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estie(DJMA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DRIVE(DJMAX))]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Q1nCk9hQL8g)]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dimgray |}}} {{{-3 V LIBERTY (2024)}}} || || {{{-1 '''장르'''}}} ||{{{-1 [[저지 클럽|Jersey Club]]}}} || || {{{-1 '''BPM'''}}} ||{{{-1 146}}} || || {{{-1 '''작곡'''}}} ||{{{-1 SOPHI}}} || || {{{-1 '''작사/보컬'''}}} ||{{{-1 BIRA}}} || || {{{-1 '''BGA'''}}} ||{{{-1 koopa(원화) / MoDEKU(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br]넌 기억하니 우리 예전에 집에 가는 길에 버스에서 이어폰 한쪽씩 나눠 끼고 듣던 노래들 약속했었지 우리 만약에 서로 떨어지게 되어도 절대 소홀해지지는 말자고 라라라라라 라라라 라라라라라 라 라라라라라 라라라 라라라라라 라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I still wait still wait 언제까지라도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my side empty 4 u)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I still wait still wait 언제까지라도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my side empty 4 u) 아직도 같은 꿈을 꾸고 있을지 평생 영원할 것만 같았던 bestie 우린 꼭 멋있는 어른이 될 줄만 알았고 나랑 같을 거라고 you were my everything 내가 너무 기대한 걸까? 아니 희망은 원래 슬픈 거래 라라라라라 라라라 라라라라라 라 라라라라라 라라라 라라라라라 라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I still wait still wait 언제까지라도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my side empty 4 u)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I still wait still wait 언제까지라도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my side empty 4 u) I still keep still keep I still wait still wait I still keep still keep my side empty 4 u}}} || == 개요 == SOPHI가 작곡한 [[DJMAX 엔터테인먼트]]의 [[컴필레이션 앨범]] 《[[DRIVE(DJMAX)|DRIVE]]》의 수록곡. DJMAX에서는 처음 선보이는 [[저지 클럽]] 장르의 곡이다. 가사는 제목인 'Bestie'처럼 [[베스트 프렌드]]에 대한 내용으로, 옛 친구를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BEXTER]]가 상당히 좋아하는 곡이라고 말했으며, 비트 때문인지 약간 [[NewJeans]] 느낌이 난다고 평하기도 했다.[* 실제로 저지 클럽 자체가 K-POP 씬에서는 뉴진스가 유행시킨 장르이니 당연하다. [[Ditto(NewJeans)|Ditto]]와 [[Super Shy]], [[ETA(NewJeans)|ETA]] 모두 저지 클럽 장르의 곡이다.] BGA는 [[Emerge]]와 [[Critical Point]]에서 이어지는 [[엘 클리어|클리어]]와 [[엘 페일|페일]]의 좀비 유니버스 3탄이다. 클리어와 페일이 약간은 앳된 화풍으로 그려져 [[프리퀄]]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으나, 클리어와 페일이 좀비를 모두 처리하고 텅 빈 학교에서 학교 놀이를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한다.[* BGA를 자세히 보면 페일이 [[Critical Point]]에서 획득한 무기를 옮기고 있다.] 공교롭게도 BGA 역시 학교 배경에 레트로 캠코더로 촬영한 것처럼 연출한 장면이 들어가면서 NewJeans의 [[Ditto(NewJeans)|Ditto]] 뮤직비디오를 연상케 한다는 반응이 있다. BGA가 공개된 이후 이 곡 또한 VERSE.2의 메인 스토리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점이 밝혀졌는데, 클리어와 페일이 있는 계단 속 CCTV에서 [[DJMAX RESPECT/캐릭터#s-3.5|리룰르]]의 그림자가 등장한다.[* 해당 장면은 V LIBERTY의 컴포저 라인업에서 이스터 에그로 등장한 장면이기도 하다.] 이때의 묘사를 보면 흥망이 등장 장면에는 문제가 없던 CCTV가, 리룰르가 등장하고 나서는 [[glory MAX]]의 BGA처럼 '''노이즈가 쳐져 있다.''' 좀비 유니버스가 기존 유니버스의 평행세계를 다룬다고 밝힌 만큼, 이전에 언급한 리룰르의 평행세계 간섭 능력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장면 이후 클리어가 홀로 쓸쓸히 페일을 기다리는 모습으로 영상이 끝나자[* 칠판에 쓴 'Bestie' 글자가 지워진 상태이다.] 리룰르가 해당 세계관의 페일을 납치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생겼다. BGA가 묘하게 [[백합(장르)|백합]]을 연상케 해서인지 영상 댓글에는 [[밴대질#북극곰 드립|북극곰 드립]]이 난무하고 있다. 이 드립의 연장선으로 리룰르는 환경운동가(...)인것이 아닌가 하는 밈도 생겼다. 이후 정식 후속곡인 [[Outcast]]가 공개되었다. BGA의 스토리 역시 이어진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ff51ba><bgcolor=#ff51ba><nopad> [[파일:Bestie_1.webp|width=100%]] ||<-4><#ff51ba><(>{{{#!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5eefc 0%, #45eefc 15%, #fff227 15%, #fff227 35%, #ff51ba 35%, #ff51ba 100%); color:#000" '''V LIBERTY'''}}} || ||<-4>'''{{{+5 Bestie}}}''' || ||<rowbgcolor=#3a3a3a><rowcolor=white><width=80> {{{#45eefc 모드}}} ||<width=100> {{{#fff227 NM}}} ||<width=100> {{{#45eefc HD}}} ||<width=100> {{{#fff227 MX}}} ||<width=100> {{{#ff51ba '''SC'''}}} || ||<colbgcolor=#ff51ba><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6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13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8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0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16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27}}}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2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5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20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9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4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16}}} || ||<-5><#ff51ba>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인게임에서 보컬이 키음에 묻히는 문제가 있었고, 시즌 13 업데이트로 보컬 음량이 조정되었다.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 시즌 12 인포그래픽에서 무려 '''MOST GAME OVER 9위'''에 안착되는 위엄을 보였다. 유저들은 4B MX의 후반 폭타를 원인으로 추측하고 있다. === 4B TUNES === ||<rowcolor=#fff227> NM ||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iQyEHFMYP-o)] ||<nopad> [youtube(pg7V9Er87sA)] || ||<rowcolor=#fff227> MX ||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0mPACCGtcTo)] ||<nopad> [youtube(08HBaXB5TUg)] || 4B MX의 경우 9레벨이라는 난이도에 비해 2절 후렴 구간의 밀도가 제법 높다. 후렴 처음 8마디는 마디마다 8비트와 16비트가 2박자씩 번갈아 나올 뿐이지만, 이후 8마디는 순수하게 16비트 트릴로 마디를 꽉 채운 채 약 13초간 쉬지 않고 쏟아진다. 9레벨을 넘어서는 수준의 밀도는 아니나 폭타 구간이 길고 노트 8개 단위로 폭타 패턴이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9레벨에 막 도전하는 유저의 처리력으로는 다소 버거웠던 모양인지 전술한대로 MOST GAME OVER 통계에 당당히 이름을 올려버리는 일등공신 패턴이 되었다. 4B SC 또한 밀도 높은 계단이 꾸준히 나와 초보자에게는 꽤나 버거운 패턴이다. 다만 어느 정도 폭타 처리법을 익히면 난이도가 급격히 쉬워지는 편에 속하기에 숙련도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크게 갈리는 편이며, 일반적으로는 골드 티어 정도의 수준만 되어도 어느 정도 쉬워지는 편에 속한다. === 5B TUNES === ||<rowcolor=#fff227> NM ||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6J0Y8wIxDh8)] ||<nopad> [youtube(CGSxulK9OdA)] || ||<rowcolor=#fff227> MX ||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j0_g5jVU4zA)] ||<nopad> [youtube(hBJqYlHZNwM)] || === 6B TUNES === ||<rowcolor=#fff227> NM ||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spAQg-Bwqvw)] ||<nopad> [youtube(DUNUofI_iOs)] || ||<rowcolor=#fff227> MX ||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k0RvG24diWU)] ||<nopad> [youtube(LZgHUuXnUtQ)] || === 8B TUNES === ||<rowcolor=#fff227> NM || HD || ||<rowbgcolor=#ff51ba><table bordercolor=#45eefc><table bgcolor=#ff51ba><tablecolor=white><nopad> [youtube(LDb58jX4hJI)] ||<nopad> [youtube(1JHCdC1KRh4)] || ||<rowcolor=#fff227> MX || '''SC''' || ||<rowbgcolor=#ff51ba><nopad> [youtube(BwXAkn86jl8)] ||<nopad> [youtube(qAsmHrlrrDs)]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Bestie(DJMAX), version=77, uuid=1bb841e0-c7bd-43df-8d7d-022fe441e6b4)]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