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Final Round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3hT_r8BaBLw)] || ||<-2> {{{-1 '''Full Ver.'''}}} || ||<-2><nopad> [youtube(BNi3NHkbAHg)] || ||<-2> {{{-1 '''BGA'''}}}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024)}}} || || {{{-1 '''장르'''}}} ||{{{-1 J-Rock}}} || || {{{-1 '''BPM'''}}} ||{{{-1 189}}} || || {{{-1 '''작곡'''}}} ||{{{-1 [[INFX]] / MIIM}}} || || {{{-1 '''작사'''}}} ||{{{-1 INFX}}} || || {{{-1 '''보컬'''}}} ||{{{-1 RYURI}}} || || {{{-1 '''악기 피처링'''}}} ||{{{-1 SH!N(on Guitar)}}} || || {{{-1 '''BGA'''}}} ||{{{-1 [[https://twitter.com/goatdraw|GOAT]](원화) / Glycerine(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희미한 나의 시선을 잃은 채 헤매이던 지난날들에 자그마한 희망을 피워내 다시 어둠 속에 가려져도 바스러지는 절망 속에 나는 또다시 일어나 울려 퍼지는 Final Stage 닫혀있던 두 눈을 다시 깨워놔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내 마지막 Final Round ''일그러진 너의 맘을 모두 도려내'' ''Never ever getting back on ma freaking round'' ''자신 없던 모습은 다 뱉어내'' ''모든 걸 부숴내, 모든 걸 흩트려'' ''바스러지는 절망 속에 나는 또다시 일어나'' ''울려 퍼지는 Final Stage 닫혀있던 두 눈을 다시 깨워놔''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내 마지막 Final Round''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Final Round [br]}}} || == 개요 == V EXTENSION 5 DLC에서 [[Shining Light]]를 제공했던 조합인 [[INFX]]와 MII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새로운 시리즈 DLC인 V LIBERTY DLC에 수록되었다. [[Vertical Floating]]에 이어 GOAT가 원화를 담당한 BGA에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김없이 '''[[퍼리]]''' 캐릭터가 잔뜩 등장하는데, 심지어 [[엘 클리어|클리어]]와 [[엘 페일|페일]]조차 퍼리로 등장해 많은 유저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이 때문에 이 곡의 프리뷰가 시작되었을 때 디스코드 서버와 유튜브 실시간 채팅창이 순식간에 말 그대로 불타버렸다. 방송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아이디어는 GOAT가 아닌 [[DumpingLIFE]]의 제안이라고..[* 당시 작가와의 미팅에서 수인으로 그려도 되고, 안해도 된다 라는 식으로 제안했으나 수인으로 온 결과물을 보고 '''[[묻고 더블로 가|클리어와 페일까지 수인으로 만들자!]]'''라는 식으로 컨펌되었다고 한다. 물론 보통의 클리어와 페일의 버전도 있었다고. ~~~이때 덤라는 '''[[퍼리|퍼ㄹ...]]'''까지 말하다가 황급히 고쳤다.~~~] 재경기 직전 관중석을 보면 [[플레이(DJMAX)|플레이]]와 [[레나(DJMAX)|레나]]도 등장하며[* 플레이의 코를 보면 퍼리 버전인 듯 보이나, 아주 자세히 보지 않으면 수인화되지 않은 평범한 인간처럼 보인다.] 그 외 몇몇 캐릭터가 까메오로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BGA 내용은 수인 파이터 여주인공이 고릴라 수인에게 패한 후, 병원 신세를 졌다가 클리어 수인과 페일 수인의 특훈을 거쳐 마침내 리벤지에 성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ff51ba><bgcolor=#ff51ba><nopad> [[파일:Final Round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5eefc 0%, #45eefc 15%, #fff227 15%, #fff227 35%, #ff51ba 35%, #ff51ba 100%)" '''{{{#000 V LIBERTY}}}'''}}} || ||<-4>'''{{{+5 Final Round}}}''' || ||<rowbgcolor=#3a3a3a><rowcolor=white><width=80> {{{#45eefc 모드}}} ||<width=100> {{{#fff227 NM}}} ||<width=100> {{{#45eefc HD}}} ||<width=100> {{{#fff227 MX}}} ||<width=100> {{{#ff51ba '''SC'''}}} || ||<colbgcolor=#ff51ba><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5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157}}}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3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9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42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7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8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3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3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6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51ba, #ff51ba)"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등장 당시엔 보컬 음량이 지나치게 작아 거의 안 들리는 수준이었고, 그래서 시즌 13 업데이트로 인게임 보컬 음량이 조정되었다. 전 버튼 SC 패턴 공통적으로, 초반 기타 구간에서 등장하는 긴 트릴 패턴과 중반 기타 구간에서 기습적으로 등장하는 드르륵 패턴이 퍼펙트 플레이에서 가장 큰 방해 요소이다. === 4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eatmtGRVIn0)] ||<nopad> [youtube(TpzMOXm64tE)]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L4NQxry73PM)] ||<nopad> [youtube(md8vm9ESpvk)] || 4B SC는 트릴은 다른 SC 패턴에 비해 쉽지만 기타속주 구간에서 나오는 24비트 계단은 가장 어려운 배치로 나오기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를 목표로 한다면 의외의 복병이 될 수 있다. === 5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yyw74vW8I0M)] ||<nopad> [youtube(iA9EBS83lzQ)]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0_ACrcuV__E)] ||<nopad> [youtube(rWmNWikakx0)] || 5B SC의 24비트 계단은 단방향으로만 짧게 나와 별로 어렵지 않다. 오히려 대계단 사이사이에 살이 붙은 패턴이 더 어렵다. === 6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vIcBn8ZyxP8)] ||<nopad> [youtube(cJeKMZwhuRQ)]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bVNZQP_uyFk)] ||<nopad> [youtube(GxD-w2oJVYs)] || 6B SC는 양손 단방향 계단에 데님 형태의 동시치기가 붙는 패턴이 자주 나온다. 겹계단 및 데님 처리력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갈릴 수 있으나, 데님을 적당히 뭉개도 판정에 크게 영향을 끼치진 않기 때문에 11레벨 안에서는 하위권 정도로 평가받는다. 다만 퍼펙트 플레이 측면으로 갈 경우 정확한 데님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꽤나 어려운 편. === 8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TOGukQRxsCw)] ||<nopad> [youtube(GwkZbpsh1oU)]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tqfwdICAH4I)] ||<nopad> [youtube(2KilAUidnts)]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Final Round, version=55, uuid=ffaaa168-182b-446f-8fbf-ac76fb550ef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