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Celestial Tears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Ab3NzXjkWis)]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Piano Trance}}} || || {{{-1 '''BPM'''}}} ||{{{-1 165}}} || || {{{-1 '''작곡'''}}} ||{{{-1 [[Tsukasa]]}}} || || {{{-1 '''BGA'''}}} ||{{{-1 RB}}} || == 개요 == [[DJMAX 온라인]] 서비스 후기에 추가된 [[Tsukasa]]의 곡. [[Chain of Gravity]], [[Grid System]]과 같은 멜로딕 트랜스 장르의 곡으로, OST 음원은 온라인 음원 사이트용으로 발매된 DJMAX Portable OST "Legacy"에 수록되었으며, MUCA 공식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서도 공개되었다. BGA 제작자 RB는 이전 [[ON(DJMAX)|ON]]의 BGA 및 가요 판권곡 'Without Your Love'의 타이틀 이미지를 제작한 바 있다. 시종일관 들판을 질주하는 늑대와 풍차가 등장하는 BGA가 당시 유저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서정적인 멜로디와 피아노의 청명한 음색이 특유의 감성을 자극하는 곡으로, 뛰어난 멜로딕 트랜스 곡들이 많은 Tsukasa의 곡 중에서도 팬층이 두터운 곡이다. == [[DJMAX 온라인]] == DJMAX 온라인 곡 번호 214번. 곡 번호 상으로 2006년 가을께 업데이트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곡보다 늦게 나온 곡은 [[Fentanest]], [[Hey! There]], 그리고 1년이 지나서 팬 서비스로 추가된 [[NB POWER]] 등이 있다. == [[DJMAX Trilogy]] == ||<-5><table bgcolor=white,#26282c><table bordercolor=#069><bgcolor=#069> [[DJMAX Trilogy|{{{#white '''DJMAX Trilogy'''}}}]] || ||<rowbgcolor=#eef><color=#373a3c> '''모드''' ||<color=green> '''NM''' ||<color=blue> '''HD''' ||<color=#f80> '''MX''' ||<color=#d0d> '''SC''' || ||<bgcolor=#00a2e8><color=white> '''4K''' || 6 || - || - || - || ||<bgcolor=#0c0><color=white> '''5K''' || 8 || 10 || - || - || ||<bgcolor=yellow><color=#373a3c> '''6K''' || 7 || 10 || - || - || ||<bgcolor=#f08><color=white> '''7K''' || 8 || 9 || - || - || ||<bgcolor=#b800b8><color=white> '''8K''' || 12 || - || - || - || [youtube(rejQR_Td9sk)] 6K HD 이후 [[DJMAX Trilogy]]에도 수록. 난이도는 곡의 빠르기와 음의 밀도에 비해 높지 않은 편. 최고 레벨이 6버튼 HD 패턴(레벨 10)이며 중간 피아노 패턴의 폭타만 조심하면 수월한 편. 재미있는 채보가 나올 수 있는 음악인데 고난이도 채보가 안 나와서 아쉽다고 평가받았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Wrath 팩 수록곡 || || [[Xeus]] || '''Celestial Tears''' || [[SQUEEZE(DJMAX)|SQUEEZE]] || [[For the IKARUS|IKARUS]] || [[Right Back]]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4 || || ||<#0000FF> {{{#white HD}}} || 6 || || ||<#FF0000> MX || 9 || || [[DJMAX RAY]]에도 등장, 아이캐치도 새로 들고 나왔다. MX 패턴이 9레벨이며, 9레벨에서도 상위에 속한다. == [[TAPSONIC WORLD CHAMPION]] == ||||<black> [[TAPSONIC WORLD CHAMPION|{{{#gold '''TAPSONIC WORLD CHAMPION'''}}}]] || ||<colbgcolor=#484848><rowcolor=#0f0> '''BASIC''' ||<colbgcolor=#565656> || ||<rowcolor=#f88> '''PRO''' || || ||<rowcolor=#f8f> '''LEGEND''' || || [youtube(A_82OumTMnw)]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Celestial Tears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 RESPECT/V}}}'''}}} || ||<-4>'''{{{+5 Celestial Tears}}}'''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9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3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09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4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3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3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20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3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6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9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3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0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3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4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상술한대로 팬층이 많은 곡이었기 때문에 이 곡이 [[DJMAX RESPECT]]에 업데이트되기를 바라는 유저들도 많은 편이었고, 이후 [[DJMAX RESPECT V]] 시즌 10 무료곡으로 추가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키음은 [[XeoN]]이 새로 컷팅했다고 직접 밝혔다. SC 패턴 전반적으로 표기 레벨에 비해 지나치게 어려워 문제가 되던 곡이었는데,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난이도가 조정됐으나 여전히 5B, 8B는 불렙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4B 7 → 8, 5B 10 → 9, 6B 10 유지, 8B 10 → 9)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gXvPX7GGe0c)] ||<nopad> [youtube(CcLjRaKtiHo)]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K2PYGs43cH4)] ||<nopad> [youtube(QAUU01NWMuY)] || 4B SC는 노트 밀도도 높은데 패턴 구성도 까다롭다. 165BPM을 기반으로 [[OBLIVION ~Rockin' Night Style~|오블락]] 트릴 끝에 연타까지 붙어 나오는 패턴까지 존재하며, 노래 끝나기 직전에는 약 7초간 트릴만 나오는 구간도 있는 표기 레벨에 비해 매우 까다로운 패턴.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c8fOsTyV55E)] ||<nopad> [youtube(QHlUEw6-3Fg)]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XyhqWzZ2tOQ)] ||<nopad> [youtube(nB0wLPrNxQc)] || 5B SC는 패턴 구성, 노트 밀도 모두 10레벨 수준을 벗어난 불렙이라고 평가받는다. 2.0 업데이트 이후 9레벨이 됐으나 여전히 겹폭타나 최후반부 트릴 구성이 지나치게 어려워 불렙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z1_y_PmyAnU)] ||<nopad> [youtube(eVVYLwTtKG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dxAzH_HS150)] ||<nopad> [youtube(HbQmTHo9YMU)] || 6B SC는 대체로 레벨에 맞게 무난하게 흘러가는 듯 하다가 2연속 겹계단, 겹계단 직후 롱노트, 동치 트릴 복합 패턴 등 10레벨 치고는 처리가 까다로운 구간이 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5aj12LKJ3cc)] ||<nopad> [youtube(4zK37MGjLMo)]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sPhXBwbJoGI)] ||<nopad> [youtube(T_sLUVJbK6Q)] || 8B SC는 패턴 구성, 트리거 응용도, 노트 밀도 모두 10레벨 수준을 벗어났다고 평가받는다. 10레벨보다는 11레벨에 더 어울리는 [[불렙곡|불렙]] 패턴으로, 특히 알약 트릴과 트리거가 교차하는 최후살은 웬만한 8버튼 숙련자들도 100%로 넘기기 힘들 정도.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TAPSONIC 시리즈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Celestial Tears, version=89, uuid=35629145-2fca-48f9-b2aa-5cabbc4941db)]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