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ypernaid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s_5Cw0sBO74)]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4 (2023)}}} || || {{{-1 '''장르'''}}} ||{{{-1 Sparkling Dance}}} || || {{{-1 '''BPM'''}}} ||{{{-1 150}}} || || {{{-1 '''작곡'''}}} ||{{{-1 [[KATOMORI]]}}} || || {{{-1 '''BGA'''}}} ||{{{-1 [[팥쥐(유튜버)|팥쥐]] (POTG)}}} || [[https://www.youtube.com/watch?v=o9HKraQywf8|BGA를 담당한 팥쥐의 채널에 올라온 영상.]][* DJMAX BGA 영상과 팥쥐 채널 버전의 영상을 서로 비교하면 초반부터 최후반까지 멜로디 및 세부 음향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음과 고음의 무게감과 밸런스도 차이가 나며, 특히 최후반에 그 차이가 부각된다. 전체적으로 팥쥐 채널의 영상 음악이 멜로디는 담백하면서 베이스는 묵직하게 구성했고, DJMAX 버전으로 오면서 저음 밸런스를 맞추며 멜로디는 더 다채롭게 편곡시켰다.] == 개요 == [[KATOMORI]]의 [[DJMAX RESPECT/DLC#s-4.4|V EXTENSION 4]] 신곡. 작곡가와 제목으로 알 수 있듯 동 작곡가가 [[DJMAX RESPECT/DLC#s-4.2|V EXTENSION 2 DLC]]에 제공한 [[Melonaid]]의 후속곡이다. 전작이 [[카와이 베이스]] 기반의 말랑말랑한 분위기에 중반에 변주가 들어간 것이 특징이었는데, 이번 곡 역시 카와이 베이스를 기반으로 덥스텝 드랍 부분 이후 중반 변주 구간이 등장하나 Melonaid와 비교하면 그 변주의 폭이 훨씬 넓고 하드한 일렉트로닉 사운드와 더불어 [[트랩]], [[유로비트]], [[트랜스]][* 소위 '핸즈업'이라고 불리는 유로 트랜스 풍.], [[록 음악|락]] 장르의 요소를 집어넣기도 하는 등 변주 부분이 상당히 다이나믹하게 전개되는 것이 특징이다. == BGA == BGA는 [[Secret(DJMAX)#s-2|Secret]]에 이어 [[팥쥐(유튜버)|팥쥐]]가 제작했으며, 소위 '팥쥐 유니버스'로 불리는 [[민초딩]]을 비롯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팥쥐 유니버스의 새로운 상어 캐릭터인 '캐비아'도 등장한다. 내용은 카페의 커피 머신이 터지면서 점장인 팥쥐가 구급차에 실려가게 되면서 시작한다. 이에 남은 민초딩과 친구들이 카페를 책임지기 위해 각자 알바생으로 전직, [[아람쥐]]는 설거지를, [[랏쿄]]는 청소도 하고 남은 인원인 민초딩과 [[샬롯(팥쥐 시리즈)|샬롯]], [[팥쥐(유튜버)#캐비아|캐비아]]는 음료수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만든 음료는 맛이 상당히 없었는지 민초딩이 만든 민트 음료를 제외하면 메뉴판에서 모조리 지워지게 되는데, 그러던 도중 손님이 도착하게 된다. 민초딩과 친구들은 유일하게 살아남은 메뉴인 [[민트초코]] 프라페를 만들어 건네주게 되는데, 이 음료가 마치 [[약]]을 한 듯 기막힌 맛이었고,[* 갑자기 [[The Backrooms|백룸]]과 [[Aleph-0|프랙털]]로 구성된 공간이 등장하는 이 부분의 연출이 압권이다.] 맛에 반한 손님이 유튜브에 이 음료를 올리면서[* 손님이 리뷰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였는지 '리뷰맨'이라는 닉네임을 달고 있다. 이 부분에서 음료에 따봉을 하는 실사 연출도 등장하는데, 팥쥐 본인의 손이라고.] 입소문이 난 카페가 하루만에 대박[* 줄을 서고 있는 사람들 중 [[SCP-173]]과 [[Ballin'(DJ 머스타드)|Animan Studios 애니메이션]]의 그 보라색 조끼의 아저씨(...)가 등장하고, 손님 중에는 [[Secret(DJMAX)|Secret]]의 BGA에도 등장한 그레이 소령이 출연하며, 포스기에는 [[케인(인터넷 방송인)/밈|돈통]]이라는 글자가 적혀있는 등 팥쥐가 자주 사용하는 밈 요소들이 존재한다.]이 터지며 영상이 마무리된다. 전반적으로 다이나믹하게 전개되는 곡에 어울리게 BGA 역시 재미있는 스토리라인과 다양한 연출로 제작되어, 자체적인 퀄리티도 뛰어나면서 전날 선공개된 [[!!New Game Start!!]]와 더불어 곡과의 매치가 매우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음악에 맞는 BGA 컨셉을 생각해내기 위해 같은 곡을 천 번 넘게 들은 정성이 높이 평가받았다. 이에 조회수 반응도 상당히 좋아, 기존 DJMAX ARCHIVE 영상 중 조회수 부동의 1위인 [[Tic! Tac! Toe!]]를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던 [[Daydream(DJMAX)|Daydream]]을 꺾고 조회수 2위(2024년 3월 7일 기준 58만회[* 팥쥐가 제작한 영상은 82만회를 기록하고 있다.] 기록) 자리에 올랐다. BGA의 줄거리에 대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342059&exception_mode=recommend&page=1|카페 매니저가 분석한 글이 있다(삭제됨).]] 요약하자면 민트초코 프라페 단일 메뉴로 하루에 2400만 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한 등장인물들이 초인급이라는 내용이다. 이후 팥쥐가 관련 숏츠 애니메이션을 업로드했다.[[https://www.youtube.com/shorts/c84_WMZg-Cs|민초 타이쿤]] 그런데 들어가는 재료 중 민트초코의 [[배스킨라빈스|정체가]]...[* 민초딩이 얼음과 민트초코 재료를 조달하고 캐비아가 믹서기를 돌리고 있었는데, 낯익은 모양의 아이스크림 통에 들어있는 [[민트 초콜릿 칩|민트초코 아이스크림]]을 얼음과 함께 믹서기에 그대로 때려넣고 돌리는 모습을 보여준다.--뒷처리까지 완벽--] 팥쥐의 구독자층이 전반적으로 어린 편이기에 공식 아카이브 채널엔 팥쥐의 영상을 [[불펌|무단 도용]]했냐는 저연령층의 댓글이 많다. 이로 인해서 설명을 해주는 디맥 팬덤과 함께 댓글이 난장판이 되어버렸고, 결국 디맥 공식 계정에서 이에 대해 해명하는 고정 댓글을 달아야 했다. 이전작인 secret에서는 공식에서 직접 댓글창에 등판한 것과 구독자층이 많이 높지 않아서 이런 일이 생기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확실히 거물급으로 성장했다는 반증인 셈.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4)]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820c00><bgcolor=#820c00><nopad> [[파일:Hypernaid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1600, #b11000)" '''{{{#000 V EXTENSION 4}}}'''}}} || ||<-4>'''{{{+5 Hypernaid}}}''' || ||<rowbgcolor=#c11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810c00><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9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3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17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2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7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7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11}}}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5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5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2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30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1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7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394}}} || ||<-5><bgcolor=#c11100> 특수 패턴 || || {{{-1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7.1.1|conveyor belt]]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e1207, #5d0801, #2703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Melonaid]]의 후속곡답게 중반부부터 즈레나 12비트 폭타 등 기습적인 변칙 구간이 자주 등장한다. 출시 당시 5B SC를 제외한 모든 SC가 물렙이라는 평가를 받아 SC 4개가 전부 물렙인 [[Secret(DJMAX)|Secret]]과 함께 팥쥐가 BGA를 맡은 곡은 물렙 패턴이 많다는 징크스가 생기기도 했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9 → 6, 5B 10 → 8, 6B 10 → 6, 8B 11 → 7) === 4B TUNES === ||<tablebordercolor=#820c00><tablebgcolor=#c111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zWP1FvGpNms)] ||<nopad> [youtube(FwvngUzc3-w)]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Oaq6ZfAP8Vk)] ||<nopad> [youtube(3HBXwaSk2c4)] || 4B SC는 12비트 동시치기, 한손 3연타가 까다로운 부분이다. === 5B TUNES === ||<tablebordercolor=#820c00><tablebgcolor=#c111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bO2Ajo7UKwA)] ||<nopad> [youtube(5Jc5K7WHeG0)]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pdA2ZPa1TSM)] ||<nopad> [youtube(VE3mY4Tn1Pg)] || 5B SC는 중반부에 가변을 요구하는 23-34 겹트릴이 나오며, 그 외에도 후반부로 갈 수록 겹따닥이와 겹폭타의 비중이 커진다. 특히 중후반부 롱잡에서 겹폭타로 이어지는 폭타 구간에서 게이지와 판정을 날려먹을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를 요한다. === 6B TUNES === ||<tablebordercolor=#820c00><tablebgcolor=#c111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eAPffK0ekJ0)] ||<nopad> [youtube(S3Wc2elobg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IgmdIT5tSFo)] ||<nopad> [youtube(GP7Kx3K68YM)] || 6B SC는 중반부부터 폭타가 꽤 길게 떨어진다. 원핸드 등 기술적으로 꼬여 있는 배치는 아니기 때문에 9레벨급 물렙으로 평가받았고, 2.0 업데이트 난이도 개편으로 6까지 팍 줄어버렸는데, 6 이라기엔 좀 불렙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 8B TUNES === ||<tablebordercolor=#820c00><tablebgcolor=#c111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QXhODtQ-9Dk)] ||<nopad> [youtube(6zoMM9CpDx4)]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p-NAyRRPm8M)] ||<nopad> [youtube(QUQs9_daZy4)] || 8B SC는 11레벨로 배정되었는데, 해당 곡의 SC 레벨 중 가장 높지만 실상은 다른 SC와 다르지 않은 패턴으로 8레벨 급의 [[물렙곡|물렙]]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후반의 겹계단 정도를 제외하면 대체로 무난한 편. 난이도와 별개로는 곡을 잘 살린 패턴으로 호평받는데, 특히 장르가 변하는 구간마다 패턴이 완전히 달라지는 부분이 백미. === 특수 패턴 === || {{{#white TB SP}}} || ||<rowbgcolor=#820c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820c00><table bgcolor=#c11100><nopad> [youtube(BnqwpQsCSDo)] ||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Hypernaid, version=112, uuid=3a49713a-23db-4cea-8e33-4a1f8b40612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