2><bgcolor=black,black> [[Noobs Except Balnemse|'''{{{#white,#white NEB}}}''']]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NEB 역사 ] 팀 해체}}} || ||<|2><bgcolor=#E37739,#E37739> [[Team XD|'''{{{#white,#white XD}}}''']]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XD 역사 ] 팀 해체}}} || ||<|2><bgcolor=#ED1C24,#ED1C24> [[NeL|'''{{{#black,#black NeL}}}''']]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NeL 역사 ] 팀 해체}}} || ||<|2><bgcolor=white,white> '''{{{#black,#black DDoL}}}'''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DDoL 역사 ] 팀 해체}}} || ||<|2><bgcolor=white,white> '''{{{#black,#black Little Hippo}}}''' || 1 || 2012 스프링 || 2012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LITT 역사 ] 팀 해체}}} || ||<|2><bgcolor=#434159,#434159> [[Winterfox/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Winterfox}}}''']] || 1 || 2012 서머 || 2012 서머 || 준우승 || ||<-4> {{{#!folding [ WFX 역사 ] 외국 초청팀(유럽)[br]CLG.EU: 2012 서머[br]이후 Evil Geniuses, Winterfox로 변경[br]2015 서머 종료 후 팀 해체}}} || ||<|2><bgcolor=#de1c27,#de1c27>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Team WE}}}''']] || 1 || 2012 서머 || 2012 서머 || 8강 || ||<-4> {{{#!folding [ WE 역사 ] 외국 초청팀(중국)}}} || ||<|2><bgcolor=#2D52A0,#2D52A0> [[GJR|'''{{{#white,#white GJR}}}''']] || 1 || 2012 서머 || 2012 서머 || 16강 || ||<-4> {{{#!folding [ GJR 역사 ] 팀 해체}}} || ||<|2><bgcolor=#fcc803,#fcc803> [[Team Dignitas/리그 오브 레전드/2018년 이전|'''{{{#120000,#120000 Team Dignitas}}}''']] || 1 || 2012 서머 || 2012 서머 || 16강 || ||<-4> {{{#!folding [ DIG 역사 ] 외국 초청팀(북미)[br]2018년 LCS NA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 ||<|2><bgcolor=black,black> [[Natus Vincere.CIS|'''{{{#ffef00,#ffef00 Natus Vincere}}}''']] || 1 || 2012 서머 || 2012 서머 || 16강 || ||<-4> {{{#!folding [NV.CIS 역사] 외국 초청팀(독립국가연합)[br]2012년 팀 해체}}} || ||<|2><bgcolor=#004198,#004198> [[CTU(프로게임단)|'''{{{#white,#white CTU}}}''']] || 1 || 2013 서머 || 2013 서머 || 8강 || ||<-4> {{{#!folding [ CTU 역사 ] 팀 해체}}} || ||<|2><bgcolor=black,black> [[MiG/리그 오브 레전드|'''{{{#ffd21a,#ffd21a MIG Blitz}}}''']] || 1 || 2013 서머 || 2013 서머 || 16강 || ||<-4> {{{#!folding [ MiG 역사 ] CJ Entus의 전신팀과 별개의 팀[br]팀 해체}}} || ||<|2><bgcolor=#3C4657,#3C4657> [[Team NB|'''{{{#white,#white Team NB}}}''']] || 1 || 2013 - 2014 윈터 || 2013 - 2014 윈터 || 16강 || ||<-4> {{{#!folding [ NB 역사 ] 팀 해체}}} || ||<|2><bgcolor=black,black> [[Team Alienware|'''{{{#B22222,#B22222 Alienware Arena}}}''']] || 1 || 2013 - 2014 윈터 || 2013 - 2014 윈터 || 16강 || ||<-4> {{{#!folding [ AWA 역사 ] Alienware Arena : 2013 - 2014 윈터[br]2014년 팀 해체}}} || ||<|2><bgcolor=white,white> '''{{{#black,#black Team Dark}}}''' || 1 || 2013 - 2014 윈터 || 2013 - 2014 윈터 || 실격 || ||<-4> {{{#!folding [ TD 역사 ] [[Team Dark 롤챔스 트롤링 사건|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위]]로 징계 처분[br]LCK 최초이자 유일한 실격팀}}} || ||<|2><bgcolor=#1D283C,#1D283C> [[Midas FIO|'''{{{#FDF156,#FDF156 Midas FIO}}}''']] || 1 || 2014 스프링 || 2014 스프링 || 16강 || ||<-4> {{{#!folding [ FIO 역사 ] 팀 해체}}} || ||<|2><bgcolor=#0068ff,#0068ff> [[Quvic|'''{{{#white,#white Quvic}}}''']] || 1 || 2014 서머 || 2014 서머 || 16강 || ||<-4> {{{#!folding [ QVC 역사 ] Bigfile Miracle : 2014 서머[br]2015년 2월 팀 해체}}} || }}}}}}}}} || == 역대 LCK 입상팀 == * 2012 스프링부터 2014 서머까지는 12팀의 조별 리그 후 8강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입상자를 가렸기 때문에 4강에 입상한 4팀만 있다. 4강에서 탈락한 팀들은 월드 챔피언십(Worlds, 월챔, 롤드컵) 진출에 필요한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해 별도의 3, 4위전을 진행하였다. ||<-5><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131313><bgcolor=#131313,#131313><tablebgcolor=transparent>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height=25]]]] {{{#fff '''조별 리그 - 토너먼트 체제 입상팀'''}}} || ||<rowbgcolor=#131313,#131313><rowcolor=white,white><width=12%><colkeepall> '''시즌''' ||<width=22%><colkeepall> '''우승''' ||<width=22%><colkeepall> '''준우승''' ||<width=22%><colkeepall> '''3위'''(3/4위전 승자) ||<width=22%><colkeepall> '''4위'''(3/4위전 패자) || ||<colbgcolor=#131313,#131313> [[Azubu LOL the Champions Spring 2012|'''{{{#white,#white 2012[br]스프링}}}''']] ||<colbgcolor=gold,#7f6b00> '''[[CJ 엔투스 블레이즈|MiG Blaze]]''' ||<colbgcolor=silver,#606060> [[CJ 엔투스 프로스트|MiG Frost]] ||<colbgcolor=#bd9424,#400004> [[Xenics Storm]] || [[Team OP]] || || [[Azubu LOL the Champions Summer 2012|'''{{{#white,#white 2012[br]서머}}}''']] || '''[[CJ 엔투스 프로스트|Azubu Frost]]''' || [[Winterfox/리그 오브 레전드|CLG.EU]]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 [[CJ 엔투스 블레이즈|Azubu Blaze]] || ||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2012-2013|'''{{{#white,#white 2012-2013[br]윈터}}}''']]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 [[CJ 엔투스 프로스트|Azubu Frost]] || [[kt 롤스터 불리츠|kt Rolster B]] || [[CJ 엔투스 블레이즈|Azubu Blaze]] || || [[OLYMPUS LoL Champions Spring 2013|'''{{{#white,#white 2013[br]스프링}}}''']] || '''[[MVP Ozone]]''' || [[CJ 엔투스 블레이즈|CJ ENTUS Blaze]]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2]] || [[CJ 엔투스 프로스트|CJ Entus Frost]] || || [[HOT6 LoL Champions Summer 2013|'''{{{#white,#white 2013[br]서머}}}''']]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 [[kt 롤스터 불리츠|kt Rolster Bullets]] || [[MVP Ozone]] || [[CJ 엔투스 프로스트|CJ Entus Frost]] || || [[PANDORA 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white,#white 2013-2014[br]윈터}}}''']]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K]]''' || [[삼성 갤럭시 화이트|Samsung Galaxy Ozone]] || [[kt 롤스터 불리츠|kt Rolster Bullets]] || [[나진 화이트 실드|NaJin White Shield]] || || [[HOT6 LoL Champions Spring 2014|'''{{{#white,#white 2014[br]스프링}}}''']] || '''[[삼성 갤럭시 블루|Samsung Galaxy Blue]]''' || [[나진 화이트 실드|NaJin White Shield]] || [[삼성 갤럭시 오존|Samsung Galaxy Ozone]] || [[CJ 엔투스 블레이즈|CJ Entus Blaze]] || || [[HOT6 LoL Champions Summer 2014|'''{{{#white,#white 2014[br]서머}}}''']] || '''[[kt 롤스터 애로우즈|kt Rolster Arrows]]''' || [[삼성 갤럭시 블루|Samsung Galaxy Blue]] || [[삼성 갤럭시 화이트|Samsung Galaxy White]] || [[SK텔레콤 T1 S|SK telecom T1 S]] || ---- * 2015 스프링에서는 8개 팀이 2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한 후 상위 4팀을 가려내어 포스트시즌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윈터 시즌을 진행하지 않게 되었다. *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는 10개 팀이 2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하고 정규 시즌 5위 팀도 3판 2선승제인 와일드카드로 포스트시즌에 참가하게 된다. ||<-6><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131313><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31313,#131313>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height=25]]]] {{{#white '''풀리그 - 포스트시즌 체제 입상팀'''}}} || ||<rowbgcolor=#131313,#131313><rowcolor=white,white><width=10%><colkeepall> '''시즌''' ||<width=18%><colkeepall> '''우승''' ||<width=18%><colkeepall> '''준우승''' ||<width=18%><colkeepall> '''3위'''(PO 2R 패배) ||<width=18%><colkeepall> '''4위'''(PO 1R 패배) ||<width=18%><colkeepall> '''5위'''(WC 패배) || ||<colbgcolor=#131313,#131313>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15[br]스프링}}}''']] ||<colbgcolor=gold,#7f6b00>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2위) ||<colbgcolor=silver,#606060> [[ROX Tigers/2017년 이전|GE Tigers]][br](1위) ||<colbgcolor=#bd9424,#400004>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br](3위)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br](4위) || - ||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15[br]서머}}}''']]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1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2위) || [[ROX Tigers/2017년 이전|KOO Tigers]][br](4위)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br](3위) ||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NaJin e-mFire]][br](5위) || ||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16[br]스프링}}}''']]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3위) || [[ROX Tigers/2017년 이전|ROX Tigers]][br](1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2위)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br](4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16[br]서머}}}''']] || '''[[ROX Tigers/2017년 이전|ROX Tigers]]'''[br](1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3위)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2위) ||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br](4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17[br]스프링}}}''']]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1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3위) ||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br](2위)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br](5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4위) ||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17[br]서머}}}''']] || '''[[Longzhu Gaming]]'''[br](1위)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4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2위) ||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br](3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18[br]스프링}}}''']]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br](1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2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3위)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4위) || [[KSV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KSV Esports]][br](5위) || ||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18[br]서머}}}''']]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1위)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br](2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br](3위)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4위) ||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19[br]스프링}}}''']]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2위)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br](1위)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br](3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br](5위)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ANDBOX Gaming]][br](4위) || ||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19[br]서머}}}''']]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br](4위)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br](1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br](2위)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ANDBOX Gaming]][br](3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20[br]스프링}}}''']] ||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2위)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1위) || [[DragonX]][br](3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br](5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4위) || ||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20[br]서머}}}''']]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br](1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br](2위)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3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5위) ||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4위) || ---- * 2021 스프링부터는 정규시즌 6위 팀도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3위 - 6위 / 4위 - 5위가 먼저 대결한 뒤, 거기서 살아남은 2팀 중 한 팀을 1위가 선택, 2위는 1위가 선택하지 않은 한 팀과 대결한다. 6강 PO 패배팀들은 정규시즌 순위 순으로 최종 순위가 매겨진다. 모든 경기는 5판 3선승제로 진행한다. * 2022 서머까지는 여기에서 승리한 팀들이 바로 결승전을 진행한다. 4강 PO 패배팀들 역시 정규시즌 순위 순으로 최종 순위가 매겨진다. * 2023 스프링부터는 여기에서 승리한 팀들끼리 대결해 결승 직행 팀을 가리고, 패배한 팀끼리 역시 맞붙어 진 팀은 4위 확정, 이긴 팀은 승자전 패자와 결승전 남은 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대결을 벌인다. ||<-7><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1c192b><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c192b,#1c192b>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로고 흰색.svg|height=25]]]] {{{#white '''프랜차이즈 체제 입상팀'''}}} || ||<rowbgcolor=#1c192b,#1c192b><rowcolor=white,white><width=10%><colkeepall> '''시즌''' ||<width=20%><colkeepall> '''우승''' ||<width=20%><colkeepall> '''준우승''' ||<-2><colkeepall> '''4강'''(4강 PO 패배) ||<-2><colkeepall> '''6강'''(6강 PO 패배) || ||<|2><colbgcolor=#1c192b,#1c192b>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21[br]스프링}}}''']] ||<|2><colbgcolor=gold,#7f6b00>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br](1위) ||<|2><colbgcolor=silver,#606060>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2위) ||<width=5%><colbgcolor=#1c192b,#1c192b><colcolor=white,white> 3위 ||<width=20%><colkeepall><bgcolor=#bd9424,#400004>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3위) ||<width=5%><colbgcolor=#1c192b,#1c192b><colcolor=white,white> 5위 ||<width=20%><colkeepall>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br](5위) || || 4위 ||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4위) || 6위 ||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NongShim REDFORCE]][br](6위) || ||<|2>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21[br]서머}}}''']] ||<|2>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br](1위)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4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2위) || 5위 || [[Liiv SANDBOX/리그 오브 레전드|Liiv SANDBOX]][br](5위) || || 4위 ||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NongShim REDFORCE]][br](3위) || 6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br](6위) || ||<|2>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22[br]스프링}}}''']]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1위)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2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br](3위) || 5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br](4위) || || 4위 || [[DN 프릭스/리그 오브 레전드|KWANGDONG FREECS]][br](5위) || 6위 || [[Fredit BRION]][br](6위) || ||<|2>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22[br]서머}}}''']]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1위)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2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Liiv SANDBOX/리그 오브 레전드|Liiv SANDBOX]][br](3위) || 5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5위) || || 4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br](4위) || 6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br](6위) || ||<|2>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23[br]스프링}}}''']]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2위)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1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3위) || 5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plus KIA]][br](4위) || || 4위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5위) || 6위 || [[Liiv SANDBOX/리그 오브 레전드|Liiv SANDBOX]][br](6위) || ||<|2>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23[br]서머}}}''']]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2위)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5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1위) || 5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plus KIA]][br](4위) || || 4위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3위) || 6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br](6위) || ||<|2>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white,#white 2024[br]스프링}}}''']]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1위) ||<|2>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2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3위) || 5위 || [[kt Rolster/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4위) || || 4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plus KIA]][br](5위) || 6위 || [[DN 프릭스/리그 오브 레전드|KWANGDONG FREECS]][br](6위) || ||<|2>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white,#white 2024[br]서머}}}''']] ||<|2>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2위)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br](1위) || 3위 ||<bgcolor=#bd9424,#400004> [[T1/리그 오브 레전드|T1]][br](4위) || 5위 || [[kt Rolster/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5위) || || 4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plus KIA]][br](3위) || 6위 || [[BNK FEARX/리그 오브 레전드|BNK FearX]][br](6위) || ---- 관련 기록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 리그제로 개편되기 전인 2014 서머 이전 4강 이상 최다 연속 진출 기록은 5회로 CJ Entus Frost(2012 스프링~2013 서머)가 가지고 있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진출 기록은 9회로 Dplus KIA(2019 스프링 ~ 2023 스프링)와 T1(2019 스프링 ~ 2023 스프링)이 공동으로 가지고 있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 최다 진출 기록은 T1의 15회(우승 8회 준우승 3회)이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정규시즌 순위가 그대로 최종 성적으로 반영된 건 단 3번(2018 스프링, 2021 스프링, 2022 서머) 뿐이다. 그 외 시즌에서는 최소 한 번 이상의 업셋이 발생하였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의 각 단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아래와 같다. * 결승전 : T1 - 10회(1위로 직행한 횟수 2회)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T1 - 7회(2위로 직행한 횟수 4회)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T1 - 4회(3위로 직행한 횟수 2회) * 와일드카드전 : Afreeca Freecs - 7회(4위로 간 횟수 1회/5위로 간 횟수 6회) * 리그제로 개편된 후 최종 순위에 연속으로 가장 많이 간 팀과 우승을 제외한 기록은 아래와 같다. * 연속 결승 : T1(2021 서머 ~ 2024 스프링) & GEN(2022 스프링 ~ 2024 서머) - 6회 * 연속 플레이오프 2라운드 이상 : kt Rolster(2015 서머 ~ 2018 서머:[2322331]) - 7회 * 연속 플레이오프 1라운드 이상 : kt Rolster(상동), T1(2015 스프링 ~ 2018 스프링[1113124]) - 7회 *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 kt Rolster(상동), T1(상동) - 7회 *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1부 리그 잔류 기간만 계산함] : Hanwha Life Esports(2017 스프링 ~ 2020 서머[67666989]) - 8회 === 역대 팀 순위 === ==== 2012 ~ 2014 시즌별 순위 ==== [include(틀:LCK 2012~2014 시즌별 순위)] ==== 2015 ~ 2020 시즌별 순위 ==== [include(틀:LCK 2015~2020 시즌별 순위)] ==== 2021 ~ 2024 시즌별 순위 ==== [include(틀:LCK 2021~2024 시즌별 순위)] ==== 2025 이후 ==== [include(틀:LCK 2025~ 시즌 별 순위)]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승강전|승강전]] == [include(틀:LCK 역대 승강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승강전)] 프랜차이즈제 도입 이후, 즉 '''2020 LCK 서머 승강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승강전은 진행되지 않는다.''' ===# 역대 LCK 승강전 진출팀 #=== 상위 리그인 LCK와 하위 리그인 CK의 포스트시즌이 종료된 후, LCK 하위 2팀과 CK 상위 2팀끼리 붙어서 승격/강등/잔류를 결정짓는 승강전은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 실시되었다. 승강전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승강전|LCK 승강전]]을 참고하면 된다. * 2015 서머 승강전은 LCK 참가팀이 8팀에서 10팀으로 늘었기 때문에 CK 1, 2차 토너먼트에서 취득한 포인트 합에 따라 상위 4팀을 선발,LCK 1팀과 CK 2팀으로 조를 이루어 풀리그를 진행한 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을 LCK에 진출시켰다. * 2016 스프링 승강전과 2016 서머 승강전은 LCK 9위팀이 CK에서 올라온 팀 중 하나를 지정하여 해당 팀과의 대결에서 승리한 팀을 차기 시즌에 진출시켰다. * 2017 스프링 승강전부터 마지막 승강전인 2020 서머 승강전까지는 LCK 9위 팀이 CK에서 올라온 팀 중 하나를 지정하는 건 같지만,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하였다. 승자전과 최종전을 통해 2승한 팀은 LCK로, 패자전과 최종전을 통해 2패한 팀은 CK로 가게 된다. * 2018 서머 승강전부터 CK 정규시즌 1위팀은 승강전으로 바로 직행하고, 2위부터 5위 팀을 대상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러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된 1팀이 승강전으로 가게 되었다. * 2021 스프링부터 프렌차이즈 체제가 도입됨에 따라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2020 서머 승강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6><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131313><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31313,#131313>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height=25]]]] {{{#white '''LCK 승강전 진출팀'''}}} || ||<rowbgcolor=#131313,#131313><rowcolor=white,white><width=8%><colkeepall> '''시즌''' ||<-2><colkeepall> '''LCK 하위 2팀''' ||<-2><colkeepall> '''CK 상위 2팀[* 2015 서머 승강전은 상위 4팀.]''' ||<colkeepall> '''비고''' || ||<|4><colbgcolor=#131313,#131313>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15[br]서머}}}''']] ||<|2><width=6%> 7위 ||<|2><colkeepall> '''[[DRX/리그 오브 레전드|Incredible Miracle]]'''[br](A조 잔류) || 합계 1위 ||<colkeepall> '''[[SBENU KOREA|Prime ITENJOY]]'''[br](B조 승격) ||<|4> Incredible Miracle→Longzhu IM[br]Prime ITEMJOY→SBENU SonicBoom[br]Anarchy→Rebels Anarchy || || 합계 2위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narchy]]'''[br](A조 승격) || ||<|2> 8위 ||<|2>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br](B조 잔류) || 합계 3위 || [[Xenics(프로게임단)#s-2|Xenics Modslook]][br](B조 잔류) || || 합계 4위 ||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Winners]][br](A조 잔류) || ||<|2>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white,#white 2016[br]스프링}}}''']] || 9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Longzhu IM]]'''[br](A조 잔류) || 1위 || [[Dark Wolves]][br](A조 잔류) ||<|2> Ever → ESC Ever || || 10위 || '''[[SBENU KOREA|SBENU SONICBOOM]]'''[br](B조 잔류) || 2위 || [[ESC Shane|Ever]][br](B조 잔류) || ||<|2>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16[br]서머}}}''']] || 9위 || [[SBENU KOREA|SBENU SONICBOOM]][br](A조 강등) || 우승 || '''[[bbq OLIVERS|ESC Ever]]'''[br](A조 승격) ||<|2> - || || 10위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br](B조 강등) || 준우승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br](B조 승격) || ||<|2>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white,#white 2017[br]스프링}}}''']] || 9위 || '''[[bbq OLIVERS|ESC Ever]]'''[br](최종전 잔류) || 우승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br](승자전 승격) ||<|2> ESC Ever→bbq OLIVERS[br]SBENU SONICBOOM→SBENU KOREA || || 10위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br](최종전 강등) || 준우승 || [[SBENU KOREA]][br](패자전 잔류) || ||<|2>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17[br]서머}}}''']] || 9위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br](승자전 잔류) || 우승 ||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Ever8 Winners]]'''[br](최종전 승격) ||<|2> Winners → Ever8 Winners || || 10위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br](최종전 강등) || 준우승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br](패자전 잔류) || ||<|2>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white,#white 2018[br]스프링}}}''']] || 9위 || '''[[ESC Shane|bbq OLIVERS]]'''[br](최종전 잔류) || 우승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br](최종전 잔류) ||<|2> - || || 10위 ||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Ever8 Winners]][br](패자전 강등) || 준우승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br](승자전 승격) || ||<|2>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18[br]서머}}}''']] || 9위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br](최종전 잔류) || 1위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br](승자전 승격) ||<|2> - || || 10위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br](최종전 강등) || 통과 ||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Ever8 Winners]][br](패자전 잔류) || ||<|2>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white,#white 2019[br]스프링}}}''']] || 9위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br](최종전 강등) || 1위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br](승자전 승격) ||<|2> Team BattleComics → SANDBOX Gaming || || 10위 || [[bbq OLIVERS]][br](패자전 강등) || 통과 || '''[[Liiv SANDBOX/리그 오브 레전드|Team BattleComics]]'''[br](최종전 승격) || ||<|2>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19[br]서머}}}''']] || 9위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승자전 잔류) || 1위 ||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ES Sharks]][br](최종전 잔류) ||<|2> ES Sharks →Team Dynamics || || 10위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br](최종전 잔류) || 통과 || [[VSG/리그 오브 레전드|VSG]][br](패자전 잔류) || ||<|2>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white,#white 2020[br]스프링}}}''']] || 9위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 Esports]]'''[br](최종전 잔류) || 1위 ||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Team Dynamics]][br](패자전 잔류) ||<|2> - || || 10위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br](최종전 강등) || 통과 || '''[[설해원 Prince/리그 오브 레전드|APK Prince]]'''[br](승자전 승격) || ||<|2>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white 2020[br]서머}}}''']] || 9위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ANDBOX Gaming]]'''[br](최종전 잔류) || 1위 || [[ESC Shane|SEORABEOL Gaming]][br](최종전 잔류) ||<|2> - || || 10위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br](패자전 강등) || 통과 ||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Team Dynamics]]'''[br](승자전 승격) || ---- 승강전과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승강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ESC Shane(6회)이었다. 연속으로 승강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KONGDOO MOSTER(5회)이다. 이 기록은 2019 스프링 승강전 진출에 실패하면서 끊기게 되었다. * '''승강전으로 간 LCK 팀의 잔류 확률은 54.5%(12/22)이었다.'''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도입된 2017 스프링부터 2019 스프링까지 반드시 한 팀이 강등되었으며, 그 한 팀은 모두 정규시즌 10위를 차지한 팀이었다. 예외로 2019 스프링에서는 두 팀이 모두 강등되었으며, 2019 서머에서는 반대로 두 팀이 모두 잔류하였다. * 정규시즌 10위 팀이 잔류한 건 단 2번뿐(2016 스프링, 2019 서머)이었으며, 9위 팀이 강등되고 10위 팀이 잔류하는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 * 2015 스프링 이후 LCK에 참가한 팀 중 승강전에 가지 않은 팀은 T1이 유일하게 되었다. == 역대 하위 대회 == [include(틀:NLB 역대 대회)] [include(틀:CK 역대 대회)] [include(틀:LCK CL 역대 대회)] [include(틀:LCK AS 역대 대회)] * '''2012 ~ 2014 시즌''' LCK가 토너먼트로 진행되어 매 시즌 예선전을 통해 본선 진출팀을 정했다. 직전 시즌 성적을 통해 본선 시드를 부여했으며, 프로팀도 본선 시드가 없는 팀은 예선을 통과해야 했다. 예선전에서 탈락한 팀은 하위 리그인 [[NLB]]로 진출한다. * 2012 시즌에는 예선전에서 탈락한 16팀간에 온라인으로 NLB를 진행했다. NLB 우승팀은 LCK 4위팀과 차기 대회 시드 결정전을 진행했다. * 2012-2013 윈터부터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유로파 리그]]의 관계처럼 LCK 본선에서 탈락한 팀들이 NLB에 합류하게 되었다. 먼저 LCK 12강 탈락 4팀이 NLB에 합류하고, 다음 라운드에 LCK 8강 탈락 4팀이 합류하면서 NLB 생존팀과 LCK 탈락팀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Worlds 서킷 포인트가 개편되고, NLB 우승팀에게 차기 LCK 본선 시드를 부여하면서 연계 시스템이 강화되었다. * 2013 여름부터 LCK 조별 리그가 16강으로 확대되면서 먼저 LCK 16강 탈락 8팀이 NLB에 합류하고, 다음 라운드에 LCK 8강 탈락 4팀이 합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5 ~ 2020 시즌''' 2015 시즌부터 LCK가 풀리그로 바뀌면서 LCK 예선전과 NLB가 폐지되었다. 대신 2부 리그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롤 챌린저스 코리아(CK)]]가 신설되고, LCK 하위팀과 CK 상위팀간의 승강전이 신설되었다. * '''2021 시즌 이후''' 2021 시즌부터 LCK에 프랜차이즈제를 도입하면서 2부 리그인 CK와 승강전이 사라진 대신 2군 리그인 [[LCK CL]]과 연습생 리그인 [[LCK AS]]가 신설되었다.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우승|우승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우승)] == [[LCK 어워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CK 어워드)]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경기|경기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경기)]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개인|개인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개인)]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국제 대회|국제 대회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국제 대회)]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version=797, uuid=2947421f-cee5-47ac-8c37-c7be5d3524f8, title2=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version2=4760, uuid2=5d9245b5-dd33-457a-96b5-1cf1387d22e9, paragraph2=3.3, title3=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version3=4760, uuid3=5d9245b5-dd33-457a-96b5-1cf1387d22e9, paragraph3=3.4, title4=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version4=4760, uuid4=5d9245b5-dd33-457a-96b5-1cf1387d22e9, paragraph4=3.5, title5=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version5=4760, uuid5=5d9245b5-dd33-457a-96b5-1cf1387d22e9, paragraph5=13)]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 version=3464, uuid=9b8ab051-d5a6-4694-8e0c-c5d4b546ccd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