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DJ Platinum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EZ2AC 시리즈)] [include(틀:EZ2DJ PT)] ||<-2><table align=right><table width=450><table bordercolor=#A0A0A0><bgcolor=black><table bgcolor=white,#1d1d1d><table color=#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a0a0a0, #000, #a0a0a0); color: #d2691e" '''{{{+1 이지투디제이 플래티넘}}}[br]EZ2DJ Platinum'''}}} || ||<-2><bgcolor=#a0a0a0,#000><nopad> {{{#!wiki style="margin: -1px 0 auto" [[파일:ez2djpt.png|width=100%]]}}} || ||<colbgcolor=#a0a0a0><colcolor=#fff> '''개발''' ||[[패밀리 프로덕션|패밀리웍스]] || || '''유통''' ||[[어뮤즈월드]] || || '''플랫폼''' ||[[아케이드#s-2]] || || '''장르''' ||[[리듬 게임]] || ||<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7Jksr5Tvv_Y,width=640,height=480)] || ||<tablebgcolor=#a0a0a0><table color=#fff><table bordercolor=#a0a0a0> '''타이틀[* 가운데 나비의 몸통 부분을 잘 보면 진짜로 날개짓(접었다 펴는 것)을 하는 게 아니라 그림을 기울여서(회전해서) 눈속임 처리를 한 것이다.훗날 DJMAX RESPECT V 에서 EZ2ON REBOOT:R 콜라보 DLC 트레일러 영상을 통해 1st~Platinum을 오마쥬한 메뉴 화면을 공개했는데 여기서는 시계부분으로 몸통 부분이 가려지긴 했지만 제대로 날개짓 하는 것을 볼 수 있다.][br][[Forte Escape|{{{#fff Forte Escape}}}]] - 타이틀''' || [clearfix] ||<table align=right> '''신곡''' || 16곡|| || '''잔류 구곡''' || 77곡|| || '''부활곡''' || 25곡|| || '''기존 삭제곡''' || 10곡|| || '''추가 삭제곡''' || 1곡|| || '''총 수록곡''' || 118곡|| * [[http://www.youtube.com/watch?v=2o26cZn20IU|Select a Mode.]] * [[http://www.youtube.com/watch?v=H-YEUsJ9DMs|Select a Mode & Street Mix Play.]] * [[http://www.youtube.com/watch?v=ZL6jsYFJAak|Space mix.]] * [[https://www.youtube.com/watch?v=fHkiTCxU-MQ|Turntable Play]] * [[http://www.youtube.com/watch?v=RRlRHDUitkM|Internet Ranking.]] * [[http://www.youtube.com/watch?v=AE0FzKyyVAc|GAME OVER]] * [[https://www.youtube.com/watch?v=ZRVFvPBWeFc|Thanks For Playing]] [목차] == 개요 == [[EZ2DJ]]/[[EZ2AC]] 시리즈의 다섯 번째 버전으로 [[2003년]] [[9월 6일]] 출시, 2003년 8월 27일부터 9월 2일까지 노량진 어뮤즈월드에서[*현 [[노량진 어뮤즈타운]]]인컴 테스트를 개최하였다. [[EZ2DJ 4th]]의 발매 이후 온라인 게임의 발전과 아케이드 게임의 침체로 EZ2DJ 개발에 한계를 느낀 한편, 마침 자회사인 [[그라비티]]에서 개발한 [[라그나로크 온라인]]이 대성공을 거두자 온라인 게임 개발사로 방향을 틀기로 한다. 이 때 만들었던 게임인 원더러쉬가 유저들에게 외면을 받자 원더러쉬에 투자한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EZ2DJ의 신작을 개발하라는 지시가 내려온다. 이미 개발자들이 거의 다 퇴사한 시점이었고 수익을 내야 한다는 압박감이 상당해 완성도에 신경을 쓰지 못했다고 하며 개발 기간은 약 6개월이었다고 전해진다. 발매 컨셉이나 초기 기획은 EZ2DJ 5주년 기념작.[* 엄밀히 따지면 2003년 9월은 [[EZ2DJ 1st]]가 나온지 4년 5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은 시기다.] 그래서 그때까지의 EZ2DJ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집대성해놓은 듯한 모양새를 하고 있기 때문에 EZ2DJ의 마지막 버전을 기념한 특별판이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도 포함해서 '1세대 EZ2DJ 시리즈'로 보고 있는데 개발진이 바뀌었다곤 해도 Remember 1st?라는 모드의 존재, 그대로 이어진 수록곡 목록, 이후 극단적으로 성향이 틀어진 7th의 출시 등의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타이틀 화면 컨셉은 [[나비 효과]]로 추정. ||<tablebgcolor=#dcdcdc,#222222>{{{#!folding당시 메인 개발자로 참여하였던 Forte Escape가 자신의 블로그에 남긴 개발 과정 [[EZ2DJ 3rd|3rd TRAX]] 이후 개발자들이 대거 퇴사하고 사실상 이름만 남아았던 [[어뮤즈월드]]의 자회사 패밀리 웍스에서 외주 아닌 외주로 개발을 하게 됐다. [[아케이드 게임|아케이드 시장]]이 점차 좁아지고 [[온라인 게임]]이 급 부상 하던 시절이라 [[EZ2DJ|EZ2 시리즈]]의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개발이 되었다. 당시 개발진은 메인 [[프로그래머]]인 [[DJ TOMATO|TOMATO]], 기획에 [[ponGlow|신봉건 PD(ponGlow)]]와 [[Forte Escape]], 패턴에 nanou4, 그래픽 몇명으로 구성되었고, 단기간에 [[매출]]을 올려야 했던 [[시간]]의 [[압박]]으로 완성도란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EZ2DJ 4th|4th TRAX]]까지 그나마 외주로 공수되었던 [[Andy Lee]], [[CROOVE]], [[xxdbxx]] 등의 뮤지션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자세한 이유는 모르지만, 휴식기라고 해야 할까.[* 당시 [[CROOVE]]는 건강이 무척이나 나쁜 상태여서 작곡 활동을 하기도 벅찬 상태였다고 한다. 오래된 작곡 환경으로 인해 청각과민증에 걸리기도 했고, [[EZ2DJ]]를 개발하며 [[철야]]와 잦은 [[야식]]과 잘못된 밥 먹는 습관([[EZ2DJ 1st|1st]] 시절부터 작업량으로 인하여 생긴 급한 마음에 밥을 빠르게 먹는 습관이 생겼다고 한다.)으로 인해서 살이 엄청나게 불어 나는 생활을 반복하다 [[지방간]] 판정을 받기도 한 상황이었다.] [[원가절감|제작비 절감]]이라는 명목도 어느 정도 작용을 해서 그런지 어디서 섭외했는지 모를 새로운 음악가들이 참여하였다. 사실 의도치 않게 사운드를 할 수 있는 사내 구성원이라고는 나뿐이었기 때문에 반강제적으로 플티의 사운드를 맡게 되었다. [[EZ2DJ 3rd|3rd]]때 [[밀림닷컴|밀림]]에서 활동시 작업했던 곡으로 잠깐 맛만 봤던 터라 정식으로 사운드에 입문하기에는 좀 과분한 직무가 아니었나 생각했다. 시간도 없고 분량은 많고 곡작업에 편곡에 사운드 컷팅까지 혼자서 감당을 해야 했는데 거기다 외주로 들어온 곡들이 도저히 게임에 사용할 만한 퀄리티가 되지 않았다. 지금 와서 얘기하는거지만, 내가 다시 편곡을 하지 않은 곡이 없을 정도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EZ2유저들에겐 죄송한 얘기지만 곡의 완성도에는 신경을 거의 쓰지 못했다. [[Zeroize]]의 경우는 최종 테스트때 도저히 곡의 분량이나 난이도 구성을 그대로 내보낼 수가 없어 3일만에 제작해 추가한 곡이었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내부 곡 작업을 혼자 담당하게 되다 보니 곡의 스타일을 다양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이전에 작업을 했던 [[Spotlight(EZ2AC)|spotlight]], [[Memories(EZ2AC)|memories]]는 다소 쉽지만 멜로딕한점을 살리려고 했고 나머지 곡들은 고난도 곡들로 인상을 주려고 했다. 리믹스 음악의 선곡은 기존 곡들의 멀티 데이터 부재로 선곡의 제한이 따랐던 것도 있었고 개인적인 취향도 많이 반영되어 결정되었다. 이때 기존에 쓰던 FE라는 예명 외에 마치 신규 뮤지션인양 Forte Escape라는 닉네임을 새로 도용하였다. 물론 눈치 빠른 사람들이 금방 알아차리긴 했지만.[* 사람이 많아보이게 하려고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한 것은 4년 전인 [[EZ2DJ The 1st TRACKS|EZ2DJ 1st]]의 [[CROOVE|Creatune, Nextune, DJ Melong]]를 시작으로 [[EZ2DJ Platinum|Platinum]]을 거쳐 [[EZ2DJ 7th TRAX ~Resistance~|EZ2DJ 7th]]에서 한번 더 반복된다. 그리고 10년 뒤 [[EZ2AC : ENDLESS CIRCULATION]]에서 [[KIEN|또 반복된다.]]] 2008/08/28, Written By FE }}} || == 명칭에 대해서 == 이 게임의 정식 명칭은 넘버링과 부제가 없는 '''EZ2DJ Platinum'''이다.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EZ2DJ 6th]]의 기획자였던 SRS(●)가 과거 홈페이지에 발언한 내용에 의하면 본래 6th TraX는 '''5th TraX'''였으며 Platinum은 '''보너스 스테이지'''[* 정말로 보너스 스테이지가 되면 4th TraX는 Version 04.1, 이 시리즈는 Version 04.2, 6th TraX는 제대로 5th TraX가 되어 Version 05가 된다.] 성향으로 가려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 본래 5th로 기획되었던 것이 6th로 출시되면서 넘버링이 꼬여버리게 되었다. 'Limited Edition'도 부제가 아닌 말 그대로 한정판이라는 의미었다. 본래 [[펌프 잇 업 The Collection|신곡이 없는]] 통상판과 [[펌프 잇 업 Perfect Collection|신곡이 있는]] 한정판으로 분류해서 발매하려고 했으나 업주들의 반발로 인해 [[beatmania IIDX#s-3.1|통상판 발매가 취소되고 한정판만 출시]]되면서 Limited Edition이 Platinum의 부제처럼 통용되게 되었다.[* 이걸 반영해서인지 이후 출시된 DJMAX RESPECT V의 EZ2ON REBOOT:R 콜라보 DLC에서는 '''LIMITED PARADOX'''로 표기되어 있다.] 결국 이러한 우연이 겹치며 Platinum은 'EZ2DJ 5th TraX Platinum'이라고 불려도 이상하지 않은 작품이 되었고 일부 작품[* 7th 1.0 ~ 2.0에서의 EZ2DJ 5th TraX Platinum, CV에서의 5th, FN에서의 버전 카테고리 중 4-'''5'''.]에서는 아예 이것을 정식 표기로 사용했다. 다만 이것은 자의적인 표기일 뿐이고 저 명칭을 정식 표기로 사용한 개발자들 역시 Platinum 당시 개발에 관여하지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이를 공식 표기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EZ2DJ BERA]]부터 이러한 혼동을 막기 위해서인지 아예 버전 표기 방식을 텍스트에서 해당 버전의 로고로 바꾸었다가 [[EZ2AC EC]]부터는 텍스트로 환원됨과 동시에 그냥 'PLATINUM'으로 표기하고 있다. == 수록곡 == || # || 곡명 || 장르 || 작곡가 || 그래픽 || ||01 ||[[느낌(EZ2AC)|느낌]]||Kpop||강은수, Eridanus||SR|| ||02 ||[[Any way you want it]]||New Yorker Pop||Eridanus||Hyoshi|| ||03 ||[[Cellavue]]||Fusion||Eridanus||[[Ache|Great gifts. J]]|| ||04 ||[[Memories(EZ2AC)|Memories]]||Alternative Rock||Forte Escape||[[imp17]]|| ||05 ||[[Night Madness]]||Crossover Techno||Joyrock||AS/SOFT, [[카미기시 아카리|Kamigishi Akari]]|| ||06 ||[[Panic Strike]]||Space DnB||Forte Escape||Kimys|| ||07 ||[[Q Factor]]||Electronica||Forte Escape||Necobus|| ||08 ||[[Riff Guy]]||Speed Hardcore||Eridanus||Kkashi|| ||09 ||[[Spotlight(EZ2AC)|Spotlight]]||Jazz Fusion||Forte Escape||Luty|| ||10 ||[[Unknown H2]]||Harlem Hiphop||DJ Bigduck||[[Ache]]|| ||11 ||[[Weird Wave]]||Instrumental||Joyrock||Shukei|| ||12 ||[[Zeroize]]||DnB Techno||Forte Escape||[[Ache]]|| ||13 ||[[Aquaris|Aquaris[br](Physical Inspiration Hyper Blue Mix)]]||Blue Techno||Forte Escape||imp17|| ||14 ||[[I've Fallen|I've Fallen[br](Hot Dog Boogie Groove Mix)]]||Disco Groove||Forte Escape||Lassoft|| ||15 ||[[I've got this feeling|I've got this feeling[br](Dj.FE Restless Acid Soul Mix)]]||Acid Fusion||Forte Escape||(불명)|| ||16 ||[[J.M.J (DFC Space Gear Re-formation)|JMJ[br](DFC Space Gear Re-formation)]]||Digital Funk||Forte Escape||D.L|| 신곡 12곡과 리믹스 4곡이 추가되었다. 4th까지의 주요 작곡가들이 전부 이탈하는 바람에 개발자 중 작곡을 할 수 있는 사람이 [[Forte Escape]] 한 명 뿐이었고, 따라서 그밖의 작곡가진은 외주로 채워졌다. 그 중 몇 곡은 사운드디자인이라는 외주 업체에서 제작했는데[* 사운드디자인의 웹사이트가 운영되던 당시에는 Weird Wave 등의 OST 음원을 감상할 수 있었다.] Forte Escape의 말에 따르면 게임에 쓸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아 급하게 편곡 작업을 거쳤다고 한다. 다만 Forte Escape의 성향[* Forte Escape는 훗날 DJMAX Trilogy를 개발할 때 [[3rd Coast]]의 [[Jealousy(DJMAX)|Jealousy]]가 "데모 수준의 완성도"라는 이유로 직접 편곡해서 [[My Jealousy]]를 만든 적이 있다. 하지만 Jealousy 원곡은 무난한 하우스 팝이며, Forte Escape가 편곡한 My Jealousy보다 Jealousy 원곡을 더 선호하는 유저도 적지 않다.]을 생각하면, Forte Escape가 편곡하기 전의 음원도 [[네티라인 스튜디오]]의 곡들처럼 완성도 자체에 하자가 있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Platinum의 신곡 라인업은 1st~4th까지와는 매우 이질적이다. 절반 가까이 되는 곡을 외주 작곡진이 제작했고, 나머지 절반 이상의 곡을 혼자 작/편곡한 [[Forte Escape]] 역시 이전에는 단독 작곡으로 EZ2 시리즈에 실린 곡이 [[2.14]]와 [[Give it 2 me(EZ2DJ)|Give it 2 me]] 딱 두 곡이었을 정도로 작곡가로서보다는 그래픽 디자이너로서의 비중이 더 컸기 때문에, 작곡가 라인업이 100% 교체된 것이나 다를 바 없었으며, 따라서 곡 구성이 이전 시리즈와 동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Platinum의 외주 작곡진인 Eridanus, Joyrock, Bigduck. 강은수는 이후 EZ2 시리즈에 단 한 차례도 곡을 제공한 적이 없다. 이 작품의 신곡들 중에는 곡명이 바뀐 사례가 꽤 있었다. [[느낌(EZ2AC)|느낌]]은 It's Alright이었고, [[Weird Wave]]는 Snapshot of Trance, [[Q Factor]]은 S.A.R.S.였다. 플래티넘의 데이터가 뜯기면서 해당 제목으로 된 타이틀 이미지가 커뮤니티 등지에서 나돌고 있었다. 각 모드의 데모 플레이에서 나오는 곡은 다음과 같다. * 5 Street Mix: [[Memories(EZ2AC)|Memories]] * 7 Street Mix: [[Unknown H2]] * 5 Radio Mix: [[I've got this feeling|I've got this feeling(Dj.FE Restless Acid Soul Mix)]] * 7 Radio Mix: [[Aquaris|Aquaris(Physical Inspiration Hyper Blue Mix)]] * Club Mix: [[Weird Wave]] * Space Mix: [[Riff Guy]] == 부활곡, 삭제곡 == 전작 4th에서 지워졌던 25곡이 부활되어 시리즈 최초로 누적 수록곡 100곡을 돌파했다. 하지만 라이센스 문제로 이미 삭제된 4곡과 1st 또는 1st S/E 출신의 6곡은 부활하지 못했고 [[For 3 Weeks]]는 라이센스 문제로 인해 삭제되었다. 삭제곡 중 [[Do You Remember?]], [[Let It Go(EZ2AC)|Let It Go]], [[Freedom]], [[Mystic Dream 9903]], [[Get the beat]](Nimble Mix), [[Quake in Kyoto]], [[Quake in Kyoto]](Mega Mix)는 BGA 시스템 문제로 수록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EZ2DJ의 BGA 시스템은 1st SE까지 쓰이던 형태와 2nd 이후로 쓰이는 형태로 나뉜다. 2nd에 수록된 1st와 SE의 수록곡들은 2nd에 수록되면서 새 시스템에 맞게 BGA 재편집을 거쳤다. 그런데 Platinum에서 부활하지 않았던 곡들은 모두 2nd에서 삭제된 곡들이기 때문에 BGA 재편집을 거치지 않았고 작업량을 줄이기 위해 이 곡들의 부활을 포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곡들은 7th 2.0에서 부활하였으나 [[범용 BGA]]를 사용했고 BGA까지 재편집된 완벽한 부활은 최초 삭제로부터 11년 후 BE rA에서나 이루어졌다. == 변경점 == 전작에 없어졌던 루비 믹스가 부활해 라이트 유저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으로 다가왔다.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대중성이 강한 장르의 수록곡 위주로 엄선하였고 난이도 측면에서는 5 스트릿 믹스로 진입하기 위한 징검다리 방식을 고수했던 2nd, 3rd와는 달리 게임에 수록된 모든 곡들이 반영되었으며 레벨 7 이상의 고난이도 패턴이 늘어났다. 이때부터 5 스트릿 믹스에는 볼 수 없는 또 다른 중저레벨 패턴이 담긴 모드의 성격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당시 루비 믹스에 관한 개발진의 의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으로 과거에는 루비를 '''스트릿으로 넘어가기 위한 징검다리'''로 보았지만 플래티넘 이후부터는 '''스트릿과는 다른 초보자를 위한 모드'''로 성향이 변경되었다. 모든 모드의 선곡 시간이 40초로 통일되었다. 대부분의 삭제곡들이 부활하여 수록곡 볼륨이 방대해진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전작에서 아직 30초였던 모드 입장엔 10초 연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늘어난 수록곡 볼륨도 그렇고 이 버전보다 30곡 이상 적은 3rd의 5 스트릿 믹스가 45초였던 것에 비하면 카운트 다운 40초는 체감상 너무나 짧은 시간이었다. 스테이지마다 수록된 곡들과 패턴을 모두 둘러보면 벌써 신호음이 들릴 정도로 짧았다. 이 버전부터 리스트 형식의 인터페이스가 도입되며 곡 선택 화면의 UI가 크게 변경되었다.[* 원조 비트매니아인 5키 시리즈에서는 1999년 9월 5thMIX부터, 현재까지 가동 중인 IIDX(7키) 시리즈에서는 2nd Style부터 이미 적용된 방식이었다.] 지나치게 불어난 볼륨을 플레이어가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던 선택이었지만 몇 안되는 장점 중 하나로 남아있다. 전작에 비해 괴상하다고 생각될 만큼 일부 곡의 판정이 짜게 바뀌었다. 예외적으로 [[J.M.J]]는 판정이 좋아졌다. Platinum에서 너무 엄격해진 판정은 6th까지 이어졌고 7th에 들어서야 2nd 수준으로 다시 완화되었다. 이하의 세부 배속이 추가되었다. x3.5 / x4.5 / x5 특히 이전 버전까지 이 부근에서 3배속, 4배속밖에 고를 수 없어 곤란했던 점을 생각하면 매우 편해졌다. 연주 옵션인 슈퍼 랜덤과 하이퍼 랜덤 옵션의 기능이 바뀌어서 유저들의 혼란을 야기했다. [[EZ2AC 시리즈/이펙터]] 참고. == 평가 == 삭제된 곡들이 대거 부활하였기 때문에 볼륨 자체는 커졌지만 게임의 외양은 전작보다도 못하다는 평가. 출시된 지 한참 지난 지금에는 재평가되어 그래도 할 만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지만, 어찌됐든 이 버전은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 신곡 수록곡 문단에서 설명했듯이 이전 시리즈의 주요 작곡자들이 전부 이탈하고, 기존에는 그래픽 파트에 주로 참여했던 [[Forte Escape]]를 주축으로 신규 외주 작곡자들로 채워지면서 수록곡 구성이 이전 시리즈에 비해 매우 이질적으로 바뀌었다. 장르가 양 극단으로 극심하게 편중되어 있다. 느리고 잔잔한 재즈/퓨전 악곡과 빠르고 매니악한 일렉트로니카 악곡이 양 극단에서 부딪치는 가운데, 그 사이를 메꿔주며 대중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장르의 악곡이 거의 없다. 특히 리믹스를 제외한 순수 신곡 12곡 중 대중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가사 있는 노래"가 고작 1곡(느낌)뿐이었다는 것이 문제. 이건 6th까지의 시리즈 중 보컬곡 비중이 제일 낮은 것이다.[* 1st가 22곡 중 17곡, SE가 10곡 중 9곡, 2nd가 26곡 중 25곡, 3rd가 20곡 중 8곡, 4th가 20곡 중 12곡, 6th가 15곡 중 12곡.] 엄밀히 따지면 보컬 트랙이 있는 곡이 더 있기는 하지만, 그게 보컬 샘플 1소절만 계속 반복하는 곡(Any way you want it)이거나 통짜 샘플 랩(Unknown H2)이어서, 제대로 된 가사를 갖춘 "노래"는 아니었다. 이를 고려해서인지 리믹스 4곡을 전부 보컬곡으로 안배했지만 리믹스 특성상 신곡으로서의 신선함에는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Platinum 수록곡은 이전 시리즈의 수록곡에 비해 후대에 많이 회자되지는 않는다. 후속작인 6th가 게임성으로는 질타를 받았을지언정 시리즈 대표 명곡 중 하나로 꼽히는 [[Stay with me(EZ2AC)|Stay with me]]를 비롯해서 곡만큼은 좋은 평을 받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 패턴 롱노트를 잘 활용한 [[Panic Strike]]와 [[Q Factor]], 강렬한 후살로 유저들을 압살한 [[Zeroize]], 멜로디 스크래치를 선보인 [[Night Madness]], 스크래치곡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Unknown H2]] 등의 개성있는 패턴이 유저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비단 5 스트릿 믹스뿐만 아니라 클럽 믹스 역시 재미있는 배치가 많았다고 평가받는다. 스페이스 믹스의 경우 2nd 이후 4th까지 난이도가 크게 오르지 않았는데, Platinum에서 고난이도 곡들이 새로 등장했다. 다만 난이도에 비해 어렵다는 평이 있었기 때문인지 이후 [[EZ2AC : EVOLVE]] 1.50에서 한두 곡을 제외하고 전부 표기 난이도가 격상되었다. * 라디오 믹스 라디오 믹스가 부실하다. 특히 5키 라디오의 경우 전작 4th에서 다양한 슈퍼하드 패턴 등 전용 패턴을 즐길 수 있었던 것에 비해 Platinum의 라디오 전용 패턴은 [[Zeroize]] SHD가 고작이었다. 구성 역시 이상해서 [[Panic Strike]] 다음 스테이지에 [[Back to Bed]]가 나온다든지, [[Zeroize]] HD 다음 스테이지에 [[Minus 1 (Space Mix)]] HD가 나오는 등의 구성으로 유저들을 정말 김빠지게 했다. * BGA BGA의 경우 이전과는 달리 역동적이지 못해 이미지 몇 장을 천천히 움직이는 수준인 곡이 많았다. 다만 이건 신곡 중에 느리고 잔잔한 재즈/퓨전 악곡의 비중이 너무 커져서 유독 많게 보이는 것도 있다. [[Cellavue]]나 [[느낌(EZ2AC)|느낌]] 같은 잔잔한 곡에 생뚱맞게 역동적인 연출을 집어넣을 수는 없는 노릇이며, 하드코어/테크노 곡의 BGA는 이전 시리즈와 비교해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BGA 퀄리티는 후속작인 6th에서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 UI UI도 당시에는 대충 만든 듯한 디자인으로 인식되었다. 다행히 [[EZ2DJ 7th TRAX ~Resistance~|7th TRAX]]가 나오면서 상대적으로 괜찮은 디자인으로 재평가받기 시작했으며 [[타이포그래피]]와 [[미니멀리즘]]이 디자인 트렌드로 자리잡은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괜찮음을 넘어 현재의 리듬게임들과 비교해봐도 굉장히 세련된 시대를 앞서나간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패널 스킨 선택 부분에는 시안으로써 작성된 '''막 적은 영어 문장'''[* 원문은 '''Dhefl dsfjhk kff sffsfje sdfsf sf sfjkdfj sfjfslf sfksfjl slkslf sf'''. [[https://blog.naver.com/ez2story/220582361796|#]]]이 그대로 들어가기도 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열악한 제작 환경이 한 몫 했다. 제작 인원이 대폭 줄어들고 그만큼 지원도 없다시피한 상황이었다. 사운드 디렉터가 [[Forte Escape]]였는데, 그를 제외한 주요 작곡가진은 모두 팀을 떠났기 때문에 작곡가진은 외주로 채워졌다. 플래티넘이 그나마 그 정도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은 Forte Escape를 비롯해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몇 안되는 기존 제작자들 덕분이었다. 실제 제작사의 개발 지원이 후속작인 6th TRAX 때보다도 적었다고 한다. 이미 한계에 달한 본체 성능도 큰 걸림돌이었다. 늘어난 볼륨을 시스템이 받아주지 못해서 시도때도 없이 노트의 싱크가 어긋나거나 게임이 다운되는 등 출시 초기에 잡다한 버그가 수도 없이 일어났다. 결국 용산을 거의 바닥까지 긁다시피해서 당시에도 구형이었던 PC-100 규격의 SDRAM을 구입하여 무상 업그레이드를 실시했다. 그나마 Platinum 발매 당시에는 각종 버그들을 어느 정도 막았지만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닌지라 결국 이 사양을 그대로 사용한 후속작인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에서 심각한 문제가 일어나고 만다. 결국 이 버전을 끝으로 정예부대라고도 할 수 있는 1기 제작팀은 전부 퇴사, [[펜타비전]] 엔터테인먼트에서 [[DJMAX 시리즈]]라는 브랜드로 이들이 EZ2DJ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것을 이어나갔다. == 버그 == 4th때 추가된 데모 플레이 도중 하이스코어 랭킹 출력이 남아있긴 한데 1위기록을 제외한 이하 닉네임들은 어떤 닉네임을 써도 전부 EZDJ로 고정되는 버그가 존재했다. 이 외에도 이펙트 1, 2버튼을 꾹 눌러진 상태에서만 음량 조절 기능이 적용되는 버그가 있다. 때문에 이 버전의 음량 조절을 하기 위해 버튼과 케이스 사이에 이쑤시개 혹은 카드를 끼워넣어 음량 조절을 하는 경우가 발생. 이는 6th에 음량 조절 시스템이 변경되면서 사라졌지만 성능이 크게 퇴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6th에서 변경된 방식은 TT까지도 유지되고 있지만 음향 엔진을 여러 차례 개선한 덕에 음질은 많이 향상된 상태이다. == 개발진 == * 음악: [[Forte Escape]], Eridanus, Joyrock, DJ Bigduck 등 * 그래픽: Forte Escape, [[Ache]], imp17, Necobus, Kimys, SR, Hyoshi 등 * 기획, 채보 제작: [[ponGlow]], Forte Escape, Minan, nanou4 등 * 프로그래밍: rehpic, TOMATO 등 4th에서 그나마 외주로 참여했던 멤버들이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게 되었지만 남은 멤버들을 비롯하여 외주 개발자들이 다수 참여함으로써 상용 리듬게임으로써의 퀄리티를 어느 정도 유지해주었다. Platinum의 개발 시기에 즈음하여 주축 멤버 대부분은 [[펜타비전|펜타비전 엔터테인먼트]]에서 [[DJMAX 시리즈]]를 제작하였다가 현재는 전부 여기저기로 흩어진 상황. 이 점은 훗날 [[DJMAX RESPECT V]]의 현 제작진들이 'DJMAX 시리즈를 만든 저 당시 제작진들이 과거 EZ2DJ 4th ~ Platinum까지의 주축 멤버 출신들이었고 그 때 EZ2 시리즈에서 작곡한 곡들이 여전히 EZ2ON REBOOT : R에서 서비스되고 있기에 그걸 리스펙트해서 우리 게임에 담아가면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이겠다'고 판단하여 여러 가지 고민[* 디제이맥스가 추구하던 당시 콜라보레이션의 방향성과 다르기도 하고, 동일한 게임성 때문에 유저층도 겹치고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차별화가 힘들다는 점을 고민으로 내세웠다.]이 있었음에도 [[EZ2ON REBOOT : R]]과의 콜라보레이션을 결정하게 만든 이유가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EZ2AC, version=688)] [[분류:EZ2AC]][[분류:2003년 아케이드 게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EZ2DJ Platinum, version=177, uuid=eb4a338f-8d4a-4fb2-a7c3-67f84ba0865d)]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