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사이버펑크: 엣지러너)] ||<-2><table align=right><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270046,#efe700><bgcolor=#246781><tablebgcolor=#ffffff,#1c1d1f><table color=#373a3c,#dddddd> '''{{{#efe700 {{{+1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br][[사이버펑크 2077|{{{#efe700,#efe700 사이버펑크 2077}}}]] 사운드트랙}}}''' || ||<-2><nopad> [youtube(Rbgw_rduQpM, width=100%)] || ||<-2><bgcolor=#246781> '''{{{#efe700 Full Version}}}''' || ||<width=30%><colbgcolor=#246781><colcolor=#efe700> '''연주''' ||<|2> Rosa Walton[* [[영국]]의 2인조 팝 그룹 [[레츠 잇 그랜마|Let's Eat Grandma]]의 멤버] || || '''작곡''' || || '''재생 길이''' || 4:07 || || '''장르''' || [[일렉트로팝]], [[신스팝]], [[드림 팝]], [[OST]]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임]] [[사이버펑크 2077]]의 수록곡. 곡명은 직역하면 '''"정말 네 집에 계속 머물고 싶어"'''. 인게임에서는 '''98.7 Body Heat Radio'''를 선택하면 들어 볼 수 있다. 또 길거리의 라디오에서 우연히 접해 볼 수도 있다. 라디오의 특성상 원하는 곡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곡들과 함께 나오니 긴 대기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방송 리스트는 [[사이버펑크 2077/라디오]] 문서 참고. 많은 사람들이 이 곡을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를 위해 만들어진 곡인줄 알고 있으나, 원래부터 사이버펑크 2077 게임 본편에서도 들을 수 있던 곡이었다. 이런 오해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첫 번째로 사이버펑크 2077이 세간의 기대와는 달리 처참한 완성도로 인해 게이머들에게 외면받다보니 자연스럽게 이 곡에 대한 관심도 크지 않았기 때문. 같은 게임에서 등장한 [[PONPON SHIT]]은 굉장한 병맛으로 화제가 되기라도 했지 이 곡은 그럭저럭 듣기 좋은 곡 1 이상의 인지도가 없었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관심이 식으면서 자연스럽게 이 곡도 딱히 주목받지 못했다. 두 번째로 '''엣지러너를 위해 만든 곡이라고 해도 믿을만큼''' 곡의 가사와 분위기, 흐름이 엣지러너의 스토리와 연출에 잘 맞았기 때문. 사이버펑크라는 작품에 어울리는 사운드 및 엣지러너의 두 주인공의 서사가 그대로 반영된 듯한 그저 함께하기만을 바라는 가사 내용이 이런 오해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 하여튼 엣지러너의 주요 장면에 사용됨으로서 해당 장면의 서정적인 부분을 제대로 뒷받침 해준 덕에 시청자들의 감성을 제대로 자극하여 이를 기점으로 해당 곡의 인지도가 크게 상승하였고, 마침 제작사에서도 계속된 패치를 내놓아서 그간 게이머들에게 질책을 받아왔던 부족한 게임성을 하나둘 보완한 끝에 제대로 된 게임으로 평가를 끌어올리게 되자 엣지러너로 받은 흥미로 인해 게이머들이 다시금 게임쪽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결국 게임 본편과 엣지러너, 그리고 이 곡의 인지도가 상호 시너지를 일으켜 더욱 상승한 끝에 [[사이버펑크 2077]] 세계관을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위상이 뛰어올랐다. TJ 미디어에 79185번으로 수록되어 있다. 2.0에 추가된 애인과의 집 데이트 보조 임무 이름이며 한국어 번역으로 '[[사이버펑크 2077/보조 임무#집 데이트 (정말 네 집에 계속 머물고 싶어)|정말 네 집에 계속 머물고 싶어]]' 이다. == 가사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70046,#efe700><table color=#246781,#246781><bgcolor=#246781> {{{#efe700,#efe700 '''[[사이버펑크: 엣지러너|{{{#efe700,#efe700 {{{+1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br]가사 영상 및 뮤직비디오'''}}} || ||<nopad> [youtube(aYr-dajq_4Y)] || ||<nopad> [youtube(KvMY1uzSC1E)] || ||<nopad> [youtube(h4VJGNNSQnw)] || ||<^|1><:><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color=#373a3c,#dddddd><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Verse 1]}}} '''I couldn't wait for you to come and clear the cupboard'''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얼른 찬장을 비우러 오길 바랬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But now you're gone and leaving nothing but a sign'''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런데 넌 흔적만 남기고서 떠나 버렸네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other evening I'll be sitting reading in-between your lines'''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저녁이 되면 여기 앉아 너의 말들을 되짚어보곤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Because I miss you all the tim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냐면 네가 늘 그리우니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Pre-Chorus]}}} '''So, get away'''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 떠나가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other way to feel what you didn't want yourself to kn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애써 외면해왔던 것을 느낄 다른 곳으로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d let yourself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자신을 그만 놓아줘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You know you didn't lose your self-control'''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아직 스스로를 잃어버리지 않았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here's just no end of the rainb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이대로는 무지개처럼 끝이 없는걸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urn away'''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돌아가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other way to be where you didn't want yourself to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가고 싶지 않았던, 머무를 다른 곳으로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d let yourself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자신을 그만 놓아줘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s that a compromis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이런 게 타협인 거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Chorus]}}} '''So what do you wanna do,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서, 넌 뭘 하고 싶어?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here's a party, screw it do you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파티가 있다는데… 됐어, 혹시 가고 싶은 거야?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handshake with you,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와 내가 손을 잡을 때,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on top of you, I don't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난 그냥 너랑 있을래, 파티 따윈 가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Cause I really wanna stay at your hous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냐면 난 이대로 너희 집에 머무르고 싶으니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n the palace it all works out'''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여기선 모든 일이 잘 풀리는 걸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But you know how much you fuck me up'''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하지만 네가 날 얼마나 상처 줬는지 알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done with you, I'm ignoring you'''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랑은 이제 끝이야, 말 섞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don't wanna kn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알고 싶지도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h-Ah'''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아-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Verse 2]}}} '''And I'm aware that you were lying in the gutter'''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그때 시궁창 같은 상황이었다는 것도 난 알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Cause I did everything to be there by your sid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냐면 난 네 곁에 있기 위해 모든 걸 다 했으니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h-Ah, Ah-ah'''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아-아, 아-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So when you tell me I'm the reason, I just can't believe the lies'''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서 네가 나 때문에 힘들다고 말할 때, 거짓이라고 믿을 수 없었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d why do I still wanna call you'''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 난 여전히 네가 보고 싶은 걸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Chorus]}}} '''So what do you wanna do,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서, 넌 뭘 하고 싶어?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here's a party, screw it do you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파티가 있다는데… 됐어, 혹시 가고 싶은 거야?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handshake with you,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와 내가 손을 잡을 때,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on top of you, I don't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난 그냥 너랑 있을래, 파티 따윈 가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Cause I really wanna stay at your hous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냐면 난 이대로 너희 집에 머무르고 싶으니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n the palace it all works out'''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여기선 모든 일이 잘 풀리는 걸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But you know how much you fuck me up'''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하지만 네가 날 얼마나 상처 줬는지 알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done with you, I'm ignoring you'''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랑은 이제 끝이야, 말 섞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don't wanna kn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알고 싶지도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Bridge]}}} '''Oh-oh, oh-oh-oh'''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오-오 오-오-오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don't know where I'm going'''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난 이제 어떡하면 좋지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Pre-Chorus]}}} '''So, get away'''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 떠나가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other way to feel what you didn't want yourself to kn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애써 외면해왔던 것을 느낄 다른 곳으로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d let yourself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자신을 그만 놓아줘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You know you didn't lose your self-control'''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아직 스스로를 잃어버리지 않았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here's just no end of the rainb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이대로는 무지개처럼 끝이 없는걸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urn away'''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돌아가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other way to be where you didn't want yourself to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네가 가고 싶지 않았던, 머무를 다른 곳으로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nd let yourself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자신을 그만 놓아줘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s that a compromis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이런 게 타협인 거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1 [Chorus]}}} '''So what do you wanna do,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그래서, 넌 뭘 하고 싶어?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There's a party, screw it do you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파티가 있다는데… 됐어, 혹시 가고 싶은 거야?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handshake with you, what's your point-of-vie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와 내가 손을 잡을 때, 넌 무슨 생각 해?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on top of you, I don't wanna go'''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난 그냥 너랑 있을래, 파티 따윈 가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Cause I really wanna stay at your house'''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왜냐면 난 이대로 너희 집에 머무르고 싶으니까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n the palace it all works out'''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여기선 모든 일이 잘 풀리는 걸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But you know how much you fuck me up'''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하지만 네가 날 얼마나 상처 줬는지 알잖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m done with you, I'm ignoring you'''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너랑은 이제 끝이야, 말 섞고 싶지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I don't wanna know'''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알고 싶지도 않아 || ||<bgcolor=#246781,#246781><color=#efe700,#efe700> '''Ah-Ah''' || ||<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ddd> 아-아 || }}}}}} || === 잘못된 가사가 퍼지게 된 이유와 현재 === || 원래 가사[* 공식 레이블 Lakeshore Records에서 가장 처음 올리온 가사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 기준] || 잘못된 가사[* [[https://youtu.be/KvMY1uzSC1E|넷플릭스 공식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h4VJGNNSQnw|사이버펑크2077 공식 유튜브 영상]] 설명란 기준, 구글 검색 결과나 genius는 추후 조금씩 수정되기라도 했지 여기는 초기에 널리 알려진 잘못된 가사가 그대로 남아있다.] || || I couldn't wait for you to come '''and''' clear the cupboard || I couldn't wait for you to come clear the cupboards || || But now you're '''gone and leaving''' nothing but a sign || But now you're '''going to leave with''' nothing but a sign || || '''There's just no end of''' the rainbow || '''Let's start at''' the rainbow || || '''And''' let yourself go || Let yourself go || || There's a party, '''screw it''' || There's a party '''soon''' || || '''I''' handshake with you || '''A''' handshake with you || || '''In the palace it all''' works out || '''And I hopе this''' works out || || But you know how much you '''fuck''' me '''up''' || But you know how much you '''broke''' me '''apart''' || || And why do I '''still wanna''' call you || And why do I '''so want to''' call you || || I don't know '''where''' I'm '''going''' || I don't know '''why''' I'm '''no-one''' || 꽤 오랫동안 잘못된 가사가 구글 검색에서 노출되는 바람에 심지어 넷플릭스 공식 채널과 사이버펑크 공식 채널에도 잘못된 가사가 노출되어있다. [[https://www.google.com/search?q=rosa+walton+i+really+want+to+stay+at+your+house+lyrics&sxsrf=ALiCzsa430QIMR8UVQbU7ZkIoGmEzWQvWw%3A1668954664473&ei=KDp6Y93BHJDi-AbswLPwDA&oq=rosa+walton+i+really+want+to+stay+at+your+house+lyrics&gs_lcp=Cgxnd3Mtd2l6LXNlcnAQAxgAMggIABCABBDLATIICAAQgAQQywEyCAgAEIAEEMsBMggIABCABBDLAToECCMQJzoICC4QgAQQywE6BAgAEB46BggAEAgQHjoFCAAQgAQ6BwgAEIAEEA06BggAEB4QDUoECEEYAEoECEYYAFDDBljqHWDNImgEcAF4AIABc4gBlgqSAQM1LjiYAQCgAQHAAQE&sclient=gws-wiz-serp|구글에 등록된 가사]], [[https://youtu.be/KvMY1uzSC1E|넷플릭스 공식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h4VJGNNSQnw|사이버펑크2077 공식 유튜브 영상]]의 '더보기'란에 기재된 가사가 틀렸다는 의견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dgerunners2077&no=9066|의견1]] [[https://cafe.naver.com/cdprkr/9990|의견2]] 제기되었다. 구글에 음원 소유자로 등록된 회사는 존재하지 않는 회사이며 가사 또한 일반인이 가사를 등록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가져왔기 때문. [[https://soundtracksscoresandmore.com/2022/09/28/cyberpunk-2077-listen-to-the-viral-hit-song-i-really-want-to-stay-at-your-house-by-rosa-walton-with-lyrics/?fbclid=IwAR2l23H-flwISqZJCsGO8j9eO_dLhu9dbZKjxPe8GH4kdCiDGlpEFhfPu98|Lakeshore Records의 공식 사이트]][* 해당 사이트는 [[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Lakeshore Records의 가사 영상]] 속 마지막 아웃트로에 나오는 사이트 주소이기도 하며, Lakeshore Records 유튜브 채널 정보에도 등록 된 공식 사이트이다.]에 등록된 가사는 [[https://youtu.be/KvMY1uzSC1E|넷플릭스 공식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h4VJGNNSQnw|사이버펑크2077 공식 유튜브 영상]]의 '더보기'란과 동일하나, Lakeshore Records의 공식 홈페이지에 적힌 가사 출처를[* 가사 마지막에 'Via'라고 적힌 텍스트를 클릭하면 출처 확인이 가능하다.] 확인해보면 해당 가사는 누구나 손 쉽게 편집이 가능한 해외 위키[[https://genius.com/Rosa-walton-and-hallie-coggins-i-really-want-to-stay-at-your-house-lyrics|#]]를 참고한 것으로 보이며, 시간이 지난 지금 다시 해외 위키에 적힌 가사를 확인 해보면 일부 가사가 올바르게 수정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Lakeshore Records의 공식 홈페이지 게시물에 첨부 된 영상은 넷플릭스와 사이버펑크 유튜브의 뮤직비디오 영상과 다른 가사가 적힌 1년 전 가사 비디오(Lyric Video)가[[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 첨부되어 있다. 이로서 본인들의 공식 홈페이지에 '''서로 다른 가사 두개를 함께 첨부한 셈'''이 되어 버렸다. ||<width=100%> [[파일: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Lyric.png|width=90%]] || ||<-2> 홈페이지에 첨부된 유튜브 가사 비디오(Lyric Video)[[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와 영상 하단에 적힌 가사는 서로 다른 가사다. || 이를 토대로 역추적 해보면, 2022년 9월 28일에 올라온 Lakeshore Records의 공식 홈페이지 게시물을 작성 했을 당시 제대로 검수하지 않고 위키에 있는 가사를 그대로 인용한 실수를 범했으나, 이후에도 정정 되지 않은 상태로 10월 4일에 사이버펑크와 넷플릭스 공식 뮤직비디오도 Lakeshore Records의 게시물을 참고하여 틀린 가사를 적어 넣어 마치 틀린 가사가 공식 가사인 것처럼 퍼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해외 위키, Lakeshore Records의 공식 홈페이지, 넷플릭스와 사이버펑크 유튜브 순으로 오류가 퍼지게 된 샘. ] 결정적으로 해당 음원을 작사, 작곡, 보컬까지 한 Rosa Walton이 직접 부른 라이브 영상[[https://youtu.be/QDeL5M0QzUg|#]] [[https://youtu.be/qQqecnwySQY?si=d0otnc6piIkRKAmn|#2]]을 직접 들어보면 분명히 초기 Lakeshore Records의 가사 영상대로 부르고 있다. 그래서 해당 나무위키에 적힌 가사는 공식적으로 가사가 달린 영상 중 가장 오래된 것인 [[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Lakeshore Records의 가사 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Lakeshore Records의 가사 영상은 2021년 2월에 올라왔으며, 사이트 기사는 2022년 9월, 다른 영상들은 애니가 공개된 이후인 2022년 10월에 올라왔고, 구글 가사는 2022년 10월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모국어가 영어인 화자라 할지라도 모호한 발음은 실제 가사를 추론하기 어렵거나 [[바베큐/몬더그린|자신이 듣고 싶은 대로 들리는 몬더그린 현상]]이 있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공식 가사가 직접 공개되지 않은 노래들은 팬들이 추측해서 가사를 추론하고 이것이 웹사이트 등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상술했듯 이 곡은 일찍이 Lakeshore Records 측이 올린 가사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aYr-dajq_4Y|#]]이 있었지만 노출된 빈도는 적었고 따로 가사만 텍스트화 되어 인터넷 검색 결과등으로 잡힌 것도 아니기 때문에 팬들이 추측에 의존한 자막이 더 널리 퍼지게 되면서 발생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본 곡은 발음이 뭉게지는 전자음 가사 구간이 더 많았기에 특히 취약했다. 한 때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 등록된 가사에는 잘못된 가사에 [[주석(언어)|주석]] 번호까지 포함되어 검수 없이 그냥 복사 붙여넣기를 한 것으로 보여지는 가사가 등록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몇몇 유저들은 각종 음원 사이트에 꾸준히 가사 수정 요청을 하여 지금은 [[https://www.melon.com/song/detail.htm?songId=36231136|멜론]], [[https://www.music-flo.com/detail/track/446375066/details|FLO]], [[https://music.bugs.co.kr/track/81992537|벅스]] 등에선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https://www.genie.co.kr/detail/songInfo?xgnm=100529466|지니뮤직]]과 [[https://vibe.naver.com/track/61593450|바이브]] 등은 아직 수정이 안 된 것으로 확인되며, [[지니뮤직]]의 경우 공식적인 [[B2B]]로만 가사가 등록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여 수정 요청 자체가 불가능하다. 노래방 음향 기기 전문 업체 [[TJ미디어]]에도 잘못된 가사로 등록되어 있다가 2024년 3월에 가사가 수정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커버곡들을 보면 대다수 잘못된 가사와 수정된 가사를 혼용하여 부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오히려 제대로 부른 경우가 없을 정도.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50%><nopad>[[파일: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TJ미디어.png|width=100%]] ||<nopad>[[파일: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TJ미디어2.png|width=100%]] || ||<-2> 가사 수정 전과 후 || == 상징 == [include(틀:스포일러)] 가사의 내용은 함께 있고 싶다는 내용으로 시작하지만 그럴 수 없다는 걸 자각하는 내용으로 이어지며 그래서 미워하자니 도저히 미워할 수도 없고 반대로 더 나아가자니 함께 했을때 마주하게 될 미래를 두려워하는 내용을 통하여 남녀간의 이어질 듯 말 듯한 복잡한 애정관계를 그리고 있으며, 곡 자체는 가사 내용에 걸맞게 매우 잔잔하고 애틋한 분위기의, 그러나 디스토피아 미래 시대에 걸맞는 자극적인 신디사이저음이 가득한 독특한 멜로디를 담고 있다. >Two facts that will probably make you cry even more: >1. Lucy said cyberpunks will be remembered by how they die instead of how they live, so she doesn't want David to become a cyberpunk. However, in the end Lucy remembers David by how he lived not how he died, even though David became a cyberpunk after all. >2. Doc said after using up all the strengthened meds he gave David, no matter how special David was he is bound to lose himself. However, even after using all the meds, Lucy managed to help David remain himself by kissing him. Lucy was David's last dose of medicine. >당신을 더욱 심하게 울릴 수도 있는 사실 두 가지 >1. 루시는 사이버펑크들은 어떻게 사느냐보다 어떻게 죽는지로 기억된다고 했기에, 데이비드가 사이버펑크가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하지만 루시는 마지막에 데이비드가 사이버펑크가 되었음에도 어떻게 죽었는지가 아닌 어떻게 살았는지로 기억한다. >2. 리퍼닥은 데이비드가 자신에게서 받아간 억제제를 모두 사용하면 데이비드가 아무리 특별해도 [[사이버 사이코|제정신을 잃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하지만 루시가 키스로 억제제를 모두 사용한 데이비드가 제정신을 유지하게 도와줬다. 루시야말로 데이비드의 마지막 억제제였던 것이다. >---- >[[넷플릭스]] 공식 업로드 영상의 상위권[* 이 댓글의 추천수는 약 1.4만인데, 그러고도 최다 추천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1만 개 정도의 댓글이 대여섯개(!)나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KvMY1uzSC1E&lc=UgwbeYZDz0xTY3pmIVl4AaABAg|댓글]] 그리고 이 곡이 바로 그 디스토피아 미래 도시의 한복판에 살고있으면서도 잔잔하고 애틋한 분위기의 애정을 주고받지만 결코 함께 할 수 없으면서도 미워할 수만도 없고 그렇다고 함께 나아가는 것도 하지 못하는 데이비드와 루시의 상황에 놀랍도록 맞아떨어져서 데이비드와 루시가 함께 하는 장면마다 삽입되어 관객들이 상황에 몰입하게 되는 몰입도를 더욱 극대화하였다. 대표적으로 2화에서 데이비드와 루시가 함께 달 여행 BD를 경험할 때, 그리고 10화에서 아라사카 타워에서 사이버 사이코시스가 도진 데이비드가 폭주할 때, 타워에서 루시와 데이비드가 함께 추락하며 키스하고 서로의 꿈을 고백할 때, 데이비드의 마지막, 그리고 마지막에 루시가 홀로 달 여행을 갔을 때에 쓰였고,[* 잘 보면 2화의 달여행 BD를 경험하는 장면들과 10화에서 루시가 달을 여행하는 장면들이 [[수미상관|의도적으로 똑같은 구도로 연출한 것]]을 [[https://www.youtube.com/watch?v=KgdqohtDsdM|알 수 있다.]] ] 덕분에 엣지러너 방영 이후 이 곡은 두 사람의 관계를 상징하는 곡처럼 쓰이고 있다. 원작 게임인 사이버펑크 2077을 접하지 않은 사람들이 위의 장면들을 위해 만들어진 곡이 아니라 게임 내에 본래 존재하던 라디오 음악인 것을 알고 깜짝 놀라는 반응이 많다. 특히 10화의 하이라이트에서 배경음악으로 쓰인 씬의 배경인 달과 달빛이 비치는 아라사카 타워에 어울리는 몽환적인 분위기, 비극적인 상황과 대조되어 아이러니함을 느끼게 해주는 밝은 멜로디, 그럼에도 어딘가 느껴지는 서정성이 작품의 빌드업과 맞물려 완벽한 시너지를 내서 --심한 내상을-- 강렬한 임팩트와 진한 여운을 주기 때문. 작품 내 배경이나 BGM 등을 원작 게임에서 따와서 세심하게 배치한 트리거의 애정과 노련함이 대단하다는 극찬을 불러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다. == 반응 == >'''Not even the Trauma Team can save any of us from the feels''' >'''트라우마 팀이라도 이 감정에 빠진 우리를 절대 구해줄 수 없을 거야''' >---- >공식 뮤직비디오의 유튜브 댓글 중 최다 좋아요를 받은 [[https://www.youtube.com/watch?v=KvMY1uzSC1E&lc=Ugw9gE8W8c66fTkaJb14AaABAg|댓글]].[* 2025-08-03 기준으로 좋아요가 '''14만'''에 육박한다.] 본작의 여운이 상당히 강하고[* 2000년대에 [[초속 5센티미터]]에서 묘사된 이어지지 못하는 사랑의 비극을 2020년대의 감성으로 재구성한 작품이기 때문.] 작품을 상징하는 노래이다 보니 이 곡에 본편의 이미지나 영상을 입혀서 올라오는 유튜브 영상 등지에서는 엣지러너를 보기 전에는 스포츠카를 타고 나이트 시티의 가부키 구역과 재팬타운을 이어주는 대교를 달리면서 운전할때 듣기 좋은 곡이었는데, 보고 나서는 음악을 들으면 갑자기 슬퍼진다는 식의 반응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나오고 있다. 특히 노래를 듣는 것 자체로 내상을 입었다느니, 곡의 장르가 내상이라느니, 이 내상은 트라우마 팀 플래티넘 서비스도 치료하지 못할 것이라질 않나, 공식 1시간 루프 영상에서는 1시간짜리 지속적 내상이라는 코멘트들은 물론이고, 괴로워서 노래를 차마 듣지 못하거나 노래가 나오자마자 사람들이 훌쩍훌쩍 울음을 터뜨리고[* [[스파이더맨|피터 파커]]가 벤 삼촌의 죽음 앞에 울음을 터뜨리는 장면, '우는 흑형(black man crying/Thank god for my reefer)' 등 온갖 울음과 곡성 밈을 다 끌어다 쓰고 있다.] 심지어 [[제레미 클락슨|슬픔을 못 견뎌 차에서 뛰어내려버리는]] 각종 합성물 밈들, 특히 [[키아누 리브스]]가 2019년 영화인 <Always Be My Maybe>에서 와인을 마시다 말고 [[https://youtu.be/r0k7gJVNlKE|엉엉 우는 장면]]을 이 노래에 합성해서 '''[[조니 실버핸드|조니 본인]]'''이 엣지러너를 본 소감이라는 등의 온갖 '''[[PTSD|내상]] 밈'''들이 활발히 만들어지고 있다.[* 노래를 듣기만 해도 우는 합성물을 만드는 판에 당연한 이야기지만, 유튜브의 엣지러너 감상 영상 중 작중에서 이 노래가 나오는 슬픈 장면들에서 실제로 엉엉 울어버리는 리뷰어들도 흔하며, 울어버린 리뷰어들의 반응만 따로 모은 영상집도 상당수 나와 있다.] 종영된 지 1년이 지난 후에도 게임 내에서 차량을 탈 때 종종 무작위로 재생되다보니 잊을만하면 다시 내상을 입힌다, 노래로부터 도망칠 수 없다는 반응이 많다. 원체 눈물을 쥐어짜는 노래로 유명해져서 제작진 측에서도 이 노래의 유명세와 팬들이 받은 인상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엣지러너의 총괄 프로듀서 및 기획 담당자이자 위처:로닌의 작가인 라팔 자키는 직접 [[https://twitter.com/GwentBro/status/1598059571964432384?cxt=HHwWgMDSzdetua0sAAAA|이 곡의 장르가 내상이라는 위키 분류의 스크린샷을 트윗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레딧에서 진행된 공식 AMA에서도 이 노래에 대한 질문이 쇄도했으며, [[이마이시 히로유키]]에 의하면 선곡의 이유는 2화에 쓰일 곡을 위해 게임 내 라디오 음악을 탐색하던 중 우연히 이 노래를 듣게 되었는데, 이 애니에 자신이 원하는 감정을 불러일으킬 만한 바로 그런 노래였기 때문이라고. 게임 내에서 엣지러너의 슬픔 [[PTSD]]를 자극하는 장소들을 방문하는 영상에서도 BGM으로 적극 쓰이고 있는데, 시청자들이 안타까워하는 인기 캐릭터 중 하나인 레베카의 집[* 게임 시점에서는 한 경관이 살고 있으며, 안으로 들어가볼 수 있다.]이 가장 인기있는 눈물 스팟으로 꼽힌다. == 기타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70046,#efe700><table color=#246781,#246781><bgcolor=#246781> {{{#efe700,#efe700 '''{{{+1 It's All About You}}}[br]Episode 10: Stay at Your House[br]'''}}} || ||<nopad> [youtube(hVf0Xy6gn4A)] || * 제작사 CD 프로젝트 레드 공식 유튜브 2차 창작 축전 선정 영상 '''에피소드 10'''에서 초반부 부분은 기타, 후반부는 피아노 버전으로 편곡하여 배경 삽입 음악으로 쓰였다. ~~대다수가 레베카의 2차 창작이 태반이긴 하지만...~~ * 의외로 아이튠즈에서 19금 딱지가 붙은 곡이다. 게다가 Bugs를 제외한 국내 음원사이트에는 등록조차 안 된 곡이다. 들으려면 아이튠즈나 유튜브 뮤직 또는 스포티파이를 써야 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운이 없는 곡...이었지만, 2023년 3월, Melon에도 음원이 등록되었다. Bugs 에도 또한 등록되어있다. * 리퍼닥 [[사이버펑크 2077/등장인물#핀 거스탯|핑거스]]의 방에 틀어져 있는 곡이기도 해서 자연히 주디 이벤트에서 BGM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엣지 러너를 접한 플레이어에게는 부조화적인 느낌을 주기도 한다. * 흔치않게도 코러스 부분보다 벌스 부분과 프리 코러스 부분이 훨씬 더 잘 알려진 곡이기도 하다. 전자음으로 보컬이 완전히 뒤덮인 후렴구 보다는 특유의 서정적인 멜로디와 맑은 보컬, 고조되는 배경음이 돋보이는 절과 프리 코러스 부분이 감성을 좀 더 자극하기에 알맞기 때문인 듯.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70046,#efe700><table color=#246781,#246781><bgcolor=#246781> {{{#efe700,#efe700 '''{{{+1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br]Eurobeat Remix[br]'''}}} || ||<nopad> [youtube(llSfd-OzQBM)] || * 정식 제작 곡은 아니지만 유로비트로 만든 곡도 있다. --울고 싶은데 스케줄이 너무 빡빡할 때.[* 해당 영상에 있는 댓글 중 하나]-- * [[팬텀 리버티]] 중국 버전의 four Score and seven 미션에서 기다릴때 V가 흥얼거린다.[[https://gall.dcinside.com/m/cyberpunk2077/43053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version=254, uuid=1ebb4ac4-b4cc-4b15-b015-eda0b75233f0)] [[분류:사이버펑크 2077]][[분류:사이버펑크: 엣지러너]][[분류:게임 음악]][[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