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Delusion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다른 뜻, 설명1=BMS의 곡인 Delusion(Yume-maboroshi), 문서명1=夢、幻。)]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3EJbA6eVbvk)]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IDM}}} || || {{{-1 '''BPM'''}}} ||{{{-1 190}}} || || {{{-1 '''작곡'''}}} ||{{{-1 [[VoidRover]]}}} || || {{{-1 '''악기 피처링'''}}} ||{{{-1 SOONHO(on Piano)}}} || || {{{-1 '''BGA'''}}} ||{{{-1 김라돈 (KIMLADON)}}} || == 개요 == [[VoidRover]]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컴포저 라인업에서 그동안 VoidRover가 투고해온 오리지널 곡들과는 꽤나 다른, [[xi(작곡가)|xi]]나 [[Ice(작곡가)|Ice]]를 연상케 하는 르네상스 하드코어 스타일로 등장해 많은 유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다만, 첫 참여인 [[전설이 시작된 곳 ~VoidRover Remix~]]에서 살짝 보여준 스타일이긴 하다.] 특히 뒤에 깔리는 어마어마한 피아노 아르페지오 선율, 그리고 [[BEXTER]]의 언급으로 VoidRover가 작정하고 극악곡으로 썼다는 공언으로 인해 보스곡으로 예상하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다만 VoidRover가 이 곡을 작업할 때는 르네상스 하드코어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었고,[* [[J-CORE]] 문서의 [[J-CORE#s-3.2|르네상스 하드코어]]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듯 르네상스 하드코어라는 장르 자체가 J-CORE 씬 내에서나 한정적으로 소비되는 장르에 가깝기 때문에, 동인 음악 작곡가가 아닌 VoidRover가 해당 장르를 몰랐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다만 후술한 바와 같이 작곡에 [[L(Ice)|L]]을 참고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예 연관성이 없지는 않다.] '[[IDM]]'[* 드럼 앤 베이스가 기반이 되는 복잡한 사운드의 일렉트로닉 뮤직. [[에이펙스 트윈]]이 대표적이다.]이라는 장르를 의도하고 만들었다고 한다. [[https://youtu.be/VKWInc2Vxa4?t=106|레퍼런스1]] [[https://youtu.be/FbJ63spk48s|레퍼런스2]] 원래 곡의 제목은 'Delirium'이었으나, 'Delusion'이라는 제목으로 바꾸게 되었고,[* 초기 제목은 'delusion_狂想'이었다고 한다.] 곡의 제목과 걸맞게 '현실 > 상상(망상) > 인지 > 다시금 돌아온 현실에 대한 괴로움'과 같은 흐름으로 곡을 작업했다고 밝혔다.[[https://gall.dcinside.com/m/djmaxrespect/859865|작곡가 작업기]] 여담으로, 이 곡을 SOONHO[* Voidrover와 친분이 있는 [[피아니스트]]로, [[전설이 시작된 곳 ~VoidRover Remix~]]를 작업할 때도 도움을 준 인물이다.]와 작업할 때, SOONHO에게 [[L(Ice)|L]]을 계속 들려주며 "이 곡처럼만 치면 됨~"이라고 하였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830477|#]] BGA는 [[Like a Fool]], [[SURVIVOR(DJMAX)|SURVIVOR]], [[Petunia]]를 담당했던 KIMLADON이 담당했으며, 이번에는 밝은 파란색이 아닌 남색에 가까운 진한 파란색으로 엄숙한 분위기를 표현한 것이 특징. 스토리는 은발의 여성 캐릭터가 푸른 거미 괴물을 무찌르는 내용을 담아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849397&page=1|스토리 추측]] 캐릭터 디자인이 상당히 매력적인 터라, 커뮤니티 등지에서 '딜루'라는 애칭이 붙여져 BGA 전용 캐릭터 중에서는 나름 인기 캐릭터 반열에 올랐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855700|김라돈이 직접 그린 딜루]]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Delusion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Delusion}}} {{{+1 (feat. SOONHO)}}}'''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1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0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16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67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5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1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5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91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5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38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203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41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81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怒槌/타사 리듬 게임 수록|Ikazuchi]]와 함께 두 곡밖에 없는 전 버튼 SC 14레벨을 배정받으며[* Delusion이 수록된 당시에는 [[神威]]까지 3곡이었으나 리버티 2 출시 이후 시즌패스 업데이트로 神威의 6B SC가 13레벨로 내려가 2곡이 되었다.] [[ELIXIR(DJMAX)|ELIXIR]]와 함께 해당 DLC의 준보스곡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빌드업 구간의 트리키한 배치와 후반 피아노를 위시한 폭타가 특징인 패턴으로, 그 특성상 5, 6버튼에서 그 진가를 드러내는 곡이다. === 4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qvXBYHlGMgI)] ||<nopad> [youtube(1gSlHdoZZRE)]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9SnXEczZP74)] ||<nopad> [youtube(RjT5NLh5qqw)] || === 5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JKf7zFV6n9U)] ||<nopad> [youtube(EGBBdy-zDUs)]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rVcC16lU4qU)] ||<nopad> [youtube(pUsjnt2tr9E)] || 5B MX는 가변능력과, 순간 레이저 대처능력이 상당히 요구되며, 14레벨 내 중에서는 불렙수준으로 어렵다. 5B SC는 후반부에 [[PUPA/리듬 게임 수록/DJMAX RESPECT V|PUPA]] 5B SC 수준의 악랄한 폭타가 떨어진다. 같은 DLC의 [[1!2!3!4!ただいま配信CHU!|1! 2! 3! 4! Streaming rn CHU!]] 5B SC가 모든 어그로를 끌고 가 상대적으로 존재감이 덜하지만 14레벨 내에서 상당히 어렵다는 평이 많다. === 6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PKxVSo37JdI)] ||<nopad> [youtube(sLaeqPt7c1w)]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rh_rrmnSplI)] ||<nopad> [youtube(f9j_4gL6P6s)] || === 8B TUNES ===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ZoOXiCz8ilI)] ||<nopad> [youtube(6bR0YVH_pEM)]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qVhxxZeBtYk)] ||<nopad> [youtube(LskrsCHfiw4)] || 8B SC의 경우 5B SC, 6B SC에 비하면 후반이 상대적으로 정직한 편이다. 진짜 문제는 중반의 트리거 복합 구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Delusion, version=74, uuid=7cc74178-5b28-401d-ad43-06ab943decc9)]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