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Checkmate(DJMAX)
(r5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include(틀:DJMAX RESPECT V 타이틀곡,1제목=Kakera, 2제목=Checkmate, 3제목=?,1문서명=Kakera, 2문서명=Checkmate(DJMAX), 3문서명=미정, 1컬러=fff, 2컬러=000, 3컬러=fff, 1간격=0.25, 2간격=0.25, 3간격=0.25)]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e0gHWsdKkI)]}}}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3 (2025)}}} || || {{{-1 '''장르'''}}} ||{{{-1 Horrorcore Jazz}}} || || {{{-1 '''BPM'''}}} ||{{{-1 246}}} || || {{{-1 '''작곡'''}}} ||{{{-1 ned × PahNic}}} || || {{{-1 '''작사'''}}} ||{{{-1 ned}}} || || {{{-1 '''악기 피처링'''}}} ||{{{-1 Jae Hyung Kim(on Piano)}}} || || {{{-1 '''보컬'''}}} ||{{{-1 [[https://www.youtube.com/@re.may_yerim|Re.may]] / chomin(on Chorus)}}} || || {{{-1 '''BGA'''}}} ||{{{-1 Mamo.C[* 메인 원화.] / BECOCOBALLS[* 안무 씬 원화.](원화) [br]NANHA7(애니메이션) / lalla[br]SUMMER / [[DumpingLIFE]](모션)}}} || |||| {{{#!folding [ 가사 보기 ] Don't fail me 마리오네트 Surprise me 자 춤춰라 Checkmate Play 더 과감하게 step onto the stage 결국엔 내 뜻대로 my flavor 모든게 바뀌어버려 change the cast 끝나지 않는 미로 속에서 Let's swing around the world 뒤엉킨 리듬 속에 Kick-step rock 'n' roll 내 손을 따라와 Dance with the skyline 수많은 조명아래 Can you break the mirror Again Don't fail me 마리오네트 Surprise me 자 춤춰라 아무것도 모른 채로 merry go round Don't fear me 마리오네트 Confront me 자 울려라 텅 빈 채 계속되는 true or false 내 손을 따라와 Don't fail me Enlighten me Don't fail me 마리오네트 Surprise me 자 춤춰라 아무것도 모른 채로 merry go round Don't fear me 마리오네트 Confront me 자 울려라 텅 빈 채 계속되는 true or false}}} || == 개요 == ned와 PahNic[* [[Hell'o]], [[O'men]]을 작곡한 사내 작곡가 Pan이 이번 곡부터 닉네임을 변경하였다.]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으로, 지난 V LIBERTY DLC 2의 테마곡이었던 [[Kakera]]에 이은 '''V LIBERTY 시리즈의 3번째 테마 곡'''이다. 신나는 스윙 재즈 장르로 전개되다가, 중반부와 후반부 두 차례 각각 동 작곡가의 [[O'men]]과 [[Hell'o]]를 연상케 하는 비트 드랍 변주 구간이 임팩트를 주는 곡.[* 다만, PahNic은 [[https://x.com/ImPanThankU/status/1935280388563419356|Hell'o의 멜로디를 쓰지 않았다]]고 밝혔다.] 더불어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9GfMICldyzA19VT9nJ8A|Re.may]]가 참여한 시원시원한 록 스타일의 보컬까지, 재즈, 일렉트로니카, 락 세 가지 장르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곡이다. == BGA == BGA는 [[다인(DJMAX)|다인]]의 사역마들을 비롯한 디제이맥스 유니버스 메인 캐릭터들이 리룰르의 무도회장에 찾아오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리룰르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플레이(DJMAX)|플레이]]와 페어로 춤을 추는 모습을 바라보던 다인이 수상함을 느껴 윗층으로 올라가 수색을 하던 중 수많은 [[OBLIVION|프레이야와 카밀리아]]들을 마주하며 전투를 벌이게 되고, [[엘 클리어|클리어]], [[엘 페일|페일]], 플레이, [[레나(DJMAX)|레나]]의 눈 앞에 리룰르의 최면에 걸려 공중 실크[* 서커스 곡예의 일종]를 하고 있는 평행세계 속의 클리어와 페일이 등장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해당 장면의 클리어와 페일의 모습을 보면 좀비 유니버스[* [[Emerge]], [[Critical Point]], [[Bestie(DJMAX)|Bestie]], [[Outcast]]]에 등장했던 페일[* [[Critical Point]]에 나온 총기를 든 페일.], [[Weaponize]]-[[Kakera]]에서의 클리어, 그리고 [[DJMAX RESPECT V/시즌#디맥시즌13|시즌 13 테마]]에서의 클리어[* 수영복 모양으로 탄 자국이 남은 클리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해당 세계관들 모두 해당 인물들이 리룰르에 의해 거울 속으로 사라졌다는 떡밥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좀비 유니버스의 페일은 리룰르에 의해 계단에서 납치되었고, 웨포나이즈-카케라 세계관에서의 클리어는 거울을 깨고 나와 리룰르와 전투를 벌이지만 결국은 거울 속에 붙잡히게 되며, 시즌 13 테마에서의 클리어는 카밀리아와 프레이야의 초대로 '룰르 아일랜드'라는 섬으로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나 리룰르의 거울이 있는 방으로 폭죽을 가지러 갔다가 사라지고 만다.] 리룰르가 평행세계의 클리어와 페일을 타겟으로 자신의 거울을 통해 수하로 부리고 있음이 드러났다. 공개 전, BGA에서 수상할 정도로 흉부가 커진 [[플레이(DJMAX)|플레이]]와 노출도가 높은 드레스를 입은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꾸준히 화두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특히 썸네일에서 눈을 가린 채 칼을 겨누고 있는 카밀리아와 프레이야의 모습[* [[OBLIVION]]의 내용 자체가 동생 프레이야가 언니 카밀리아를 질투하여 칼을 찔러 살해했다는 뒷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해당 장면에서는 카밀리아가 프레이야를 향해 칼을 겨누고 있는 것으로 보아 OBLIVION의 스토리와도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은 [[북극곰 드립]]을 유발하기도. 공개 이후 작곡가들이 X에 작업 후기를 남겼다. [[https://x.com/never_ed_dreams/status/1936429516525904041|(ned)]][[https://x.com/ImPanThankU/status/1936689919281475590|(PahNic)]] 요약하자면 그냥 [[보빔]]이다. 끼얏호우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3)]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cd3658,#cd3658><bgcolor=#97253f,#97253f><nopad> [[파일:Checkmat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cd3658 0% 45%, transparent 45% 49%, #cd3658 49% 59%, transparent 59% 65%, #fe6c7a 65% 76%, transparent 76% 82%, #ff8391 82% 93%, transparent 93%), linear-gradient(-154deg, transparent 0% 10%, #e6455c 10% 20%, transparent 20% 26%, #b12d47 26% 36%, transparent 36% 42%, #97253f 42% 52%, transparent 52% 56%, #97253f 56% 64%, transparent 64% 73%); color:#fff" '''{{{#fff,#fff V LIBERTY 3}}}'''}}} || ||<-4>'''{{{+5 Checkmate}}} {{{-1 (feat. Re.may)}}}''' || ||<rowbgcolor=#fe6c7a,#fe6c7a><rowcolor=#3f2546,#3f2546><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d3658><colcolor=#fcbcc3>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7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3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33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4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9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887}}}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42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5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54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3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4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48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ff8391 0% 7%, #cd3658 7% 12%, #fe6c7a 12% 20%, #cd3658 20% 100%)" {{{-3 {{{#fff,#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상술한 비트 드랍 부분의 키음이 많이 쪼개져있고 재즈 구간 역시 맘먹고 키음을 쑤셔넣으면 복잡하게 만들 수 있어 V LIBERTY 3의 준보스곡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되었으며, 실제로도 전 버튼에 SC 12레벨 이상을 배정받으며 결코 쉽지 않은 난이도의 곡으로 등장했다. === 4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cQ2t7UPH9oI)] ||<nopad> [youtube(NsmEWRpGeNE)]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lW7THPbrSgQ)] ||<nopad> [youtube(wCXmEpjQdrA)] || === 5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ZYmHsIZQDs8)] ||<nopad> [youtube(alNv9q0kM9Q)]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ff_6hV5keeg)] ||<nopad> [youtube(_MwcF4DHHJI)] || === 6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eudsCFBSdXw)] ||<nopad> [youtube(mRV6KPmpvJE)]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qEZD_UXath8)] ||<nopad> [youtube(QSuySjZquAw)] || 6B SC는 후살 직전까진 무난하다가 최후살에 왼손 사이드/빅장 롱노트를 바꿔가며 오른손 한손 트릴-고속트릴-'''16비트 초발광'''이 등장하는데 이 구간의 순간 난이도가 '''SC 14레벨''' 수준으로 어려워서 12레벨임에도 13레벨 상위권급의 불렙으로 평가받는다. === 8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9Mlm0DPTZK8)] ||<nopad> [youtube(xo5VkZZHRTY)]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GSrGNKdgZM8)] ||<nopad> [youtube(r5sz7qqDbT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Checkmate(DJMAX), version=59, uuid=148d7da1-9c1e-4c22-b4cf-d615d59e63eb)]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