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Forgotten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uHIPr8nVg18)]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 (2022)}}} || || {{{-1 '''장르'''}}} ||{{{-1 Melodic Dubstep}}} || || {{{-1 '''BPM'''}}} ||{{{-1 150}}} || || {{{-1 '''작곡'''}}} ||{{{-1 [[Paul Bazooka]]}}} || || {{{-1 '''BGA'''}}} ||{{{-1 VJTB87}}}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 V EXTENSION 2 DLC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작곡가는 [[Paul Bazooka]]로, 듣는 이로부터 하여금 전혀 예상치 못한 전개로 뻗어나는 것이 인상적인 곡. 어떤 의미로는 이름에 잘 부합하는데, 40초부터 급격하게 변하는 곡 전개로 인해 '''초반부의 서정적인 전개가 완전히 잊혀지게 된다.'''[* 정작 프리뷰는 대놓고 중후반 [[하드 댄스]] 구간이라 처음 선곡한 유저에게는 도입부를 듣고 한번 낚이고, 이후 전개에 또 낚인다(...)] 곡과 BGA의 개성이 너무 뚜렷하고,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만한 눈뽕이 비교적 심해 유저들에게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이다. BGA의 경우 얼리 액세스 당시 업데이트됐던 [[NCS]] 곡인 [[Bleed(NCS)|Bleed]]의 BGA를 제작했던 VJTB87이 담당했는데, BGA 내용은 멜빵조끼와 모자를 착용한 이족보행 노란 고양이 캐릭터가 분홍색 악당 'VOSSE'와 그 졸개들인 'MINLUN'들을 격파한다는 내용이다. 고양이 캐릭터의 모티브가 작곡가 Paul Bazooka의 반려묘 '쭉쭉이'라는 해석도 있다.[* Paul Bazooka가 [[BEATCRAFT CYCLON]]에 투고한 [[Kitty From Hell]]과 [[SUPERBEAT : XONiC]]에 후속곡으로 제공한 ZZuck ZZuck Groove가 바로 쭉쭉이를 모티브로 작곡한 곡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CB1D40><bgcolor=#cb1d40><nopad> [[파일:Forgotten_1.webp|width=100%]] ||<-4><bgcolor=#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e18254 0%, #e18254 16%, #f1b260 16%, #f1b260 21%, #e18254 21%, #e18254 23%, #f5dc8e 23%, #f5dc8e 25.8%, #ffffff 25.8%, #ffffff 26.8%, #f1b260 26.8%, #f1b260 30.1%, #f5dc8e 30.1%, #f5dc8e 32.4%, #f1b260 32.4%, #f1b260 33.8%, #f5dc8e 33.8%, #f5dc8e 35.5%, #ffffff 35.5%, #ffffff 36.6%, #f1b260 36.6%, #f1b260 37.7%, #ffffff 37.7%, #ffffff 39.4%, #f5dc8e 39.4%, #f5dc8e 40%, #ffffff 40%, transparent 6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transparent 62%, #fac0bd 62%, #fac0bd 62.6%, #ffffff 62.6%, #ffffff 63.5%, #f06875 63.5%, #f06875 64.6%, #fac0bd 64.6%, #fac0bd 66%, #f2a6a2 66%, #f2a6a2 67.7%, #f06875 67.7%, #f06875 69.7%, #f2a6a2 69.7%, #f2a6a2 71.9%, #f06875 71.9%, #f06875 74.7%, #ffffff 74.7%, #ffffff 75.3%, #ba3955 75.3%, #ba3955 77.3%, #f06875 77.3%, #f06875 80%, #ba3955 80%, #ba3955 83.4%, #f06875 83.4%, #f06875 88%, #ba3955 88%)" '''{{{#3d3d3d V EXTENSION 2}}}'''}}}}}} || ||<-4>'''{{{+5 Forgotten}}}''' || ||<rowbgcolor=#ff6f29><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B1D40><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05}}}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8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1}}}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8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19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5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38}}}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24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40}}}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9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1b260, #f06875)"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6 업데이트로 4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고, 이후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1 → 9, 5B 11 → 10, 6B 11 → 9, 8B 12 → 10)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CB1D40><table bordercolor=#CB1D40><table bgcolor=#ff6f29><nopad> [youtube(X7uf3x5lYPA)] ||<nopad> [youtube(8ykg16lP7Ps)]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20CxZnsZmyY)]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rowbgcolor=#CB1D40><table bordercolor=#CB1D40><table bgcolor=#ff6f29><nopad> [youtube(GOx780L1V6A)] ||<nopad> [youtube(fXAba253BA4)]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bFtEHceqYqg)] || || 5B MX가 11레벨 치고 퍼펙트 난이도가 생각보다 굉장히 높다. 기습 2연타가 중반부부터 수시로 등장하는가 하면 거의 다 끝나갈 때쯤에 연타가 그야말로 작렬. 앞에서 잘 치고 와도 여기서 스코어링 대부분을 말아먹는다. 5B SC는 인트로 부분부터 등장하는 11223344 연타부터 시작해서 연타 활용이 잦다. 특히 좌우 가변을 잡으면서 깡연타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초중반부에 몰려 있고, 사이드 트랙 견제가 잦아 랜덤 노크가 어렵다. 등장 당시 14레벨이었으나 너무 어렵다는 평이 많아 15레벨로 올라갔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CB1D40><table bordercolor=#CB1D40><table bgcolor=#ff6f29><nopad> [youtube(AzT67ZP0oSc)] ||<nopad> [youtube(3ZkFZiqqpTY)]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VBcsrWHOLVM)] || || 시즌 6 업데이트로 추가된 6B SC 패턴은 동 작곡가의 [[OrBiTal]], [[The One(DJMAX)|The One]]을 연상시키는 느낌으로 짜여졌는데, 연타가 인상적이었던 해당 패턴들과는 다르게 연타는 짤막짤막하게만 나오고 애매한 BPM에 따라 곡 전체적으로 끊어치기를 활용해야 하는 느낌이 비슷하다. 연타-알약 트릴-겹계단 후살이 인상적이지만 배치가 딱히 어렵지는 않아 처리가 쉽기에 SC 11레벨치고는 조금 무난한 느낌이 있다는 평.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CB1D40><table bordercolor=#CB1D40><table bgcolor=#ff6f29><nopad> [youtube(JzP2f8ZPt2g)] ||<nopad> [youtube(gvWBPhatOXU)] || || {{{#white '''SC'''}}} || || ||<rowbgcolor=#CB1D40><nopad> [youtube(Mr74luZ9aQc)] || || 8B SC는 L+123, R4R5R6 등 트릴 배치를 응용한 패턴, 롱 노트의 시작점과 끝점에 일반 노트를 붙여 손을 꼬아놓는 패턴이 주가 된다. 후반부에 연타 사이 트리거가 끼는 패턴도 실수하기 쉬운 구간으로, 12레벨 중에서는 패턴이 매우 복잡해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Forgotten, version=50, uuid=a4418643-6b63-4a52-96ca-1278c072789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