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Can We Talk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분류:Muse Dash의 수록곡]]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qU76t9gTdkY)]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Acid Jazz}}} || || {{{-1 '''BPM'''}}} ||{{{-1 125}}} || || {{{-1 '''작사/작곡'''}}} ||{{{-1 [[Forte Escape]]}}} || || {{{-1 '''보컬'''}}} ||{{{-1 Pyk}}} || || {{{-1 '''BGA'''}}} ||{{{-1 Aqualix / White Shadow}}} || ||<-2> {{{#!folding [ 가사 보기 ] do we all have the heart to carry on sturu da tudatudaun sturu da tudatudadadaun sturu da tudatudaun statudatudadaun statudatudadadaun sta tai daradaun we gether love and every we change the world where you were find'n ever when we make insane love there is no wonder entities can we talk insane love can we talk insane love sane love can we talk insane love sane love can we talk insane love can i talk insane love sane love sturu da tudatudaun sturu da tudatudadadaun (i need one for love) insane love sane love (together every day) Can We Talk insane love}}} || == 개요 == Forte Escape가 본래 즐겨 작곡하던 Acid 장르로 회귀한 재즈풍의 곡. 작곡가 본인이 업데이트하면서 이 곡에 대한 기대가 컸다고 한다. ~~정작 이 다음에 업데이트한 [[바람에게 부탁해]]가 대 히트를 기록한다.~~ 완성하고 보니 보컬이 [[옥주현]]같아서 뭣했다고 한다. BGA의 제작자인 Aqualix는 이 곡의 BGA에 사용하였던 캐릭터를 약간 수정해서 [[펌프 잇 업]]의 'Power of Dream'의 BGA 작업에도 사용하는 희한한 사례를 남기기도 하였다. 원래 그림체는 따로 있지만, 리듬게임 작업으로 인해 그림체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재미있는 것은 DJMAX Portable 1 OST의 앨범 자켓 가사집을 보면 Power of Dream의 등장 캐릭터가 삽입되어 있다. ~~...어?~~ 아울러, DJMAX Portable 해외판에서는 가사 중 'insane love' 가 욕의 의미로 받아들여져서인지 [[https://youtu.be/uVsbnyi04nY?t=72|검열음으로 처리되었다.]] 다만, 뒤에 있는 'insane love'의 경우 잘 안들린다고 생각해서인지 아니면 과한 검열음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 것인지 추가적인 검열은 되지 않았다. [[DJMAX RESPECT]]의 콜렉션에서 의외의 정보가 공개되었는데, 원래는 제목이 Can '''U''' Talk 이었다고 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1)]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4e7fe8><bgcolor=#00B4D4><nopad> [[파일:Can We Talk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4cf7, #0faad6, #0faad6)" '''{{{#white PORTABLE 1}}}'''}}} || ||<-4>'''{{{+5 Can We Talk}}}''' || ||<rowbgcolor=#00B4D4><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bgcolor=#4e7fe8><colcolor=white> {{{#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1 [br] {{{-5 17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56}}}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035}}} || ||<bgcolor=#4e7fe8> {{{#white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7 → 6로 조정.] [br] {{{-5 45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7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30}}}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63}}} || ||<bgcolor=#4e7fe8> {{{#white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7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6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11}}}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087}}} || ||<bgcolor=#4e7fe8> {{{#white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5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7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70}}}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1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8ef6, #7baaf0, #67cdea)"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7에서 SC 패턴이 추가되었는데, 은근한 복병으로 등장했다. 후술할 8버튼 MX에서 엿볼 수 있듯 은근히 박자가 까다로운 곡이었는데, 추가된 SC 패턴에서 해당 요소를 잘 살려놓아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가 꽤나 높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6 → 5, 5B 8 유지, 6B 7 → '''8''', 8B 9 유지)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e7fe8><table bordercolor=#4e7fe8><table bgcolor=#00B4D4><nopad> [youtube(wtw_lSZnUs8)] ||<nopad> [youtube(PjfxRdSQWXQ)] || || {{{#white '''SC'''}}} || || ||<rowbgcolor=#4e7fe8><nopad> [youtube(ev4JswOpHik)]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e7fe8><table bordercolor=#4e7fe8><table bgcolor=#00B4D4><nopad> [youtube(d-qOeHGHr3U)] ||<nopad> [youtube(BM9ilclP_f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e7fe8><nopad> [youtube(NZJkw1IqonA)] ||<nopad> [youtube(xBQQf9XfTVU)] || 5B SC는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따닥이, 짧은 롱노트+잡노트 구성의 롱잡, 즈레들 때문에 퍼펙트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특히 1:35초 구간의 약지 연타 구간과 1:51초 구간의 즈레 구간은 상당한 난구간. 이때문에 시즌 7에 함께 추가된 SC 패턴인 [[My Jealousy]]와 함께, 중레벨대에서는 최악의 퍼펙트 난이도를 자랑하는 곡으로 자리잡았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4e7fe8><table bordercolor=#4e7fe8><table bgcolor=#00B4D4><nopad> [youtube(Oc79aqarIL4)] ||<nopad> [youtube(a58H7p_r8ao)]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e7fe8><nopad> [youtube(pEXsZwwKp7o)] ||<nopad> [youtube(8lK3Wcarvl4)] || 6B SC의 경우 1:43초 등장하는 따가닥-하는 계단에서 바로 2번 롱노트로 이어지는 함정 패턴을 주의해주자. === 8B TUNES === || {{{#white NM}}} || || ||<rowbgcolor=#4e7fe8><table bordercolor=#4e7fe8><table bgcolor=#00B4D4><nopad> [youtube(t-EvhNMGf0I)] ||<nopad> [youtube(D34sPxxUCvM)]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4e7fe8><nopad> [youtube(3mMljBnLeF8)] ||<nopad> [youtube(GXbnQ2MynuU)] || 8B MX는 클리어와 풀콤보 난이도는 동 레벨대에서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즈레 노트가 많고 박자가 어려운 편에 속해 스코어링 난이도는 까다로운 편이다. 8B SC의 경우 초반부터 중반까지 트리거가 섞인 롱잡이 난해한 배치로 깔린다. 이후 피아노 솔로가 시작되는 구간에선 2-4 겹노트 6연타가 등장하고, 다소 무난한 일반 노트 파트가 이어지다가 피아노 솔로가 마무리되는 구간에서 이 곡의 압살 구간인 '''1-3-5 롱노트 잡고 2-4-6 연타''' 파트가 등장하는데, 초견이라면 당황해서 실수하기 십상이며 이를 알더라도 손가락 특성상 정확히 처리하기 힘든 배치 때문에 실수할 확률이 상당히 높다. 전반적으로 일반/롱노트가 마구잡이로 섞이는 롱잡 패턴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느냐에 따라 난이도가 갈리는 패턴. == [[Muse Dash]] == [youtube(3Vi4Uh7kQyY)] 마스터 (★8) 100% AP 영상. == [[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Can We Talk, version=65, uuid=9e39933d-2f5a-4ad6-9429-d37a88551eb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