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Can We Talk)]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dGWqS1QBeNk)]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Acid Jazz}}} || || {{{-1 '''BPM'''}}} ||{{{-1 130}}} || || {{{-1 '''작사/작곡'''}}} ||{{{-1 [[Forte Escape]]}}} || || {{{-1 '''리믹스'''}}} ||{{{-1 [[Forte Escape]]}}} || || {{{-1 '''보컬'''}}} ||{{{-1 Pyk}}} || || {{{-1 '''BGA'''}}} ||{{{-1 Aqualix / White Shadow}}} || == 개요 == [[DJMAX]]의 수록곡으로, 온라인 초기 수록곡이었던 [[Can We Talk]]을 [[Forte Escape]] 본인이 셀프 리믹스한 버전이다. 상당히 특이한 리믹스 명을 갖고 있는데, Forte Escape가 직접 밝히기로는 리듬이 마치 다리가 부러진 개가 걷는 것 같아서 이렇게 작명했다고 한다. 이런 특이한 리믹스 명 때문에 유저들에게도 일명 '''부러진 개다리 믹스'''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BGA는 붉었던 색감이 푸르게 바뀌어 수록되었다. OST 음원은 DJMAX Portable 2의 OST 모드 "Air Trax"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으며, MUCA 사운드 클라우드에도 업로드되어 있다. == [[DJMAX Trilogy]] == [youtube(IYs12MIXaME)] 6K MX 온라인 이후 수록이 없다가 DJMAX Trilogy에 이식되었는데, 6K와 8K MX 패턴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 [[Aurora Borealis]]와 함께 온라인 수록곡으로서 어느 정도의 인기를 과시한 곡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6c5002 RESPECT/V}}}'''}}} || ||<-4>'''{{{+5 }}}{{{+3 Can We Talk}}} {{{-1 (Broken Dog Leg Mix)}}}'''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3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4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27}}}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3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9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5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33}}}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5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7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37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29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상술했듯 [[DJMAX Trilogy]]에서 존재감을 과시했던 것과는 달리 이후 시리즈에서는 이식되지 않았었는데, 트릴로지 이후 무려 '''15년'''만에 [[DJMAX RESPECT V]]에 시즌 11 업데이트 무료곡 자격으로 업데이트되었다. 트릴로지 당시에는 상당한 고난도로 등장했던 것에 비해 리스펙트에는 어느 정도 난이도가 너프되어서 수록되었다. [[Aurora Borealis]]의 사례와 비슷한데, 전반적으로 트릴로지의 패턴에서 치기 불편한 배치들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고레벨의 이미지가 강했던 곡인지라 아쉽다는 의견도 있지만, 연주감 측면에서는 이쪽이 훨씬 더 낫다는 의견도 있다. 트릴로지 때에 비해서야 엇박은 많이 완화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엇박 요소가 상당히 강한 것은 물론 전 버튼 MX/SC 난이도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중후반부 피아노 솔로에서의 24비트 트릴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가 꽤나 높은 편에 속한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0 → 8, 5B 9 → 8, 6B 10 → 8[* 당시 9으로 조정되었으나 2025년 3월 27일 업데이트를 통해 8로 하향 조정되었다.], 8B 11 → 9) === 4B TUNES === ||<tablebordercolor=#d968d8><tablebgcolor=#ffcc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yIaiIJVuljo)] ||<nopad> [youtube(Mjt-Ak3xIS8)]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ILc8_KNNITc)] ||<nopad> [youtube(zWGCLZwF6RM)] || === 5B TUNES === ||<tablebordercolor=#d968d8><tablebgcolor=#ffcc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SaU7bMahwwI)] ||<nopad> [youtube(1KIzcPDjTv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1kqtQ1kMAvc)] ||<nopad> [youtube(kSQ98MnnzIY)] || 5B SC는 타 버튼 SC 패턴들과 비교했을 때 노트의 박자를 조금 더 정박에 가깝게 정리해놓은 편에 속하고, 초반 브라스 키음 역시 한 손 동시치기로만 등장하여 판정을 맞추기 쉬운 편. 후반 트릴 구간 역시 트릴이 일관적으로 2라인에 등장하는 타 버튼 SC 패턴들과는 달리 343434로 나오다가 232323으로 바뀌는데, 손을 바꿔주는 데에 익숙지 않다면 오히려 손이 꼬일 수 있으나 트릴을 박자에 정확히 맞추기에는 이쪽이 더 쉽기에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 측면에서는 해당 곡의 SC 패턴 중 가장 쉬운 편에 속한다. === 6B TUNES === ||<tablebordercolor=#d968d8><tablebgcolor=#ffcc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WSOUqw81ui4)] ||<nopad> [youtube(akyJGiWRMY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WIgXFBmKfmA)] ||<nopad> [youtube(YbUSpPXwiII)] || 6B SC는 트릴로지의 6B MX 패턴에서 끼어있던 다소 지저분한 엇박 노트들과 겹계단/데님 배치 등을 삭제하여 더욱 치기 편한 방향으로 완화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엇박 요소는 전 버튼 SC 패턴 중 가장 강한데다가 후반 46464646 한손 트릴도 그대로 등장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것은 매한가지. 그나마 [[Sparrow]]처럼 박자가 멋대로 짜여져 있는 트릴은 아니고, [[Smile(메이플스토리)|Smile]]처럼 빠른 트릴도 아니기에 오히려 퍼펙트 면에서는 초반과 후반의 엇박 패턴 처리에 더더욱 주의해줄 필요가 있다. === 8B TUNES === ||<tablebordercolor=#d968d8><tablebgcolor=#ffcc00>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Ga-TcZGIJ-4)] ||<nopad> [youtube(RP9IrQZeLHM)]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UPsHCAI8W-Q)] ||<nopad> [youtube(t2MDF7xh8xA)] || 8B SC 역시 8버튼 특유의 트리거 낀 스윙 리듬, 곳곳에 끼어드는 짧은 트릴에서 이어지는 연타 패턴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전반적으로는 L5+R2를 응용한 교차 반복 패턴이 주가 되어 [[Desperado]], [[AD2222]] 등에서 이를 숙지했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후반 트릴 구간에서 등장하는 '''R5R5R5 트릴'''은 기존 8B SC 패턴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유니크한 패턴으로 처리에 있어서 상당한 숙련도를 요구하는 편이다. 통상적으로 본다면 11레벨 내에서 크게 어려운 패턴은 아니지만, 상술한 엇박 요소 및 R5R5 트릴 때문에 스코어링 면에서는 상당한 난관으로 남을 수 있다. == [[TAPSONIC TOP]] == ||<-6><table 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f6bf1a><rowcolor=#373a3c> '''TAPSONIC TOP''' || ||<colbgcolor=#f6bf1a> '''속성''' ||<bgcolor=green><-5> {{{#white '''SESSION'''}}} || ||<|2> '''난이도''' ||<width=85><bgcolor=#0f0> '''EASY''' ||<width=85><bgcolor=#fff344> '''NORMAL''' ||<width=85><bgcolor=#058cf4> '''{{{#white HARD}}}''' ||<width=85><bgcolor=#e64119> '''{{{#white EXPERT}}}''' ||<width=85><bgcolor=BLACK> '''{{{#white ??????}}}''' || || 2 || 4 || 6 || 8 || 없음 || || '''수록일''' ||<-5> 2020/02/19 || || '''해금조건''' ||<-5> SHOP 구매 - 140 SP || [youtube(3q2Tafd1vQ0)] EXPERT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lG7z27ckY0Q)] HARD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lpmhXvMHof4)] NORMAL 퍼펙트 플레이 영상. [youtube(Dg--493QkFU)] EASY 퍼펙트 플레이 영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an We Talk, version=54, uuid=9cdacf27-84d2-4e70-9e0a-2eeab3fbfb63)]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TAPSONIC 시리즈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 version=49, uuid=779bc591-97ad-4a5b-a303-ab28d783c2b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