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God Machine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D_jTxVkpMTI)]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Cinematic Electronica}}} || || {{{-1 '''BPM'''}}} ||{{{-1 159}}} || || {{{-1 '''작곡'''}}} ||{{{-1 [[VoidRover]]}}} || || {{{-1 '''BGA'''}}} ||{{{-1 prince}}} || == 개요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670568; font-weight: bold" {{{#b126b2 You ready for the next betting}}}}}} [[VoidRover]]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으로, [[Plasma Sphere]]에 이은 VoidRover의 두번째 참여곡이다. DJMAX에는 오랜만에 수록되는 정통 테크노 스타일의 곡인데, 타악기 소리 위주로 곡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20000000000]], [[Minus 3]]와 같은 과거 [[CROOVE]]의 곡들이 생각난다는 평도 있다. 여러모로 [[Lost Temple(DJMAX)|Lost Temple]], [[Every Day ~ Every Night]], [[Carrot Carrot]]과 함께 현재 리듬 게임 씬에선 상당히 드문 장르의 곡으로, DJMAX가 선보이는 넓은 장르 풀을 엿볼 수 있는 곡이며, 작곡가의 전작인 Plasma Sphere가 음악적으로 큰 호평을 받은 만큼 이번 곡 역시 특유의 돋보이는 개성으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VoidRover가 직접 작성한 작업기[[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525364|#]]를 보면 곡이 만들어진 과정을 자세하게 알 수 있다. == BGA == 기존 VoidRover의 곡도 마냥 밝은 분위기는 아니었지만, 이번 곡과 BGA는 그 전 곡들보다도 훨씬 더 어두운 분위기로 완성된 것이 특징이다. BGA의 내용은 [[도박 중독]]을 주제로 삼았으며, 온갖 손 모양이 달린 [[슬롯 머신]]의 주변에서 빙글빙글 달리는 기괴하게 비틀린 사람들,[* [[앤트밀]]을 묘사한 것 같다는 추측이 있다.] 900만 달러 넘게 치솟는 베팅액, 영상 끝까지 나오지 않는 슬롯 머신의 [[잭팟|777]], 중간중간 등장하는 도박에 관련된 인용구들을 통해 도박 중독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상술했듯 곡 자체도 이백억과 비슷한 만큼, BGA에서도 이백억의 BGA를 [[오마주]]한 듯한 부분이 나온다.[* 단순한 글씨체의 타이포가 강조되는 연출과 숫자가 올라가는 연출, 윤곽선만 남은 남성이 잔상을 남기며 움직이는 연출 등.] BGA에 등장하는 영어 문구는 아래와 같다. ||<tablebordercolor=#670568><bgcolor=#670568,#1f2c3f>||<tablealign=left><width=600><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A pack of cards is the devil's prayer-book.}}}}}} ---- {{{#!wiki style="margin:4px" {{{-1 카드 한 묶음은 악마의 기도가 적힌 책이다. - 독일 속담}}}}}} || ||<tablebordercolor=#670568><bgcolor=#670568,#1f2c3f>||<tablealign=left><width=600><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Quit while you're ahead, all the best gamblers do.}}}}}} ---- {{{#!wiki style="margin:4px" {{{-1 돈을 따고 있을 때 그만둬라, 최고의 도박꾼들은 모두 그렇게 한다. - [[발타자르 그라시안]]}}}}}} || ||<tablebordercolor=#670568><bgcolor=#670568,#1f2c3f>||<tablealign=left><width=600><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If you gamble long enough, you'll always lose - the gambler is always ruined.}}}}}} ---- {{{#!wiki style="margin:4px" {{{-1 오랫동안 도박을 하면 항상 손해를 보게 된다. 도박꾼은 언제나 망한다. - [[마이클 크라이튼]][* 마이클 크라이튼이 1995년에 발간한 소설 [[잃어버린 세계(쥬라기 공원)|잃어버린 세계]]에서 나오는 문장이다.]}}}}}} || ||<tablebordercolor=#670568><bgcolor=#670568,#1f2c3f>||<tablealign=left><width=600><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Gaming is the son of avarice and the father of despair.}}}}}} ---- {{{#!wiki style="margin:4px" {{{-1 게임은 탐욕의 아들이자 절망의 아버지이다. - 프랑스 속담[* 실제 속담은 Gaming이 아닌 Gambling 이지만 영상에는 Gaming으로 기재되어 있다. 오타인 것으로 추정.]}}}}}} || ||<tablebordercolor=#670568><bgcolor=#670568,#1f2c3f>||<tablealign=left><width=600><bgcolor=#fff,#1f2023>{{{#!wiki style="margin:10px" {{{-1 At the gambling table, there are no father and sons.}}}}}} ---- {{{#!wiki style="margin:4px" {{{-1 도박판에는 아버지도, 아들도 없다. - 중국 속담}}}}}}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God Machin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God Machine}}}'''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8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9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6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10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1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3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41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6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3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2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4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9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38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BGA답게 후반에서 퍼펙트가 갈리는 구간이 전 버튼 MX와 SC패턴들에 놓여있다. 실력문제도 따르겠지만 운이 나쁘면 90% 이하의 판정이 떠서 퍼펙트가 날라갈 수 있다는 점을 주의.~~도박을 경고해놓고 퍼펙트하려면 도박을 해야한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2 → 10, 5B 13 → 11, 6B 13 → 11, 8B 12 → 11)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EjVG266F2sE)] ||<nopad> [youtube(qgm9qU3xRG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Fzqn_0V2nEU)] ||<nopad> [youtube(eO-UOnKv950)] || 4B SC는 영상 기준 0:50초부터 등장하는 12-2 / 34-3 따닥이를 필두로 한 계단 패턴이 꽤나 까다롭다. 4버튼 숙련도가 부족한 유저들의 경우는 오히려 이를 제대로 처리하려고 하면 삑나기가 더 쉬워지기에 차라리 12-1을 12 2연타로 처리하는 것을 추천. 해당 구간이 끝나고 나면 1:05초부터 '''지옥의 연속 따닥이 구간'''이 시작되는데, 약 13초동안 1번 4연타가 섞이는 단노트 따닥이들이 계속해서 내려오기 때문에 따닥이 처리 능력이 부족한 유저들은 상당히 고전할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따닥이가 섞이지 않는 후반이 앞부분보단 쉬운 편이지만, 후반엔 고속 정계단 및 역계단이 계속 섞이기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오히려 후반이 더 걸림돌이 될 수도 있으니 주의.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uK67Bdz-OYQ)] ||<nopad> [youtube(gsjPWQlJ-aw)]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Un4ssmZQk50)] ||<nopad> [youtube(9H5q_kEHvsc)] || 5B SC는 중반부 이빨 빠진 데님이 가장 어려운 패턴이다. 가변으로 좀 더 쉽게 넘길 수 있는 배치 이후로는 진짜 데님이 나오기 때문에 약중트릴 처리력은 물론 데님 처리력까지 요구된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3VuZJr3v_OU)] ||<nopad> [youtube(IKdgpa2P0fA)]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bfTpCI2gJOY)] ||<nopad> [youtube(dnOBnb_Bli0)]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S6jKbrQ6vtA)] ||<nopad> [youtube(T7wTRiKZsA8)]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Rxc0FR2ko6I)] ||<nopad> [youtube(JmySkBESvPE)] || 8B SC는 초반 [[AD2222]]나 [[Sand Storm]]을 연상시키는 LR+25 패턴이 등장한다. 앞선 두 패턴과는 달리 정박으로 딱딱 떨어지기에 박자에만 어느 정도 맞춘다면 정박 빅장처럼 처리해도 크게 어긋나진 않는다. 이후로는 트리거 복합 패턴의 연속인데, 구성 자체는 크게 난해하지 않지만 트리거와 일반 노트간의 비중이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트리거 노트가 상당히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웬만한 트리거 노트 숙련도 없이는 도전하기 힘든 패턴. 퍼펙트 플레이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후반의 계단 및 R-2345-L과 같이 은근 90%가 나기 쉬운 구간도 주의해주어야 한다. 8B MX 역시 상당히 어려운 편으로 키 파트를 제외한 트리거 노트 숙련도는 SC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숙련도를 요구하며, 키 파트 트릴 사이에 트리거를 섞는 패턴과 25+LR의 유사 4버튼 패턴이 상당히 자주 나온다. MX 14레벨임에도 불구하고 SC 10레벨 중위권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God Machine, version=65, uuid=4a616284-409b-4559-b41b-72c4fef75d0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