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roken Sphere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oORq6ERIpwI)]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024)}}} || || {{{-1 '''장르'''}}} ||{{{-1 Mid-Tempo Electro}}} || || {{{-1 '''BPM'''}}} ||{{{-1 196}}} || || {{{-1 '''작곡'''}}} ||{{{-1 [[VoidRover]]}}} || || {{{-1 '''BGA'''}}} ||{{{-1 HAMMA}}} || == 개요 == [[VoidRover]]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제목에서 볼 수 있듯 [[Plasma Sphere]]의 후속곡으로, 새로운 시리즈 DLC인 V LIBERTY DLC에 수록되었다. 전반부는 전작인 Plasma Sphere와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지만, 후반부에 들어갈수록 전작보다 훨씬 하드코어하고 파괴적인 전개를 선보이는 곡이다. BGA는 HAMMA가 담당했으며, 우주를 배경으로 한 [[사이언스 픽션|SF]] 로봇 배틀물이다. 어떤 조직으로 인해 아버지를 살해당한 여주인공 '안젤리카'가 아버지가 만든 로봇인 '블루 벨라토르'를 탑승해 적들을 완파해 나가고, 빌런 여자 캐릭터인 '셔벗'과 최후의 대결을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BGA에 대한 평은 다소 좋지 않은 편인데, BGA의 퀄리티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Plasma Sphere의 정식 후속곡임에도 불구하고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뜬금없이 해당 스토리가 동 DLC에 수록된 곡인 [[덫(DJMAX)|덫]]으로 이어져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방송에서 언급된 바로는 덫의 BGA 담당자가 이미 Plasma Sphere의 작가인 FEMMER로 배정되어 HAMMA가 맡았다고 했는데, 차라리 Broken Sphere의 수록을 LIBERTY 2로 미뤄 스토리를 이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을 샀다.] 또한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BGA 자체가 노래의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많다. 여주인공의 뒷배경은 어두운 편이지만, 그렇다고 진지하다기에는 빌런 여자 캐릭터가 수염을 달고 있는 것이나 로봇 배틀 역시 진중한 음악 분위기와 달리 코믹하게 묘사되는 등 HAMMA BGA 특유의 개그성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 거기에 BGA가 깔끔하게 마무리지어지지 않고 툭 끊긴다는 인상을 주는 점 역시 평이 좋지 않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ff51ba><bgcolor=#ff51ba><nopad> [[파일:Broken Spher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5eefc 0%, #45eefc 15%, #fff227 15%, #fff227 35%, #ff51ba 35%, #ff51ba 100%)" '''{{{#000 V LIBERTY}}}'''}}} || ||<-4>'''{{{+5 Broken Sphere}}}''' || ||<rowbgcolor=#3a3a3a><rowcolor=white><width=80> {{{#45eefc 모드}}} ||<width=100> {{{#fff227 NM}}} ||<width=100> {{{#45eefc HD}}} ||<width=100> {{{#fff227 MX}}} ||<width=100> {{{#ff51ba '''SC'''}}} || ||<colbgcolor=#ff51ba><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6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9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29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4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2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75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6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0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76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9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3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33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79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51ba, #ff51ba)"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4버튼과 6버튼의 경우 중간 난이도 정도로 등장한 것과 달리, 5버튼과 8버튼의 경우 표기 난이도도 높고, 두 SC 패턴 모두 불렙 논란이 있어, 5버튼과 8버튼만 한정한다면 이번 DLC의 보스곡인 [[Diomedes]], [[O'men]] 다음에 위치한다는 평이 많다. === 4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VEcuIRWQ09s)] ||<nopad> [youtube(0sS5NIsFWfk)]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iIWuUUDKjCI)] ||<nopad> [youtube(oSAGt5nUtiA)] || 4버튼 SC의 경우 이렇다 할 킬링파트 없이 무난한 9렙 수준의 패턴이 이어지다가 짧은 후살로 마무리 된다. 그러나 11렙의 후살치고는 너무 쉽고 나머지 패턴이 너무나도 평이해 10렙 중하위권 수준의 물렙으로 평가받는다. 결국 시즌 16 업데이트와 함께 10렙으로 강등되었다. === 5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9K_jKyGTI-I)] ||<nopad> [youtube(1GKmi-yPvKM)]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g46sVzffuEQ)] ||<nopad> [youtube(MgnKYCH07Kw)] || 5B MX는 레이저도 없고, 다른 패턴도 너무 단순해 13레벨 평균 수준의 물렙으로 평가받는다. 5B SC는 13레벨 내에서 상위권 패턴으로 등장하였다. 전작인 [[Plasma Sphere]]처럼 1-3, 3-5를 원핸드로 처리해야 더 편한 형태의 트릴이 자주 쏟아진다. 특히 3-3계단 직후로는 트릴에 14-35 양손 트릴, 2-3버튼 트릴이 섞여 일일이 손배치를 바꿔주기에는 3번을 커버하는 손이 워낙 자주 바뀌어 번거롭고, 고정 배치로 치면 트릴 중간중간에 한손 데님이 섞이는 배치로 바뀌기 때문에 가변능력이 있던 없던 번거로운 채보. === 6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bwvvZN5IKnQ)] ||<nopad> [youtube(7SFhx6v_gcU)]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fi1gax706Kk)] ||<nopad> [youtube(eB3i3VXzqjU)] || 6B SC는 알약 트릴이 주가 되는 채보로, 알약 트릴 사이 345번이나 계단이 끼어들어 정직한 12-34-56번 알약만을 활용한 곡들과는 패턴 양상이 달라 개인차를 좀 탄다. === 8B TUNES === || {{{#fff227 NM}}} || {{{#fff227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7dmzpP7ApLA)] ||<nopad> [youtube(NBYfUtX3GpY)] || || {{{#fff227 MX}}} || {{{#fff227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oozoIX8iEkY)] ||<nopad> [youtube(JU8Hvqa_y1s)] || 8B SC는 곡 전체적으로 트리거와 키 노트가 복잡하게 섞여 읽기 힘든 패턴이 쉬는 구간 없이 높은 밀도로 쏟아진다. 후반부 돌입 전에 등장하는 양손 손굴리기 패턴도 판정이 나가기 쉽다. [[Nevermind(DJMAX)|청기백기]]나 [[Paradise(DJMAX)|햄버거]]처럼 대놓고 헷갈림을 유발하는 뇌지컬 패턴은 등장하지 않는 반면 순수한 8버튼 패턴 독해력과 처리력으로 승부하는 채보. 같은 DLC에 있는 동레벨의 [[Basement]]가 비교적 단순한 패턴으로 물렙~하위권 취급 받는 것에 비해 이 곡은 패턴의 복잡도 면에서 Basement를 뛰어넘으며, 14레벨로 올라가도 이상하지 않을 수준의 불렙으로 꼽힌다. 결국 시즌 15 업데이트를 통해 14레벨로 상향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Broken Sphere, version=59, uuid=856fb93e-9b58-4fa7-b74f-0f5c6736850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