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P 주소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대한민국의 상황 === [[대한민국]]은 인구 수의 두 배 이상인 1억 개가량의 IPv4가 할당되어 있고[* 2025년 4월 기준 1억 1,200만 개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많이 배정되어 있다. 인구 수 천만 명을 넘는 국가 중 네 번째로 인구 대비 IP가 많으며, 2천만 명을 넘는 국가 중에는 미국 다음인 2위이다.[[https://impliedchaos.github.io/ip-alloc/|#]]], 그나마도 대부분 [[인터넷 공유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쪼개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보단 상황이 훨씬 나은 편이다. 이 때문인지 아직 한국의 IPv6 보급률은 2015년 8월 26일 기준 0.9%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미리 챙겨 놓은 IPv4가 많이 있기 때문에 굳이 추가비용 써가며 IPv6로 넘어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SKT에서 LTE망 최신 단말기로 IPv6를 사용해 볼 수는 있고, [[KT]]에서도 2015년내에 IPv6 상용 서비스를 할 계획이라지만 구체적인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http://www.etnews.com/20150826000189|관련기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ipTIME]] 공유기도 아직까지 IPv6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2016년 1월 26일의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74665|기사]]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 現.[[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케이블 인터넷]] 3사([[딜라이브]], [[HCN]], [[LG헬로비전]])가 IPv6 상용화를 개시했다고 한다. [[2018년]] 4월 KT [[X(SNS)|트위터]]에 문의한 결과, [[2020년]] 이후부터 가정용 [[KT 인터넷]]에 IPv6 할당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kt_cs/status/980798590690910209|#1]] [[https://twitter.com/kt_cs/status/980798717912481792|#2]] [[SK브로드밴드]]는 2025년 이후가 되어야 IPv6 시범도입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gongu/6268|#]] 2024년 기준으로 아직도 IPv6의 보급은 지지부진한 편이다.~~[[https://www.akamai.com/internet-station/cyber-attacks/state-of-the-internet-report/ipv6-adoption-visualization|Akamai]]~~[*삭제됨][[https://www.google.com/intl/en/ipv6/statistics.html#tab=per-country-ipv6-adoption|Google]][[https://www.facebook.com/ipv6/?tab=ipv6_country|Facebook]] 세계 국가들 중 [[인도]]가 63.6%로 보급률 세계 1위이며[* [[바레인]]이 보급률 100%가 찍혀있는데 보급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한 수치가 아니라 2022년 8월 3일에 단번에 보급률 100%를 찍고 그 수치를 유지중이라서 신뢰하기 어렵다.[[https://pulse.internetsociety.org/blog/dont-believe-every-extraordinary-stat-you-see|#]] 기존에 IPv4가 보급이 전혀 안되어있다가 처음으로 할당받은게 IPv6면 나올 수 있는 통계이기는 하다.] 해외 영토[* Overseas Territory, 수도가 있는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영토]를 독립적으로 포함한 조사에서 40% 이상의 보급률을 보이는 지역은 10지역[* [[인도]], [[독일]], [[벨기에]], [[말레이시아]], [[프랑스]], [[그리스]], [[베트남]], [[일본]], [[스위스]], [[미국]]], 20% 이상의 보급률을 보이는 지역은 34지역[* 전술한 10지역 +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스리랑카]], [[브라질]], [[아랍에미리트]], [[포르투갈]], [[대만]], [[룩셈부르크]], [[우루과이]], [[에스토니아]], [[헝가리]], [[네덜란드]], [[영국]], [[핀란드]], [[캐나다]], [[에콰도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태국]], [[호주]], [[이스라엘]], [[과들루프]], [[뉴질랜드]], [[루마니아]], '''[[대한민국]]'''], 10% 이상의 보급률을 보이는 지역은 54지역[* 전술한 34지역 + [[오스트리아]], [[중국]], [[아일랜드]], [[노르웨이]], [[페루]], [[가봉]], [[미얀마]], [[파라과이]], [[마카오]], [[레위니옹]], [[체코]], [[아르헨티나]], [[필리핀]], [[슬로베니아]], [[오만]], [[볼리비아]], [[싱가포르]], [[콜롬비아]], [[폴란드]], [[네팔]]]이다. 한국은 20% 점유율로 34위이다. 나머지 지역들은 보급률이 10% 미만으로, 114위 이하 지역들은 보급률이 0.1% 미만에 불과하다. 많은 지역에서 보급률이 우상향을 그리고 있지만 2018년 이후 오히려 보급률이 떨어지는 지역도 보이는 것을 보면 빠른 시일 내 IPv4가 IPv6로 대체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사의 셀룰러 데이터([[3G]], [[LTE]], [[5G]])로 접속할 경우 기기와 사이트에서 지원한다면 IPv6를 부여받는다. [[통신사 IP]] 문서 참고. 참고로 한국에는 대략 2백조 개의 IPv6 주소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이 별도로 요청하지 않아서 최소 수준으로 할당받은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