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Cata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hV1oswUQKoM)]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Rock}}} || || {{{-1 '''BPM'''}}} ||{{{-1 140}}} || || {{{-1 '''작곡'''}}} ||{{{-1 [[Miiro]]}}} || || {{{-1 '''보컬'''}}} ||{{{-1 [[앤씨아|NC.A]]}}} || || {{{-1 '''BGA'''}}} ||{{{-1 dolman(원화) / Cappu(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전부 비웃고[*참조 DJMAX ARCHIVE 공식 BGA 안의 텍스트에는 '비웃고'가 '바꿔'로 쓰여있는데, 이는 오표기로, 이후 공개된 Miiro의 공식 뮤직비디오에서는 정상적으로 수정된 것은 물론 인게임에서도 수정된 BGA가 적용되었다.] 환영해 MAKE A PEACE! 오늘의 뉴스에 들려오는 불안한 신호음과 내용은 전혀 다른 세상 같아서 가만히 멍을 때렸어 하나둘씩 되새어가 마음이 두근대는 이유를 이런 지루했던 일상속에 터질 듯한 세상에 어딘가 잘못된 이 리듬은 불안정한 지금을 또다시 떠올리게 한 것처럼 화려한 이 굉음에 무너져 기도하는 누군가 답답한 이런 규칙 따위에 WANNA MAKE YOU PEACE? 울려퍼지는 에코 이 불안정한 템포 그 모든 것에 무너지는 시스템마저 멈춘 순간 GET IT ON 날려버려 METEOR 이대로 시간마저 태워질 듯한 세상에 온 걸 환영해 MAKE A PEACE! 더 이상은 만족도 못할 이 세상은 채워줘도 계속 비워지는 마음은 이토록 단순한 뇌로 절인 사랑을 원하고 바랜 채로 사라져가 더 높아지는 템포 이 불안한 형태도 무시한 채로 살아가는 우리들은 계속해서 TRY IT ON 오늘조차 태워 지금 이 답답했던 시간 따위 모두 잊고 기대할테니 아직도 울려 퍼지는 에코 이 불안정한 템포 그 모든 것에 무너지는 시스템마저 멈춘 순간 GET IT ON 날려버려 METEOR 이대로 화려한 이 세상에서 아직 우릴 원할 때까지 모두 살아남을 때까지 전부 비웃고 환영해 MAKE A PEACE!}}} || [[https://www.youtube.com/watch?v=oucIenRenTY|작곡가 Miiro의 공식 채널에 올라온 영상.]][* BGA 자막 오표기가 수정되었다.] == 개요 == [[Miiro]]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Miiro의 첫 DJMAX 시리즈 데뷔곡으로, [[CLTH]]와 함께 V LIBERTY 2 DLC에서 제작진의 러브콜을 통해 참여한 작곡가 중 한 명이다. 보컬의 경우 이전 솔로 가수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UNI.T]]의 멤버로도 활동했던 [[앤씨아]]가 담당하여 놀라움을 주었는데,[* 앤씨아 본인부터가 리듬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어렵지 않게 섭외될 수 있었다고 한다. 라이브 소개 과정에서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의 가왕까지 차지했었다는 소개가 있었으나 이는 제작진의 착오로, 당시 3라운드 가왕전까지 진출했다가 [[규현/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당시 가왕]]에게 패배하였다.] 작곡가와 보컬 모두 기존 유명세가 있던 인물들이라 꽤 호화로운 라인업으로 완성된 곡이 되었다. 제목은 '아래, 맞서'라는 뜻의 접두사로, 곡에서는 재앙이라는 뜻의 '[[카타스트로피|Catastrophe]]'의 약어로 쓰였다. 작곡가의 코멘트에 따르면 '재앙 속 모든 게 정신없이 폭발하는 상황'을 표현했다고 했다. BGA는 [[mochimochi]]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던 dolman과 Cappu가 담당했다. 외계인이 침략하여 사람을 잡아먹는 지구를 배경으로, 버스에서 졸고 있던 소녀가 난데없이 나타난 아기 외계인과 조우한 후 일어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소녀도 다른 인간들처럼 납치당해 외계인의 식사가 될 위기에 처하지만, 소녀를 구하려온 아기 외계인이 손목 레이저포로 변신해 소녀의 팔에 장착되었다. 탈출에 성공한 이후 아기 외계인이 납치당해 잡아먹힐 위기에 처하자, 버스 손잡이봉을 무기삼아[* 해당 곡의 타이틀이 나올 때의 버스에서 뜯어온 것으로, 이후 엔딩부분의 타이틀에서는 버스 뒷부분의 손잡이가 떨어져 있는 디테일이 있다.] UFO로 난입한 후 무쌍을 찍으며 해맑게 웃는 소녀가 하이라이트. 2025년 6월 19일 TJ미디어 반주기에 87928번으로 수록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fff,#1c1d1f><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Cata_1.webp|width=100%]] ||<-4><bgcolor=#79d916>{{{#!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Cata}}} {{{+1 (feat. NC.A)}}}'''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7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2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41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0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11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511}}}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4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7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13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56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5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4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20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51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버튼 불문하고 SC 난이도는 초반과 마지막에 메인 멜로디가 나오는데, 상당한 엇박을 자랑하기 때문에 정확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 4B TUNES === ||<tablecolor=#79d916><tablebordercolor=#79d916><tablebgcolor=#06054b> NM || HD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Km0f_UL28Oc)] ||<nopad> [youtube(rP4Ao8i79rY)]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7p6x5xS777s)] ||<nopad> [youtube(LEmC7jn14bc)] || === 5B TUNES === ||<tablecolor=#79d916><tablebordercolor=#79d916><tablebgcolor=#06054b> NM || HD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zhRdEhP8Xuw)] ||<nopad> [youtube(4sfWKvEBYQM)]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4ykkQkjXGLE)] ||<nopad> [youtube(KcgN4zW4ffk)] || === 6B TUNES === ||<tablecolor=#79d916><tablebordercolor=#79d916><tablebgcolor=#06054b> NM || HD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APs7cduHrDg)] ||<nopad> [youtube(hVNqsJTzXks)]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t1ojnWL6YCc)] ||<nopad> [youtube(i12xYJAkRyE)] || === 8B TUNES === ||<tablecolor=#79d916><tablebordercolor=#79d916><tablebgcolor=#06054b> NM || HD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EL7YO1F9EV4)] ||<nopad> [youtube(Y5xQvpm71P4)]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qOPoGxlD82U)] ||<nopad> [youtube(5Gu0ql3neqg)] || 8B SC는 패턴 자체의 난이도는 9레벨보다는 8레벨에 가깝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딱히 쉬는 구간 없이 쉴 틈 없이 물량형으로 몰아치는 패턴인지라, 좀 더 고레벨 유저라면 손쉽게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SC 8 ~ 9 레벨 현지인 입장에서는 끝까지 집중력을 유지하기 쉽지 않은 패턴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Cata, version=71, uuid=09de55a5-5993-491e-acbf-ab18cd0eac3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