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CiLA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ALiCE)]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HrCbbH92nr4)]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Ani Pop}}} || || {{{-1 '''BPM'''}}} ||{{{-1 170}}} || || {{{-1 '''작곡'''}}} ||{{{-1 [[seibin]]}}} || || {{{-1 '''작사'''}}} ||{{{-1 seibin / Yumiha}}} || || {{{-1 '''편곡'''}}} ||{{{-1 seibin / Benicx (Orchestral Arrangement)[* 인트로 및 오케스트라, 현악 편곡]}}} || || {{{-1 '''악기 피처링'''}}} ||{{{-1 윤종수[* 바이올리니스트](on Violin)}}} || || {{{-1 '''보컬'''}}} ||{{{-1 Lency}}} || || {{{-1 '''BGA'''}}} ||{{{-1 [[클로버(일러스트레이터)|Clover]](원화) / MoDEKU(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사라져 가는 세상의 끝에서 그리움마저 희미해져 무뎌져 버린 슬픔의 늪에서 잠들지 못한 밤을 걸어 아 붉은 하늘에 사라져 가는 아련한 기억 속의 지난 시간들을 그려볼 뿐 더는 닿을 수 없는 기도를 오늘도 나는 노래하네 또다시 해져버린 기억을 더듬어 희미한 네 모습을 찾아 헤매 이곳에서 내일이 오면 다 끝나있을까 절망은 한없이 날 찾아와 또 덧없이 마지막을 기다려 단 한 번 운명의 태엽을 감아 그리운 네 모습을 마주할 수만 있다면 나 항상 품었던 간절한 소망을 내 몸이 다한대도 네 곁에 부디 피어나게 해 줘}}} || == 개요 == [[seibin]]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으로, [[DJMAX RESPECT]]의 [[DJMAX TECHNIKA 3|TECHNIKA 3]] DLC 신곡으로 엄청난 화제를 모았던 인기곡 [[ALiCE]]의 후속곡이다. 제목인 ECiLA는 ALiCE를 반대로 한 것[* 전작 제목을 거꾸로 해서 후속작으로 만든 사례는 [[wac]]의 [[neu]]와 [[uən]], [[Team Grimoire]]의 [[croiX]]와 후속곡 [[Xiorc]] 등이 있다.]으로, '에실라'라고 읽는다. 별칭에 대한 말들이 유독 많은 곡이기도 한데, 공식 방송에서 [[XeoN]]이 '엘리스'를 거꾸로 읽는 거라면 '스리엘' 아니냐고 드립을 치는 것을 시작으로 '스리엘'로 불리기도 한다.[* 해당 드립이 나오고 방송을 진행중인 D.PENGUIN이 중간에 빵 터진 개그씬을 만들어냈다. 이후 seibin이 자신의 X(구 트위터)에서 에실라로 읽음을 공인하였으나 이미 늦었다. --스리엘로 정착될 것 같아서 좀 무섭다고 한다.--] 한편 엘리스가 후렴구의 첫 가사에서 따온 '더덕씨'[* "덧 없이 흩어지는" → "더덕씨"]란 별칭으로도 불리다 보니, 이를 거꾸로 한 '씨덕더'로 부르는 유저들도 있는데, 한술 더 떠 '씨덕더'는 발음하기 어렵다며 '씨더덕'(...)으로 부르는 유저들도 존재한다. 이에 대해 작곡가 본인은 차라리 이름을 [[고백, 꽃, 늑대 part.2]]를 따라 ALiCE part.2로 할 걸 그랬다는 농담성 후회를 남기기도 했다.[[https://x.com/_seibin/status/1732020469015150936|#]] 전작의 후렴구 첫 가사인 '덧없이'가 그대로 들어가 있으며, 멜로디도 조성을 통일하면 같아진다. 또한 기타 솔로 구간의 맨 마지막 멜로디도 조성을 통일하면 전작과 같다. == BGA == BGA는 전작 [[ALiCE]]에서 메리가 떠나고 난 후 사후세계에 혼자 남겨진 로즈의 시점으로 전개된다. 혼자 남은 세계에서 점차 힘을 잃고 피폐해져 가는 로즈는 메리를 그리워하다 메리의 환영을 보게 되지만, 이는 어떤 신적 존재[* 천사, 혹은 악마로 추정된다. 지난 ALiCE에서는 [[바람에게 부탁해]]와, [[OBLIVION]] 혹은 [[Ladymade Star]]를 떠올리게 하는 존재가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Hell'o]]에 등장하는 인형과 비슷하게 생긴 존재가 등장한다.]의 현혹이었고 로즈는 이에 잠식되어 마녀와 같은 존재로 흑화하게 된다. 그리고 마녀가 된 로즈 앞에 메리를 닮은 용사 '에실라'[* 메리와 비슷한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어 오해할 수 있으나 눈 색깔이 다르기에 엄연히 다른 캐릭터이다.]가 나타나고, 둘은 결투를 벌이다 결국 로즈의 가슴팍에 에실라의 칼이 꽂히며 로즈는 사후세계에서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로써 괴로웠던 사후세계에서 풀려나게 된[* 전작 ALiCE에서 메리 역시 신적 존재에게 가슴팍을 뚫리고 사후세계에서의 죽음을 맞이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 깨어난다. 즉 사후세계에서의 죽음은 해방을 의미하는 듯 하며, 메리는 생사의 갈림길에 있었기에 살아난 것이지만 로즈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살아날 수 없었던 듯 하다.] 로즈는, 다시금 눈의 생기를 찾으며 '''“내 몸이 다한대도 네 곁에 부디 피어나게 해 줘“'''라는 가사와 함께 성불한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 시간이 꽤 흘러 머리가 길어진 메리의 모습과,[* 이 때 메리의 다리와 발을 자세히 보면 [[흰색 스타킹]]을 신고 있음을 알 수 있다.[[https://rosenrose.github.io/djmax/gallery/viewer.html?category=vextension5&file=718%20ECiLA|#]]] 죽기 전의 소원대로 '''메리의 곁에 피어난 로즈를 상징하는 장미꽃'''을 같이 비추며 이야기가 끝난다. ||<table align=center><nopad>[[파일:ECiLA 축전.jpg|width=500]]|| 로즈가 결국 살아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새드 엔딩]]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전작에서 로즈가 이미 세상을 떠났음은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이었고, 로즈가 살아날 수 없는 세계관에서 로즈가 최소한 편안히 성불을 맞이하고 자신이 바라던 마지막 소원을 이뤘다는 점에서 나름의 [[우로부치 겐|해피 아닌 해피 엔딩]]이라고 할 수 있겠다.[* seibin은 이전 해피 엔딩을 선호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후 원화가인 [[클로버(일러스트레이터)|Clover]]가 공개한 축전에서는 날개를 달고 메리를 지키는 수호 천사가 된 로즈의 모습이 그려진다. 전작 ALiCE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브로 했을 경우, 메리 역시 앨리스처럼 이상한 나라(사후세계)로 떠나지만 결국 현실 세계로 돌아오게 되는 내용이라면, ECiLA는 ALiCE와는 반대로 써진 제목대로 사후세계로 떠난 로즈가 결국 돌아오지 못했다는 내용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ECiLA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ECiLA}}}'''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9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1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09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9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4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8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0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0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3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64}}}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9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5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0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0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8비트와 12비트가 마구 섞이는 박자가 특징으로, 스코어링을 위해서는 노트 간격 파악을 확실히 해야 한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9 → 6, 5B 10 → 8, 6B 11 → 10, 8B 10 → 9)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X11B6By3qPM)] ||<nopad> [youtube(WAUOmz-reEo)]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4PxJ9N7qAWM)] ||<nopad> [youtube(vm7cU0LTIC4)] || 4B MX의 경우 동치, 트릴을 조심하면 된다. 4B SC는 영상 기준 1:16초와 2:08초 부근 나오는 겹롱노트->사이드->겹롱노트 구간, 1:40초 부근 등장하는 1번 롱노트+2-3 트릴 구간 정도만 주의해준다면 크게 어려운 롱잡 패턴도 없고, 폭타의 밀도도 낮아 SC9 치고는 꽤나 쉬운 패턴이다. SC 8레벨 하위권 정도로 취급받는, [[Hypernaid]]와 크게 다르지 않은 물렙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SC6으로 하향조정됨. 롱잡, 계단, 동치, 연타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패턴이며 SC에 숙련되지 않은 초보자라면 힘들 수 있으니 미리 저레벨 SC 연습을 하고 오는 것이 좋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wK8KKgoscng)] ||<nopad> [youtube(lxRrPeiQtD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MgzqQ9kvzpI)] ||<nopad> [youtube(QCGVHlvWdpo)] || 5B SC는 중간중간 섞이는 고속 계단이나 동시치기 연타가 까다로운 패턴으로 10레벨치곤 쉽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kyLjzX51VNI)] ||<nopad> [youtube(f1KKQHaImH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8MGZ93Em8IE)] ||<nopad> [youtube(OoH3sgSA5Uk)]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cj3Nh6l9zt4)] ||<nopad> [youtube(cmHWiSQNX0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UOmzjHxNF3Q)] ||<nopad> [youtube(n69LK7ybM6U)] || 8B HD는 중반부 L+R 트리거를 잡으면서 8비트 계단을 처리해야 하는 패턴 정도를 제외하면 트리거 복합 패턴이 아예 안 나오며, [[Syriana]] SC처럼 8B TUNES라기보다는 6B FX에 가깝다. 6B 파트 자체는 8레벨에 비하면 꽤나 복잡하고 어려운 편에 속하지만 어지간히 어려운 게 아니면 난이도 요소로 취급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불렙이라고 평가받는 경우는 적다. 8B MX는 트리거 롱잡 폭타를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주가 된다. 트리거를 동반한 3~4중 동시치기도 많이 나오기 때문에 12레벨에서는 조금 까다롭지만, 기본적인 트리거 활용과 트리거 롱잡에 익숙하다면 딱히 어려운 패턴은 아니다. 8B SC 역시 MX와 마찬가지로 트리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롱잡 패턴이 주가 되나, 중반의 기습 따닥이 및 트리거 복합 동시치기 등 실수하기 좋은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어 11레벨 중위권 정도로 평가받는 패턴이다. 특히 기타 솔로 파트가 마무리 될 때 나오는 3-25LR-4-16LR로 구성된 맥스 콤보, 퍼펙트 모두 방해하는 킬링 구간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여담으로 8B 패턴에서만 공통적으로 중간중간 6비트가 등장하는데, 초견에 박자를 파악하기 상당히 까다롭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ECiLA, version=114, uuid=97c927b1-13f4-4ab7-9ac2-61716e91ddb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