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ccelerate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Monstercat]][[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다른 뜻, 설명1=beatmania IIDX의 수록곡, 문서명1=ACCELERATE(BEMANI 시리즈), 설명2=Cytus II의 수록곡, 문서명2=Accelerate(Rayark))] [목차] [youtube(JClZ06vwU6Y)] == 개요 == 유명 레이블인 [[Monstercat]]의 [[Teminite]] & Skybreak의 곡. 제목인 'Accelerate'는 '가속하다'라는 뜻이다. 모티브는 [[마리오 카트 시리즈]]로 추정. == [[DJMAX]] 시리즈 수록 ==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dmQzSdDOviM)]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5 (2023)}}} || || {{{-1 '''장르'''}}} ||{{{-1 Melodic Bass}}} || || {{{-1 '''BPM'''}}} ||{{{-1 150}}} || || {{{-1 '''작곡'''}}} ||{{{-1 [[Teminite]] & Skybreak}}} || || {{{-1 '''BGA'''}}} ||{{{-1 [[SB_ENGINEER]]}}} || [[BEXTER]]에 따르면 [[Monstercat]] 레이블 측과 인연이 닿아 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작업을 현재 모색 중이고,[* [[Alone(Marshmello)/리듬 게임 수록#s-3|Alone]]의 DJMAX 수록이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이며, 해당 작업에 대해서는 명확히 코멘트하지 않았다. 콜라보 DLC가 될 수도 있고, 혹은 아예 다른 프로젝트가 될 가능성도 있을 듯.] 우선은 첫 시작으로 라이선스 곡을 받아 수록하는 의미로 이번 DLC에 선곡되었다고 한다. 곡을 처음 받고는 음악 게임 수록을 위해 작곡된 것이 아님에도 음악 게임용으로 만든 건가 싶을 정도로 잘 어울리는 곡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이런 BEXTER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출시 후 유저들의 반응도 상당히 좋은 편인데, 곡 전개며 치는 맛이며 라이선스 곡이라고는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리듬 게임에 어울린다는 호평이 대부분이며, 커팅 역시 풀 버전에 존재하는 킬링 파트들을 완만히 이어붙여 상당히 자연스럽게 이루어졌기에 V EX 5 출시 이후에 가장 반응이 좋은 곡 중 하나다. 또한 작곡가들 중 한 명인 Skybreak는 이전에도 동인 음악 컴필레이션에 곡을 낸 적이 있기에 이제는 진짜 동인 음악 작곡가라는 농담이 생겼다. BGA는 [[SB_ENGINEER]]가 담당했으며, [[WONDER $LOT 777]] 이후 오랜만에 일러스트 및 모션 그래픽을 단독으로 제작했다. 레인보우+흑백색을 가미한 2D [[카툰]]풍 BGA가 큰 호평을 받았다. BGA의 내용은 한 소년이 [[Karma]]라는 놀이공원에 놀러와 7개의 테마파크를 거쳐 끝없이 떨어지는 장면을 묘사했는데, 유저들은 [[7대 죄악]]과 그 악마들을 묘사한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도입부에서 입 안의 알약이 퍼지는 묘사가 있어 [[마약|환각제]]를 먹고 본 환각이 아니냐는 설도 있다.] SB_ENGINEER는 많은 은유를 넣은 섬찟한 잔혹동화를 의도하여 제작했으며, [[열린 결말|해석은 여러분의 자유]]라고 남겼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5)]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014e96><bgcolor=#014e96><nopad> [[파일:Accelerate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a100 0%, #ffa100 10%, #012e7f 10%, #014e96 100%)" '''{{{#fff V EXTENSION 5}}}'''}}} || ||<-4>'''{{{+5 Accelerate}}}''' || ||<rowbgcolor=#ffa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14e96><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8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5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8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5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1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45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1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9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64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4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3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6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538}}}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12e7f 0%, #014e96 15.5%, #ffa100 15.5%, #ffa100 1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0 → 8, 5B 12 → 10, 6B 12 → 10, 8B 11 → 10)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4sxqv-Iieao)] ||<nopad> [youtube(zGlvaIRdhx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3Qv8MpyZE6o)] ||<nopad> [youtube(gyERkVskSJw)] || 4B SC는 6800콤보 부근 등장하는 432 고속 계단 패턴이 까다롭다. 해당 부분만 빼면 무난하기 때문에 10레벨 하위권. 계단을 적절히 뭉갤 수만 있다면 체감 난이도는 더 떨어진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NYk0d90bINs)] ||<nopad> [youtube(uUQWFA1PB7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TTHzkHzFSeg)] ||<nopad> [youtube(nPPTKgsCzVg)] || 5B SC는 후반부에 약중트릴을 시작으로 롱 노트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속 계단처럼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나온다. 전체적으로 복잡해 보이지만 가변과 횡인식에 능숙하다면 좌우로 딱딱 나눌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폭타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유저들의 평가는 12레벨 하위권.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8xganRLMe40)] ||<nopad> [youtube(RUZ2W6LfElY)]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ByadUUz7qR8)] ||<nopad> [youtube(IbovCDEdMyc)] || 6B SC는 영상 기준 1:53초부터 등장하는 겹폭타 패턴이 킬링 파트로, 양손 계단을 비롯한 겹계단 등 겹폭타 패턴이 등장하며 난이도를 높인다. 그 뒤로 이어지는 원핸드 지력을 요구하는 2:07초의 연타 패턴도 까다롭다. 패턴 자체는 정직하기에 리딩 및 처리 능력만 받쳐준다면 퍼펙트 플레이를 비롯한 스코어링 난이도는 어렵지 않은 편이며, BPM이 [[Airlock]]이나 [[Xeus]]와 같은 겹폭타 패턴들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연습곡으로도 사용하기 좋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014e96><table bordercolor=#014e96><table bgcolor=#ffa100><nopad> [youtube(1tVUl4Y3E08)] ||<nopad> [youtube(Glf8Riq9ZO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014e96><nopad> [youtube(cxQUmelMWNA)] ||<nopad> [youtube(lRG-9cVQ8Do)] || 8B SC에는 곡이 다 끝나가는 2분 20초경에 25LR을 이용한 뇌정지 패턴과 청기백기가 기습적으로 등장하는데 여기서 풀콤보 및 퍼펙트가 깨질 가능성이 높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Accelerate, version=70, uuid=9babde9a-6bc7-4466-81f6-2949e45c7fdf)]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