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WTEYI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2025년 음악]][[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2><nopad> [youtube(1IcH4F2mVu8)]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V]]}}} {{{-3 (2025)}}} || || {{{-1 '''장르'''}}} ||{{{-1 Industrial}}} || || {{{-1 '''BPM'''}}} ||{{{-1 162}}} || || {{{-1 '''작곡'''}}} ||{{{-1 [[LeeZu]]}}} || |||| {{{#!folding [ 가사 보기 ] [br]I want to eat your in destin.[* 하술하겠지만, I want to eat your intestine(s)가 원래 가사로 보인다.] I want to eat your in destin. Can I feel you now?[* 여기부터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인 'feel'은 사실상 본래 가사인 ''''kill''''을 잔혹성 등의 이유로 순화한 것으로 보인다.]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I want to eat your in destin. I want to eat your in dest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Can I feel you now? I will feel you without pain.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You will be my food I want to eat your in destin. I want to eat your in destin. [br]}}} || == 개요 == [[https://www.youtube.com/watch?v=GkOvSAdukWE|작곡가 LeeZu가 직접 마스터링한 음원]] [[DJMAX 엔터테인먼트]]의 두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64514]]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LeeZu]]. 제목은 '''너의 내장을 먹고 싶어'''('''I''' '''W'''ant '''T'''o '''E'''at '''Y'''our '''I'''ntestine)의 앞 글자만 딴 두문자어이다. 다만 해당 부분 외에도 kill이 곡 내내 반복적으로 쓰이는 등 가사의 수위가 상당히 높아, 뮤직 비디오나 앨범 가사 등에는 철자를 다소 비트는 방식으로 순화되어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의 수록곡이 공개된 이후에도 마땅한 약칭이 없었으나, 해당 곡을 작곡한 LeeZu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1274334|인터뷰 불발 건에 관련된 내용]]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1323525|후일담]] 등에서 밝혀진 내용으로 인해 '''설사병신'''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방랑백수 유튜브에선 해당 곡 작업을 하는 장면과 마지막에 프로토타입 음원이 나오기도 한다.[[https://youtu.be/U7N9KGfyr10?feature=shared&t=570|-]]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 V/PLI 2025)]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white,#191919><#343434><nopad> ||<-4><color=#cfcfcf><nopad>{{{#!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3434, #5e5e5e)" '''PLI : 2025'''}}} || ||<-4>{{{+5 '''IWTEYI'''}}} || ||<rowbgcolor=#5e5e5e><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343434><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br]{{{-5 34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br]{{{-5 54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br]{{{-5 79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br]{{{-5 110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br]{{{-5 23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br]{{{-5 42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br]{{{-5 85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br]{{{-5 1098}}}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br]{{{-5 22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br]{{{-5 6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br]{{{-5 92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br]{{{-5 124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br]{{{-5 38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br]{{{-5 62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br]{{{-5 93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br]{{{-5 1158}}} || ||<-5><nopad> {{{#!wiki style="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5050, #656565)"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xdFwvQRyUTI)] ||<nopad> [youtube(g36cSf8OVAY)] || || MX || '''SC''' || ||<nopad> [youtube(AihhcQBcmbc)] ||<nopad> [youtube(FxmjxCm7y70)] || 4B SC 패턴은 1분 43초 즈음에 나오는 겹연타가 요주의 구간이다. 다만 이외의 구간은 11레벨 치고 쉬운 편이라 일반적으로 물렙 취급받는 패턴이다. === 5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r7-YKf12z6o)] ||<nopad> [youtube(PGXLllzvh2Y)] || || MX || '''SC''' || ||<nopad> [youtube(D18sM68gNH8)] ||<nopad> [youtube(GKTQxvzQ2XU)] || === 6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NM_huEDdZ98)] ||<nopad> [youtube(cbKG7UVi8WY)] || || MX || '''SC''' || ||<nopad> [youtube(Wr6IsVd8X_s)] ||<nopad> [youtube(5lJtNrPETLg)] || === 8B TUNES === ||<width=50%><tablebordercolor=#343434><tablebgcolor=#5e5e5e><tablecolor=white> NM ||<width=50%> HD || ||<nopad> [youtube(kbYuykGLct4)] ||<nopad> [youtube(ZyrOzv-XPyU)] || || MX || '''SC''' || ||<nopad> [youtube(Vu-_6PDdL9s)] ||<nopad> [youtube(lcvHXGFqh4c)]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IWTEYI, version=17, uuid=7883e11f-12b7-47af-9fc4-bd431dbae44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