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P 주소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공인 IP 주소 === * [[대륙]]별로 할당된 IP 주소: [[https://www.iana.org/numbers|확인]] * IPv4 주소: [[https://www.iana.org/assignments/ipv4-address-space/ipv4-address-space.xml|확인]] * [[국가]]별로 할당된 IP 주소: [[https://lite.ip2location.com/ip-address-ranges-by-country|확인]] 공인 IP란 실제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쓰는 IP 주소이며 IPv4에선 '1.0.0.0'부터 '223.255.255.255'까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지역별로 쓸 수 있는 IP 주소의 범위가 있으며 자신이 특정한 IP 주소를 쓰고 싶다고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고, IP 주소를 관리하는 기관에 사용권을 요청하여 할당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 현재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전세계의 IP 주소를 관리하고 있지만, 업무량 분산과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피라미드]]형 체계로 구축되어 있다. IANA → 각 대륙별 IP 주소 관리 기관 → 각국의 IP 주소 관리 기관 → [[ISP]] 순으로 IP를 할당받으며 [[ISP]]에서는 다시 지역별로 IP를 나눈 뒤 계약자(개인이나 회사)에게 IP를 할당해준다. 이렇게 할당받은 IP가 바로 공인 IP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APNIC(아시아-태평양 네트워크 정보센터)과 KRNIC(한국인터넷정보센터)의 관할 구역이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IPv4 주소를 가장 많이 할당받은 국가는 [[미국]]이다. 그 수가 '''약 16억 개'''(1,611,571,808개)로, 혼자서 공인 IP의 ⅓을 차지하고 있다. 인구 수 대비 무려 4배가 넘는다. [[대한민국]]은 약 1.1억 개(112,503,296개)를 확보하고 있고, [[일본]]이 약 2억 개를 가지고 있다. 의외로 [[중국]]에 할당된 IPv4 주소는 약 3억 개(343,162,368개)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중국에 인터넷이 늦게 보급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늦게서야 IP를 확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의 기업들은 IPv6 상용화에 적극적이다. 중국과 인구가 비슷한 [[인도]]는 그보다도 적은 약 5천만 개밖에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IPv6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2024년 11월 기준 총 112,503.296개의 IPv4 주소를 할당받았으며, 그 중 가장 오래된 IPv4 주소는 1986년 6월 30일에 할당받은 128.134.0.0/16(128.134.0.0 ~ 128.134.255.255)로 65536개를 할당받았다. 가장 많이 할당받은 주소는 2010년 1월 27일 받은 175.192.0.0/10(175.192.0.0 ~ 175.255.255.255)[* 이 중 175.192 ~ 175.215가 가정용/공용 IP로, 175.223이 통신사 IP로 사용되고 있다.]로 4194304개를 할당받았다. 마지막으로 할당받은 IPv4 주소는 2011년 4월 11일 받은 106.10.0.0/17(106.10.0.0 ~ 106.10.127.255)로 총 32,768개. 현재는 IPv4 주소가 고갈되었기 때문에 이 이후에 예약된 주소가 풀리지 않는 한, 추가 할당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IPv4 주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통신사는 [[KT]]이다.[* 그래서인지 KT는 공인 IP 할당 제한을 가장 적게 둔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공인 IP를 7개까지 할당받을 수 있으며, [[KT 홈허브#s-2.2|자사의 FTTx/VDSL 광모뎀]] 역시 4개의 포트가 모두 공인 IP를 부여받는다. [[SK브로드밴드]] 역시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KT보다 제한을 크게 두고 있으며, 자사의 [[FTTx]]/[[VDSL]]/[[HFC]] 광모뎀을 브릿지 모드로 전환하면 IP 할당 대수 초과로 인터넷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 [[LG U+]]는 할당받은 IP가 적어서 자사의 FTTx/VDSL/HFC 광모뎀을 브릿지 모드로 전환하면 공인 IP를 2개까지만 할당이 가능하다. 아이피 3개 할당 이후 인터넷이 안되는 것은 CPE(단말) 제한에 걸린 것이지 아이피 부족으로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제일 처음 받은 IPv6 주소는 1999년 10월 6일에 할당받은 2001:220::/35 대역인데, 2001:220:: 부터 2001:0220:1fff:ffff:ffff:ffff:ffff:ffff 까지이다. 대략 1[[양(수)|양]] 개 = 10^^28^^개로, 정확히는 9,903,520,314,283,042,199,192,993,792개다. 사실, 최초로 받은 IPv6 주소는 시범적으로 '''조금만''' 받은 것이고, 실제 분배는 1999년 [[11월 24일]]에 2001:0230::/32 대역을 받았다. 이것은 약 7.9양 개이다.[* 실제로 IPv6 주소는 /32 대역(약 7.9양 개) 단위로 분배한다. 그런데, /32 대역이 총 42억 개가 있는 셈이라, 마구마구 퍼주어도 남아돈다.] 2020년 5월 기준 대한민국은 IPv6 /32 대역을 5259개 할당받았다. /32 대역당 7.9양 개이므로 총 4[[구#s-1.2]] 1666양 개 = 4.17*10^^32^^ 개를 할당받았다. [[http://www.krnic.or.kr/jsp/infoboard/stats/inProCurIpv6Add.jsp|관련정보]]. [[북한]]도 2009년 12월 21일에 IPv4 주소를 할당받았으며, 범위는 175.45.176.0/22 대역으로 175.45.176.0부터 175.45.179.255까지이고 모두 1024개다. 관리는 [[별(북한 통신회사)|STAR JOINT VENTURE Co., Ltd.]]라는 [[주식회사]]에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q.apnic.net/apnic-bin/whois.pl?searchtext=175.45.176.0|관련정보]]. [[바티칸 시국]]처럼 인구가 정말 적은 소국이나,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같은 일부 [[미승인국가]][* [[대만]]의 경우 [[중국]]과는 별개로 IP를 확보했다.], 기타 IPv4주소 확보에 나서지 않은 국가들은 보유 개수가 없다. 그렇다고 인터넷을 못쓰는 것은 아니지만 IPv4를 쓰겠다면 대륙별 IP 관리 기관에 할당 가능 여부를 문의하거나 타국이나 타국 통신사가 보유한 IP를 임대하거나 구매해서 써야한다. CMD 창에서 공인 IP를 확인하고 싶으면 '''nslookup myip.opendns.com. resolver1.opendns.com'''이라고 치면 맨 밑에 공인 IP가 뜬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