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Dark Lightning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IaaMb8uHU_Q)]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RAY]]}}} {{{-3 (2012)}}} || || {{{-1 '''장르'''}}} ||{{{-1 Drum & Ambient}}} || || {{{-1 '''BPM'''}}} ||{{{-1 104 ~ 168}}} || || {{{-1 '''작곡'''}}} ||{{{-1 [[AstroKid]]}}} || || {{{-1 '''BGA'''}}} ||{{{-1 S4 League Team}}} || == 개요 == [[AstroKid]]가 [[DJMAX RAY]]에 제공한 곡이다. DJMAX RAY의 뮤직 팩 중 하나인 Spectacular 뮤직 팩의 히든 곡으로 등장했는데, 곡의 정체는 다름 아닌 [[S4리그]]의 시즌 1 '''다크 라이트닝''' 패치의 트레일러에 쓰였던 곡이다. 그래서 제목도 Dark Lightning인 듯. RAY 당시의 일러스트는 BitterSweet이 그렸다. [youtube(rzdEfJfuuCA)] 트레일러 영상 전체적인 곡의 느낌은 음산하고 무서운 편. 처음부터 음산한 분위기로 시작하더니 곡이 끝나는 순간까지 드럼 소리와 신스음 소리가 사정없이 몰아친다. ~~분위기로만 보면 거의 최종보스 포스다.~~ 장르 표기는 Drum n' Ambient로 되어있으나, 사실 정통 [[앰비언트]] 장르와는 아주 거리가 먼 분위기의 곡으로, [[드럼 앤 베이스|Drum n' Bass]] 장르의 곡으로 보는 것이 더 가깝다. 참고로, S4리그 내의 쥬크박스 기능에서 나오던 Dark Lightning이라는 곡과는 다른 곡이다. 본문의 Dark Lightning은 단순히 트레일러에서만 쓰인 반면, S4리그 내에서의 Dark Lightning은 [[Dark Ages|이 곡]]이다. 본래 나이트메어라는 맵의 BGM이었으나, 현재는 S4리그 내에서 제공하지 않는 듯. == [[DJMAX RAY]] == |||||||||| [[DJMAX RAY]]의 Spectacular 팩 수록곡 || || [[Ruti'n]] || [[NANO RISK]] || [[My Alias]] || [[Keys to the World]] || '''Dark Lightning'''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8 || ||<#0000FF> {{{#white HD}}} || 9 || ||<#FF0000> MX || 10 || [youtube(fN-vxUU_hp4)] DJMAX RAY의 Spectacular 팩의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난이도는 NM 8, HD 9, MX는 10레벨로 DJMAX RAY 내에서 [[Supersonic ~Mr.Funky Remix~]]와 함께 NM, HD, MX 모두 최고난이도를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물렙곡|셋 다 레벨에 비해 약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NM패턴은 8레벨 표기가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쉽다. 체감이 안 된다면 다른 8레벨 곡들 몇 개만 해보고 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체감 난이도는 6레벨 정도. HD는 NM에 비해 중간중간에 폭타가 끼고 후반 트릴 때문에 어려워지긴 했지만 역시 9레벨에는 미치지 못한다. MX는 초반부터 나오는 폭타와 중후반 트릴, 그리고 2연타 부분이 약간 까다로울 수 있으나 그 외에는 '''전혀''' 어려울만한 부분이 없어서 물렙. 롱노트와 일반노트를 같이 처리해야하는 부분도 있지만 10레벨 수준으로 어렵진 않다. ~~2중 노트에 긁기를 갖다 때려박았으면 탭소닉에서의 MonoXide마냥 초극악곡도 될 수 있는 걸 그렇게 안 해서~~ 전체적으로 다른 10레벨 곡들에 비해 압살적인 구간이 없기 때문에, 실제 체감 난이도는 개인차에 따라 NM 6, HD 7~8, MX 8~9 정도. 이 때문에 올 100%(퍼펙트 플레이)가 가능한 10레벨 곡 중 하나로 취급받고 있으며, 퍼펙트 유저가 5키에서 딱 1명 나왔다.[* 이 유저의 말에 의하면 10레벨 곡 중 현실적으로 퍼펙트가 가능한 곡은 이 곡과 Midnight Blood와 Hyperboloid라고 밝혔다. Midnight Blood의 경우 마지막 3연타에서 터치 씹힘 현상으로 1%가 하나 떠서, Hyperboloid의 경우 6연타 이후 슬라이드에서 터치 씹힘 현상으로 BREAK가 떠서 퍼펙트를 못 했다고 한다. --15만점 곡인 Rolling On the Duck MX 99.9%, 10만점 곡인 Brand NEW Days MX 100%를 찍는 Ray에서의 정확도 넘사벽 신급 유저이니 말 다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Dark Lightning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 RESPECT/V}}}'''}}} || ||<-4>'''{{{+5 Dark Lightning}}}'''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7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2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85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2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5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68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86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3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1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7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09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8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7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0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96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9 업데이트 신곡으로 추가되었다. 원래 [[S4리그]]의 테마곡이었던 만큼, BGA는 상술했던 S4리그의 시즌 1 '다크 라이트닝' 업데이트의 트레일러를 거의 그대로 사용했다.[* S4리그 로고가 없어지는 등의 소소한 수정이 있기는 하다.] 해당 곡이 [[DJMAX RAY]]의 인기곡인 [[Private Party]], [[SINister Evolution]]보다 먼저 RESPECT V에 들어오게 된 이유도 사용할 수 있는 BGA 리소스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DJMAX RAY 때와는 다르게 초반에 '''변속'''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으로, 변속의 폭이 큰 편이지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간은 넉넉하게 주기 때문에 초반에 속도를 상당히 올려둔 뒤 노트가 비는 타이밍에 인게임 내에서 속도를 내려주면 된다. 변속 타이밍 조절 자체는 쉽지만, 변속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디제이맥스 유저들에게는 기피되기도 하고, 초반 저속 구간에서 전 SC 패턴 공통적으로 '''트릴'''이 등장하기 때문에 비선호되는 경향이 있는 편. 트릴은 속도가 느린 편이기에 생각보다 느리게 쳐준다는 생각으로 연주해주어야 100%로 넘길 수 있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1 → 9, 5B 10 → 8, 6B 11 → 10, 8B 10 → 8[* 2.0 업데이트 당시에는 9레벨이었으나 시즌 16에서 8레벨로 하향.])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HZ_ubkFYdQY)] ||<nopad> [youtube(KhFTtqu0Xx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4T7mxFWgCq0)] ||<nopad> [youtube(ryjVvvQfNoQ)] || 4B SC는 동레벨의 패턴인 [[Techno Racer]]와 마찬가지로, 최후반 연타 파트에 난이도가 집중되어 있다. 해당 구간은 왼손이 처리해야 하는 연타가 더 많고, 중반에 4321 고속 역방향 계단도 등장하기 때문에 오른손 지력 수준이 더 높다면 미러 이펙터가 권장된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FISDJvfWZvE)] ||<nopad> [youtube(NPmLuNj8QWc)]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DryU4b_odhA)] ||<nopad> [youtube(ilcmpS0hFyM)] || 5B SC는 중반부 레이저 이후가 고비. [[Minimal Life]]의 하위호환 느낌이 나는 겹폭타 이후 나오는 롱잡이 가장 까다로운 구간이다. 초반부 트릴도 살짝 쉬는 구간을 주는 다른 SC 패턴과 다르게 35트릴 직후 바로 13트릴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리듬감이 흐트러질 수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8fE2qfSJnTI)] ||<nopad> [youtube(cJY04_bPdr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CeOXFraqbL0)] ||<nopad> [youtube(-Ceof9apb08)] || 6B SC는 초반 저속 트릴 구간이 13/46 '''원핸드 트릴'''로 등장한다. 다만 BPM 자체도 매우 낮은데다 12비트 트릴로 나오기 때문에 다른 SC보다는 처리하기 수월한 편으로, 대신 다른 패턴이 훨씬 어렵게 나온다. 그 중에서도 한 손으로 트릴을 처리하면서 반대편 손으로는 계단을 처리해야 하는 패턴과 알약 동시치기와 32비트 계단이 어지럽게 섞이는 최후살 파트에서의 순간 난이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꽤나 복병이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AoMtZzFHuf8)] ||<nopad> [youtube(6vOqyK2TiaE)]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d7Y6L5-IAs0)] ||<nopad> [youtube(OYxPqEYXV1w)] || 8B SC는 롱노트를 적극 활용했다. 지난 시즌 추가곡인 [[Dancin' Planet]]처럼 롱노트 장난질은 적으나, [[Retention]]처럼 곡 전체에 다량의 롱노트를 깔아놓고 가벼운 롱잡으로 갉아먹는 패턴. 리딩 자체는 직관적이기 때문에 해당 레벨 내에서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Dark Lightning, version=104, uuid=1a37e27c-4afb-4601-90e0-048e721fd70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